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483A -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483A
KR20120104483A KR1020110095627A KR20110095627A KR20120104483A KR 20120104483 A KR20120104483 A KR 20120104483A KR 1020110095627 A KR1020110095627 A KR 1020110095627A KR 20110095627 A KR20110095627 A KR 20110095627A KR 20120104483 A KR20120104483 A KR 2012010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usion
corrugated pipe
corrugat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9848B1 (ko
Inventor
조태희
Original Assignee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848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4Dielectric heating, e.g. high-frequency welding, i.e. radio frequency welding of plastic materials having dielectric properties, e.g. PV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주름관과 연결관이 융착에 의해 직접 접합되어 연결관 구성의 단순화와 시공작업의 간편화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주름관이나 연결관에 구비될 필요없이 연결관 만으로도 주름관과 연결관 간 접합이 이루어져 주름관의 연결에 요구되는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면서도 관체인 연결관의 사용으로 주름관의 연결부위가 높은 강도가 유지되는 한편, 주름관과 연결관 간 융착에 의해 높은 기밀성도 확보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CONSTRUCTING METHOD OF CORRUGATED PIPE FOR POWER LINE AND CONNECTING PIPE THEROF AND ADHE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 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융착에 의해 주름관과 연결관이 직접 접합되어 연결관 구성의 단순화와 시공작업의 간편화가 도모되고,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주름관이나 연결관에 구비될 필요없이 관체인 연결관 만으로도 주름관과 연결관 간 융착 접합이 이루어져 주름관의 연결에 요구되는 비용이 현저하게 절감되면서도 주름관의 연결부위가 높은 기밀성과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관의 주름에 주름관이 끼워져 길이방향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되는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외주면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변위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주름관(corrugated pipe)은 상하수 관로 등에 적용되어 각종 유체의 유동로를 제공하거나, 도시 미관에 대한 고려로 지상의 전봇대를 대신하여 지중에 설치되는 전력선용 관이나 통신케이블용 관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력관로용 주름관이나 통신케이블용 주름관은 전력선이나 통신케이블이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주름관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면서 각종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을 이루거나, 전력선이나 통신케이블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서로 분리되는 주름관은 별도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주름관을 연결하는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62465호 “배관용 커플링”,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11547호 “관 이음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9-0004832호 “나선형주름관의 이음 단부구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용 커플링”은 커넥터부재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가지며 배관의 외주에 면밀하게 끼워지는 원통형의 조임부재에 의해 압착링이 배관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면서 누수가 방지되는 것을 기대하는 기술이고, 상기 “관 이음장치”는 관 이음부 둘레가 시일수단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두 개의 연결구를 장착하면서 외부면 형상이 서로 다른 두 개의 관체를 간편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제안된 기술이며, 상기 “나선형주름관의 이음 단부구조”는 나선형 주름관에 걸림턱을 돌출형성한 연결부재가 주름관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걸림공을 형성한 접속관이 구비되어 주름관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접속관의 걸림공에 걸리면서 주름관이 접속관과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주름관의 연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기대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커플링, 이음장치, 접속관 등의 연결구가 구비되고, 구비된 연결구가 볼트, 너트와 같은 체결요소를 통해 주름관에 밀착되면서 주름관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거나, 주름관에 억지끼워진 연결구의 구성요소 간 볼트-너트 방식의 결합되는 구성이어서 주름관 간 연결이나, 주름관과 연결구 간 결합이 기구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밀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주름관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낮게 되면, 주름관 연결부위를 통해 이물질이 주름관 내부로 들어가 주름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오염시키거나 주름관 내부를 통과하는 전력선, 통신케이블을 훼손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었고, 주름관 내부에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주름관 내부의 유체가 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했다.
이를 개선하여 주름관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3-0011494호 “관 연결용 밀봉패드”, 공개번호 제10-2010-0018646호 “주름관 이음재 및 이를 이용한 주름관의 이음 방법” 등으로 안출되었는데, 상기 “관 연결용 밀봉패드”는 연결관 사이에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관 연결용 밀봉 패드를 사용하여 두개의 관을 연결하는 기술로서 주름관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향상되고, 패드 자체의 유동성으로 인해 다양한 관에 적용되어 접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 등의 외력이 관에 작용하게 될시 인장력에 대한 저항력이 현저하게 낮은 패드가 쉽게 관으로부터 탈리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주름관 이음재 및 이를 이용한 주름관의 이음 방법”은 외측 연결소켓에 주름관 양 끝단부를 연결시킨 후 기밀재를 삽입하고 외측에 금속테이프를 부착시킨 후 기밀재를 가열하여 열팽창을 시킨 다음, 금속테이프 외측에 열 수축관을 설치하고 이를 가열하여 접합하여 수밀을 유지하는 기술로서 상기 “관 연결용 밀봉패드”보다는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나, 주름관의 연결시공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과, 주름관 연결부위의 강도가 그리 높지 않아 외력 작용시 쉽게 크랙이 발생하거나 주름관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25751호 “나선형 전선관 연결소켓”로 안출된 기술은 나선형 전선관 외측 모양과 동일한 전선관 연결소켓 내부에 보조시트(누수방지제)를 삽입하고 연결소켓 내부에 장착된 히터(망사형, 저항열선등)에 전원을 공급하여 내부 보조시트가 녹아 내부체 밀착된 후 연결소켓 외부의 나사를 조여 관을 연결하는 기술로서, 높은 기밀성과 강도를 가지므로써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효과는 있으나,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성요소가 사용되고, 특히 히터의 사용으로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증대되어 경제성이 낮아 실제로 전선관의 지중 매설이 시공되는 현장에서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선관의 연결이 전선관의 매설길이에 대응하여 대량의 지점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나선형 전선관 연결소켓”은 단가가 높아 전체 시공비용이 현저하게 증대되므로 실질적으로 사용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주름관 연결부위의 기밀성과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주름관의 연결을 위한 자재의 단가도 낮을 수 있는 주름관 연결요소의 개발이 현재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관체인 연결관에 주름관이 내입되고, 연결관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융착장치에 의해 연결관의 내주면과 주름관의 외주면이 서로 융착되어 접합되도록 함에 따라, 연결소켓과 접합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단순형상의 연결관 만으로도 서로 분리된 주름관의 연결 시공이 기밀성과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주름관에 대응하는 주름을 형성한 일정강도의 연결관에 주름관이 끼워지도록 함에 따라, 주름관 양단의 연결관으로 인장력이 부가되어 당겨지더라도 연결관의 주름에 주름단이 걸림고정되어 주름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관의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물질이 도포되거나 접착물질이 고체화된 코팅층이 내주면을 이루도록 하여 융착에 의해 연결관과 주름관 간 접합시 접합 강도가 향상되면서 기밀성과 강도의 향상도 도모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관의 외측에 결합되는 융착금형을 구비하여 주름관이 연결관에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주름관과 연결관 간 접합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서로 분리된 주름관을 연결하는 시공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새로운 형태의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에 대응하여 주름을 형성하고, 주름관의 외경에 맞추어진 내경을 가진 연결관을 구비하는 단계와; 한쌍의 상기 주름관 끝단부를 상기 연결관에 내입시켜 상기 주름관을 상기 연결관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주름관이 결합된 연결관 외측으로 융착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연결관에 상기 융착장치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융착장치를 작동시켜 서로 접하는 상기 주름관의 외주면과 연결관의 내주면을 서로 융착하는 단계와; 상기 융착장치를 제거한 후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상기 주름관을 매립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에서 상기 연결관은 내주면에 접착물질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주름관과 연결관의 융착에 의한 접합시 상기 접착물질에 의해 접합 강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결되는 주름관에 대응하는 주름 형상이 내주면에 형성되되, 접착물질이 고체화된 코팅층이 내주면을 이루고, 상기 주름관의 외경에 맞추어진 내경을 가지는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한쌍의 주름관을 연결시키게 되는 연결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면을 가진 융착금형과; 상기 융착금형과 연결되고, 융착을 위한 가열원을 발생시켜 상기 융착금형으로 전달하게 되는 가열원 발생기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관이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서 상기 주름관과 연결관 간 융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에서 상기 융착금형은 서로 분리되어 힌지결합되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과 하형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융착금형이 상기 연결관에 착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에서 상기 상형과 하형은 개폐되는 부위에 플랜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의 플랜지에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형과 하형의 폐쇄 동작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상형과 하형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에 의하면, 접착물질이 내주면에 형성된 연결관 내부로 주름관이 삽입되고, 주름관이 삽입된 연결관의 외측으로 융착금형이 배치되면서 고주파나 초음파 등에 의해 융착되어 접합되는 구성이 제공됨에 따라, 연결관 구성이 단순해지고, 시공작업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신률이 적은 일정강도의 연결관의 주름에 주름관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구성임에 따라, 인장력의 작용으로 연결관 양단의 주름관이 당겨지더라도 일정강도를 가진 연결관의 주름에 주름관이 걸려 지지되므로써 주름관의 이탈이 방지되고, 이로써 주름관과 연결관은 원래의 결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원활하고 지속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주름관의 연결에 단순 관체인 연결관 만이 사용되어 주름관 연결 시공에 요구되는 재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와 더불어 연결관의 외측에서 간편하게 융착이 이루어져 짐에 따라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관이 관체인 연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임에 따라, 상기와 같이 자재비용과 시공비를 절감시키면서도 주름관의 연결부위가 높은 기밀성과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지중에 설치되는 전력관로용 주름관에 부과되는 지압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연결관을 포함한 주름관의 연결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높은 내구성으로 연결관이 장시간 제기능을 유지하며 설치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높은 기밀성으로 주름관의 연결부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주름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주름관 내부를 통과하는 전력선의 손상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과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를 이루는 융착금형이 개폐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과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서로 분리되는 주름관(1)을 연결관(10)을 통해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중으로 설치되는 전력관로용 주름관(1)을 서로 연결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은 먼저 연결관(10)을 구비하게 되는데, 연결관(10)은 연결하고자 하는 주름관(1)에 대응하는 주름을 형성하고, 주름관(1)의 외경에 맞추어진 내경을 가지게 된다. 연결관(10)의 내경은 주름관(1)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주름관(1)과 연결관(10)의 주름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연결관(10)은 연신률이 낮고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주름관(1)에 대응하는 주름 형상이 내주면에 형성됨에 따라, 충분한 강도를 가진 연결관(10) 내주면의 주름을 타고 주름관(1)이 끼워지게 되는데, 연결관(10)과 주름관(1)이 나선형 주름을 가질 경우 연결관(10)과 주름관(1)은 볼트-너트 결합 구조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관(10)은 외/내주면에 주름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한 주름관(1) 움직임 등의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관(10)은 내주면에 액상의 접착물질(12)이 도포되거나 접착물질(12)이 고체화된 코팅층(12a)이 내주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물질(12)은 연결관(10) 내주면의 일정 부위에 한정되어 도포되거나 고체화된 코팅층(12a)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연결관(10) 내주면의 전체 부위에 걸쳐 도포되거나 고체화된 코팅층(12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관(10)이 구비되면, 한쌍의 주름관(1) 끝단부를 연결관(10)으로 내입시켜 주름관(1)을 연결관(10)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름관(1)과 연결관(10)의 결합은 주름 형상으로 이루어진 주름관(1)의 외주면과 연결관(10)의 내주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주름관(1)와 연결관(10)의 주름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경우 주름관(1)은 연결관(10)에 볼트-너트 결합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한쌍의 주름관(1)은 각각의 끝단부가 일정길이만큼 연결관(10)에 삽입될 수 있으나, 연결관(10)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지점까지 각 주름관(1)의 끝단부가 삽입되어 연결관(10)의 내부에서 한쌍의 주름관(1)이 서로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관(10)이 전체 부위에 걸쳐 한쌍의 주름관(1)과 겹치도록 하므로써 주름관(1) 연결부위의 강도와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주름관(1)이 결합된 연결관(10) 외측으로 융착장치(20)를 배치하고, 연결관(10)에 융착장치(20)를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융착장치(20)는, 도 4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별도의 융착금형(22)이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융착금형(22)은 연결관(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면을 가져 연결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융착금형(22)은 융착을 위한 가열원을 발생시키는 가열원 발생기(24)와 연결되어 연결관(10)과 주름관(1)을 서로 융착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가열원 발생기(24)와 융착금형(22)은 사용되는 가열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열원 발생기(24)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주파 융착기(22a)나 초음파 융착기 등과 같이 파형을 사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데, 이 경우 융착금형(22)은 고주파 융착기(22a)에서 발생되는 고주파를 가열원으로 하여 연결관(10)과 주름관(1)이 연결관(10) 내면의 접착물질(12)을 매개로 하여 융착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고주파를 적용하기 위한 융착금형과 관련된 기술은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고주파 융착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열방식으로 열융착이 적용되는 경우, 융착금형(22)에는 전열선이 배치되어 연결관(10) 둘레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가열원 발생기(24)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관(10)에 대한 융착장치(20) 설치가 완료되면, 융착장치(20)를 작동시켜 서로 결합되어 접하는 주름관(1)의 외주면과 연결관(10)의 내주면을 서로 융착하여 접합시킨다. 연결관(10)은 주름관(1)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융착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데, 연결관(10)과 주름관(1)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접착물질(12)이 도포되거나 접착물질(12)이 고체화된 코팅층(12a)이 내주면을 이루고 있으면, 접착물질(12)도 주름관(1)과 융착되면서 연결관(10)과 주름관(1)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접착물질(12)도 주름관(1)과 동일한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관(10)은 연신률이 낮고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진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와 같이 융착장치(20)에 의해 융착되는 과정에서 형상 변경이 최소화되어 융착 후에도 주름진 형상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융착장치(20)를 연결관(10)으로부터 제거한 후 연결관(10)에 결합된 주름관(1)을 지중의 정해진 위치에 매립 시공하므로써, 전력관로용 주름관의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서로 분리된 주름관(1)을 연결시키는 연결소켓의 기능 및, 연결된 주름관(1)과 연결소켓을 서로 접합시켜 기밀성을 가지도록 하는 접합체의 기능이 단순한 관체 형상의 연결관(10)이 융착공정을 통해 동시에 수행하게 됨에 따라, 연결관(10)이 구성이 단순해지고, 주름관(1)의 연결시공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연결관(10)이 주름관(1)의 주름 형상(나선형 포함)에 대응하는 주름을 형성하여 연결관(10)과 주름관(1)이 볼트-너트 결합구조로 서로 끼워질 수 있는데, 연결관(10)은 낮은 연신률과 일정크기 이상의 강도를 가짐에 따라, 주름관(1)에 융착된 후에도 원래의 주름진 형상을 계속 유지하게 되고, 이로써 인장력의 작용으로 연결관(10) 양단의 주름관(1)이 당겨지더라도 연결관(10)의 주름에 주름관(1)이 걸려 견고하게 지지되므로써 주름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는 주름관(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관체로 되어 있어 일정크기의 강도를 지니게 되는 연결관(10)이 주름관(1)의 연결에 사용되고, 연결관(10)과 주름관(1)이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구성임에 따라 주름관(1) 연결부위가 높은 기밀성과 강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배관, 주름관, 전력관로용 주름관, 배관 연결구, 주름관 연결구, 접착제, 융착장치, 고주파 융착기, 초음파 융착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에서는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접착물질(12)이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접착물질(12)은 주름관(1)의 시공현장에서 작업자에 의해 직접 연결관(10)의 내주면에 도포되는 액상의 접착제이거나, 연결관(10)의 제조과정에서 연결관(10)의 내주면에 코팅되어 연결관(10)과 일체를 이루는 접착물질(12)이 고체화된 코팅층(12a)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관(10) 내주면의 접착물질(12)은 주름관(1)과 연결관(10)의 융착에 의한 접합시 주름관(1)의 외주면에 접착되면서 주름관(1)과 일체로 융착됨에 따라 주름관(1)과 연결관(10)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연결관(10a)은 나선형으로 주름을 형성한 주름관(1)에 대응하여 나선형의 주름이 내/외주면으로 형성된 관체로서, 특히 연결관(10)의 내주면에는 접착물질(12)이 고체화된 코팅층(12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력선용으로 주름관(1)이 사용됨에 따라, 주름관(1)과 연결관(10)이 폴리에틸렌관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접착물질(12)도 폴리에틸렌 계열의 접착제가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20)는 융착금형(22)과 가열원 발생기(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융착금형(22)은 서로 분리된 한쌍의 주름관(1)을 연결시키게 되는 연결관(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면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융착금형(22)은 연결관(10)의 외측에서 연결관(10)에 결합되는 것임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상형(22a)과 하형(22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금형(22)는 상형과 하형(22b)이 일측에서 힌지결합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상형(22a)과 하형(22b)의 개폐동작에 따라 융착금형(22)이 연결관(10)의 외부에서 연결관(10)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게 된다. 즉, 융착금형(22)이 연결관(10)에 결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먼저, 상형(22a)과 하형(22b)이 힌지결합된 일측의 반대편 타측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상형(22a)과 하형(22b)이 연결관(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하면서 연결관(10)의 외주면에 상형(22a)과 하형(22b)의 내면이 밀착되도록 연결관(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융착금형(22)이 연결관(10)에서 분리되어 제거되는 과정은 연결관(10)에 결합된 상형(22a)과 하형(22b)을 서로 분리시키므로써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게 된다.
또한, 가열원 발생기(24)는 연결관(10)의 외측에서 융착금형(22)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열원 발생기(24)는 융착을 위한 파형을 발생시켜 융착금형(22)으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가열원 발생기(24)로는 고주파 융착기(24a)나 초음파 융착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를 이루는 융착금형이 개폐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20)는 상형(22a)과 하형(22b)이 힌지결합되는 일측 부위의 반대편, 즉 상형(22a)과 하형(22b)이 개폐되는 부위에 플랜지(222)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형(22a)과 하형(22b)의 플랜지(222)에는 체결구(26)가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상형(22a)과 하형(22b)의 폐쇄 동작시 체결구(26)에 의해 상형(22a)과 하형(22b)이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융착금형(22)을 통한 연결관(10)과 주름관(1) 간 융착작업이 원활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26)는 플랜지(22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홀(26a)과 체결홀(26a)에 체결되는 결합볼트(26b)와 너트(26c)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형(22a)과 하형(22b)을 착탈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구조를 가진 다양한 체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주름관 10 : 연결관
10a : 나선형 연결관 12 : 접착물질
12a : 코팅층 20 : 융착장치
22 : 융착금형 22a : 상형
22b : 하형 222 : 플랜지
24 : 가열원 발생기 24a : 고주파 융착기
26 : 체결구 26a : 체결홀
26b : 결합볼트 26c : 너트

Claims (2)

  1. 서로 분리된 한쌍의 주름관을 연결시키게 되는 연결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면을 가진 융착금형과;
    상기 융착금형과 연결되고, 융착을 위한 가열원을 발생시켜 상기 융착금형으로 전달하게 되는 가열원 발생기를 포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주름관이 상기 연결관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서 상기 주름관과 연결관 간 융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금형은 서로 분리되어 힌지결합되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형과 하형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융착금형이 상기 연결관에 착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관로용 주름관 시공을 위한 융착장치.
KR1020110095627A 2011-09-22 2011-09-22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KR101249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27A KR101249848B1 (ko) 2011-09-22 2011-09-22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627A KR101249848B1 (ko) 2011-09-22 2011-09-22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849A Division KR101092381B1 (ko) 2011-03-09 2011-03-09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83A true KR20120104483A (ko) 2012-09-21
KR101249848B1 KR101249848B1 (ko) 2013-04-02

Family

ID=4711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627A KR101249848B1 (ko) 2011-09-22 2011-09-22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8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1106A (zh) * 2022-04-27 2022-07-29 浙江龙财塑业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114801106B (zh) * 2022-04-27 2024-05-17 大连天薇管业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899B2 (ja) * 1993-03-31 2000-05-08 株式会社クボタ 電気融着接合方法および電気融着接合装置
JPH09323359A (ja) * 1996-06-05 1997-12-16 Fujipura Seiko Co Ltd Ih樹脂ヒーターとこれを用いたら旋管の接合装置
JP4164702B2 (ja) 2005-06-09 2008-10-15 東拓工業株式会社 螺旋管用水密継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1106A (zh) * 2022-04-27 2022-07-29 浙江龙财塑业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CN114801106B (zh) * 2022-04-27 2024-05-17 大连天薇管业有限公司 一种双壁波纹管生产设备及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9848B1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0921B1 (en) Heat-shrinkable tube covering
KR200393028Y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1011018B1 (ko) 밀림방지와 삽입 후 분리 방지 패킹용 상하수도관
JP2013506800A (ja) 管接合装置
JP2009532636A5 (ko)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101092381B1 (ko)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CN110220049A (zh) 具有硬密封接头的复合金属波纹管
KR101249848B1 (ko) 전력주름관 연결 융착시공방법과 그를 위한 연결관 및 융착장치
JP4603312B2 (ja) 管路更生接続方法に使用される封止ユニット
KR101803903B1 (ko) 파형 강관용 커플링 밴드 클램핑장치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CN209100831U (zh) 管道连接装置
KR200269996Y1 (ko) 배관용 결속장치
CN109253325A (zh) 管道连接装置
JP4575481B2 (ja) 管体連結部封止方法
RU2293904C2 (ru) Фитинг
KR20090035979A (ko) 관이음용 조인트
KR20150005067A (ko) 나선파형관의 연결구조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CN211649415U (zh) 一种高效快速修补家装给水管道的管件
KR101172024B1 (ko) 상수도관 연결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