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229A - Mirror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Mirror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229A
KR20160083229A KR1020140193332A KR20140193332A KR20160083229A KR 20160083229 A KR20160083229 A KR 20160083229A KR 1020140193332 A KR1020140193332 A KR 1020140193332A KR 20140193332 A KR20140193332 A KR 20140193332A KR 20160083229 A KR20160083229 A KR 20160083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irror display
frame rate
outpu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3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6456B1 (en
Inventor
송금호
변사범
Original Assignee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송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송금호 filed Critical 플러스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3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456B1/en
Publication of KR20160083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irror display device. The mirror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irror display which directly illuminates the front of a subject or outputs a stored image; a camera which is attached to the mirror display and films the front image of the mirror display; an image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nd stores an image filmed by the camera;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output frame speed of an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or the speed of a filming frame of an image filmed by a camera so that the image filmed in the mirror display is output later than the point when a filming was started.

Description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MIRROR DISPLAY DEVICE}[0001] MIRROR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연된 영상을 출력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irror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rror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delayed image.

의류나 신발류 또는 안경 등의 패션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판매업체에 방문하여 업체 내에 전시된 다양한 제품들을 골라 착용한 후 거울을 보면서 자신에게 잘 맞는지 확인하고, 그 중 일부를 구매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거울은 자신의 모습 중 일 측만 비춰 보여 줄 뿐이므로 자신의 뒷모습이나 옆모습을 확인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Customers who want to purchase fashion goods such as clothing, footwear, or glasses visit a sales company, select various products displayed in the company, wear mirrors, check whether they fit well, and buy some of them. However, since a general mirror only shows one side of one's own im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ar view or the profile of one's own mirror.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연된 영상을 출력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irror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 delayed i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정면을 그대로 비추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 부착되며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의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프레임 속도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촬영 프레임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촬영이 시작된 시점보다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mirror display for displaying a front side of a subject as it is or outputting a stored image; A camera attached to the mirror display and photographing a front image of the mirror display;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stor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or the image pickup frame rat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is delayed from the start point of the shooting There is provided a mirro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영상 출력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는 영상의 제1 출력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출력되는 영상의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the image output in the mirror display and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differently.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프레임 속도를 상기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제1 출력 프레임 속도는 상기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보다 작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hotographing frame rate to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and the first output frame rate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촬영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되는 영상의 제1 촬영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촬영되는 영상의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photographing frame rate of the image photographed for a preset time after the photographing is started by the camera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frame rate of the photographed imag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프레임 속도를 상기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제1 촬영 프레임 속도는 상기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보다 클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frame rate to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and the first shooting frame rat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촬영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be outputt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photographing.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복수의 저장 블록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적 메모리 할당을 통해 상기 저장부의 저장 블록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to image data; A stora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And a storage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converted image data in a storage block of the storage unit through dynamic memory allocation.

상기 저장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 블록 중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들에 기 설정된 개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블록들에 인덱싱을 부여할 수 있다.The storage management unit sequentially stores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data in the storage blocks of the fre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locks and assigns indexing to the storage block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ccording to the stored order ha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덱싱 순서대로 상기 저장 블록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출력 프레임 속도에 따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block in the indexing order through the mirror display according to the output frame rate.

상기 저장 관리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 블록에서 삭제할 수 있다.The storage management unit may delete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from the storage block.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상표시패널을 통한 멀티비전으로 구현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의 프레임상에 부착될 수 있다.The mirror display is implemented as a multi-vision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panels, and the camera can be attached on the frame of the mirror display.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가 인식되거나, 사용자의 촬영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can photograph the front image when the subject is recognized or a user's photographing request is input.

상기 사용자의 촬영 요청은 별도의 입력 버튼 또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방식으로 구현되는 입력 버튼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request of the user may be input through a separate input button or an input button implemented on the mirror display in a touch m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지연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layed image can be confirmed through a mirror display device.

또한,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슬로우 모션 영상을 통해 일반적인 사용자의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작동 원리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low motion image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device can induce a general user's interest in the mirror display device, and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mirror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underst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에 카메라가 부착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에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irro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mirror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camera is attached to a mirror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image data in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thereof.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irro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피사체의 정면을 그대로 비추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미러 디스플레이(10), 미러 디스플레이(10) 상에 부착되어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0),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영상이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처리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 mirror display device 1 includes a mirror display 10 for directly illuminating a front surface of a subject or outputting a stored image, a camera 20 for photographing a front image attached to the mirror display 1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30 for processing and stor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controlling the stored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미러 디스플레이(10)은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영상이 출력되지 않을 때는 피사체의 정면을 그대로 비추는 미러 역할을 한다.The mirror display 1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and functions as a mirror for illuminating the front surface of a subject as it is when no image is outp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미러 디스플레이(10)는 유리(11), 유리(11)의 배후에 거울 반사면으로서 금, 은 또는 기타 금속 물질이 진공 증착된 반사막(12) 및 반사막(12) 배후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미러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부(13)가 동작되지 않을 때는 반사막(12)에 의해 거울 역할을 하며, 디스플레이부(13)가 동작될 때는 유리(11)를 통해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2 is a side view of a mirror displa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irror display 10 includes a glass 11, a mirror half A reflection film 12 in which gold, silver or other metal material is vacuum-deposited as a slope, and a display 13 provided behind the reflection film 12. Therefore, the mirror display 10 serves as a mirror by the reflective film 12 when the display unit 13 is not operated, and outputs a video image through the glass 11 when the display unit 13 is operated .

디스플레이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등의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는 모두 디스플레이부(13)에 해당 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3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panel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In addition, all devices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may correspond to the display unit 1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러 디스플레이(10)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러 디스플레이(10)는 선택 명령들을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버튼들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되고, 고객이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입력버튼들을 터치함으로써 입력이 받아들여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display 10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ype panel. In this case, the mirror display 10 can receive the selection commands by the touch screen method. For example, the input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and the input may be accepted by the customer by touching the input butt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 [

카메라(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이 상에 부착되고, 카메라(20)의 렌즈 부분이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카메라(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전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20 is mounted on the mirror display 10 and the lens portion of the camera 20 is directed to the front of the mirror display 10. Thus, Front image can be taken.

카메라(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유리(11)의 전면 또는 유리(11)와 디스플레이부(13)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도 3의 (a), (b)와 같이 미러 디스플레이(1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3)의 조합에 의해 멀티비전을 형성하는 경우 경우, 디스플레이부(13)의 프레임 영역(15)에 부착될 수 있다.The camera 20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11 of the mirror display 10 or between the glass 11 and the display portion 13. [ When the mirror display 10 forms a multivision by the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display portions 13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frame region 15 of the display portion 13 .

카메라(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전면에 피사체가 인식되거나, 사용자의 촬영 요청 입력이 있는 경우 영상의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즉, 카메라(20)에 내장된 피사체 인식 모듈 또는 별도로 구비된 동작 인식 모듈(미도시)를 통해 미러 디스플레이(10) 전면의 피사체를 인식하여 촬영을 시작하거나, 별도의 입력버튼 또는 미러 디스플레이(10)상에 터치 방식으로 구현되는 입력 버튼을 통한 촬영 요청 입력에 의해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The camera 20 can start capturing an image when the subject is recogniz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irror display 10 or when there is an input request of the user to take a photograph. That is, the user can recognize the subject on the front face of the mirror display 10 and start shooting by using a subject recognition module built in the camera 20 or a separately provided motion recognition module (not shown) The photographing request can be started by inputting a photographing request through an input button implemented in a touch manner on the input button.

또한, 카메라(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의 전면에 인식되던 피사체가 사라지거나, 촬영 중단 요청 입력이 있는 경우 전면 영상의 촬영을 중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20 can stop the shooting of the front image when the subject recognized on the front of the mirror display 10 disappears or there is an input request to stop shooting.

영상 처리장치(30)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영상이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영상 처리장치(3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프레임(frame) 속도 또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촬영 프레임 속도를 제어하여,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촬영이 시작된 시점보다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영상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processes and stores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and controls the stored image to be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More specifical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controls the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10 or the image capturing frame rat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So that the outputted image is delayed and outputted from the time when the photographing is starte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영상 처리장치(30)는 컴퓨터 연산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미러 디스플레이(10)와 카메라(2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장치(3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와 카메라(20)에 각각 연결된다. 영상 처리장치(30)는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등 컴퓨터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현되거나 전용 단말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영상 처리장치(3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에 내장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칩 형태나 PCB 보드 형태로 제작되어 미러 디스플레이(10)에 내장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is an apparatus having a computer operation function and controls the mirror display 10 and the camera 20. [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is connected to the mirror display 10 and the camera 20, respective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running on a computer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or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More preferably,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may be embodied in the mirror display 10. For example, it may be manufactured in a chip form or a PCB board form and embedded in the mirror display 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장치(30)는 영상 처리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30 may include an image processing unit 310 and a control unit 320.

영상 처리부(310)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한다. 보다 상세하게, 영상 처리부(310)는 데이터 변환부(311), 저장부(313), 저장 관리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processes and store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 In more detail, 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may include a data conversion unit 311, a storage unit 313, and a storage management unit 315.

데이터 변환부(311)는 카메라(20)에서 기 설정된 촬영 프레임 속도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는 비트맵(bitmap) 데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촬영 프레임 속도가 30 FPS(Frame per Sec)인 경우, 카메라(20)에서 1초간 촬영된 영상은 30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The data conversion unit 311 converts the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imaging frame rate preset by the camera 20 into image data. At this time, the image data may be bitmap data. For example, when the imaging frame rate is 30 FPS (Frame per Sec), an image photographed for one second by the camera 20 can be converted into 30 pieces of image data.

저장부(313)는 이미지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동적 메모리 할당에 사용되는 저장 영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313)는 힙(heap) 메모리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RAM(random access memory), SSD(Solid State Disk), Hard Disk 등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313 is a storage area used for dynamic memory allocation in response to an image storage requ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313 may be a heap memo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orage devices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solid state disk (SSD), and hard disk may be applied.

저장부(313)는 복수의 저장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블록은 저장 요청에 따라 메모리 할당이 가능한 프리(free) 영역의 저장 블록과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 할당되어 사용된 저장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A storage block may store a free storage block in which a memory can be allocated according to a storage request, and a storage block in which predetermined image data is already allocated and used .

저장 블록 각각에는 해당 블록의 각종 정보(사용 상태, 블록 타입, 블록 사이즈)가 헤더 정보(head information)로서 구비될 수 있다.In each of the storage block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use state, block type, and block size) of the corresponding block may be provided as head information.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저장 블록의 저장 가능 영역의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각 저장 블록에는 기 설정된 개수의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block is the sam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data is stored in each storage block.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저장 관리부(315)는 데이터 변환부(311)에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동적 메모리 할당을 통해 저장부(313)에 저장한다. The storage management unit 315 stores the image data converted by the data conversion unit 311 in the storage unit 313 through dynamic memory allocation.

보다 상세하게, 저장 관리부(315)는 저장부(313)의 복수의 저장 블록 중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을 탐색하고,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들에 기 설정된 개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블록들에 인덱싱을 부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management unit 315 searches a storage block of a free area among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of the storage unit 313, sequentially stores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data in storage blocks of the free area, Indexing can be given to the storage block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에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image data in a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례로, 하나의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에 저장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15개인 경우, 2초 동안 30 FPS로 촬영된 영상은 데이터 변환부(311)에서 60개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들은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들에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할당 영역(1), 할당 영역(2), 할당 영역(3), 할당 영역(4)와 같이 인덱싱 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15 image data that can be stored in a storage block of one free area, an image photographed at 30 FPS for 2 seconds is converted into 60 pieces of image data in the data conversion unit 311, The data may be sequentially stored in the storage blocks of the free area and indexed as the allocation area 1, the allocation area 2, the allocation area 3, and the allocation area 4.

제어부(320)는 인덱싱 순서대로 저장 블록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독출하고, 기 설정된 출력 프레임 속도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들을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한다. 일례로, 출력 프레임 속도가 30FPS인 경우, 제어부(320)는 1초 동안 할당 영역(1) 및 할당 영역(2)에 저장된 30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20 read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block in the indexing order and output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preset output frame rate through the mirror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output frame rate is 30 FPS, the control unit 320 can output thirty image data stored in the allocation area 1 and the allocation area 2 through the mirror display for one second.

또한, 저장 관리부(315)는 영상 표시채널을 통해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할당 영역의 저장 블록으로부터 삭제하여 프리 영역으로 재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의 촬영이 오랫동안 지속된다 하더라도, 한정된 저장용량을 가진 저장부(313)를 통해 계속적으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anagement unit 315 may delete the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video display channel from the storage block of the allocation area and reassign the image data to the free space. Accordingly, even if the image capturing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 image can be continuously stored through the storage unit 313 having a limited storage capacity.

제어부(3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프레임 속도 또는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프레임 속도를 제어하여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카메라(20)에서 촬영이 시작된 시점보다 기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10 or the frame rat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10 is captured by the camera 20 And is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영상 처리부(310)에 저장된 영상을 카메라(20)에서 촬영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20 may control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to be outputt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photographing in the camera 20 .

일례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2초인 경우,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10) 앞에 서는 경우, 카메라(2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기 설정된 촬영 프레임 속도에 따라 촬영을 시작한다. 카메라(20)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영상 처리부(310)에서 처리되어 저장되며, 2초 후 제어부(320)는 영상 처리부(31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기 설정된 출력 프레임 속도에 따라 출력한다. 상기 기 설정된 촬영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출력 프레임 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2초가 지연된 영상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time is 2 seconds, if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mirror display 10, the camera 20 recognizes the user and starts shooting according to the preset shooting frame rat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20 is processed and stored in the image processor 310. After 2 seconds, the controller 320 transmi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processor 310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to a preset output frame rate . Since the preset photographing frame rate and the preset output frame rate are set to be the same, the user can confirm the image delayed by 2 seconds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영상 출력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는 영상의 제1 출력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출력되는 영상의 제2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게하게, 제어부(320)는 제1 출력 프레임 속도를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보다 작게 설정하며, 이때 카메라(20)의 촬영 프레임 속도는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first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image output is started in the mirror display 10 and the first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econd frame rate at different speeds.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20 sets the first output frame rate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at which time the shooting frame rate of the camera 20 may be set to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일례로, 제1 출력 프레임 속도는 30 FPS,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는 60 FPS, 촬영 프레임 속도는 60 FPS,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2초 인 것으로 가정하면, 우선,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10) 앞에 서는 경우, 카메라(2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60 FPS의 촬영 프레임 속도로 촬영을 시작한다.Assuming, for example, that the first output frame rate is 30 FPS,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is 60 FPS, the shooting frame rate is 60 FPS, and the preset time is 2 seconds, The camera 20 recognizes the user and starts shooting at a shooting frame rate of 60 FPS.

이어서, 제어부(320)는 2초 간 영상 처리부(31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30 FPS의 제1 출력 프레임 속도로 출력한다.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은 60 FPS의 촬영 프레임 속도로 촬영된 영상이므로, 이와 같은 영상을 30 FPS로 출력하는 경우,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사용자에게 슬로우 모션처럼 보이게 된다. 즉, 1초의 시간 동안 60 FPS로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부(310)에 60 장의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60장의 이미지 데이터를 30 FPS의 속도로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한다면 1초에 30장의 이미지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1초의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은 2초 동안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출력되는 영상이 슬로우 모션처럼 보이게 된다.Then, the control unit 320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for 2 seconds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t a first output frame rate of 30 FPS. Since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s an image photographed at an imaging frame rate of 60 FPS, when the image is output at 30 FPS,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ppears to the user as slow motion . That is, the image captured at 60 FPS for 1 second is stored in the image processor 310 as 60 image data. If 30 pieces of image data are outputt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t a speed of 30 FPS, 30 pieces of image data are output per second. Therefore, the image taken for 1 second is transmitt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for 2 seconds . Therefore, in the user's view, the output image looks like slow motion.

2초 후 제어부(320)는 영상 처리부(31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60 FPS의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로 출력한다. 촬영 프레임 속도와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는 동일하므로, 2초 후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슬로우 모션이 아닌 사용자의 정상적인 움직임 속도가 반영된 영상이다.2 seconds later, the control unit 320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t a second output frame rate of 60 FPS. Since the shooting frame rate and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are the same, the image reproduced in the mirror display 10 after 2 seconds is an image reflecting the normal motion speed of the user, not the slow mo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20)는 카메라(20)에서 촬영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되는 영상의 제1 촬영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촬영되는 영상의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게하게, 제어부(320)는 제1 촬영 프레임 속도를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보다 작게 설정하며,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프레임 속도는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20 controls the first imaging frame rate of an image photograph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start of imaging by the camera 20 and the second imaging frame rate of the image photograph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controlled by varying the spe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20 sets the first shooting frame rate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and the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10 can be set to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

일례로, 제1 촬영 프레임 속도는 60 FPS,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는 30 FPS, 출력 프레임 속도는 30 FPS,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1초 인 것으로 가정하면, 우선, 사용자가 미러 디스플레이(10) 앞에 서는 경우, 카메라(2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1초 간 60 FPS의 제1 촬영 프레임 속도로 촬영을 시작한다. 1초 후에 카메라(20)는 30 FPS의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로 사용자를 촬영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first imaging frame rate is 60 FPS, the second imaging frame rate is 30 FPS, the output frame rate is 30 FPS, and the preset time is 1 second, The camera 20 recognizes the user and starts shooting at a first shooting frame rate of 60 FPS for one second. After one second, the camera 20 shoots the user at a second shooting frame rate of 30 FPS.

제어부(320)는 영상 처리부(31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30 FPS의 출력 프레임 속도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카메라에서 처음 1초 동안 촬영된 영상은 60 FPS로 촬영되었으므로, 영상 처리부(310)에는 1초 동안 촬영된 영상이 60 장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를 30 FPS의 속도로 미러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한다면, 1초 동안 촬영된 영상은 2초 동안 미러 디스플레이(10)에서 출력 되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출력되는 영상이 슬로우 모션처럼 보이게 된다. 이후, 30 FPS의 속도로 촬영된 영상이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면 슬로우 모션이 아닌 정상적인 움직임 속도가 반영된 영상이 미러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된다.The control unit 320 sequentially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310 at an output frame rate of 30 FPS. At this time, since the image photographed for the first 1 second by the camera is photographed at 60 FPS, the image processor 310 converts the image photographed for 1 second into 60 image data and stores it. If the image is output to the mirror display 10 at a speed of 30 FPS, the image photographed for 1 second is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10 for 2 seconds, so that the image displayed by the user looks like slow motion. Thereafter, when an image photographed at a speed of 30 FPS is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n image reflecting a normal motion speed, not a slow motion, is output to the mirror display 10. [

일례로, 본 발명의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가 의류 판매점에 설치되는 경우, 미러 디스플레이(10)가 일반적인 거울인 줄 알고 자신의 모습을 비춰보던 사용자는 슬로우 모션으로 출력되는 자신의 영상을 통해 미러 디스플레이(10)에게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일정 시간 지연된 자신의 모습이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정상 속도로 출력된다면, 사용자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연된 자신의 모습을 출력하는 장치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뒷 모습 또는 옆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비춘 후 다시 미러 플레이(10)를 응시하여, 자신의 뒷 모습 또는 옆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irror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pparel store, a user who views the mirror display 10 as a general mirror and views his / her own viewpoint, The display 10 may have a curiosity. If the user's own delayed time is output at the normal spe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mirror display device 1 is a device for outputting a delayed self-image.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his or her rear or side view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and then look at the mirror play 10 again to confirm his / her rear view or side view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

즉, 본 발명의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일정 시간 사용자의 모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보여준 후 지연된 사용자의 모습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의 작동 원리를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mirror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user's interest by showing the user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in slow motion and then showing the user of the delayed user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1)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the working principle.

또한, 본 발명의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안무 연습장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지연된 안무 동작을 미러 디스플레이(10)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안무 동작의 교정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mirror display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horeography exercise field, the user can check his or her delayed choreography operation through the mirror display 10, thereby enabling calibration of the choreography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0: 미러 디스플레이
11: 유리 12: 반사막
13: 디스플레이 20: 카메라
30: 영상 처리장치 310: 영상 처리부
311: 데이터 변환부 313: 저장부
315: 저장 관리부 320: 제어부
1: mirror display device 10: mirror display
11: glass 12: reflective film
13: Display 20: Camera
30: Image processing apparatus 310: Image processing unit
311: Data conversion unit 313:
315: storage management unit 320:

Claims (13)

피사체의 정면을 그대로 비추거나 저장된 영상을 출력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 부착되며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의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 프레임 속도 또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촬영 프레임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촬영이 시작된 시점보다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A mirror display for directly illuminating a front surface of a subject or outputting a stored image;
A camera attached to the mirror display and photographing a front image of the mirror display;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storing an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or the image pickup frame rat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so that the image output from the mirror display is delayed from the start point of the shooting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영상 출력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는 영상의 제1 출력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출력되는 영상의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output frame rate of an image output for a preset time after the start of image output in the mirror display to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of the image outp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프레임 속도를 상기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제1 출력 프레임 속도는 상기 제2 출력 프레임 속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hotographing frame rate to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and the first output frame rate is smaller than the second output frame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상기 촬영이 시작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되는 영상의 제1 촬영 프레임 속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후 촬영되는 영상의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를 달리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photographing frame rate of an image photographed for a preset time after the photographing is started by the camera and the second photographing frame rate of an image photographed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프레임 속도를 상기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로 제어하며, 상기 제1 촬영 프레임 속도는 상기 제2 촬영 프레임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frame rate to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and the first shooting frame rate is larger than the second shooting frame 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 저장된 영상을 상기 촬영이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후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to be outputted through the mirror display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photograp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복수의 저장 블록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적 메모리 할당을 통해 상기 저장부의 저장 블록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 dat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to image data;
A stora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storage blocks; And
And a storage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converted image data in a storage block of the storage unit through dynamic memory allo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저장 블록 중 프리 영역의 저장 블록들에 기 설정된 개수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블록들에 인덱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rage management unit sequentially stores a predetermined number of image data in the storage blocks of the fre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torage blocks and assigns indexing to the storage blocks in which the image data is stored according to the stored order And the mirror displa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덱싱 순서대로 상기 저장 블록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출력 프레임 속도에 따라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block in the indexing order through the mirror display according to the output frame r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관리부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저장 블록에서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rage management unit deletes the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mirror display from the storage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영상표시패널을 통한 멀티비전으로 구현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의 프레임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rror display is implemented as a multi-vision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panels, and the camera is mounted on a frame of the mirror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가 인식되거나, 사용자의 촬영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전면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mera photographs the front image when the subject is recognized or a user's photographing request is input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촬영 요청은 별도의 입력 버튼 또는 상기 미러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방식으로 구현되는 입력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13. The mirror display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user's photographing request is input through a separate input button or an input button implemented on a touch screen on the mirror display.
KR1020140193332A 2014-12-30 2014-12-30 Mirror display device KR1016664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32A KR101666456B1 (en) 2014-12-30 2014-12-30 Mirr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332A KR101666456B1 (en) 2014-12-30 2014-12-30 Mirror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229A true KR20160083229A (en) 2016-07-12
KR101666456B1 KR101666456B1 (en) 2016-10-17

Family

ID=5650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32A KR101666456B1 (en) 2014-12-30 2014-12-30 Mirror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45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82A (en) * 2011-03-14 2012-09-24 김경서 Self-camera mirr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82A (en) * 2011-03-14 2012-09-24 김경서 Self-camera mirr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456B1 (en)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3962B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59382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59810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relative to image displayed via display and image stored in memory based on image analysis
US10769797B2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 sharing
CN106716302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image
KR1023875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boundary artifacts
JP5073013B2 (e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system
US8373764B2 (en) Electronic device for stitching different images into an integrated imag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661614B1 (en) Scree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WO2017052777A1 (en) Imaging system management for camera mounted behind transparent display
US9535250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306859A (en)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CN111970456B (en) Shooting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954212B (en) Video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98111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66456B1 (en) Mirror display device
CN114125297B (en) Video shoot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03902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f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JP201611152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1107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f terminal and terminal thereof
US11363190B2 (en) Image capturing method and device
TWI700588B (en) Display control system, terminal device, computer program,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8664082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equipment, the method and device for showing virtual scene
CN116156305A (en) Shooting method, shoot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2511744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