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682A - Self-camera mirror system - Google Patents

Self-camera mirr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682A
KR20120104682A KR1020110022225A KR20110022225A KR20120104682A KR 20120104682 A KR20120104682 A KR 20120104682A KR 1020110022225 A KR1020110022225 A KR 1020110022225A KR 20110022225 A KR20110022225 A KR 20110022225A KR 20120104682 A KR20120104682 A KR 2012010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camera unit
subject
imag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2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경서
Original Assignee
김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서 filed Critical 김경서
Priority to KR102011002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4682A/en
Publication of KR2012010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68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Abstract

PURPOSE: A self-camera mirror system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accurately capture images which are able to be recognized by the naked eye. CONSTITUTION: A mirror(110) faces to the front side of a subject. The mirror shines the front side of the subject. A camera unit(120) combines with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mirror. The camera unit captures the subjects. The first image shined by the mirror and a second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are symmetry. The first image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image.

Description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SELF-CAMERA MIRROR SYSTEM}Selfie Mirror System {SELF-CAMERA MIRROR SYSTEM}

개시된 기술은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패션 데이터 마이닝에 사용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relates to a selfie mirro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ie mirror system that can be used for fashion data mining using an image of a subject.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첨단화에 따라 다양한 장치들에 카메라가 적용되고 있다. 핸드폰이나 노트북 등 장비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에 따라 이른바 셀프-카메라라고 불리우는 자기 자신을 피사체로 촬영하는 것이 흔해지고 있다. 그러나 핸드폰이나 노트북의 경우 전신을 촬영하기 힘든 점 및 촬영될 영상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시간적 딜레이를 두고 디스플레이되므로 정확한 촬영될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 촬상된 영상은 사진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서비스-예를 들어 패션 추천 코디네이션 과 같은- 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한 불편함이 있다.As camera modules become smaller and more advanced, cameras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devices. As camera modules are installed in equipment such as mobile phones and laptops, it is common to photograph themselves as subjects, which are called self-cameras. 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or a noteboo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image to be taken because it is difficult to shoot the whole body and information about the image to be taken or is displayed with a time delay. In addition, the image captured by such a conventional device is inconvenient to use in a variety of data mining services, such as fashion recommendation coordination is made based on the photograph.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다.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includes a mirror fac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nd capable of illuminat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nd a camera unit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irror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Here, the first image projected by the mirror and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may be symmetrical,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2은 도 1의 구동 라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카메라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lf-portrait mirror system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can be applie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riving line of FIG. 1.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amera unit of FIG. 1.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 / or"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first item, second item and / or third item" may be presented from two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 It means a combination of all the items that can be.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lf-portrait mirror system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can be applied.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거울 및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거울은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다. 카메라부는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 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다.The selfie camera system includes a mirror and a camera portion. Here, the mirror may face the front of the subject and project the front of the subject. The camera unit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mirror and photograph the subject. Here, the first image projected by the mirror and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may be symmetrical,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may not be completely identical.

도 1을 참조하여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카메라부(120), 거울(11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30) 또는 구동 라인(2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includes a camera unit 120, the mirror 110. In one embodiment, 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130 or a drive line 210.

거울(110)은 사용자(이하, 피사체)를 비추는 거울로서,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카메라부(120)를 결합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울(110)은 그 내부에 카메라부(120)를 내장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사체가 카메라부(120)를 육안으로 인식하지 못하도록, 거울(110)은 일방향(피사체 방향)에서는 거울로, 타방향(카메라부 방향)에서는 유리로 보이는 일방투명경(Magic mirror)일 수 있다.The mirror 110 is a mirror that illuminates a user (hereinafter, a subject) and may couple the camera unit 120 to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mirror. In one embodiment, the mirror 110 may include a camera unit 120 embedded therein. In one embodiment, the mirror 110 is a mirror in one direction (subject direction) and a glass in the other direction (camera direction) so that the subject does not recognize the camera 120 visually. May be).

카메라부(120)는 거울(110)에 내장되어 위치하며,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부(120)는 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촬영에 의한 영상의 각도(angle)가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amera unit 120 may be embedded in the mirror 110 and may photograph a subject. Here, the camera unit 120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angle of the reflection image that the subject views through the mirror and the image by the photographing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camera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피사체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10)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유리 기반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거울(110) 자체의 유리 중 적어도 일부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일 수 있고, 또는 유리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하지 않을 때는 거울 역할을,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때는 거울(110)을 유리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여 거울(110) 전면 전체에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30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and display the image on the subject.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130 may be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mirror 110 as shown as a general display means.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130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some of the glass of the mirror 110 itself as a glass-based display means. For example, the display 130 may be a head-up display (HUD), or may be a display means using a mirror when not displaying as a glass display and using the mirror 110 as glass when displaying an image. have. In this case, the display 130 may display the captured image on the entire front of the mirror 110 by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captured imag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오디오 출력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사진 촬영 전의 준비에 대한 음성 메시지(하나, 둘, 셋)을 제공받아 이를 오디오로서 출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130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means. For example, the display 130 may receive a voice message (one, two, three) for preparation before taking a picture from the camera unit 120 and output it as audio.

도 2은 도 1의 구동 라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구동 라인(210)에 대해 설명한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driving line of FIG. 1, and the driving line 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가 움직일 수 있도록 고정되어 설치된 라인일 수 있다.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의 구동 모듈과 맞닿아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는 레일-바퀴 형태일 수 있다.The driving line 210 may be a line fixedly installed so that the camera unit 120 can move. The driving line 210 may be in the form of a rail-wheel that can be moved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driving module of the camera unit 120.

일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라인(210)은 카메라부(1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직선 형태의 라인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거울(110)의 중앙에 위치하므로, 좌우의 변화 없이 피사체의 크기(신장)에 맞추어 카메라부(120)가 상하로 위치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직선 형태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the driving line 210 may be a straight line to move the camera uni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Since the camera unit 12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irror 110, the camera unit 120 may be in a straight line shape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camera unit 120 may be position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size (height) of the subject without changing left and right. .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 라인(210)은 적어도 2개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바둑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카메라부(120)가 보다 자유롭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riving line 210 may include at least two lines. For example, the driving line 210 may be formed in a checkerboard shape to allow the camera unit 120 to be positioned more freely.

도 3은 도 1의 카메라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amera unit of FIG. 1.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에 대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20)는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30)와 카메라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회선을 유지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120 captures an image of a subject. The camera unit 120 may provide a photograph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30. For this purpose,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camera unit 120 may maintain a communication line by wire or wirelessly.

카메라부(120)는 (i)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ii)카메라부(120)가 촬영한 영상이 서로 각도(angle)가 상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핸드폰 셀카 등과 다르게, 사용자(피사체)가 실제로 거울을 통해 보는 모습과 카메라부(120)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상이 서로 상응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의 육안의 높이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피사체는 육안으로 보는 영상과 매우 유사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120 may be positioned such that (i) the reflection image viewed by the subject through the mirror and (ii)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unit 120 correspond to angles. In other words, unlike a typical mobile phone selfie, the position of the user (subject) actually looking through the mirror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120 may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20 may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naked eye's height. As a result, the subject can acquire an image very similar to the image viewed by the naked eye.

도 3을 참조하여, 카메라부(1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더 상세히 살펴보면, 카메라부(120)는 카메라 모듈(미도시), 센서 모듈(310), 통신 모듈(320), 구동 모듈(330), 저장 모듈(340) 및 제어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each component of the camera unit 1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camera unit 120 includes a camera module (not shown), a sensor module 310, a communication module 320, and a driving module 330. ), The storage module 340 and the control module 350.

카메라 모듈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capture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50.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센싱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의 크기(신장) 및 피사체와의 거리를 인식하는 센싱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카메라부(120)는 인식된 피사체의 신장 및 거리를 기초로 거울(110)에서의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피사체의 신장으로부터 일정 비율(예컨대, 일반적으로 신장 높이 : 눈 높이에 해당하는 비율)을 적용한 값, 즉 피사체의 눈 높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310)은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동작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부(120)는 인식된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가 일정 시간동안 정지하고 있으면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310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sensing means capable of recognizing a subject.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310 may be configured by sensing means for recognizing the size (height) of the subject and the distance to the subject, the camera unit 120 is a mirror based on the height and distance of the recognized subject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120 at 110 may be adjusted.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20 may be adjusted to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value applied to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a height corresponding to a height of an eye height) from the height of a subject, that is, the eye height of the subject. .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310 may include motion sensing means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subject, and the camera unit 120 takes a photograph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recognized subject. It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if the subject is stationary for a certain time, shooting can be performed.

통신 모듈(320)은 피사체가 지닌 전자 기기 또는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위한 홈 서버 등 다른 기기나 시스템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320)은 블루투스,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는 이러한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스마트폰, 태플릿 PC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모듈(320)은 Wibro, WiFi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는 이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 또는 홈 서버 등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or system such as an electronic device of the subject or a home server for ubiquitous ser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Zigbee, and the camera unit 120 may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on a smart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of the subject. Can provide. For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bro or WiFi, and the camera unit 120 may provide a photographed image to the fashion data mining server or a home server.

구동 모듈(330)은 카메라부(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구동 모듈(330)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구동 라인(210) 위를 이동하거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330 is a means for moving the camera unit 120. The driving module 330 may move on the driving line 210 or b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50.

저장 모듈(340)은 제어 모듈(350)의 제어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모듈(340)은 카메라부(120)의 동작에 대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는 센서 모듈(310)에 의하여 센싱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피사체를 구분하고 저장 모듈(340)은 피사체를 각각 구분하여 각 피사체별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각 피사체마다 카메라부(120)의 위치가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저장 모듈(340)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340 may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350. 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module 340 may store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camera unit 120.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20 may classify the subject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sensed by the sensor module 310, and the storage module 340 may classify the subjects and store the captured images for each subject. have.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120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for each su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ject,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40.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전술한 카메라부(120)의 동작들을 제어하고 각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피사체가 거울을 통하여 보는 반사 영상과 촬영에 의한 영상의 각도(angle)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카메라부(120)를 위치하도록 구동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camera unit 120 described above and control each module.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he driving module 330 to position the camera unit 120 at a position where an angle between the reflection image viewed through the mirror and the image taken by the image corresponds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센서 모듈(310)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동 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피사체의 동작에 대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he driving module 33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120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module 310,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Control may be performed by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통신 모듈(320)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일련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과 인터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350)은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촬영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과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카메라부(12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촬영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단말(스마트폰, 타블렛 PC 등)이나 다른 시스템(홈 서버, 패션 추천 데이터마이닝 서버 등)에 제공하도록 통신 모듈(320)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may maintain an interface with the user terminal to receive a series of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In other words, the control module 350 may receive a user's shooting control command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control module 350 may preset the interface for the user terminal or provide the interface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user may control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amera unit 120 using a smart phone, or transmit a photographing command.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controls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to provide the captured image to the terminal (smartphone, tablet PC, etc.) or other system (home server, fashion recommendation data mining server, etc.) of the subject can do.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단말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통신 모듈(3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을 피사체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module 320 to provide the captured image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by wire or wireless. For example, the control module 350 may provide the captured image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of the subject by wire or wirelessly to store the captured image.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350)은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을 위한 설정 정보(촬영 설정 정보)를 저장 모듈(3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350)은 센싱 정보를 기초로 저장 모듈(340)에 저장된 촬영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보다 편리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o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or setting information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for photographing in the storage module 340. The control module 350 may control the subject to capture an image more conveniently by using the shooting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4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개시된 장치는 그 자체로서 사용자에게 촬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패션 샵 등에 전신 거울과 같이 위치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스마트 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코디네이션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disclosed apparatus may provide a captured image to a user as it is. For example, it may be positioned like a full-length mirror in a fashion shop or the like to provide a photograph taken by the user to a smart phone or the like. The user may use this information to perform virtual coordination or the like.

또는 개시된 장치는 다른 시스템, 특히 홈 유비쿼터스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에게 날씨, 습도 등의 정보를 기초로 추천 코디네이션을 수행하는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 등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개시된 장치는 옷장의 일부로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수집된 영상 및 기타 정보를 패션 데이터마이닝 서버에 제공하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isclosed device can work with other systems, particularly home ubiquitous systems. For example, the disclosed technology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fashion data mining server that performs recommendation coordinatio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weather and humidity to a user. That is, the disclosed apparatus may be attached as a part of the wardrobe, and provide the recommended service by providing the collected image and other information to the fashion data mining server.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사용자의 육안 인식되는 영상에 매우 상응하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신 거울의 내면에 이동이 가능한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apture an image corresponding to a visually recognized image of the user. This is because the inside of the whole body mirror includes a movable camera uni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명확하게 패션 데이터마이닝을 제공할 수 있다.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QR 코드나 기타 다른 정보 제공 수단들에 비해 매우 정확하고 안정적인 정보 수집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ashion data mining may be more clearly provided using the self-portrait mirr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lf-portrait mirror systems can collect information very accurately and reliably compared to QR codes or other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Claims (10)

피사체의 정면과 대향하고 상기 피사체의 정면을 비출 수 있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울에 비추어진 제1 영상과 상기 카메라부에 의하여 촬영되는 제2 영상은 좌우대칭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영상들은 완전하게 동일하지는 않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A mirror fac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nd capable of illuminating the front of the subject;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irror and comprises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The first image projected on the mirror and the second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unit may be symmetrical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re not exactly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은
상기 거울의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elfie mirror system is
And a display configured to provide the photographed image as at least a portion of the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구동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rror
And a driving line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camera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거울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구동 라인은 상기 거울의 중앙에 상-하 직선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era uni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irror,
The driving line is a self-portrait mirr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mirror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구동 라인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이동 또는 고정 시키는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amera unit
And a driving module coupled to the driving line to move or fix the camera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를 센싱하여 상기 피사체의 이동, 크기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unit
And a sensing module for sensing at least one of a movement, a size, and a distance of the subject by sensing the subj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 및 거리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amera unit is located
Self-portrait mirr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and distance of the subjec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피사체가 일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amera unit
And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does not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은
상기 피사체의 방향에서는 거울로,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에서는 유리로 보이는 일방투명경(Magic mirr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irror
And a mirror in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and a glass in the direction of the camer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촬영된 제2 영상을 상기 피사체의 모바일 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카메라 거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unit
Self-view mirror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he second image to the mobile device of the subject.
KR1020110022225A 2011-03-14 2011-03-14 Self-camera mirror system KR2012010468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en) 2011-03-14 2011-03-14 Self-camera mirr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en) 2011-03-14 2011-03-14 Self-camera mirr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682A true KR20120104682A (en) 2012-09-24

Family

ID=4711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225A KR20120104682A (en) 2011-03-14 2011-03-14 Self-camera mirr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468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29A (en) * 2014-12-30 2016-07-12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Mirror display device
KR20170126972A (en) * 2015-03-21 2017-11-20 에릭 에이. 카이저 A self-contained device
KR102205196B1 (en) * 2020-04-20 2021-01-22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스텍 Smart mirror
KR20230070938A (en) * 2021-11-15 2023-05-23 김병준 Non-face-to-face ID photo-taking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229A (en) * 2014-12-30 2016-07-12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Mirror display device
KR20170126972A (en) * 2015-03-21 2017-11-20 에릭 에이. 카이저 A self-contained device
US10495950B2 (en) 2015-03-21 2019-12-03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US10754230B2 (en) 2015-03-21 2020-08-25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US11650486B2 (en) 2015-03-21 2023-05-16 Erik A. Kaiser Selfie apparatus
KR102205196B1 (en) * 2020-04-20 2021-01-22 주식회사 엘에이치바스텍 Smart mirror
KR20230070938A (en) * 2021-11-15 2023-05-23 김병준 Non-face-to-face ID photo-tak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04940B (en) Band projector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80207B1 (en) Enabling multiple field of view image capture within a surround image mode for multi-lense mobile devices
US20190025544A1 (en) Imaging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US10244165B2 (en) Imaging device
JP6587628B2 (en) Instruction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832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hooting status in a portable device having a dual camera
US20130335587A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80217680A1 (en) Wearable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code
US20170099436A1 (en) Imaging device
KR101773116B1 (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70098322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CN105141942A (en) 3d image synthesizing method and device
KR20120104682A (en) Self-camera mirror system
KR2016001200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6309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imaging program
CN104702848A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RU2018130716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NNECTING YOUR SMARTPHONE, KEYBOARD AND TABLET, COMPLETED WITH THE POSSIBILITY OF PICTURE IMAGING
KR10171753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622501B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EP2672699B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20160189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gnifying the appearance of an image on a mobile device screen using eyewear
US20170328976A1 (en) Operation device, tracking system,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72268B1 (en) Exhibition area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686319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TWI681215B (en) Three-dimensional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