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143B1 -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143B1
KR102524143B1 KR1020210169386A KR20210169386A KR102524143B1 KR 102524143 B1 KR102524143 B1 KR 102524143B1 KR 1020210169386 A KR1020210169386 A KR 1020210169386A KR 20210169386 A KR20210169386 A KR 20210169386A KR 102524143 B1 KR102524143 B1 KR 10252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vertical take
aircraft
position arrangement
arrang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윤
권승민
곽묘정
윤준영
김철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1/00Aircraf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는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하는 함의 비행갑판 상에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의 착륙 위치를 배치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로서, 수직이착륙기의 일반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1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전후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시키는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 및 수직이착륙기의 집중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 영향 범위를 고려하여,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2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중첩된 위치상에 교대로 배치시키는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STRUCTURE FOR ARRANGE LANDING POSITION OF STOVL}
본 발명은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항공모함은 항공기를 탐재하고 발착시키는 함선을 말한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주력 전투용 군함과는 달리 항공기 운용을 전문적으로 하는 군함을 말한다. 항공모함을 보유할 경우 지구의 대다수 지역을 재래식 전력으로 타격할 수 있다. 이는 지구의 70%가 바다이고, 거의 모든 바다가 연결되어 있어 서로 왕래가 가능한데다, 문명에는 대량의 물이 필요하며, 그 결과 대다수의 인구와 산업시설이 해안에서 300km 안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현대 해전 전술이 항공기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항공모함은 현대 해전의 중심이자 21세기 강대국 해군들이 현대전에 사용하는 기함이기도 하다.
수직이착륙기(STOVL)를 운용하는 항공모함(또는 강습함) 등의 함은, 수직이착륙기의 착함 시 배기열에 의해 착함 위치의 구조 영구 변형 및 코팅재 손상 발생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행갑판의 함재기 수직이착륙 위치 배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종래의 경우, 비행갑판(10)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설정 거리(L1), 대략 30~35m의 거리를 이격하여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의 착함 위치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착함 열을 식히기 위해서 일정시간(예: 3분 등) 간격으로 동일 스팟에 연속된 착함을 지양하는 운용방식에 따르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항공모함 또는 강습함의 비행갑판은 수직이착륙기(예: F-35B 등)의 배기열을 식히기 위해서 일정시간(예: 3분 등) 간격으로 동일 스팟에 연속된 착함을 지양하는 운용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복수의 착함 위치 배치가 가능할 정도로 함의 크기가 클 경우, 비행 갑판의 종방향으로 일정간격(예: 30~35m 등)을 이격하여 착함 위치를 계획하고 있으나, 최소 이격 거리에 대한 기술적인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항공모함 또는 강습함에서 수직이착륙기의 착함 소요 시간은 30초 이내로 동일 스팟의 연속 착함 간격인 3분은 전투 상황 및 모함의 환경에 따라 매우 중대한 지연 요소로 작용할 여지가 있다. 게다가, 비행갑판은 내열성능이 확보된 코팅재를 도포하고 있으나 장기간 반복된 열하중에 의한 피로 파괴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비행갑판 상에 복수의 착함 위치 배치가 가능한 대형 항공모함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함 자체의 거동이 크지 않은 중심부에 위치한 착함 위치를 주로 활용하게 되므로,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도 이슈가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1628호에는 비행갑판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16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일정 거리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열영향 범위를 선정하고, 열영향 범위를 고려한 중첩 간격을 정하여 비행갑판 중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특정 구역에는 중첩 간격마다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일정 거리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열영향 범위를 선정하고, 열영향 범위를 고려한 중첩 간격을 정하여 비행갑판 중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특정 구역에는 중첩 간격마다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는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하는 함의 비행갑판 상에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의 착륙 위치를 배치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로서, 수직이착륙기의 일반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1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전후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시키는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 및 수직이착륙기의 집중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 영향 범위를 고려하여,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2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중첩된 위치상에 교대로 배치시키는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는,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상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원형면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는, 상기 열유량 해석 결과와 함께 수직이착륙기의 착함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는, 3.5m 인 것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가 3.5m 일 경우, 상기 제2 간격부는 7~9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제2 간격부는,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보다 적어도 2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제1 간격부는, 30~35m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서, 상기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는, 함 내에서 수직이착륙기의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함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일정 거리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열영향 범위를 선정하고, 열영향 범위를 고려한 중첩 간격을 정하여 비행갑판 중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특정 구역에는 중첩 간격마다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재기 F-35B 수직이착륙기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을 해석한 결과, 배기구 중심에서는 약 800kW/m2의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배기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열유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여 반경 1m 지점에서는 고점대비 약 50%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되며, 배기구로부터 반경 2m를 넘어가면 중심부 열유량의 25%인 200~250kW/m2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며, 배기구로부터 반경 3.5m를 넘어가면 중심부 열유량의 12.5%인 약 100kW/m2로 감소하며, 이는 열에 의한 구조 변형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함재기 F-35B 착함 소요시간을 30초로 가정할 때, 배기열에 의한 열유량이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경감되는 3.5m를 기준하여 착함 위치를 중첩 배치하며, 교차로 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비행 갑판의 특정 구역(예: 함 중앙 등)에 기존의 이격 간격, 예를 들어 약 35m 간격을 두지 않고 열유량이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경감되는 반경크기, 예를 들어 약 3.5m를 고려하여 9m간격으로 중첩하여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9m는 마진을 확보한 거리로, 최소 간격일 경우 3.5m*2인 7m 간격으로 중첩하여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중첩 간격은 7~9m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작전 간에 중첩된 위치를 교차로 운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함재기 착함에 의한 배기열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종래의 3분 이내 동일 위치 착함 불가 기준으로부터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모함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단수의 착함 위치만을 배치 할 수 있는 강습함 등에서는 착함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하여 갑판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는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구 중심에서 일정 거리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배기열 영향 범위(210)를 선정하고, 배기열 영향 범위(210)를 고려한 중첩 간격을 정하여 비행갑판(110)의 적어도 일부 구역에 대해 집중적인 활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는 수직이착륙기(200)를 운용하는 함의 비행갑판(110) 상에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0)의 착륙 위치를 배치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로서,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120)와,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130)를 포함한다.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120)는 수직이착륙기(200)의 일반적인 운용이 필요한 구역(예: 함의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등)에 위치하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0) 사이에 제1 간격부(121)를 두고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0)를 전후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130)는 수직이착륙기(200)의 집중 운용이 필요한 구역(예: 함의 중앙부 등)에 위치하며,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열 영향 범위(210)를 고려하여,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0) 사이에 제2 간격부(131)를 두고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200)를 중첩된 위치상에 교대로 배치시켜 집중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배기열 영향 범위(210)는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 배기열 영향 범위(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이착륙기(200)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R)를 갖는 원형면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210)의 반경크기(R)는, 상기 열유량 해석 결과와 함께 수직이착륙기(200)의 착함 소요시간(예: 3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210)의 반경크기는, 3.5m 일 수 있다.
만일, 배기열 영향 범위(210)의 반경크기(R)가 3.5m 일 경우, 상기 제2 간격부(L2)는 7~9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상기 제2 간격부(L2)는,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210)의 반경크기(R)보다 적어도 2배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크기(R)가 3.5m 일 경우, 제2 간격부(L2)는 7m이상인 것이 좋은데, 소정의 마진을 더 포함시켜 9m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상기 제1 간격부(L1)는 비행 갑판의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대략 30~35m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의 이격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100)에서, 상기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130)는 함 내에서 수직이착륙기(200)의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함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일정 거리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구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배기열 영향 범위를 선정하고, 배기열 영향 범위를 고려한 중첩 간격을 정하여 비행갑판 중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특정 구역에는 중첩 간격마다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재기 F-35B 수직이착륙기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을 해석한 결과, 배기구 중심에서는 약 800kW/m2의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배기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열유량은 급격하게 감소하여 반경 1m 지점에서는 고점대비 약 50%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확인되며, 배기구로부터 반경 2m를 넘어가면 중심부 열유량의 25%인 200~250kW/m2로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며, 배기구로부터 반경 3.5m를 넘어가면 중심부 열유량의 12.5%인 약 100kW/m2로 감소하며, 이는 열에 의한 구조 변형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이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함재기 F-35B 착함 소요시간을 30초로 가정할 때, 배기열에 의한 열유량이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경감되는 3.5m를 기준하여 착함 위치를 중첩 배치하며, 교차로 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비행 갑판의 특정 구역(즉, 집중구역)(예: 함 중앙 등)에 기존의 이격 간격, 예를 들어 약 35m 간격을 두지 않고 열유량이 무시할 수 있을 만한 수준으로 경감되는 반경크기, 예를 들어 약 3.5m를 고려하여 9m간격으로 중첩하여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9m는 마진을 확보한 거리로, 최소 간격일 경우 3.5m*2인 7m 간격으로 중첩하여 착함 위치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중첩 간격은 7~9m 사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작전 간에 중첩된 위치를 교차로 운용함으로써,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함재기 착함에 의한 배기열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데, 결과적으로 종래의 3분 이내 동일 위치 착함 불가 기준으로부터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공모함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 단수의 착함 위치만을 배치 할 수 있는 강습함 등에서는 착함 위치 및 크기를 최적화하여 갑판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110: 비행갑판
120: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
121: 제1 간격부
130: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
131: 제2 간격부
200: 수직이착륙기
210: 배기열 영향 범위(또는 열유량 범위)

Claims (8)

  1. 수직이착륙기를 운용하는 함의 비행갑판 상에서 복수의 수직이착륙기의 착륙 위치를 배치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로서,
    수직이착륙기의 일반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1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전후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시키는 일반구역 착함위치배치부;
    수직이착륙기의 집중 운용이 필요한 구역에 위치하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 영향 범위를 고려하여, 복수의 수직이착륙기 사이에 제2 간격부를 두고서 상기 복수의 수직이착륙기를 중첩된 위치상에 교대로 배치시키는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
    를 포함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는,
    수직이착륙기의 배기열에 의한 착륙장 표면의 열유량(heat flux) 해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열유량이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선정되며, 상기 수직이착륙기의 배기구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에 대응하는 반경크기를 갖는 원형면적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는, 상기 열유량 해석 결과와 함께 수직이착륙기의 착함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는,
    3.5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가 3.5m 일 경우,
    상기 제2 간격부는 7~9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부는,
    상기 배기열 영향 범위의 반경크기보다 적어도 2배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부는,
    30~35m의 범위 내에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구역 착함위치배치부는,
    함 내에서 수직이착륙기의 집중적인 활용이 예상되는 함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KR1020210169386A 2021-11-30 2021-11-30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KR10252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86A KR102524143B1 (ko) 2021-11-30 2021-11-30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386A KR102524143B1 (ko) 2021-11-30 2021-11-30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4143B1 true KR102524143B1 (ko) 2023-04-19

Family

ID=8614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386A KR102524143B1 (ko) 2021-11-30 2021-11-30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628B1 (ko) 2017-03-03 2018-06-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방열판
KR20190088471A (ko) * 2016-12-01 2019-07-26 나발 그룹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US20190339720A1 (en) * 2018-05-07 2019-11-07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anding and Storin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471A (ko) * 2016-12-01 2019-07-26 나발 그룹 갑판 착륙/이륙 영역과 항공기를 취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군함 플랫폼
KR101871628B1 (ko) 2017-03-03 2018-06-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방열판
US20190339720A1 (en) * 2018-05-07 2019-11-07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anding and Storin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143B1 (ko) 수직이착륙기 착함 위치 배치 구조
Erickson et al. China’s future nuclear submarine force: insights from Chinese writings
SE434614B (sv) Hardmetallklingstyrning for sagklingor
US11384673B2 (en) Energy recovery system, vehicle, and method of recovering energy
JPS62281407A (ja) 電磁的浮遊装置
Kraska The new Arctic geography and US strategy
CA2347582A1 (en) Distributed machinery structure for ships
Baiti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rudder roll stabilization system for the WHEC Hamilton class
Suslov et al. Arctic as a New Playground for Great Power Competition: The Russia–China–United States Triangle
Salgado The Convoy System in the Mid-Atlantic, 1917–1918
Middleton British Naval Strategy, 1755–1762: The Western Squadron
Di Pane The Coast Guard Needs Six New Icebreakers to Protect US Interests in the Arctic and Antarctic
Torck Haifang 海防 and the Ming-Qing Transition: A few notes on coastal defence, navies and military writings
Wohlstetter Strength, interest and new technologies
Raber et al. Future USN aircraft carrier Analysis of alternatives
SU1415002A1 (ru) Гаситель лавинного распространени трещин на магистральных трубопроводах
White et al. LPD17 Amphibious Dock Ship: Fire Hazard Assessment of the Forward and Aft AEM/S System Masts.
Sarwar Sea Power and Strategy in the Indian Ocean
Agrell Soviet Baltic Strategy and the Swedish Submarine Crisis
CHAMBERS et al. An assessment of Sea Based Air Master Study
English et al. Some aspects of ducted propeller propulsion
Belan et al. System for ecological safety of a region
Liu MIXING AND FLOODING IN VERTICAL GAS-LIQUID COUNTERCURRENT FLOW THROUGH PARALLEL PATHS.
SU1359548A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 стойкости листовых элементов конструкций к лавинному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ю трещин
Till Strategic forum: The USA, its Navy and the Pacif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