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82A -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82A
KR20120104682A KR1020110022225A KR20110022225A KR20120104682A KR 20120104682 A KR20120104682 A KR 20120104682A KR 1020110022225 A KR1020110022225 A KR 1020110022225A KR 20110022225 A KR20110022225 A KR 20110022225A KR 20120104682 A KR20120104682 A KR 2012010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mera unit
subject
imag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김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서 filed Critical 김경서
Priority to KR102011002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682A/ko
Publication of KR2012010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다.

Description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SELF-CAMERA MIRROR SYSTEM}
개시된 기술은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패션 데이터 마이닝에 사용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첨단화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에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다. 핸드폰이나 노트북 등 장비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이른바 셀프-카메라라고 불리우는 자기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이 흔해지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이나 노트북의 경우 전신을 촬영하기 힘든 점 및 촬영될 영상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시간적 딜레이를 두고 디스플레이되므로 정확한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 촬상된 영상은 사진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서비스-예를 들어 패션 추천 코디네이션 과 같은- 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한 불편함이 있다.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은 도 1의 구동 라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거울 및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거울은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다. 카메라부는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 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다.
도 1을 참조하여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카메라부(120), 거울(1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30) 또는 구동 라인(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울(110)은 사용자(이하, 피사체)를 비추는 거울로서,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카메라부(120)를 결합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울(110)은 그 내부에 카메라부(120)를 내장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사체가 카메라부(120)를 육안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거울(110)은 일방향(피사체 방향)에서는 거울로, 타방향(카메라부 방향)에서는 유리로 보이는 일방투명경(Magic mirror)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거울(110)에 내장되어 위치하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부(120)는 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촬영에 의한 영상의 각도(angle)가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사체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1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유리 기반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거울(110) 자체의 유리 중 적어도 일부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일 수 있고, 또는 유리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때는 거울 역할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는 거울(110)을 유리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여 거울(110) 전면 전체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오디오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사진 촬영 전의 준비에 대한 음성 메시지(하나, 둘, 셋)을 제공받아 이를 오디오로서 출력할 수 있다.
도 2은 도 1의 구동 라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구동 라인(210)에 대해 설명한다.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어 설치된 라인일 수 있다.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의 구동 모듈과 맞닿아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레일-바퀴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직선 형태의 라인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거울(110)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좌우의 변화 없이 피사체의 크기(신장)에 맞추어 카메라부(120)가 상하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 라인(210)은 적어도 2개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카메라부(120)가 보다 자유롭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에 대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0)와 카메라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회선을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i)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ii)카메라부(120)가 촬영한 영상이 서로 각도(angle)가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핸드폰 셀카 등과 다르게, 사용자(피사체)가 실제로 거울을 통해 보는 모습과 카메라부(120)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이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의 육안의 높이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사체는 육안으로 보는 영상과 매우 유사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부(1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면, 카메라부(120)는 카메라 모듈(미도시), 센서 모듈(310), 통신 모듈(320), 구동 모듈(330), 저장 모듈(340) 및 제어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의 크기(신장) 및 피사체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센싱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부(120)는 인식된 피사체의 신장 및 거리를 기초로 거울(110)에서의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의 신장으로부터 일정 비율(예컨대, 일반적으로 신장 높이 : 눈 높이에 해당하는 비율)을 적용한 값, 즉 피사체의 눈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동작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부(120)는 인식된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일정 시간동안 정지하고 있으면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피사체가 지닌 전자 기기 또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위한 홈 서버 등 다른 기기나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320)은 블루투스,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는 이러한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320)은 Wibro, WiFi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는 이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 또는 홈 서버 등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모듈(330)은 카메라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구동 모듈(330)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라인(210) 위를 이동하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저장 모듈(340)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모듈(340)은 카메라부(120)의 동작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센서 모듈(310)에 의하여 센싱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피사체를 구분하고 저장 모듈(340)은 피사체를 각각 구분하여 각 피사체별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피사체마다 카메라부(120)의 위치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모듈(3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전술한 카메라부(120)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각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촬영에 의한 영상의 각도(angle)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카메라부(120)를 위치하도록 구동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센서 모듈(310)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동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일련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과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350)은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촬영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과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촬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단말(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이나 다른 시스템(홈 서버, 패션 추천 데이터마이닝 서버 등)에 제공하도록 통신 모듈(32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단말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통신 모듈(3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을 위한 설정 정보(촬영 설정 정보)를 저장 모듈(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센싱 정보를 기초로 저장 모듈(340)에 저장된 촬영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보다 편리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장치는 그 자체로서 사용자에게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패션 샵 등에 전신 거울과 같이 위치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스마트 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코디네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개시된 장치는 다른 시스템, 특히 홈 유비쿼터스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에게 날씨, 습도 등의 정보를 기초로 추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장치는 옷장의 일부로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집된 영상 및 기타 정보를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에 제공하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사용자의 육안 인식되는 영상에 매우 상응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신 거울의 내면에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명확하게 패션 데이터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QR 코드나 기타 다른 정보 제공 수단들에 비해 매우 정확하고 안정적인 정보 수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상기 거울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구동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거울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라인은 상기 거울의 중앙에 상-하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구동 라인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이동 또는 고정 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를 센싱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동, 크기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 및 거리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피사체의 방향에서는 거울로,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에서는 유리로 보이는 일방투명경(Magic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피사체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KR1020110022225A 2011-03-14 2011-03-14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KR20120104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ko) 2011-03-14 2011-03-14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ko) 2011-03-14 2011-03-14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82A true KR20120104682A (ko) 2012-09-24

Family

ID=4711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ko) 2011-03-14 2011-03-14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6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29A (ko) * 2014-12-30 2016-07-12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6972A (ko) * 2015-03-21 2017-11-20 에릭 에이. 카이저 셀피 장치
KR102205196B1 (ko) * 2020-04-20 2021-01-22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스텍 스마트 거울
KR20230070938A (ko) * 2021-11-15 2023-05-23 김병준 비대면 신분증 사진 촬영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29A (ko) * 2014-12-30 2016-07-12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26972A (ko) * 2015-03-21 2017-11-20 에릭 에이. 카이저 셀피 장치
US10495950B2 (en) 2015-03-21 2019-12-03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US10754230B2 (en) 2015-03-21 2020-08-25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US11650486B2 (en) 2015-03-21 2023-05-16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KR102205196B1 (ko) * 2020-04-20 2021-01-22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스텍 스마트 거울
KR20230070938A (ko) * 2021-11-15 2023-05-23 김병준 비대면 신분증 사진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04940B (zh) 带投影仪摄影装置及其控制方法
US9380207B1 (en) Enabling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e mobile devices
US20190025544A1 (en) Imaging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US10244165B2 (en) Imaging device
JP6587628B2 (ja) 命令生成方法及び装置
KR101983288B1 (ko) 카메라 촬영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30335587A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80217680A1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code
US10244166B2 (en) Imaging device
KR101773116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US2017009832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5141942A (zh) 3d图像合成方法及装置
KR20120104682A (ko)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RU2018130716A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цифровой помощник, соединяющий в себе смартфон, клавиатуру и планшет,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ъемки изображений
CN104702848A (zh) 显示取景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71753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672699B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60189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gnifying the appearance of an image on a mobile device screen using eyewear
US20170328976A1 (en) Operation device, tracking system,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72268B1 (ko) 전시공간 제어 시스템 및 전시공간 제어방법
CN110622501A (zh) 图像处理装置及电子设备
KR201600012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686319B2 (ja) 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TWI681215B (zh) 三維感測裝置
JP2010034985A (ja) 携帯電話および携帯電話用の拡張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