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911A -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3911A KR20120103911A KR1020110021867A KR20110021867A KR20120103911A KR 20120103911 A KR20120103911 A KR 20120103911A KR 1020110021867 A KR1020110021867 A KR 1020110021867A KR 20110021867 A KR20110021867 A KR 20110021867A KR 20120103911 A KR20120103911 A KR 201201039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pttca
- mwcnt
- aunps
- bio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1—Amperometric enzyme electrodes for analytes in body fluids, e.g. glucose in blood
- G01N27/3272—Test elements therefor, i.e. disposable laminated substrates with electrodes, reagent and channe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01N27/327—Biochemical electrodes, e.g. electrical or mechanical details for in vitro measurements
- G01N27/3275—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 G01N27/3278—Sensing specific biomolecules, e.g. nucleic acid strands, based on an electrode surface reaction involving nanosized elements, e.g. nanogaps or nanopart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G01N27/4075—Composition or fabrication of the electrodes and coatings thereon, e.g. cataly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이오센서는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MWCNT-PTTCA) 상에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를 포함한 효소층을 고정시킨 것이며, 이러한 효소층으로 인하여 과산화수소나 수퍼옥사이드와 같은 다른 인자들에 의한 방해효과를 피할 수 있어 NO 검출에 대한 선택성이 높으며, 낮은 농도의 NO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나 수퍼옥사이드와 같은 다른 인자들에 의한 방해효과를 피할 수 있어 일산화질소(NO) 검출에 대한 선택성이 높으며, 낮은 농도의 일산화질소(NO)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질소(NO)는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해 생리적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 분자로서, 포유동물의 체내에서 다양한 생리학적 및 병인적 공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에서 NO의 결핍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암과 같은 다른 질환에서는 NO의 증가가 또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NO의 정량은 이러한 질환들의 연구에 중요하다. 그러나, 자유라디칼인 NO는 단지 몇초의 반감기를 지닌 자발적 화학 반응성을 지니므로 정량이 쉽지 않다. 따라서, NO 검출을 위하여 UV-가시광 분석법, 전자스핀공명법, 화학발광법, 형광법 및 전기화학적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으나, NO 검출에 선택적이지 못하거나 검출 감도가 낮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나 수퍼옥사이드와 같은 다른 활성종의 방해 효과를 피하면서도 높은 민감도로 NO를 검출할 수 있는 NO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MWCNT-PTTCA) 상에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를 포함한 효소층을 고정시켜, 이러한 효소층으로 인하여 과산화수소나 수퍼옥사이드와 같은 다른 인자들에 의한 방해효과를 피할 수 있어 NO 검출에 대한 선택성이 높으며, 낮은 농도의 NO를 민감하게 검출할 수 있는 NO 검출용 바이오센서를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활성종의 방해효과를 피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민감도를 갖는 NO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u 나노입자층을 전착시킨 전극; 상기 Au 나노입자층 상단에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 상단에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를 고정시킨 효소층을 포함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상기 Au 나노입자층은 바이오센서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카보디이미드 또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로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나노복합체층이며, 상기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는 폴리-5,2':5',2"-터티오펜-3'-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상기 효소층에 고정된 CAS 및 SOD는 NO와 공존하는 과산화수소, 수퍼옥사이드와 같은 활성종의 방해효과를 회피시켜 바이오센서의 선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효소층의 각 효소들은 각 아민기와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의 활성화된 카르복실기 간의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 효소층에 고정화 된다.
상기 효소층 중 MP는 NO의 환원에 관한 촉매로서 작용하는 반면, CAS 및 SOD는 NO의 전기화학적 환원 시 과산화수소 및 수퍼옥사이드의 방해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표면에 Au 나노입자층을 전착시키는 단계; 상기 Au 나노입자층 표면에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의 카르복실기와,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의 각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을 통해 효소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NO 검출용 바이오센서는 4.3±0.2 nM의 검출한계를 갖고, 1.0 내지 40 μM의 폭넓은 선형 범위를 나타내며, 안정적이면서도 높은 선택성과 민감도로 생체 시료로부터 NO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NO의 전기화학적 환원에 대한 탁월한 촉매적 반응을 나타내므로, 생체 시료로부터 NO를 선택성이 높고 민감도가 뛰어나게 검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바이오센서 자체의 안정성도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O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i) AuNPs/GC, (ii) PTTCA/AuNPs/GC, (iii) 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 대한 각각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i) MWCNT-PTTCA/AuNPs/GC, (ii) MP/MWCNT-PTTCA/AuNPs/GC, (iii) SOD/MP/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서 얻어진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MWCNT-PTTCA 층 상에 MP(검정선), SOD(초록선) 및 CAS(붉은선)의 고정 시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0.1 mM 인산완충액(pH 7.0)에서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MWCNT-PTTCA/AuNPs(검정-점선), SOD/MWCNT-PTTCA/AuNPs(회색-실선), MP/MWCNT-PTTCA/AuNPs(파란-실선) 및 CAS/MWCNT-PTTCA/AuNPs(초록-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20.0μM NO를 함유한 0.1M 인산완충액(pH 7.0)에서 MWCNT-PTTCA/AuNPs(검정-점선), CAS/SOD/MP/PTTCA/AuNPs(초록-실선) 및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NO 검출을 위한 최적 분석 조건을 규명한 것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NO 첨가에 따른 전류 반응을 분석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방해인자들의 방해효과를 검토한 것이고,
도 6은 1.0 mM L-Arg를 함유한 완충액(pH 4.0)에서 랫트 간 시료의 첨가 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전류 반응도이다.
도 2a는 (i) AuNPs/GC, (ii) PTTCA/AuNPs/GC, (iii) 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 대한 각각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i) MWCNT-PTTCA/AuNPs/GC, (ii) MP/MWCNT-PTTCA/AuNPs/GC, (iii) SOD/MP/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서 얻어진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2c는 MWCNT-PTTCA 층 상에 MP(검정선), SOD(초록선) 및 CAS(붉은선)의 고정 시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0.1 mM 인산완충액(pH 7.0)에서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MWCNT-PTTCA/AuNPs(검정-점선), SOD/MWCNT-PTTCA/AuNPs(회색-실선), MP/MWCNT-PTTCA/AuNPs(파란-실선) 및 CAS/MWCNT-PTTCA/AuNPs(초록-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20.0μM NO를 함유한 0.1M 인산완충액(pH 7.0)에서 MWCNT-PTTCA/AuNPs(검정-점선), CAS/SOD/MP/PTTCA/AuNPs(초록-실선) 및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NO 검출을 위한 최적 분석 조건을 규명한 것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NO 첨가에 따른 전류 반응을 분석한 것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방해인자들의 방해효과를 검토한 것이고,
도 6은 1.0 mM L-Arg를 함유한 완충액(pH 4.0)에서 랫트 간 시료의 첨가 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전류 반응도이다.
이하, 하기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NO 검출용 바이오센서 제작
1. NO 및 O
2
-
용액 준비
산소 프리 0.1M 인산 완충액(pH 7.0) 8 ml를 NO 가스로 20분 동안 버블링하여 1.9 mM의 NO 용액을 준비하였다.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와 0.1 M 인산 완충액(pH 7.0)을 4:1로 혼합한 혼합액에서 KO2를 용해시켜 10 mM O2 -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된 NO 및 O2 - 용액을 실온 25℃에서 준비하였으며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2. 랫트 간 시료 준비
랫트 간 시료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준비하였다. 즉, 간을 랫트로부터 제거한 후, 멸균 분리 매체 (0.25 mol/l 수크로즈, 1.0 mmol/l EDTA, 10 mmol/l Tris, 염산을 이용하여 pH 7.4로 완충함)로 세정하였다. 그후, 간을 균질화하고, 4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얻어진 상등액을 10,000 rpm에서 15분 동안 2회 원심분리 하였다. 얻어진 침전을 분리 매체로 현탁하여 4.8 mg.ml 단백질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3. 세포 배양 시료 준비
위선암(AGS), 결장선암(HT-29) 세포를 15% 소태아혈청(FCS), 0.1 mM 메르캅토에탄올, 0.1 mM 비필수 아미노산,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을 보강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즉, 세포를 트립신 처리하고 100 mm 비접착성 페트리디쉬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응집시키고 배상체(embryoid bodies)를 형성시켰다. 세포를 0.1% 젤라틴 코팅된 페트리디쉬 상에 분주하고 2일마다 배지를 교체하였다.
4. MWCNT 기능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따라 산처리 하여 기능화 하였다. 즉, MWCNT 50 mg을 함유한 농 질산 및 농 황산(1:3)의 혼합 용액 50 ml를 8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후, 상기 혼합물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필터 멤브레인(0.2㎛)을 사용하여 여러번 필터하여 여과액의 pH를 중성이 되도록 하였다. 그후, 상기 침전물을 12시간 동안 80℃에서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카르복실화된 MWCNT를 생성하였고, 따라서 이렇게 기능화된 MWCNT는 공유적으로 고정화하는 생리활성분자를 위한 매트릭스로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화된 MWCNT는 사용 전까지 실온에서 보관되었다.
5. MWCNT-PTTCA 나노복합체 제조
먼저, 에머리 페이퍼 상 0.5 ㎛ 알루미나 슬러리로 유리탄소전극(GCE)을 폴리싱한 후, 증류수로 세정하였다. 0.25 mM HAuCl4를 함유한 0.5M 황산 용액에서 +1.5V 내지 +0.5V로 선형주사전위(Linear Sweep Voltammetry)를 통해 GCE 상에 AuNP를 전기증착 시켰다. SEM 분석을 통해 증착된 AuNP의 크기는 20 nm로 확인되었다. 그후, 1.0 mM TTCA 단량체를 함유한 0.1 M TBAP/CH2Cl2 용액에 카르복실화된 MWCNT 1.0 mg/m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였다. 0.1 V/s의 주사속도에서 3회 순환 동안 카르복실화된 MWCNT 및 TTCA를 함유한 혼합용액에서 0 내지 +1.6V의 전위로 순환시킴으로써 MWCNT-PTTCA 나노복합층을 형성하였다. 그후, MWCNT-PTTCA 나노복합체로 코팅된 전극을 CH2Cl2로 세정하여 과량의 혼합용액을 제거하였다.
6. MWCNT-PTTCA 나노복합층 상의 MP, SOD 및 CAS 고정화
센서 탐침을 제작하기 위하여, MWCNT-PTTCA/AuNPs 코팅된 전극을 10 mM EDC/NHS 혼합물을 함유한 0.1 M 인산 완충액 (pH 7.0)에서 3시간 동안 담구어 MWCNT-PTTCA 층의 카르복실기를 활성화 시켰다. 그후, EDC-처리된 MWCNT-PTTCA/AuNPs 전극을 인산 완충액 (pH 7.0)으로 세정하였다. MP, SOD 및 CAS 고정화를 위하여, EDC-처리된 MWCNT-PTTCA/AuNPs 전극을 1.0 mg/ml MP, 1.0 mg/ml SOD 및 1.0 mg/ml CAS 용액에서 각각 6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나노복합체의 카르복실기와 각 효소의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 형성을 통해 각 효소들을 MWCNT-PTTCA/AuNPs 전극 상에 고정화 시켰다. 그후, CAS/SOD/MP/MWCNT-PTTCA/AuNPs 표면을 0.1 M 인산완충액(pH 7.0)으로 세정하고 사용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제작된 바이오센서의 개념도는 도 1과 같다.
7. 바이오센서 제작
0.07 cm2의 면적을 갖는 CAS/SOD/MP/MWCNT-PTTCA/AuNPs을 작동전극으로, Ag/AgCl 및 백금을 각각 참조전극 및 상대전극으로 이용한 3상 전극계를 사용하여 바이오센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바이오센서의 성능 평가
1. SEM 이미지 분석
SEM 이미지를 Cambridge Stereoscan 240로 분석하였다.
도 2a는 (i) AuNPs/GC, (ii) PTTCA/AuNPs/GC, (iii) 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 대한 각각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으로, AuNPs/GC 층은 약 20 nm의 입자경을 갖는 AuNP층을 형성하였으며, MWCNT-PTTCA/AuNPs 층의 형상은 MWCNT와 PTTCA의 균질화된 나노복합체를 나타내는 반면, 이러한 나노복합체 필름은 PTTCA/AuNPs 층에서 얻어진 SEM 이미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전해중합 공정 동안 MWCNT가 PTTCA 내로 삽입되어 MWCNT-PTTCA의 나노복합층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나노복합층에서의 MWCNT의 직경은 약 10 nm이었다. CAS/SOD/MP/MWCNT-PTTCA/AuNPs/GC 층에서 얻어진 SEM 이미지는 MWCNT-PTTCA/AuNPs/GC에서 얻어진 SEM 이미지와 달리 큰 군집을 이룬 구조이며, 이는 CAS, SOD 및 MP가 MWCNT-PTTCA 층에 고정화됨을 의미한다.
2. XPS 분석
VG Scientific Escalab 250 XPS 분광계[단색화된 Al Kα 광원 (KBSI Busan, Korea)]를 사용하여 XPS 분석을 수행하였다.
MWCNT-PTTCA 나노복합층 상에서의 CAS, SOD 및 MP의 고정 시 결합 형성을 XPS로 관찰하였다. 모든 XPS 스펙트럼은 50초 동안 아르곤 이온 가스 에칭 후 얻었고, 내부 표준으로서 284.6 eV에서의 C1s 피크를 이용하여 모았다. 도 2b는 (i) MWCNT-PTTCA/AuNPs/GC, (ii) MP/MWCNT-PTTCA/AuNPs/GC, (iii) SOD/MP/MWCNT-PTTCA/AuNPs/GC, 및 (iv) CAS/SOD/MP/MWCNT-PTTCA/AuNPs/GC에서 얻어진 XPS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 MWCNT-PTTCA/AuNPs/GC 층에 관하여 83.5 eV 및 87.3 eV에서 2개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이는 Au4f7 및 Au4f5 오비탈과 관련되었다. 또한, Au4d5, Au4d3 및 Au4p3 피크는 334.5, 352.2 및 546.1 eV에서 관찰되었다. MP/MWCNT-PTTCA/AuNPs/GC 층에 관하여 400.3 eV 및 709.1 eV에서 N1s 및 Fe2p 피크가 관찰되었다. N1s 피크는 MP의 아민과 나노복합체(MWCNT-PTTCA)의 카르복실기 간의 아마이드 결합 형성에 따른 것이었다. 709.1 eV에서 관찰된 Fe2p 피크는 MP의 헴기 내의 Fe 이온과 관련되었다. 또한, SOD/MP/MWCNT-PTTCA/AuNPs/GC 층에 관하여 930.9 eV에서 Cu2p의 추가적인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SOD의 Cu로부터 기원하였다. 또한, CAS 고정 후 얻어진 스펙트럼은 709.1 eV에서 피크 신호를 증가시켰고, 이는 CAS의 헴기에서 Fe 이온과 관련되었다. 이러한 XPS 결과로부터, 3개의 효소들이 성공적으로 MWCNT-PTTCA의 나노복합체 층에 고정화됨을 알 수 있었다.
3. QCM 분석
SEIKO EG&G model QCA 917 및 PAR model 263A potentiostat/galvanostat을 이용하여 QCM 분석을 수행하여 바이오센서 표면에서 발생한 질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Au 작동전극 (면적 0.196 ㎠, 9.0 MHz, AT-cut quartz crystal)을 이용하였다.
주파수 변화에 근거하여 MWCNT-PTTCA 층 상에 고정된 각 효소의 양을 평가하기 위하여 QCM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극 표면 상에 고정화된 효소 양은 종래 알려진 수학식(Anal.Chem., 73, 5629-5632, 2001)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도 2c는 MWCNT-PTTCA 층 상에 MP(검정선), SOD(초록선) 및 CAS(붉은선)의 고정 시 얻어진 시간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MWCNT-PTTCA 층 상의 MP 고정은 주파수를 감소시켰으며, 약 2시간 후 333±5 Hz 주파수 이동을 지니며 안정한 상태에 이르렀으며, 이는 약 2시간 후 MP의 고정이 완료됨을 의미한다. MP/MWCNT-PTTCA 층 상에서의 SOD 고정과 관련하여, 약 2시간 후 안정한 상태에 이르렀으며 주파수 이동은 341±3 Hz로 나타났다. SOD/MP/MWCNT-PTTCA 층 상에서의 CAS 고정 시, 약 2시간 후 안정한 상태에 이르렀으며, 주파수 이동은 374±7 Hz로 나타났다. 따라서, MWCNT-PTTCA 층 상에 고정된 MP, SOD 및 CAS의 양은 각각 0.07, 0.08 및 0.36 ㎍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2.2×10-11, 2.3×10-12, 3.2×10-13 mol/cm2에 해당한다.
4. 순환 전압전류(cyclic voltammogram; CV) 분석
Potentiostat/Galvanostat(모델: KST-P2, Kosentech)를 이용하여 CV를 측정하였다.
도 3a는 0.1 mM 인산완충액(pH 7.0)에서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MWCNT-PTTCA/AuNPs(검정-점선), SOD/MWCNT-PTTCA/AuNPs(회색-실선), MP/MWCNT-PTTCA/AuNPs(파란-실선) 및 CAS/MWCNT-PTTCA/AuNPs(초록-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다. SOD/MWCNT-PTTCA/AuNPs(회색-실선), MP/MWCNT-PTTCA/AuNPs(파란-실선) 및 CAS/MWCNT-PTTCA/AuNPs(초록-실선)에서 Ag/AgCl 대비 -0.11/+0.05, -0.33/-0.28 및 -0.46/-0.41 V에서 매우 섬세한 3개의 환원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3개의 환원피크는 CAS/SOD/MP/MWCNT-PTTCA/AuNPs에서 Ag/AgCl 대비 -0.11/+0.04, -0.33/-0.27 및 -0.47/-0.40 V에서 동시에 관찰되었으며, 이는 3가지 효소가 성공적으로 MWCNT-PTTCA/AuNPs 층에 고정화됨을 의미한다. 그러나, MWCNT-PTTCA/AuNPs에 관한 CV를 측정한 결과 어떠한 환원피크도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환원피크는 MWCNT-PTTCA/AuNPs 상에 이러한 3가지 효소의 고정에 따른 결과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각 효소 내의 Cu(I)/Cu(II), Fe(II)/Fe(III) 및 Fe(II)/Fe(III) 환원 센터의 직접 전자전달 프로세스에 의한 것일 것이다.
도 3b는 20.0μM NO를 함유한 0.1M 인산완충액(pH 7.0)에서 MWCNT-PTTCA/AuNPs(검정-점선), CAS/SOD/MP/PTTCA/AuNPs(초록-실선) 및 CAS/SOD/MP/MWCNT-PTTCA/AuNPs(붉은-실선) 층에서 기록된 CV를 나타낸다. MWCNT-PTTCA/AuNPs 전극에서는 어떠한 피크도 관찰되지 않았지만, CAS/SOD/MP/PTTCA/AuNPs 전극에서는 -0.75V에서 캐소드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PTTCA 층 상에 고정된 MP의 촉매적 기능과 관련된다. MP를 이용하여 관찰된 NO의 환원피크는 헤모글로빈 변형 전극을 이용하여 관찰한 것과 유사하였다. 따라서, NO의 환원 공정은 MP에 의해 크게 촉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에서는 NO의 환원피크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은 NO 검출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5. NO 검출을 위한 최적 분석 조건
NO의 전기촉매적 환원에 영향을 미치는 pH, 온도 및 적용 전위를 최적화하여 NO 검출 효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즉,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을 이용한 NO의 촉매적 환원에 있어서 pH의 영향을 pH 2.0 내지 pH 8.0 사이에서 관찰하였다. 도 4A와 같이, pH 2.0에서 4.0로 증가함에 따라 NO의 전류 반응이 증가하였다. 그후, 전류 반응은 pH가 8.0으로 증가할 때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NO 검출을 위한 최적 pH는 pH 4.0으로 선택하였다.
도 4B와 같이, NO의 촉매적 환원의 온도 의존성을 10 내지 50℃에서 검토하였다. 10℃에서 25℃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였으며, 25℃보다 높은 온도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최적 온도를 25℃로 결정하였다.
NO의 전류 반응 상에서의 적용 전위의 효과를 도 4C와 같이 검토한 결과, -0.1V에서 -0.8V로 적용 전위를 변화시키면 전류 반응이 증가하는 반면, -1.1V까지 변화시키면 전류 반응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최적 적용 전위는 -0.8V로 결정하였다.
6. NO 첨가에 따른 전류 반응
도 5a는 완충액(pH 4.0)에서의 NO 농도 변화에 따른 전형적인 전류-시간 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NO의 주입 후 촉매적 반응에서의 증가를 관찰한 것이다. 1.0 내지 40 μM과 같은 NO 농도 변화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선형 의존성은 수학식 1 즉, Ip (μM) = 1.65(±0.2) + 1.20(±0.01) [NO] (μM)에 따라 얻어지며, 상관계수는 0.999이었다. 상대표준편차 (RSD)는 1.7이며, NO의 검출한계는 4.3±0.2 μM이었다. NO 바이오센서의 민감도는 3.60±0.03 s/μM의 반응 시간에서 1.10±0.01 μA/μM이었다.
7. 방해 효과
NO 검출용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의 민감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도 5b는 2.0 μM의 NO와 다른 생리활성 방해종인 10 μM의 H2O2, 10 μM O2 -, 1.0 mM AA(아스코르빈산), 1.0 mM L-Arg(L-아르기닌) 및 1.0 mM Glu(글루타민산)의 전류 반응도를 나타낸 것이다. NO 검출 시 어떠한 방해종도 방해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는 MWCNT-PTTCA/AuNPs 층에 고정된 CAS 및 SOD가 과산화수소 및 수퍼옥사이드의 방해 효과를 완전히 제거하기 때문이다.
8. NO 바이오센서의 안정성
NO 검출용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의 장기간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매주 3회씩 보관 시간에 대한 NO에 관한 CAS/SOD/MP/MWCNT-PTTCA/AuNPs 전극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한달 넘는 기간 동안 NO 환원에 대한 초기 반응의 약 97%의 반응성이 상기 바이오센서에서 유지되었다.
9. 실제 시료 분석에의 응용
실제 시료 응용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유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 즉, 인간 위암세포(AGS) 및 소장암세포(HT-29) 뿐 아니라, 랫트 간으로부터 유리된 NO의 검출에 상기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였다. 먼저, 실제 시료를 1.0 mM L-Arg과 혼합하여 NO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유리된 NO를 CAS/SOD/MP/MWCNT-PTTCA/AuNPs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였다.
도 6은 1.0 mM L-Arg를 함유한 9.0 mM 완충액(pH 4.0)에서 랫트 간 시료 1.0 ml의 첨가 시 얻어진 전류 반응도이다. 도 6의 삽입도는 표준 첨가 플롯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선형 회귀식은 수학식 2 즉, Ip (μM) = 0.63(±0.03) + 2.40(±0.09) [NO] (μM)에 따라 얻어지며, 상관계수는 0.996이었다. 상대표준편차 (RSD)는 0.83이며, 랫트 간 시료로부터 유리된 NO의 평균 농도는 3.82±0.83 μM이었다.
또한, 57×103 AGS 세포 및 75×103 HT-29 세포로부터 유리된 NO의 전류 반응을 표준 첨가 플롯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러한 선형 회귀식은 수학식 3 즉, Ip (μM) = 0.56(±0.02) + 1.75(±0.07) [NO] (μM) 및 수학식 4 즉, Ip (μM) = 0.83(±0.04) + 2.17(±0.10) [NO] (μM)에 따라 얻어지며, 상관계수는 각각 0.994 및 0.999이었다. 상대표준편차 (RSD)는 각각 0.27 및 0.67이며, AGS 및 HT-29 세포로부터 유리된 NO의 평균 농도는 각각 3.91±0.27 μM 및 4.42±0.67 μ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 Au 나노입자층을 전착시킨 전극; 상기 Au 나노입자층 상단에 형성된 전기전도성 고분자층; 및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 상단에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를 고정시킨 효소층을 포함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카보디이미드 또는 N-히드록시숙신이미드로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나노복합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
- 전극 표면에 Au 나노입자층을 전착시키는 단계;
상기 Au 나노입자층 표면에 카르복실기가 활성화된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의 카르복실기와, 마이크로퍼옥시다아제(MP), 카탈라아제(CAS)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의 각 아민기 간의 공유결합을 통해 효소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고분자층은 폴리터티오펜계 고분자(PTTCA)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구성된 나노복합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질소(NO)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867A KR20120103911A (ko) | 2011-03-11 | 2011-03-11 |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1867A KR20120103911A (ko) | 2011-03-11 | 2011-03-11 |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3911A true KR20120103911A (ko) | 2012-09-20 |
Family
ID=4711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1867A KR20120103911A (ko) | 2011-03-11 | 2011-03-11 |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03911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896B1 (ko) * | 2013-02-28 | 2015-01-0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암제 처리된 암세포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5160085A1 (ko) * | 2014-04-14 | 2015-10-2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자전달 매개체의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
KR20160103647A (ko) * | 2015-02-25 | 2016-09-02 | 기초과학연구원 | 일산화질소 검출액 및 그 제조 방법 |
KR101709626B1 (ko) | 2015-08-20 | 2017-02-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일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
WO2017039345A1 (ko) * | 2015-09-01 | 2017-03-0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헤모글로빈 및 당화 헤모글로빈의 동시 측정 일회용 전류식 검출방법 |
CN113125505A (zh) * | 2020-01-10 | 2021-07-16 | 财团法人交大思源基金会 | 气体感测器 |
US11067564B2 (en) | 2015-04-30 | 2021-07-20 |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 Portable insulin resistance diagnosis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same |
-
2011
- 2011-03-11 KR KR1020110021867A patent/KR201201039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8896B1 (ko) * | 2013-02-28 | 2015-01-08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항암제 처리된 암세포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5160085A1 (ko) * | 2014-04-14 | 2015-10-22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자전달 매개체의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바이오센서 |
KR20160103647A (ko) * | 2015-02-25 | 2016-09-02 | 기초과학연구원 | 일산화질소 검출액 및 그 제조 방법 |
US11067564B2 (en) | 2015-04-30 | 2021-07-20 |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Keimyung University | Portable insulin resistance diagnosis device and diagnosis method using same |
KR101709626B1 (ko) | 2015-08-20 | 2017-02-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일산화질소를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
WO2017039345A1 (ko) * | 2015-09-01 | 2017-03-0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헤모글로빈 및 당화 헤모글로빈의 동시 측정 일회용 전류식 검출방법 |
CN113125505A (zh) * | 2020-01-10 | 2021-07-16 | 财团法人交大思源基金会 | 气体感测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bdelwahab et al. |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scorbic acid, dopamine, uric acid and folic acid based on activated graphene/MWCNT nanocomposite loaded Au nanoclusters | |
Shi et al. | Enantiorecognition of tyrosine based on a novel magnetic electrochemical chiral sensor | |
Jacobs et al. | Functional groups modulate the sensitivity and electron transfer kinetics of neurochemicals at carbon nanotube modified microelectrodes | |
Narang et al. | Silver nanoparticles/multiwalled carbon nanotube/polyaniline film for amperometric glutathione biosensor | |
Devi et al. |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n amperometric xanthine biosensor based on zinc oxide nanoparticles–polypyrrole composite film | |
Wang et al. | Multifunctional carbon nanotubes for direct electrochemistry of glucose oxidase and glucose bioassay | |
Batra et al. | An amperometric glutamate biosensor based on immobilization of glutamate oxidase onto carboxyl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gold nanoparticles/chitosan composite film modified Au electrode | |
Baghayeri et al. |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decorated with palladium nanoparticles as a novel platform for electrocatalytic sensing applications | |
Shervedani et al. | Determination of dopamine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by using gold cysteamine self-assembled monolayers as a nanosensor | |
Abdelwahab et al. | A selective nitric oxide nanocomposite biosensor based on direct electron transfer of microperoxidase: removal of interferences by co-immobilized enzymes | |
Sekli-Belaidi et al. | Voltammetric microsensor using PEDOT-modified gold electrode for the simultaneous assay of ascorbic and uric acids | |
KR20120103911A (ko) | 일산화질소 검출용 바이오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 |
Chauhan et al. | Highly sensitive and rapid detection of acetylcholine using an ITO plate modified with platinum-graphene nanoparticles | |
Ensafi et al. |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uanine and adenine in DNA based on NiFe2O4 magnetic nanoparticles decorated MWCNTs as a novel electrochemical sensor using adsorptive stripping voltammetry | |
Devi et al. | Electrochemical detection of xanthine in fish meat by xanthine oxidase immobilized on carboxyl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polyaniline composite film | |
Chawla et al. | An amperometric hemoglobin A1c biosensor based on immobilization of fructosyl amino acid oxidase onto zinc oxide nanoparticles–polypyrrole film | |
Afkhami et al. | Application of nickel zinc ferrite/graphene nanocomposite as a modifier for fabrication of a sensitive electrochemical sensor for determination of omeprazole in real samples | |
KR101686890B1 (ko) | 환원된 그래핀 옥사이드와 금속나노입자의 복합체 필름 및 호스라디시 페록시다제를 포함하는 과산화수소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
Chauhan et al. | An amperometric glutathione biosensor based on chitosan–iron coated gold nanoparticles modified Pt electrode | |
Zhang et al. |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pinephrine, dopamine, ascorbic acid and uric acid by polydopamine-nanogold composites modified electrode | |
Zhang et al. | A cathodic electrogenerated chemiluminescence biosensor based on luminol and hemin-graphene nanosheets for cholesterol detection | |
Su et al. | Covalent organic frameworks and electron mediator-based open circuit potential biosensor for in vivo electrochemical measurements | |
Peng et al. | In vivo monitoring of superoxide anion from Alzheimer's rat brains with functionalized ionic liquid polymer decorated microsensor | |
Kumar et al. | Poly (BCB)/Au-nanoparticles hybrid film modified electrod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ts application as a non-enzymatic sensor | |
Zhang et al. | Simultaneous voltammetric detection of dopamine, ascorbic acid and uric acid using a poly (2-(N-morpholine) ethane sulfonic acid)/RGO modified electr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