KR20190088471A -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 Google Patents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8471A
KR20190088471A KR1020197013981A KR20197013981A KR20190088471A KR 20190088471 A KR20190088471 A KR 20190088471A KR 1020197013981 A KR1020197013981 A KR 1020197013981A KR 20197013981 A KR20197013981 A KR 20197013981A KR 20190088471 A KR20190088471 A KR 20190088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landing
area
rail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드르 보리
피에르 라스픽
제롬 페?로
Original Assignee
나발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발 그룹 filed Critical 나발 그룹
Publication of KR20190088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25Mooring or ground handling devices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함 플랫폼(1)에 관한 것으로, 이 군함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3)를 위한 갑판 착륙/이륙 영역(2) 및 항공기를 취급하고 갑판 착륙/이륙 영역 위에서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취급 수단은 항공기(3)의 주 착륙 장치를 잡고 고정시키기 위한 바아 형태의 부재(7)를 더 포함하고, 이 부재에는 앵커링 훅크 형태의 수단(25)이 제공되어 있고, 이 수단은 갑판 착륙/이륙 영역(2)에서 부재와 항공기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20)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훅크형 수단(25)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를 레일(20)로부터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후퇴될 수 있고, 부재(7)는 항공기(3)의 착륙 장치를 잡도록 위치되고, 항공기(3)는,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가 적어도 하나의 레일(20) 상의 위치로 가고 또한 훅크형 수단(25)은 레일과 대향하는 위치로 가도록 움직이며, 또한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훅크형 수단(25)은 다시 적어도 하나의 레일(20)에서 앵커링 위치로 움직인다.

Description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본 발명은 군함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를 위한 착륙/이륙 영역을 구비하는 군함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군함 플랫폼은 예컨대 코르벳함, 소형 구축함 또는 프로젝션 빌딩, 또는 심지어는 항공모함과 같은 표면 선박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헬리콥터를 받기 위한 영역을 구비하는 근해 오일 플랫폼 등과 같은 다른 플랫폼도 고려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이들 플랫폼은 항공기를 취급하여 플랫폼 상에서 움직이기 위한 트럭 형태의 수단, 예컨대 자동차를 구비한다.
따라서, 예컨대, 플랫폼이 코르벳함 또는 소형 구축함과 같은 선박으로 이루어진 경우, 그러한 산업 트럭 수단을 사용하여, 헬리콥터를 플랫폼의 착륙/이륙 영역과 플랫폼 상에서 그 영역 가까이에 제공되어 있는 보관 격납고 사이에서 움직인다.
이들 트럭 수단은 작업자의 개입을 용이하게 해주고 또한 상당히 큰 하중물, 예컨대 수백 톤의 중량을 갖는 헬리콥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해주고 헬리콥터를 고정시킨다.
당업계에서의 이러한 종류의 용례에 대해 산업 트럭을 형성하는 많은 수단이 이미 제안되었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수단, 모터 수단 및 항공기에 연결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작업자는 예컨대 원격 제어 수단을 통해 이들 트럭 수단을 제어하여 항공기를 잡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산업 트럭 수단은 그러한 군함 플랫폼에서의 고려되는 용례에서 어떤 수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실, 다양한 작업적인 이유로, 그러한 플랫폼 상에서, 험한 또한 심지어 매우 험한 바다에서 또한 바람이 격렬하게 부는 상황에서 항공기, 특히 헬리콥터를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플랫폼은 비교적 큰 움직임을 받게 되는데, 그리하여, 플랫폼, 특히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서 항공기가 통제 받지 않은 상태로 움직이거나 변위되는 위험이 나타난다.
항공기는 사실 항공기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미끄러짐 또는 심지어는 기울어짐을 유발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항공기의 구조 및 플랫폼의 구조와 승선하고 있는 작업자, 특히 플랫폼의 비행 영역에 있는 사람의 안전에 대한 항공기의 그러한 통제 상실의 영향을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다른 문제가 착륙/이륙 영역 및 이들 플랫폼에 대한 항공기의 현재 크기의 면에서 나타난다.
사실, 헬리콥터는 점점더 커지고 있고, 착륙/이륙 영역은 더 작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래서, 항공기를 다수회 조작할 필요가 있어, 점점 더 크고 빈번한 응력이 항공기의 구조물에 가해지게 된다.
또한, 이들 항공기의 구조물은 항상 그러한 취급에 견딜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착륙/이륙 영역의 구성은, 항공기를 격납고와 착륙/이륙 영역 사이에서 움직이기 위해 이들 산업 트럭형 수단에 매우 뚜렷한 곡선형 궤도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점점 더 일반적으로, 착륙/이륙 영역 및 격납고는 다른 높이로 있고 또한 취급 수단과 항공기는 예컨대 경사로 형태의 부분을 따라 상하로 가도록 되어 있고, 경사로는 이전 시스템에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항공기는 일반적으로 매번 다른 위치에 내려 앉고 심지어는 완전히 안전하게 접근하기가 어려운 영영의 위치에도 내려 앉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군함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이 군함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를 위한 갑판 착륙/이륙 영역 및 상기 항공기를 취급하고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 위에서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취급 수단은 항공기의 주 착륙 장치를 잡고 고정시키기 위한 바아 형태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 부재에는 앵커링 훅크 형태의 수단이 제공되어 있고, 이 수단은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서 상기 부재와 항공기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훅크형 수단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상기 부재를 상기 레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후퇴될 수 있고, 상기 부재는 항공기의 착륙 장치를 잡도록 위치되고, 항공기는,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상의 위치로 가고 또한 훅크형 수단은 레일과 대향하는 위치로 가도록 움직이며, 또한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훅크형 수단은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에서 앵커링 위치로 움직인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은 단독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훅크형 수단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조작 수단을 통해 작용 앵커링 위치와 상기 바아 형태의 부재의 움직임을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 상기 조작 수단은 작업자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고, 또한 앵커링 훅크형 수단의 작용 위치 또는 후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시각적 수단과 관련되어 있다;
- 파지 및 고정 바아를 형성하는 상기 부재의 단부는 고정 케이블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는 수단을 포함하고, 고정 케이블의 제 2 단부는 플랫폼 상의 항공기를 움직이고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과 관련되어 있다;
- 상기 조작 수단 각각은 상기 케이블을 감거나 풀기 위한 드럼과 관련되어 있는 기어 모터 및 케이블을 위한 복귀 풀리를 포함한다;
- 군함 플랫폼은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한다;
- 군함 플랫폼은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 있는 항공기를 위한 작살문 및 상기 항공기를 위한 보관 격납고를 포함한다;
- 조작 수단은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사이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격납고 사이에 배치된다;
- 상기 취급 수단은 항공기의 보조 착륙 장치를 잡아 그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화된 트럭을 포함한다;
- 군함 플랫폼은 2개의 평행한 안내 레일을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제공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함 플랫폼의 일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부분 사시도를 나타내고, 그 군함 플랫폼은 항공기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 및 격납고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의 구성에 포함되는, 항공기의 취급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구비하는 그러한 영역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그러한 취급 수단을 갖는 항공기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항공기의 착륙 장치의 파지 및 고정 바아를 형성하는 부재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 7, 8, 9 및 10은 착륙 장치의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 및 플랫폼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의 서로 다른 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를 조작하고 그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들 도, 특히 도 1에서, 군함 플랫폼이 도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나타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군함 플랫폼(1)은 코르벳함 또는 소형 구축함과 같은 표면 건조물로 구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의 다른 예도 고려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 그러므로 군함 플랫폼(1)은 후방 부분에서, 항공기(3)를 위한 갑판 착륙/이륙 영역(2)을 포함하고, 설명되는 예에서, 그 항공기는 헬리콥터와 같은 회전익 항공기로 되어 있다.
다른 종류의 항공기도 고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드론이 고려될 수 있다.
설명되는 예에서, 플랫폼(1)에는 이 갑판 착륙/이륙 영역(2)의 근처에서 이러한 종류의 항공기(예컨대, 헬리콥터)를 위한 보관 격납고(4)가 또한 제공되어 있다.
플랫폼(1)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2)은 예컨대 그 자체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항공기(3)를 위한 작살문을 구비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 작살문은 도 1에서 참조 번호 "5"로 나타나 있다.
이 작살문(5)의 구조 및 헬리콥터의 작살 수단의 구조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 작살문(5)은, 플랫폼(1) 상에서의 그리고 특히 작살문 위에서의 헬리콥터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헬리콥터에 보유되어 있는 작살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헬리콥터는 플랫폼(1)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2)과 격납고(4) 사이에서 쉽게 또한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항공기(3)를 취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사용하여 그 항공기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수단은 사실 승선하고 있는 인원, 특히, 플랫폼의 비행 영역에 있는 작업자에게 이용 가능하여, 이들 조작 중에 그들을 도와준다.
도 2 내지 10은 플랫폼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 있는 그러한 항공기를 취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 및 설치를 보여준다.
이들 도에서, 군함 플랫폼(1), 그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2), 항공기(3), 및 격납고(4)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들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동력화된 취급 트럭(이들 도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6"으로 나타나 있음)이 사용되어, 항공기의 전방부에 있는 보조착륙 장치에서 항공기(3)를 잡게 된다.
항공기의 이 보조착륙 장치에는 예컨대 이동용 바퀴 등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동력화된 산업 트럭은 당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어,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동력화된 산업 트럭은 예컨대 에너지 저장 수단 및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동력화된 트럭이고, 이 트럭은 예컨대 작업자에 의해 원격 제어로 원격으로 작동되어 항공기를 움직일 수 있다.
항공기를 취급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항공기의 주 착륙 장치를 잡고 고정시키기 위한 바아를 형성하는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들 도에서 그 파지 및 고정 바아는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7"로 나타나 있다.
도 4 및 5에서 더 명백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항공기(3)의 주착륙 장치의 타이어(10, 11)를 잡고 주 착륙 장치를 통해 파지 및 고정 바아(7)를 항공기(3)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 파지 및 고정 바아(7)는, 그의 단부에서, 상기 타이어와 결합하거나 잡기 위한 수단(8, 9)을 포함한다.
항공기의 착륙 장치를 잡고 고정시키기 위한 이 바아 형태의 부재(7)는, 그의 단부에서, 항공기(3)에 동력을 공급하고 그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블(14, 15)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는 수단(12, 13)을 포함하고, 그 케이블은 항공기의 양측에 제공된다.
항공기의 이들 동력 공급 및 고정 수단은 예컨대 영역과 플랫폼의 길이 방향 축선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 수단(12, 13)은 예컨대 임의의 형태의 상보적인 훅크를 포함한다.
이들 파워 및 고정 케이블(14, 15)의 제 2 단부는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 케이블의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은 이들 도, 특히 도 2 및 3에서 참조 번호 "16" 및 "17"로 각각 나타나 있다.
이들 케이블의 이들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을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때, 이는 주 착륙 장치의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를 통해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에 견인력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함을 유의해야 한다.
이 부재는 사실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항공기의 주착륙 장치의 타이와 관련되어 있다.
도 4, 5, 6, 7, 8, 9 및 10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에 대한 더 상세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그 부재는 이들 도에서 여전히 참조 번호 "7"로 나타나 있고, 플랫폼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로 나타나 있으며, 특히, 그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로 나타나 있다.
사실, 이들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랫폼은, 갑판 착륙/이륙 영역(2)과 예컨대 항공기의 보관 격납고(4) 사이에서, 파지 바아 형태의 부재(7)와 항공기의 움직임을 안내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한다.
사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2개의 평행한 레일이 나타나 있다.
도 6에서 이들 레일 중의 하나는 더 상세히 나타나 있고,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0"으로 나타나 있다.
이 레일(20)은, 바아 형태의 부재(7)와 관련된 안내 및 힘 반작용 수단을 수용하기에 적절하다.
상기 도에서 안내 및 힘 반작용 수단은 예컨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1"로 나타나 있다.
이들 수단은 사실 예컨대 레일의 가장자리와 상호 협력하기에 적절한 힘 반작용 및 안내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도에서 안내 및 힘 반작용 롤러는 예컨대 참조 번호 "22, 23"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파지 바아 형태의 부재(7)는, 앵커링 훅크형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 수단 및 항공기의 움직임 동안에 안내 레일(들)에서 슬라이딩하여 움직일 수 있다.
이들 도에서 이들 앵커링 훅크형 수단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25"로 나타나 있다
사실, 그 앵커링 훅크형 수단은 항공기의 움직임 동안에 부재(7) 및 그 항공기를 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레일(20)에 배치되어 이동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도, 특히 도 8 및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훅크형 수단(25) 및 이들 안내 수단(21)은 레일(20)로부터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를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후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안내 및 앵커링 훅크형 수단의 후퇴 위치에서, 항공기의 주 착륙 장치의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는 플랫폼에 대해 완전히 자유롭게 된다.
그래서 그 바아는 플랫폼 상에서 작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플랫폼의 비행 영역에 있는 사람이, 항공기가 내려앉는 위치에 관계없이,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 내려앉은 항공기를 조작하고자 원하면, 작업자는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이 부재(7)를 움직이고 항공기의 주 착륙 장치의 타이어 상의 파지 위치에 둘 수 있다.
일단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이 부재(7)가 항공기의 착륙 장치의 타이어의 부착 위치에 있으면, 작업자는 파지 바아 형태의 상기 부재(7)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추가적인 부착 수단(12, 13)에 케이블의 대응 단부를 부착하기 위해 케이블(14, 15)을 잡을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이들 케이블의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16, 17)을 제어하여 플랫폼 상에 있는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파지 바아 부재가 플랫폼의 대응 안내 레일(들)과 마주하게 되는 위치로 항공기 및 파지 바아 형태의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안내 수단(21) 및 부재(7)의 앵커링 훅크형 수단(25)이 레일(들), 특히 레일(20)과 대향할 때가지 항공기(3) 및 항공기의 파지 바아 형테의 부재(7)를 움직인다.
이 위치에서, 그런 다음 작업자는 안내 수단(21) 및 훅크형 수단(25)을 조작 수단을 통해, 바아 형태의 부재(7)를 움직이기 위한 후퇴 위치(예컨대 도 8에 도시되어 있음)로부터 작용 앵커링 위치(예컨대 도 6에 도시되어 있음)로 움직일 수 있다.
이들 조작 수단은 예컨대 안내 및 앵커링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레버 또는 크랭크(도 10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0"으로 나타나 있음)로 되어 있다.
이 제어 크랭크(30)는 예컨대 상기 수단을 작용 위치에 잠금시키기 위한 핸들(도 10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1"로 나타나 있음)과 관련되어 있다.
물론, 시각적 표시 수단(도 10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2"로 나타나 있음)이 상기 수단과 관련될 수 있고, 안내 수단(21) 및 부재(7)의 앵커링 훅크형 수단(25)의 작용 또는 후퇴 위치 및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위치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해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이들 다양한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보충적인 기능이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이 부재의 단부의 분리 및 파지 부재를 항공기의 구성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그 분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시스템은 다른 종류 및 크기의 항공기를 움직이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어야 한다.
조절 수단은 예컨대 크랭크로 구성되어 있고, 이 크랭크는 도 10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33"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부재의 브레이크 페달(34)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기능도 고려될 수 있다.
도 11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상기 부재를 조작하고 그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의 일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은 예컨대 플랫폼 및 갑판 착륙 영역의 길이 방향 축선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1은 예컨대 수단(16)의 제조를 나타낸다.
사실, 이 수단(16)은 예컨대 케이블(도에서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4"로 나타나 있음)을 감거나 풀기 위한 드럼(41)과 관련된 전기 기어 모터(40)를 포함한다.
이 케이블(14)은, 예컨대 케이블(14)을 갑판 착륙/이륙 영역 쪽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풀리를 갖는 기구(42)와 관련되어 있다.
케이블(14)은, 대응하는 자유 단부에서 부착 수단(43)을 포함하는데, 이 부착 수단은 파지 바아 형태의 부재(7)의 상보적인 부착 수단(12, 13)과 상호 협력하도록 되어 있다.
기어 모터의 전통적인 제어 수단은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의 동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시스템의 사용은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항공기(3)가 갑판 착륙/이륙 영역(2)에 내려 앉아 있고 이 항공기를 예컨대 플랫폼(1)의 보관 격납고(4)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절하면, 플랫폼의 비행 영역에 있는 작업자는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 다음에, 부재(7)를 안내하기 위한 수단(21) 및 그 부재를 앵커링하기 위한 수단(25)이 후퇴 위치에 배치되어, 부재(7)가 상기 영역 및 플랫폼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작업자는 갑판 착륙/이륙 영역(2) 위에서 상기 부재(7)를 움직이고, 그리하여, 플랫폼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서의 항공기 위치에 관계 없이, 부재(7)는 항공기(3)의 착륙 장치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파지 및 고정 부재(7)를 항공기(3)의 착륙 장치의 타이에 결합시킨다.
다음, 작업자는 케이블(14, 15)의 대응 단부를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상기 부재(7)의 단부 및 특히 그의 부착 수단(12, 13)에 부착한다.
작업자는 또한 예컨대 항공기(3)의 보조 착륙 장치와 관련된 동력화된 취급 수단(6)을 사용하여 항공기를 움직인다.
항공기가 움직이는 동안에, 조작 및 동력 공급 수단(16, 17)을 제어하여,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데, 즉 항공기가 특히 갑판 착륙/이륙 영역에서 미끄러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항공기의 이 움직임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 및 특히 그의 안내 수단(21)과 앵커링 훅크형 수단(25)이 플랫폼에 배치되어 있는 예컨대 상보적인 안내 레일(20)과 대향하여 위치될 때까지 계속된다.
일단 이 위치에 있으면, 작업자는 안내 수단 및 파지 부재(7)의 앵커링 훅크형 수단의 제어 수단(30)을 조작하여, 그것들을 레일에서 후퇴 위치로부터 작용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작업자는 작용 위치에서 안내 및 앵커링 수단의 잠금 수단(31)을 작동시킨다.
일단 이 위치에 있으면, 파지 및 고정 부재는 플랫폼의 레일(들)에서 부착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안내 및 앵커링 수단은 항공기의 조작의 나머지 동안에 상기 영역과 격납고 사이에서 플랫폼 상에서의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및 케이블의 동력 공급 수단 때문에, 파지 부재가 레일에 잠금되지 않을 때에도 항공기, 플랫폼 및 사람의 안전이 제공된다.
물론, 또 다른 실시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Claims (10)

  1. 군함 플랫폼(1)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3)를 위한 갑판 착륙/이륙 영역(2) 및 상기 항공기를 취급하고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 위에서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취급 수단은 항공기(3)의 주 착륙 장치를 잡고 고정시키기 위한 바아 형태의 부재(7)를 더 포함하고, 이 부재에는 앵커링 훅크 형태의 수단(25)이 제공되어 있고, 이 수단은 갑판 착륙/이륙 영역(2)에서 상기 부재와 항공기(3)의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레일(20)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훅크형 수단(25)은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상기 부재(7)를 상기 레일(20)로부터 자유롭게 해주기 위해 후퇴될 수 있고, 상기 부재(7)는 항공기(3)의 착륙 장치를 잡도록 위치되고, 항공기(3)는, 파지 및 고정 바아 형태의 부재(7)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20) 상의 위치로 가고 또한 훅크형 수단(25)은 레일과 대향하는 위치로 가도록 움직이며, 또한 항공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훅크형 수단(25)은 다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20)에서 앵커링 위치로 움직이는, 군함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형 수단(25)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조작 수단(30)을 통해 작용 앵커링 위치와 상기 바아 형태의 부재(7)의 움직임을 위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군함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작업자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레버(30)를 포함하고, 또한 앵커링 훅크형 수단(25)의 작용 위치 또는 후퇴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시각적 수단(32)과 관련되어 있는, 군함 플랫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 및 고정 바아를 형성하는 상기 부재(7)의 단부는 고정 케이블(14, 15)의 제 1 단부에 부착되는 수단(12, 13)을 포함하고, 고정 케이블의 제 2 단부는 플랫폼(1) 상의 항공기(3)를 움직이고 고정시키기 위한 조작 수단(16, 17)과 관련되어 있는, 군함 플랫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16, 17) 각각은 상기 케이블(14, 15)을 감거나 풀기 위한 드럼(41)과 관련되어 있는 기어 모터(40) 및 케이블을 위한 복귀 풀리(42)를 포함하는, 군함 플랫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2)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조작 수단(16, 17)을 포함하는 군함 플랫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2)에 있는 항공기(3)를 위한 작살문(5) 및 상기 항공기를 위한 보관 격납고(4)를 포함하는 군함 플랫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 사이에서 항공기의 움직임을 고정하기 위해 갑판 착륙/이륙 영역(2)과 격납고(4) 사이에 배치되는, 군함 플랫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급 수단은 항공기(3)의 보조 착륙 장치를 잡아 그 항공기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화된 트럭(6)을 포함하는, 군함 플랫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군함 플랫폼.
KR1020197013981A 2016-12-01 2017-12-01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KR20190088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01702A FR3059640B1 (fr) 2016-12-01 2016-12-01 Plateforme navale equipee d'une zone d'appontage/decollage et de moyens de manutention d'un aeronef
FR1601702 2016-12-01
PCT/EP2017/081241 WO2018100186A1 (fr) 2016-12-01 2017-12-01 Plateforme navale équipée d'une zone d'appontage/décollage et de moyens de manutention d'un aérone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471A true KR20190088471A (ko) 2019-07-26

Family

ID=5821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981A KR20190088471A (ko) 2016-12-01 2017-12-01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36510B2 (ko)
EP (1) EP3548381B1 (ko)
KR (1) KR20190088471A (ko)
FR (1) FR3059640B1 (ko)
WO (1) WO20181001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83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잠수항모
KR102524143B1 (ko) * 2021-11-30 2023-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7036B1 (fr) * 2020-02-11 2022-02-18 Naval Group Systeme de manutention d'un aeronef et plateforme navale equipee d'un tel systeme
CN114313231B (zh) * 2021-12-30 2023-06-02 邓宏彬 一种无人机自主起降平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00447A (en) * 1969-01-21 1972-05-16 Baekken Asbjorn Ship-borne load conveying means
FR2157678B2 (ko) * 1971-10-01 1974-08-19 France Etat
US4319722A (en) * 1979-05-07 1982-03-16 Mario Pesando Traverser and components therefor
FR2532910A1 (fr) * 1982-09-13 1984-03-16 Aerospatiale Dispositifs de manoeuvre d'helicopteres sur le pont d'un navire
FR2660282B1 (fr) * 1990-03-29 1992-07-31 Aerospatiale Dispositif de manóoeuvre d'un engin supporte par un train principal et au moins une roue orientable, tel qu'un helicoptere, entre deux zones determinees sur une plate-forme, telles qu'une aire d'appontage et une aire de garage sur un pont de navire.
IT1248041B (it) * 1991-06-12 1995-01-05 Riva Calzoni Spa Apparecchiatura di presa e movimentazione di elicotteri particolarmente per ponti di navi, piattaforme e simili.
IT1283239B1 (it) * 1996-03-13 1998-04-16 Riva Calzoni Spa Apparecchiatura per la manovra di elicotteri in aree o zone predisposte dotata di un telaio mobile su una crociera
IT1294292B1 (it) * 1997-07-31 1999-03-24 Riva Calzoni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sa ,il sollevamento ,l'orientamento ed il trasporto di elicotteri ,particolarmente su ponti di navi
US10351260B2 (en) * 2017-09-08 2019-07-16 Mactaggart Scott (Holdings) Limited Aircraft handl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983A (ko) 2020-11-11 2022-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잠수항모
KR102524143B1 (ko) * 2021-11-30 2023-04-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48381B1 (fr) 2020-10-21
US20190270525A1 (en) 2019-09-05
FR3059640A1 (fr) 2018-06-08
FR3059640B1 (fr) 2019-05-17
EP3548381A1 (fr) 2019-10-09
US10836510B2 (en) 2020-11-17
WO2018100186A1 (fr)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8471A (ko)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US8646728B2 (en) Load lifting apparatus for a helicopter and helicopter
US4529152A (en) Devices for maneuvering helicopters on a ship's deck
SG193723A1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US8671866B2 (en) System for loading/unloading a vehicle into/from a carrier ship, and corresponding carrier ship
NL2009524C2 (en) A suspendable vehicle.
EP0518405B1 (en) Device for gripping and handling helicopters, particularly for ships' decks, platforms and the like
CN201036671Y (zh) 一种车船载电动升降机
US4397254A (en) Apparatus for moving a helicopter along a deck
EP3326960B1 (en) Basket system for work of operators on shipping containers on ships
US6019314A (en) Aircraft handling apparatus
KR102492790B1 (ko) 적어도 하나의 항공기의 갑판 착륙/이륙 영역 및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돌리형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US4473200A (en) Stores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RU2166459C2 (ru) Бортовое по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номной за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других грузов через боковой грузовой люк
KR200479672Y1 (ko) 이동 캐리어 설비가 구비된 대형 선박
ITBO20090185A1 (it) Piattaforma transelevatrice per interventi di manutenzione sull'imperiale di locomotori posti su due binari affiancati, uno dei quali puo' rimanere elettricamente servito.
JPS633599Y2 (ko)
RU2182104C2 (ru) Грузовой привод с переменной силой тяги для отвода площадки обслуживания от борта ракеты-носителя
CN117775280A (zh) 紧急情况下为建筑物居民提供支持和疏散的空运系统
RU2164489C2 (ru)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и сброса грузов с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17755485A (zh) 具有延伸通道的空中运输系统
CN117842347A (zh) 能够与建筑物稳定连接的空运系统
IT201800010623A1 (it) Sistema di trasporto modulare per il trasporto di persone od oggetti.
KR20040077685A (ko) 휠체어용 승강장치를 갖춘 자동차
GB2387156A (en) Aircraft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