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207A -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207A
KR20120103207A KR1020110021343A KR20110021343A KR20120103207A KR 20120103207 A KR20120103207 A KR 20120103207A KR 1020110021343 A KR1020110021343 A KR 1020110021343A KR 20110021343 A KR20110021343 A KR 20110021343A KR 20120103207 A KR20120103207 A KR 20120103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rrent collector
secondary battery
coupled
electrod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495B1 (ko
Inventor
권민형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495B1/ko
Priority to US13/206,288 priority patent/US9012065B2/en
Priority to EP11188281.7A priority patent/EP2498318B1/en
Publication of KR2012010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전해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이 개시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극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소형의 경우 휴대 전화,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대형의 경우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전해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차 전지가 대형의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됨에 따라 많은 수의 이차 전지가 전지 팩을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전지 팩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게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추는 것 또한 역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조립 시간을 단축하고,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전해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극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집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집전체 중에서 양극 집전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양극 집전체와 체결홈을 통하여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양극 집전체와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집전체 중에서 음극 집전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음극 집전체의 단자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전극 단자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결합된 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와 너트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부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반대면에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안전 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전지 팩은 케이스에 삽입된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의 반대 방향으로 전극 단자가 형성된 한 쌍의 집전체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집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향해 내부로 함입된 체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의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하부에 결합된 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이차 전지의 체결홈을 통해 상기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보조홀과 대응되는 보조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 전지의 집전체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양극 집전체에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절연 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전극 단자를 노출하고, 상기 전극 단자에는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 및 이를 갖는 전지 팩은 케이스의 체결홀 및 하부 팩 케이스의 체결 돌기를 통해 결합되어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 바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지 팩의 제조시 이차 전지의 하중에 의해 이차 전지와 하부 팩 케이스의 체결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접이 필요 없고 체결시 별도의 가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하부 팩 케이스의 체결시 이차 전지의 하중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여 별도의 가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체결된 구조에서 변형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전해액 누액 및 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명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케이스(110), 전극 조립체(120), 집전체(130, 140), 캡 플레이트(150), 너트(1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전체(130, 140) 중에서 음극 집전체(140)와 캡 플레이트(150)의 사이 및 상기 캡 플레이트(150)와 너트(170)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16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극 조립체(120) 및 집전체(130, 14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결합시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부(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부(111)는 상기 집전체(130, 140)에 대응되는 곳에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된 체결홈(112)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홈(112)은 상기 바닥부(111)로부터 상기 집전체(130, 140)를 향하여 경사져서 함입된다. 상기 체결홈(112)은 상기 바닥부(111)보다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양극 집전체(130)와 접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12)은 상기 양극 집전체(130)와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112)을 갖는 상기 케이스(110)는 양극의 극성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양극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112)은 상기 바닥부(111)보다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관통홀(113)을 구비하여 상기 음극 집전체(140)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상기 너트(17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음극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양극 극성을 갖는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음극 집전체(140) 및 이에 연결된 너트(180)와의 사이에 상기 절연 부재(160)를 통해 결합하여 음극과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홈(112)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형성되므로, 이에 결합되도록 돌출된 단자를 갖는 팩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팩 케이스는 버스바와 같은 별도의 기구물이 없이도, 돌출된 단자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와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100)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양극에 해당되는 단자홈(112)은 용접된 반면, 음극에 해당되는 단자홈(112)에는 너트(17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형상이 상이하여, 이차 전지(100)의 오조립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대략 중앙에 상기 팩 케이스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홈(114)은 상기 케이스(110)가 상기 팩 케이스의 일면에 정확한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100)의 결합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20)는 상기 얇은 판형 또는 박형으로 형성된 양전극, 음극판,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의 사이에 위치한 세퍼레이터의 적층체를 권취하거나 겹쳐서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양극판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양극 집전체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양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음극판은 니켈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음극 집전체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 음극 활물질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또는,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복합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 조립체(120)는 상기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영역인 코팅부(121), 상기 활물질들이 도포되지 않은 무지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무지부(122)는 통상 상기 코팅부(12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집전체(130, 140)와 연결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집전체(130, 140)는 상기 전극 조립체(120)에 연결된다. 상기 집전체(130, 140)는 상기 전극 조립체(120)의 무지부(122)에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집전체(130, 140)는 상기 전극 조립체(120)의 무지부(122) 중에서 양극판에 연결되는 양극 집전체(130), 음극판에 연결되는 음극 집전체(14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 집전체(130)는 상기 무지부(122)를 통해 전극 조립체(120)의 양극판에 결합된다. 상기 양극 집전체(130)는 상기 무지부(122)에 레이저 또는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 집전체(130)는 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130)는 상기 무지부(122)에 대략 나란하게 형성된 제 1 영역(131), 상기 제 1 영역(1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무지부(122)에 용접되는 제 2 영역(132), 상기 제 1 영역(132)의 타단으로 대략 90도 절곡되어 형성된 제 3 영역(133)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3 영역(133)은 상기 케이스(110)의 단자홈(112) 하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영역(133)은 상기 케이스(110)의 단자홈(112)과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양극 집전체(130)와 동일한 극성인 양극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상기 무지부(122)를 통해 전극 조립체(120)의 음극판에 결합된다.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상기 무지부(122)에 역시 레이저 용접 또는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 방식을 이용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주로 구리 또는 니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상기 양극 집전체(130)와 대응되도록 제 1 영역(141), 제 2 영역(142), 제 3 영역(1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140)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4 영역(144)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영역(144)은 케이스(110)를 관통한 이후 상기 나사산을 통해 상기 너트(1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4 영역(144)은 전극 단자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4 영역(144)은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음극 집전체(140)의 제 4 영역(144)은 상기 케이스(11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 4 영역(144)과 케이스(110)의 사이에는 상기 절연 부재(160)가 더 위치하게 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150)는 평평한 판상의 플레이트(151)를 기본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측면부(115)를 덮으면서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115)를 따라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50)는 상면의 대략 중앙에 다른 영역보다 얇을 두께로 형성된 안전 벤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벤트(151)는 전지 팩 내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기 안전 벤트(151)가 먼저 개방되어 내압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150)는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구(15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 상기 캡 플레이트(150)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해액 주입구(15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 부재(160)는 상기 집전체(130, 140) 중에서 음극 집전체(140)와 케이스(110)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 부재(160)는 상기 케이스(110)와 상기 너트(170)의 사이에도 형성된다. 상기 절연 부재(160)는 상기 케이스(110)를 상기 음극 집전체(140) 및 너트(170)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너트(170)는 상기 절연 부재(160)의 상부에서 상기 음극 집전체(140)와 결합된다. 상기 너트(170)는 내부의 나사산을 통해 상기 음극 집전체(140)와 체결되어 상기 음극 집전체(14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너트(170)는 상기 음극 집전체(140)에만 결합되므로, 상기 음극 집전체(140)를 상기 양극 조립체(130)와 용이하게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가 전지 팩을 형성한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팩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지 팩(1000)은 다수의 이차 전지(100)와 이를 수납하는 팩 케이스(10, 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차 전지(100)는 상술하였으므로 팩 케이스(10, 20)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팩 케이스(10,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를 내부에 구비하여, 이차 전지(10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상기 팩 케이스(10, 20)는 내부에 형성된 배선 연결을 통해 다수의 이차 전지(100)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한다.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와 상부 팩 케이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는 상면에 이차 전지(100)의 캡 플레이트(150)의 체결홈(152)에 대응되는 체결 돌기(11, 12)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 돌기(11, 12)는 각각 상기 이차 전지(100)의 케이스(110)에 형성된 체결홈(112)의 내부로 삽입되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는 상면에 상기 체결 돌기(11, 12)의 대략 중앙에 보조 돌기(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돌기(13)는 상기 이차 전지(100)의 보조홈(114)에 체결되어, 이차 전지(100)가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에 정확한 극성으로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이차 전지(100)는 자체의 하중을 통해 상기 체결 돌기(11, 12) 및 보조 돌기(13)에 체결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체결시 별도의 가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는 내부에 배선(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팩 케이스(10)에 연결된 이차 전지(100)들을 상호간에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시켜 원하는 팩 출력을 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 및 이를 갖는 전지 팩(1000)은 케이스(110)의 체결홀(112) 및 하부 팩 케이스(10)의 체결 돌기(11, 12)를 통해 결합되어 전지 팩(1000)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버스 바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 없게 되어 전지 팩(1000)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전지 팩(1000)의 제조시 이차 전지(100)의 하중에 의해 이차 전지(100)와 하부 팩 케이스(10)의 체결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접이 필요 없고 체결시 별도의 가압을 위한 구조물이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케이스(110)와 하부 팩 케이스(10)의 체결시 이차 전지(100)의 하중에 의한 체결이 가능하여 별도의 가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체결된 구조에서 변형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전해액 누액 및 전류 누설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 전지 및 이를 갖는 전지 팩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 전지 110; 케이스
112; 체결홈 114; 보조홈
120; 전극 조립체 130; 양극 집전체
140; 음극 집전체 150; 캡 플레이트
160; 절연 부재 170; 너트
1000; 전지 팩 10; 하부 팩 케이스
11, 12; 체결 돌기 13; 보조 돌기
20; 상부 팩 케이스

Claims (17)

  1. 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 조립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전극 단자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집전체;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는 상기 집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체결홈이 형성된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집전체 중에서 양극 집전체에 대응되어 형성된 이차 전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양극 집전체와 체결홈을 통하여 접하도록 형성된 이차 전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양극 집전체와 용접을 통해 연결된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집전체 중에서 음극 집전체에 대응되어 형성된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은 상기 음극 집전체의 단자와의 사이에 절연 부재를 통해 결합된 이차 전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체결홈에는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전극 단자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이차 전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전극 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결합된 너트와 결합된 이차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너트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더 형성된 이차 전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홈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의 반대면에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안전 벤트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13. 케이스에 삽입된 전극 조립체의 무지부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의 반대 방향으로 전극 단자가 형성된 한 쌍의 집전체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밀봉하도록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집전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향해 내부로 함입된 체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의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이차 전지의 하부에 결합된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 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이차 전지의 체결홈을 통해 상기 집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 팩.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상기 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팩 케이스는 상기 보조홀과 대응되는 보조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집전체는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양극 집전체에 용접을 통해 연결된 배터리 팩.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집전체는 절연 부재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전극 단자를 노출하고, 상기 전극 단자에는 너트가 결합된 배터리 팩.
KR1020110021343A 2011-03-10 2011-03-10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26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43A KR101264495B1 (ko) 2011-03-10 2011-03-10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13/206,288 US9012065B2 (en) 2011-03-10 2011-08-09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EP11188281.7A EP2498318B1 (en) 2011-03-10 2011-11-08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343A KR101264495B1 (ko) 2011-03-10 2011-03-10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207A true KR20120103207A (ko) 2012-09-19
KR101264495B1 KR101264495B1 (ko) 2013-05-14

Family

ID=44992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343A KR101264495B1 (ko) 2011-03-10 2011-03-10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12065B2 (ko)
EP (1) EP2498318B1 (ko)
KR (1) KR1012644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37B1 (ko) * 2015-02-02 201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착 및 유동 방지용 스톱퍼가 형성된 전지팩
KR20180108282A (ko) * 2017-03-24 2018-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0098355A (zh) * 2018-01-31 2019-08-06 江苏常宁电子有限公司 一种防电池渗漏托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6683A2 (en) 2011-11-03 2013-05-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Prismatic lithium ion cell with positive polarity rigid container
EP2774190B1 (en) * 2011-11-03 2020-06-17 CPS Technology Holdings LLC Prismatic lithium ion cell with positive polarity rigid container
EP2993716B1 (en) 2014-08-14 2017-1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having cap plate coupled to electrode lead
US10056598B2 (en) * 2014-08-26 2018-08-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Recessed terminal in module body
KR102299244B1 (ko) * 2015-01-14 2021-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팩
KR102391252B1 (ko) * 2015-04-17 2022-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60826B1 (ko) * 2016-09-06 2021-06-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67632B1 (ko) * 2016-09-19 2020-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106384805A (zh) * 2016-12-02 2017-02-08 安徽艾克瑞德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抽酸机及其使用方法
WO2019010449A1 (en) * 2017-07-07 2019-01-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ODULAR HOUSING FOR BATTERY SYSTEMS
SE541672C2 (en) * 2018-02-16 2019-11-26 Toyota Mat Handling Manufacturing Sweden Ab An arrangement for assembling rechargeable battery units into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N111490191B (zh) * 2019-01-26 2022-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单元、电池模组及汽车
JP2021150274A (ja) * 2020-03-13 2021-09-27 オムロン株式会社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蓄電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61376A (en) 1930-08-16 1931-11-16 Jaroslav Bolom Improvements in cases for electric batteries, accumulators or the like
US4100332A (en) * 1977-02-22 1978-07-11 Energy Development Associates Comb type bipolar electrode elements and battery stacks thereof
JP3761143B2 (ja) 2000-03-14 2006-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の接続構造
US20050158621A1 (en) 2003-09-30 2005-07-21 Benoit Stephen A. Battery with flat housing
US8632898B2 (en) 2003-10-28 2014-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including batteries that have a plurality of positive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terminals
KR100627306B1 (ko) 2004-05-04 2006-09-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59848B1 (ko) 2005-04-25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807029B1 (ko) * 2006-03-28 2008-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2007273320A (ja) * 2006-03-31 2007-10-18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820593B1 (ko) 2006-08-30 2008-04-14 경신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의 링터미널 접속구조
KR100976452B1 (ko) * 2008-01-23 2010-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8288035B2 (en) * 2009-01-09 2012-10-16 Electrochem Solutions, Inc. Modular battery pack
KR101042766B1 (ko) 2009-02-05 2011-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9015727B4 (de) 2009-03-31 2012-08-09 Nils Meinke Energieversorgungssystem und dessen Verwendung
KR101147171B1 (ko) 2009-04-21 2012-05-2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537B1 (ko) * 2015-02-02 2018-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착 및 유동 방지용 스톱퍼가 형성된 전지팩
KR20180108282A (ko) * 2017-03-24 2018-10-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10098355A (zh) * 2018-01-31 2019-08-06 江苏常宁电子有限公司 一种防电池渗漏托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8318A1 (en) 2012-09-12
US9012065B2 (en) 2015-04-21
US20120231305A1 (en) 2012-09-13
EP2498318B1 (en) 2019-07-03
KR101264495B1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495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8802276B2 (en) Secondary battery
US947280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74806B1 (ko) 이차 전지
US9093699B2 (en) Rechargeable battery
US8999568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collecting plate, a connecting part, and a terminal part
KR101233470B1 (ko) 이차 전지
KR102253021B1 (ko)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US20120214053A1 (en)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255204A1 (en) Secondary battery
US20120148884A1 (en) Secondary battery
KR20120002406A (ko) 이차 전지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US9570780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0211446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692034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22261B1 (ko) 이차 전지
KR101175013B1 (ko) 이차 전지
US8637181B2 (en) Terminal and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210005936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2337491B1 (ko) 이차 전지
KR102470495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3511A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