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983A -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983A
KR20120103983A KR1020110022003A KR20110022003A KR20120103983A KR 20120103983 A KR20120103983 A KR 20120103983A KR 1020110022003 A KR1020110022003 A KR 1020110022003A KR 20110022003 A KR20110022003 A KR 20110022003A KR 20120103983 A KR20120103983 A KR 2012010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electric vehicle
plate
shaped slider
vehicle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819B1 (ko
Inventor
연규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819B1/ko
Priority to PCT/KR2012/001199 priority patent/WO2012124902A2/en
Publication of KR2012010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2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을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가격의 상승 또는 환경문제 등의 이유로 전기 자동차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고, 각종 전장 장치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가 필요하고 이를 대용량의 배터리를 통해 충전하여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 자체와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전력 공급 및 제어를 위한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에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충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급속 충전될 수 있으며, 급속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완속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와 구별될 수 있다.
급속 충전장치의 경우,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하며,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안전 또는 규격상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큰 힘을 요하지 않고 커넥터의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며, 충전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는 신뢰성을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크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장착과정, 충전과정 및 탈착과정에서의 신뢰성을 향상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 상기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커넥터 본체 내측 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에 의하여 추진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전단부를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판형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손잡이부 내측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무 재질의 케이블 보호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을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은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양분된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이드핀의 회전 궤적에 따라 상기 판형 슬라이더를 추진하기 위한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양면 중 적어도 1면에 격자형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2개가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상단부는 2개의 판형 슬라이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서 2개의 판형 슬라이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추진된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 및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 및 상기 체결레치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이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2가지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수직하게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레치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판형 슬라이더의 변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2개의 돌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이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회전 모멘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본체 외부 방향으로 추진시키는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커넥터의 내부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와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의 장착과정과 탈착과정이 간편해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정에서 인렛에서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 내부의 공간이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구획되고 구획된 공간에 커넥터 내부의 양극과 음극 도선이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내전압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커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가 추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해제버튼을 눌러 상기 판형 슬라이더가 추진된 상태에서 다시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하나의 실시예와 상기 커넥터(10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기 자동차의 인렛(2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인렛(200)은 인렛 하우징(210) 내에 암형 전력 터미널(220) 및 통신 터미널(230)이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커버(240)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커낵터 본체(110)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130)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 내부에 각각 수형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충전시 사용자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고 터미널 간의 접속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는 상기 커넥터를 경유하여 전기 자동차의 베터리(미도시)로 전력을 공급하여 베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상태에서는 상기 인렛(200)을 구성하는 인렛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되어야 하지만 비충전상태에서는 안전 또는 규격등을 이유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 및 통신 터미널(133)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을 위한 장착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선택적 노출 또는 돌출구조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100)는 커넥터 하우징(110)을 구비하고 커넥터 하우징(110) 내부에 터미널 하우징(130)이 슬라이딩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0)의 전력 터미널(132) 및 통신 터미널(130)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은 충전상태, 즉 상기 인렛 하우징(210)에 장착되는 과정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요구되며, 장착과정에서 요구되는 사용자의 실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레버(15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레버(150)를 사용하여 힘의 이득을 확보하여, 실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쉽게 상기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특히, 노약자 또는 여성 운전자의 경우, 레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 물리적인 부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게 커플러(100)를 한손으로 홀딩할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갖는 핸들(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핸들(140) 내부로 전술한 복수의 터미널에 접속되는 케이블(C)이 통과될 수 있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플러의 구조 등을 자세하게 검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상기 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100)는 전력 터미널(131, 도 3 참조) 및 통신 터미널(132, 도 3 참조), 상기 전력 터미널(131) 및 통신 터미널(132)이 노출되도록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넥터 본체(110), 상기 커넥터 본체(110)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150) 및, 상기 커넥터 본체(110) 내측 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130b)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150)의 회전시 상기 레버(150)에 의하여 추진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전단부(130a)를 상기 커넥터 본체(110)의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111)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판형 슬라이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터미널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130)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어느 하나의 개방구, 예를 들면 전방 개방구(111) 측에 배치되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전단부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130b)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전단부(120b)에 고리부(123)를 형성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130b)에 상기 고리부(123)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삽입부(13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123)는 상기 삽입부(138)에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가 조립되면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후단부(120a)는 후술하는 핸들(150)과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내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전단부(120b)와 후단부(120a)에 각각 터미널 하우징(130) 및 핸들(150)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후술하는 레버(150)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방향, 예를 들면 수평방향 중 좌측방향(도 2참조)으로 추진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30)를 추진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을 전방으로 변위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추진하는 추진부재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핸들(140)은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후단부(120a)에 체결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에 의하여 견인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본체(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113)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140)은 손잡이부(141) 및 상기 손잡이부(141)에서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후단부(120a)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11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40)는 상기 커넥터 본체(110)의 후단 영역 내부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후단부(120a)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터미널(131)에 접속되는 케이블(C)이 통과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40)의 슬라이딩부(142)가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에 고정되어 커넥터 본체(110)의 후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뒷부분으로 케이블(C)이 통과되는 내부 경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손잡이부(141)를 가지며, 후반부에 상기 내부 경로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케이블 보호부재(145)가 끼워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1)와 상기 슬라이딩부(14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42)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또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변위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평행한 부분이다. 손잡이부와 슬라이딩부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완만한 곡선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보다, 수평한 슬라이딩부와 그 단부에서 절곡된 손잡이부 구획하여 구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레버(150)를 당기는 등의 동작시 부드럽게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고, 내구성 역시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커플러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140)을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미도시)은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양분된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선의 배치와 관련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및 상기 핸들(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양분된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보호부재(145)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커넥터(100)에 도입되는 케이블(C)을 보호한다. 또한, 케이블 보호부재(145)의 크기가 핸들(140)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블을 커넥터(100)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기밀을 보장하여 침수 등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1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가 한 장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양면 중 적어도 1면에 격자형 보강리브(125)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레버(15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를 추진하고, 상기 핸들(140)를 견인하므로 비틀림 등을 방지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리브(12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에 의하여 추진되기 위하여 레버의 회전 모멘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추진력 변환수단이 필요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에 가이드핀(152)이 구비되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이드핀(152)의 회전 궤적에 따라 상기 판형 슬라이더를 추진하기 위한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21)은 상기 가이드핀(152)의 회전 궤적에 따라 레버의 회전력을 수평방향 추진력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장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과정은 후술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50)는 커넥터 하우징(110)에 힌지(151)에 의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151)에 상기 레버(150)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8)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40)의 하부 영역인 핸들부(153)를 잡고 상기 레버(150)를 상기 핸들(140) 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핀(152)는 상기 가이드홀(121) 내측 벽면을 가압하며 슬라이딩 변위되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터미얼 하우징(130),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 및 상기 핸들(140) 순서로 체결 및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변위동작으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에 앞뒤로 각각 체결된 상기 터미얼 하우징(130) 및 상기 핸들(140)을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내에서 추진함과 동시에 견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홀은 그 장착위치가 서로 바뀌어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측면에 상기 레버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판형 슬라이더에 의한 터미널 하우징의 추진 구조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하여 커넥터를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장착하는 경우 커넥터의 장착과정을 위한 것이며, 이하 커넥터의 장착과정이 완료된 뒤, 장착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충전과정이 수행되기 위하여 장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100)는 상기 커넥터 본체(110)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추진된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161) 및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치(161)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가 상기 레버에 의하여 추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전기 자동차의 충전과정에서 터미널 하우징의 돌출 또는 변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치(111)는 상기 커넥터 본체가 상기 인렛(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체결레치는 상기 고정레치에 의하여 터미널 하우징이 추진된 상태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상기 커넥터가 전기 자동차의 인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치(161)와 상기 체결레치(11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상단면 중심부에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치(161)는 일단(161a)은 후술하는 해제버튼(16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압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레치(161)의 타단(161b)은 후술하는 판형 슬라이더의 걸림부(122)에 걸림되는 고정돌기(161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치의 일단(111a)은 상기 고정레치의 타단(161b)의 타단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에는 체결돌기(111c)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11c)상기 커넥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치의 일단(111a)은 상기 고정레치의 타단(161b)의 타단 상부에 배치되는 이유는 고정상태의 해제동작이 체결상태를 동시에 해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관해서 후술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돌기(161c) 및 상기 체결돌기(111c)는 각각 고정레치 및 체결레치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고정돌기(161c) 및 상기 체결돌기(111c)는 커넥터의 장착과정에서는 물리적인 저항을 최소화하고 커넥터의 체결상태 및 판형 슬라이더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서로 다른 단면 경사를 갖을 수 있다.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고정돌기(161c)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걸림되도록 걸림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2)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일 수 있다.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고정레치에 대한 걸림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이하에서는 돌기가 2개 구비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돌기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122)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상단부에 판형 슬라이더의 변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2개의 걸림돌기(122a,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22a, 122b)는 그 사이로 상기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 또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22a, 122b) 중 제1 걸림돌기(122b)의 일측면(도 2의 도면부호 122a의 우측면) 및 상기 걸림돌기(161c) 일측면(도 2의 도면부호의 161c의 좌측면)은 각각 수직한 경사를 갖을 수 있다. 고정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돌기(161c)가 상기 걸림돌기(122a, 122b) 사이에 안착되었을 경우, 상기 레버(150)에 장착된 스프링 등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가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22a, 122b) 중 제1 걸림돌기의 타측면(도 2의 도면부호 122b의 좌측면) 및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일측면(도 2의 도면부호의 161c의 우측면)은 커넥터의 삽입과정에서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0)를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경우 큰 힘이 소요되지 않고 부드럽게 상기 커넥터(100)를 인렛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치 역시 힌지에 의하여 커넥터 하우징(110)에 체결되고, 힌지에 스프링을 구비하며, 전술한 체결돌기(111c)의 단면이 완만한 경사를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22a, 122b) 중 제2 걸림돌기(122a)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추가적인 움직임을 차단함과 동시에 고정돌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22)는 하나의 걸림돌기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걸림돌기(122a)는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체결레치(111)에 형성된 체결돌기(111c) 역시 단면을 기준으로 양 측면의 경사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즉, 좌측 측면의 경사는 완만하고, 우측 측면의 경사는 수직에 가깝게 가파르게 형성하여, 상기 인렛(20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부드럽게 물리적 저항을 최소화하며 장착될 수 있고, 인렛의 걸림턱 등에 우측 측면이 걸림 고정되어 인렛에 장착된 상태가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충전과정을 위하여 상기 커플러(100)를 장착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커넥터의 장착상태를 해제하는 탈착구조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상기 고정래치(161)(또는 고정돌기(161(c))에 의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162)을 포함하며,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161a)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161b)에 구비된 고정돌기(161c)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111a)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를 하강시킨다.
즉, 해제버튼(162)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돌기(161c)와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걸림부(122)의 고정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111b)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특징을 갖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치(111)의 대칭되는 부분에 체결상태의 잠금해제와 무관한 더미레치(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더미레치(112)는 조건에 따라 커넥터의 체결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의 장착과정 또는 착탈과정에서 상기 더미레치(112)와 보조를 맞추기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체결레치와 달리 돌기의 경사가 모두 완만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치(1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더미레치의 경우, 두께를 얇게 구성하여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더미레치(112)는 커넥터를 인렛에 장착하는 장착과정을 부드럽게 안내하고 어느 정도의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제버튼(16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30)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지와 무관하고, 핸들을 잡은 한손으로도 착탈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해제버튼(162)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상부 영역의 후방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163)를 구비할 수 있다.
단일 색상의 광원인 경우에는 광원(163)의 온-오프 또는 일정한 방법에 의한 점멸에 의하여 충전상태, 완료상태 또는 에러상태 등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의 색상이 2가지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광원(163)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발광색상을 갖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LED 소자를 사용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LED 소자의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중에는 적색 LED 소자를 점등시키고, 충전 완료되면 녹색 LED 소자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원통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기 전력 터미널(131) 및 통신 터미널(132)이 삽입 장착되도록 형성된 전력 터미널 장착구(137)와 통신 터미널 장착구(13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터미널 장착구(139)는 복수 개가 하나의 장착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31, 132)의 뒷부분에서 실링 기능을 제공하는 실링부재(133)와, 상기 실링부재(133)가 상기 터미널(131)의 선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실링부재(133)의 앞부분에 구비되고, 실링부재(133)의 내경에 비해 큰 외경을 갖는 지지부재(134)와, 상기 실링부재(133)의 수단에 밀착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터미널(131)에 대응하는 케이블(C)로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W)의 인입을 위한 케이블 도입구가 형성된 리어홀더(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링부재, 지지부재 및 리어홀더는 상기 전력 터미널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당연히 통신 터미널의 실링을 위하여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커넥터(100)와 인렛(200)의 체결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작용되더라도 터미널(131)의 후미에 위치한 실링부재(133)와 지지부재(134)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 정위치가 보유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33)에 의해 케이블 접합부의 실링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이 하나의 판재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하며, 도 5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가 2개의 판재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먼저 도 4를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판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15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를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을 추진함과 동시에 상기 핸들(140)을 견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그 길이방향으로 양분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140)를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C)로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W)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양극과 음극 도선(W)의 이동 경로를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를 사이에 두고 분리시킬 수 있고, 판형 슬라이더(120)가 두 도선(W) 간의 절연벽으로 작용할 수 있어 커넥터(100)의 내전압 성능을 향상시키며, 합선 위험을 낮추고, 커넥터 하우징(110) 내부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에 가이드핀(15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를 우회하여,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1) 근방으로 우회한 뒤 다시 상기 가이드핀(151)이 상기 가이드홀(121)을 관통하도록 연장된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1장의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이 가이드홀 측으로 우회하여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판형 슬라이더(120')는 2개의 평행하게 이격된 판형 슬라이더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는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가이드홀(121')이 구비되고, 각각의 가이드홀(121')로 상기 레버(150')의 상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한쌍의 가이드핀(152')가 연장되어 각각의 가이드홀(121')을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레버의 상단부가 판형 슬라이더를 우회하도록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가 추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의 레버를 당긴 상태에서 해제버튼을 눌러 상기 판형 슬라이더가 추진된 상태에서 다시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100)를 인렛(200)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레버부(150)를 당기게 되면, 레버부(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가 슬라이딩 되어 전진 이동하게 되고, 판형 슬라이더(120)에 체결 고정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과 핸들(140)도 함께 연동되어 추진 및 견인되어 판형 슬라이더와 함께 변위된다.
그러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부(122)에 상기 고정 레치(161)가 체결되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추진상태를 고정하게 되고, 판형 슬라이더(120)에 체결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과 핸들(140)도 견인되어 변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전진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110) 외측으로 돌출 또는 변위되어 터미널 하우징(130)에 장착된 각각의 터미널이 대응되는 인렛(200)의 터미널(미도시)과 접속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커넥터(100)의 터미널과 인렛(200)의 터미널이 접속 연결되어 충전이 시작되게 되면, 상기 해제 버튼(162)에 구비된 충전 상태 램프(163)가 충전중(예컨대, LED 소자가 적색으로 발광)임을 표시하게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커넥터(100)를 통한 전기 자동차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충전 상태 램프(163)가 충전 완료(예컨대, LED가 녹색으로 발광)임을 표시하게 되어 충전 완료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100)와 인렛(200)의 체결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해제 버튼(162)을 누르게 되면, 상기 판형 슬라이더(120)의 고정부(122)에 고정된 고정레치(161) 및 상기 인렛(200)에 체결된 체결레치(111)의 고정상태 또는 체결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핸들(150)의 힌지(151)에 장착된 스프링(도 3 참조)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에 의하여 판형 슬라이더(1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딩 후진 이동하게 되고, 판형 슬라이더(120)에 고정된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과 핸들(140)도 함께 연동되어 후퇴한다.
그러면, 상기 터미널 하우징(130)은 다시 상기 커넥터 본체(110) 내부로 수용되고, 터미널 하우징(130)의 터미널(131)과 인렛(200)의 터미널의 접속이 해제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 본체(110)에 구비된 체결 레치(111)는 상기 고정 레치(161)와 연동되어 상기 고정 레치(161)가 판형 슬라이더(120)와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체결 레치(111)의 체결상태도 함께 해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커넥터 200 : 인렛
110 : 커넥터 본체 120 : 판형 슬라이더
130 : 터미널 하우징 140 : 핸들
150 : 레버

Claims (18)

  1.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
    상기 통신 터미널 및 상기 전력 터미널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양단에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 공간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커넥터 본체 내측 공간을 양분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레버에 의하여 추진되어 상기 터미널 하우징의 전단부를 상기 커넥터 본체의 개방구 중 어느 하나의 개방구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판형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연장 및 절곡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하부에 손잡이부 내측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고무 재질의 케이블 보호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부터 분기된 양극 또는 음극 도선은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의하여 양분된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 공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가이드핀이 구비되고,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이드핀의 회전 궤적에 따라 상기 판형 슬라이더를 추진하기 위한 장공 형태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양면 중 적어도 1면에 격자형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2개가 평행한 상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버의 상단부는 2개의 판형 슬라이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핀은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서 2개의 판형 슬라이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추진된 상기 판형 슬라이더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 및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래치 및 상기 체결레치는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해제버튼에 의해 고정레치의 일단이 가압되면 고정레치의 타단이 상기 체켤레치의 일단을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레치의 타단이 하강되어 전기 자동차의 인렛에 대한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버튼은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적어도 1가지 이상의 발광 색상을 갖는 광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제어부는 전기 자동차 충전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의 발광 색상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 슬라이더는 수직하게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레치가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판형 슬라이더의 상단부에 형성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중 어느 하나의 돌기의 단면의 측면 경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돌기는 판형 슬라이더의 변위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18. 통신 터미널 및 전력 터미널이 장착된 터미널 하우징;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내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회전에 따른 회전 모멘트를 미리 결정된 방향의 추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터미널 하우징을 상기 커넥터 본체 외부 방향으로 추진시키는 추진부재;
    상기 추진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추진부재에 의하여 견인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핸들;
    상기 레버의 회전시 상기 커넥터 본체에서 상기 터미널 하우징이 변위된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추진된 상기 추진부재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레치;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인렛에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치; 및,
    상기 고정래치에 의한 상기 추진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에 구비되는 해제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레치의 고정상태 해제 동작은 상기 체결레치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해제버튼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다른 하나의 개방구 근방의 상부 중심영역에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20110022003A 2011-03-11 2011-03-11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78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03A KR101780819B1 (ko) 2011-03-11 2011-03-11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PCT/KR2012/001199 WO2012124902A2 (en) 2011-03-11 2012-02-17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003A KR101780819B1 (ko) 2011-03-11 2011-03-11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83A true KR20120103983A (ko) 2012-09-20
KR101780819B1 KR101780819B1 (ko) 2017-09-22

Family

ID=4683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003A KR101780819B1 (ko) 2011-03-11 2011-03-11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0819B1 (ko)
WO (1) WO20121249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4213B2 (en) 2017-04-28 2019-10-22 Hyundai Motor Company Failure detection method in charging connector loc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79993B (zh) * 2017-07-31 2018-08-24 嵊州市百恩贸易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配套设施
EP3866276A1 (en) * 2020-02-13 2021-08-18 ABB Schweiz AG Charging connector
KR102227007B1 (ko) 2020-05-20 2021-03-12 인셀(주) 연쇄발화 방지를 고려한 이차 전지 집합구조의 전기적 연결 형상
KR102191300B1 (ko) 2020-05-20 2020-12-15 인셀(주) 연쇄발화 방지를 고려한 이차 전지 집합구조의 전기적 연결 형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6052B2 (ja) * 2001-05-24 2007-01-10 矢崎総業株式会社 給電コネクタ
JP5312214B2 (ja) 2009-06-11 2013-10-09 矢崎総業株式会社 誤操作防止機構付き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4213B2 (en) 2017-04-28 2019-10-22 Hyundai Motor Company Failure detection method in charging connector lo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819B1 (ko) 2017-09-22
WO2012124902A2 (en) 2012-09-20
WO2012124902A3 (en)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504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用コネクタ
KR20120103983A (ko)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US7351077B2 (en) Electric power tool
US8579635B2 (en) Funnel shaped charge inlet
KR101214847B1 (ko) 슬라이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
KR101794354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20130131033A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JP2007335328A (ja) 嵌合部材
US6994560B2 (e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WO2013092174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ever and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element
KR101774052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1801396B1 (ko)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커넥터
KR102647877B1 (ko) 전기충전 플러그 장치
JP5622169B2 (ja) 充電カプラー
US20090093148A1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receiver and a power source
CN104010933B (zh) 跨乘型电动车辆
CN212626327U (zh) 高压连接器
NO20211582A1 (en) A connector assembly
CN104024097A (zh) 跨乘型电动车辆
JP2002298812A (ja) 電動車両のバッテリ装置
CN219937448U (zh) 一种具有防雨结构的充电枪后盖
CN219017953U (zh) 带有安装插件的新能源汽车高压线束
JP6222470B2 (ja) 電気接続用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システム
JP2789993B2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チャージ用コネクタ
CN218101593U (zh) 一种具有接口防护功能的汽车应急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