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187A - 가정용 도정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도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187A
KR20120105187A KR1020110022852A KR20110022852A KR20120105187A KR 20120105187 A KR20120105187 A KR 20120105187A KR 1020110022852 A KR1020110022852 A KR 1020110022852A KR 20110022852 A KR20110022852 A KR 20110022852A KR 20120105187 A KR20120105187 A KR 2012010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unit
case
milling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620B1 (ko
Inventor
김해숙
Original Assignee
김해숙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숙,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filed Critical 김해숙
Priority to KR102011002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6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는,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101) 하단부 일측에 격판(145)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144)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도정기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46)를 설치하며; 상기 구획칸의 내부에는 포집수단(107)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흡입호스(109)에 의해 가이드 통체(108)의 분진 토출구(141)와 연결되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인하는 포집수단(107)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에 따르면,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수단이 케이스의 하단부 일측에 격판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면서 미세 분진이 가정용 도정기의 내부 전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획칸의 측면에 형성된 개폐도어에 의해 도정기 외부에서 쉽게 여닫을 수 있어서 포집낭에 포집된 분진의 량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포집낭의 인출 및 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집수단이 설치된 구획칸 내부의 청소가 더한층 쉽고 편리하다.

Description

가정용 도정기{Polish rice by pounding machine}
본 발명은 가정용 도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성된 포집수단의 설치 구조를 개선하여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고, 도정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으로부터 가정용 도정기의 내부 전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가정용 도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수확한 후 정미과정을 거쳐 백미나 현미 등 쌀을 얻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도정기이며, 이러한 도정기는 통상 벼를 투입하면 그 내부에서 도정과정을 거쳐 백미와 미강 및 쌀겨로 분리하게 되고, 이때 분리된 백미와 미강 및 쌀겨를 각각의 이동로를 통해 쌀통과 쌀겨통 등 수거함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벼를 현미나 백미로 도정한 후, 이를 오래 두고 먹을 경우 밥맛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최근에는 도정기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인 콤팩트화 된 가정용 도정기를 개발하여 각 가정에 보급하여서 각 가정에서도 밥을 지을 때 그때그때 마다 필요한 량 만큼의 벼를 도정하여 밥을 지어먹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가정용 도정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일반 가정에서 필요한 량 만큼 그때그때 도정하여 먹을 수 있으므로 기존의 도정공장에서 도정한 후 이를 구입하여 장기간 취식하는 방식에 비해 밥맛이 월등히 우수하다.
일반적인 가정용 도정기의 구조는 호퍼로 공급된 벼는 공급공간부 내의 도정축의 스크류에 의해 도정부로 공급된다. 이곳에는 도정축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하여 통형의 도정망이 설치되어 있어서 도정축이 회전하면서 벼가 도정망과 부딪쳐 벼의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이때 도정축의 앞쪽에 설치된 분도조절기에 의해 도정되는 벼의 분도를 조절하며, 이렇게 하여 벼에서 백미와 미강 및 쌀겨가 분리되고, 백미는 정미배출판을 통해 쌀통으로 배출되는 한편, 미강과 왕겨는 배출호퍼와 연결된 흡입팬의 가동으로 쌀겨 배출호퍼 및 배출관을 통해 쌀겨통에 집진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정용 도정기를 살펴보면,
국내특허 공개번호 제10-2003-27357호의 현미도정기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쌀을 공급하도록 된 호퍼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설되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호퍼 하부에 위치되어 구동모터의 구동풀리와 벨트로서 연동풀리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의 일단에 탈,부착 가능토록 결합되어 이송되는 쌀의 표피가 소정두께로 벗겨질 수 있도록 하는 도정유니트와;
상기 도정유니트에서 깍이는 현미의 표피두께를 조절하도록 분도 조절수단과;
상기 도정유니트가 이송유니트에서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도정유니트의 탈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가정용 도정기는 단순히 벼나 현미를 도정하여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면서 분도 조절수단에 의해 도정 분도를 조절하여 백미와 내피 부분인 미강, 표피 부분인 쌀겨(불순물)로 도정하는데 개발의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유니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쌀의 표피를 소정두께로 벗겨주는 도정유니트의 앞쪽에는 분도 조절수단(1)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도 조절수단(1)은 상기 도정유니트에서 깍이는 현미의 표피두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도 조절수단(1)은, 도정유니트와 결합되는 플랜지(5) 측면에 쌀 토출구(6)를 구비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의 좌측 상단에 축착되어 있고, 내부면에는 계단식으로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조정턱(7)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따라 후술하는 분도조절장치의 스프링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놉(3)과;
상기 조절놉의 조정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6)를 개폐시키는 분도조절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분도조절장치(4)는 하우징의 중앙에 고정된 조절통과;
상기 조절통의 좌측에 너트(9)로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조절놉의 내측으로 출몰하는 조절부재(8)와;
상기 조절통의 우측에 삽입되어 이동자재되며, 하우징(2)의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6)를 개폐시키는 분도 조절판(10)과;
상기 조절통 내부에서 좌측의 조절부재(8)와 우측의 분도 조절판(10)을 탄성적으로 지탱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분도 조절수단(1)은,
도정유니트의 도정축과 도정망에 의해 도정되는 벼의 분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놉(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놉의 내부면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조정턱(7)이 분도조절장치(4)의 조절통 좌측의 조절부재(8)를 압축하거나 이완시켜서 이와 스프링으로 탄지된 우측의 분도 조절판(10)을 압축하거나 이완시켜서 하우징의 플랜지(5)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6)를 개폐시키는 분도 조절판(10)의 압력을 조정하게 되어서 도정되는 벼의 분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분도조절장치(4)의 분도 조절판(10)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있어서 항상 쌀 토출구(6)에 맞닿아 쌀 토출구를 막으면서 벼의 분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정유니트에서 벼를 도정하면서 도정유니트측의 송출 압력과 조절놉(3)의 내부면에 형성된 조정턱(7)이 분도조절장치(4)의 조절통 좌측 조절부재(8)를 압축하여서 이와 스프링으로 탄지된 우측의 분도 조절판(10)을 미는 힘에 의해 벼의 분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정용 도정기의 분도 조절수단(1) 하단에는 가이드 통체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통체의 하단에는 쌀 배출구를 형성하고, 가이드 통체의 중단에는 분진 토출구를 형성하여서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포집수단과 흡입호스로 연결하여서 도정된 백미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 분진과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분도 조절수단에 형성된 가이드 통체는 중공의 통체로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결합 고정되고, 하우징의 쌀 토출구(6)를 통해 도정 후 배출되는 쌀을 쌀통으로 유도하여 낙하시키는 것으로서,
도정유니트와 분도 조절수단에 의해 도정된 쌀은 중공의 가이드 통체와 쌀 배출구를 통과하면서 다량의 미세한 분진이 비산되고, 이러한 분진은 가이드 통체의 분진 토출구와 흡입호스로 연결된 포집수단에서 포집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통체의 분진 토출구와 흡입호스로 연결된 포집수단은 구동모터와 흡입팬 및 포집낭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미세 분진을 흡입하는 흡인력은 구동모터와 포집낭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이와 축착된 흡입팬의 작동으로 흡인력이 발생되고, 흡입호스를 통해 가이드 통체의 하단 쌀 배출구와 분진 토출구로 비산되는 분진을 흡인하여 포집낭에 포집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정용 도정기의 포집수단은,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 내부 여유 공간에 무작위로 설치되어 있고, 분진 흡입을 위해 흡입호스를 통해 가이드 통체와 연결되어서 도정시 미세 분진을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가정용 도정기의 포집수단은 도정시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관계로 분진에 의해 항상 주변이 오염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고, 포집수단이 케이스의 내부와 별도의 칸으로 분리되지 않아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이 가정용 도정기의 내부 전체로 비산되어서 이를 청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습기가 많은 계절에는 곰팡이나 벌레가 발생하여서 소비자들에게 여러모로 불편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297515호(2002. 11. 28) '가정용 정미기'의 기술 구성 (2) 한국 특허등록 제10-632179호(2006. 9. 28) '정미기'의 기술 구성 (3) 한국 특허등록 제10-877119호(2008. 12. 26) '가정용 정미기의 기술 구성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는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 하단부 일측에 격판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도정기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획칸의 내부에는 포집수단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흡입호스에 의해 가이드 통체의 분진 토출구와 연결되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인하는 포집수단을 설치하므로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면서 미세 분진이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 내부 전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획칸의 측면에 형성된 개폐도어에 의해 포집낭에 포집된 분진의 량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포집낭의 인출 및 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집수단이 설치된 구획칸 내부의 청소가 더한층 쉽고 편리한 가정용 도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벼나 현미를 공급하도록 호퍼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도정할 벼나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및 이송유니트와 동일축 상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벼나 현미의 표피를 소정두께로 벗겨서 도정하는 도정유니트와;
상기 도정유니트의 앞쪽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되는 백미의 분도를 조절하면서 도정된 백미를 이송시키는 분도 조절수단과;
상기 도정유니트의 직하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를 분리 수거하는 쌀겨통과;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된 백미를 수납하는 쌀통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된 가이드 통체와 흡입호스로 연결되어서 도정된 백미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 등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 일측에 격판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도정기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구획칸의 내부에는 포집수단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흡입호스에 의해 가이드 통체의 분진 토출구와 연결되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인하는 포집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에 따르면,
가정용 도정기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수단이 케이스의 하단부 일측에 격판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포집하면서 미세 분진이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 내부 전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는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 형성된 개폐도어에 의해 도정기 외부에서 쉽게 여닫을 수 있어서 포집낭에 포집된 분진의 량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포집낭의 인출 및 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집수단이 설치된 구획칸 내부의 청소가 더한층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정용 도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케이스를 제거하여 도정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포집수단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포집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포집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포집수단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분도 조절수단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도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도정기(100)는,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벼나 현미를 공급하도록 호퍼(110)를 구비하는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102)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도정할 벼나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및 이송유니트와 동일축 상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벼나 현미의 표피를 소정두께로 벗겨서 도정하는 도정유니트(103)와;
상기 도정유니트의 앞쪽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되는 백미의 분도를 조절하면서 도정된 백미를 이송시키는 분도 조절수단(104)과;
상기 도정유니트의 직하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를 분리 수거하는 쌀겨통(105)과;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된 백미를 수납하는 쌀통(106)과;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된 가이드 통체(108)와 흡입호스(109)로 연결되어서 도정된 백미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 등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수단(10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유니트 및 도정유니트(103)의 기술구성은 본인의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9-42726호, 제10-2009-104759호(2009. 11. 02. 출원) 및 제10-2009-107436호(2009. 11. 09. 출원)의 '가정용 도정기' 등에 잘 설명되어 있다.
상기 호퍼(110)에 투입된 벼나 현미는 이송유니트의 이송스크류에 의해 도정유니트(103)쪽으로 이송되면 고정체의 내부 도정망과 도정축 사이로 공급되고, 도정축이 회전하면서 벼나 현미가 다공의 도정망과 부딪쳐 벼나 현미의 껍질이 벗겨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정유니트(103)의 앞쪽에 설치된 분도 조절수단(104)은 도정되는 백미의 분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분도 조절수단(104)에 구성된 조절놉(121)을 일방향으로 돌려서 스프링을 압축하거나 풀게 되고, 이와 탄지된 분도 조절판이 하우징(120)의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를 막아서 도정되는 백미의 분도를 조절하며, 도정된 백미를 직하방의 쌀통(106)으로 이송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쌀겨는 도정유니트의 직하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쌀겨통(105)에 의해 도정유니트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를 분리 수거하고, 백미는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된 쌀통(106)에 낙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내부 일측에는 도정된 백미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 분진과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수단(107)을 설치하되, 상기 분도 조절수단(104)의 직하방에 설치된 가이드 통체(108)의 쌀 배출구(140)와 흡입호스(109)로 연결하여서 도정된 백미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 분진과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도 조절수단(104)은 상기 도정유니트(103)에서 깍이는 현미의 표피두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분도 조절수단(104)은,
도정유니트(103)의 앞쪽과 결합되는 플랜지의 측면에 쌀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의 우측 상단에 축착되고, 내부면에는 계단식의 점차적으로 상승되는 조정턱을 구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따라 분도조절장치의 스프링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놉(121)과;
상기 조절놉의 조정에 의해, 분도 조절판으로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의 개폐 압력을 조절하는 분도조절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우측 하단에 고정볼트로 결합되어 하우징의 쌀 토출구를 통해 도정 후 배출되는 쌀을 쌀통으로 유도 낙하시키고, 하단에는 쌀 배출구(140)를 형성하고, 중단에는 분진 토출구(141)를 형성하여서 케이스(101)의 일측에 형성된 포집수단(107)과 흡입호스(109)로 연결되는 가이드 통체(1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통체(108)는 중공의 통체로서 상기 하우징(120)의 우측 하단에 다수의 고정볼트로 결합 고정되고, 하우징의 쌀 토출구를 통해 도정 후 배출되는 쌀을 쌀통(106)으로 유도하여 낙하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가이드 통체(108)의 하단에는 쌀 배출구(140)를 형성하고, 가이드 통체의 중단에는 분진 토출구(141)를 형성하여서 케이스(101)의 일측에 형성된 포집수단(107)과 흡입호스(109)로 연결하여서 도정된 백미의 배출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미세 분진과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분도 조절수단(104)은, 도정유니트(104)의 도정축과 도정망에 의해서 도정되는 벼나 현미의 분도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놉(1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놉의 내부면에서 계단식으로 점차적 상승되게 형성된 조정턱이 분도조절장치의 조절통 우측의 조절부재를 압축하게 되고, 조절통 내부에서 스프링으로 탄지된 좌측의 분도 조절판을 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분도 조절판이 하우징(120)의 플랜지 측면에 형성된 쌀 토출구에 항상 탄성적으로 맞닿게 되고, 도정유니트가 벼나 현미를 도정하면서 도정된 쌀을 앞으로 송출하는 압력에 따라 도정 분도를 적절히 조정하여서 벼나 현미의 분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정용 도정기의 기술 구성 중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 구성은, 상기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101) 하단부 일측에 격판(145)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144)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도정기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46)를 설치하며;
상기 구획칸의 내부에는 포집수단(107)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흡입호스(109)에 의해 가이드 통체(108)의 분진 토출구(141)와 연결되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인하는 포집수단(107)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포집수단(107)은 상기 케이스(101)의 하단부 일측에 격판(145)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144) 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이 가정용 도정기의 케이스(101) 내부 전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포집수단(107)은 구동모터(148)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착되고 흡입호스(109)를 통해 가이드 통체(108)의 내부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팬(149)과, 상기 흡입팬의 흡인으로 인해 다량의 분진을 수납하는 포집낭(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포집수단(107)의 흡입팬(149)은, 흡입호스(109)에 의해 가이드 통체(108)의 분진 토출구(141)와 연결되어서 도정된 백미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 등 이물질을 흡인하여 포집낭(150)에 포집하는 것이다.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개폐도어(146)를 설치하여 도정기 외부에서 쉽게 여닫을 수 있어서 포집낭(150)에 포집된 분진의 량을 수시로 확인하면서 포집낭의 인출 및 장착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포집수단이 설치된 구획칸(144) 내부의 청소가 더한층 쉽고 편리하다.
그러므로, 상기 도정유니트(103)와 분도 조절수단(104)에 의해 도정된 쌀은 중공의 가이드 통체(108)와 쌀 배출구(140)를 통과하면서 다량의 미세 분진이 비산되고, 이러한 미세 분진은 가이드 통체의 분진 토출구(141)와 흡입호스(109)로 연결되고 구획칸(144) 내에 설치된 포집수단(107)에 의해 완벽히 포집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가정용 도정기 101 : 케이스
102 : 구동모터 및 감속기 103 : 도정유니트
104 : 분도 조절수단 105 : 쌀겨통
106 : 쌀통 107 : 포집수단
108 : 가이드 통체 109 : 흡입호스
110 : 호퍼 120 : 하우징
121 : 조절놉 140 : 쌀 배출구
141 : 분진 토출구 144 : 구획칸
145 : 격판 146 : 개폐도어
147 : 고정브라켓 148 : 구동모터
149 : 흡입팬 150 : 포집낭

Claims (1)

  1.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벼나 현미를 공급하도록 호퍼(110)를 구비하는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감속기(102)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호퍼 하부에 위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으로 도정할 벼나 현미를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및 이송유니트와 동일축 상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벼나 현미의 표피를 소정두께로 벗겨서 도정하는 도정유니트(103)와;
    상기 도정유니트의 앞쪽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되는 백미의 분도를 조절하면서 도정된 백미를 이송시키는 분도 조절수단(104)과;
    상기 도정유니트의 직하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의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쌀겨를 분리 수거하는 쌀겨통(105)과;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도정유니트에서 도정된 백미를 수납하는 쌀통(106)과;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분도 조절수단의 직하방에 설치된 가이드 통체(108)와 흡입호스(109)로 연결되어서 도정된 백미의 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가정용 도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1)의 하단부 일측에 격판(145)으로 분리된 별도의 구획칸(144)을 설치하고;
    상기 구획칸의 측면에는 도정기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46)를 설치하며;
    상기 구획칸의 내부에는 포집수단(107)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흡입호스(109)에 의해 가이드 통체(108)의 분진 토출구(141)와 연결되어서 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분진을 흡인하는 포집수단(107)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가정용 도정기.
KR1020110022852A 2011-03-15 2011-03-15 가정용 도정기 KR10121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52A KR101216620B1 (ko) 2011-03-15 2011-03-15 가정용 도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852A KR101216620B1 (ko) 2011-03-15 2011-03-15 가정용 도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187A true KR20120105187A (ko) 2012-09-25
KR101216620B1 KR101216620B1 (ko) 2012-12-31

Family

ID=4711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852A KR101216620B1 (ko) 2011-03-15 2011-03-15 가정용 도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6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199B1 (ko) 2002-04-11 2005-04-15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녹즙장치겸용 정미기
KR200342717Y1 (ko) 2003-11-06 2004-02-21 강선대 녹즙기용 현미 정미기
KR100712227B1 (ko) 2006-06-15 2007-04-27 이운갑 정미기 및 그 정미기를 이용하여 도정된 흑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620B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739B2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JP5656006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KR101224085B1 (ko) 가정용 도정기
CN202377921U (zh) 可调式导风板集尘罩
KR101108891B1 (ko) 가정용 도정기
KR20120019053A (ko) 세라믹 정미기의 정미장치
KR20130034472A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16620B1 (ko) 가정용 도정기
KR101043926B1 (ko) 가정용 도정기
CN109483611B (zh) 一种带烘干装置的金钗石斛切片机
KR101216619B1 (ko) 가정용 도정기
JP3271710B2 (ja) 廃物の脱水と、真空による廃物の除去とを行なうための装置及び該装置の吸入導管に連結された真空蓄積器を構成する部分構造体
KR101046780B1 (ko) 휴지를 이용한 자동 세정 및 처리장치
KR20180068617A (ko) 음식물 쓰레기용 감량기
KR102384449B1 (ko) 곡물 표면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216621B1 (ko) 가정용 도정기
KR200209642Y1 (ko)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110054810A (ko) 가정용 도정기
KR101108585B1 (ko) 가정용 도정기
CN205462621U (zh) 一种西药打粉机
CN219765557U (zh) 一种饲料加工用研磨装置
KR102200979B1 (ko)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20130001358A (ko) 음식잔여물 처리장치
KR200436897Y1 (ko) 씽크대용 폐 음식물 처리장치
CN107413417B (zh) 一种设有米粒分离装置的碾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