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956A - 전류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류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956A
KR20120102956A KR1020110020895A KR20110020895A KR20120102956A KR 20120102956 A KR20120102956 A KR 20120102956A KR 1020110020895 A KR1020110020895 A KR 1020110020895A KR 20110020895 A KR20110020895 A KR 20110020895A KR 20120102956 A KR20120102956 A KR 2012010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rrent sensor
core
sensor assembly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514B1 (ko
Inventor
정상원
김상덕
김병수
송재우
서문원
박성만
이채우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514B1/ko
Publication of KR201201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코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코어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류버스바(B)가 관통하는 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01)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용공간부(102)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소정의 갭(S)을 형성한 코어(2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를 마감하는 커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와 코어(200) 사이에는 상기 코어(200)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위치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코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화성 밀봉재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품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류센서 조립체{CURRENT SENSOR ASSEMBLY}
본 발명은 전류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코어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코어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전기부품들의 장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따라서 차량 배터리에서의 전력소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시동시나 주행중 피크전류(peak current)는 수 백 암페어(empere)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배터리로부터 각 부하로 분기되는 도선에 흐르는 전류를 정확히 측정하여 부품의 고장이나 불량을 확인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류센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전류가 흐르면서 생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도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10)는 차량의 배터리(미도시)와 차량의 전장품(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류버스바(bus bar, 미도시)가 관통하는 케이스(11) 및 커버(4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복수개로 적층되어 수납되는 코어(31)와, 상기 코어(31)에 형성된 갭(S)부분에 배치되는 홀센서(22)가 장착된 PCB기판(Printed Circuit Board, 2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전류센서(10)에 따르면, 상기 전류버스바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어(31)에 발생된 자속을 홀센서(22)가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홀전압(hall voltage)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22)에 의해 발생되는 홀전압을 이용하여 전류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전류센서(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PCB기판(23)에 홀센서(22)를 부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케이스(11) 내에 PCB기판(23)과 코어(31)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다음, 상기 케이스(11) 내에 배치된 PCB기판(23)과 코어(31)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부에 엑폭시 등 젤타입의 경화성 밀봉재를 충진한다.
이후, 상기 밀봉재가 완벽히 경화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상기 커버(41)를 케이스(11)에 덮어 밀봉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를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10)는 상기 PCB기판(23)에 홀센서(22)를 미리 부착시키고 밀봉재를 충진했으므로, 상기 밀봉재의 경화시간이 길어지는 것에 따른 시간 공수율이 높아 생산성을 저하시켰을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번거롭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가의 밀봉재는 전류센서(10)의 전체 생산단가를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상기 밀봉재는 액체상태에서 고체로 경화하는 과정에서 큰 응력을 발생시키므로 케이스(11) 내부에 미리 정위치 된 PCB기판(23)과 코어(31)의 고정 위치에 대한 변위를 야기하여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와 코어의 상호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코어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전류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밀봉재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제품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전류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조립체는, 전류버스바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부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소정의 갭을 형성한 코어; 및,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부를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와 코어 사이에는 상기 코어가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위치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코어의 일측 또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코어와 함께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코어의 횡단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코어와 접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채널형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는 몸체부의 중앙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부 내측면의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클립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클립은 제1 가이드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ㄱ'자구조의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클립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하여 별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키는 다수개의 방열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와 코어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코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화성 밀봉재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품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의 제1 가이드부에는 탄성클립이 추가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코어가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류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코어 및 체결용 유동방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체결용 유동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조립체(1000)는 전류버스바(B)가 관통하는 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01)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용공간부(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소정의 갭(S)을 형성한 코어(2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를 마감하는 커버(300)와, 상기 케이스(100)와 코어(200)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00)는 절연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연결된 전류버스바(B)가 비접촉 상태로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구(1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의 관통구(101) 바깥쪽 둘레에는 후술할 각 구성품을 내장시키기 위한 수용공간부(102)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관통구(101)와 수용공간부(102)를 각각 구획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 또는 후술할 커버(300)에는 차량 외부의 전기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하는 커넥터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부(120) 내에는 후술할 PCB기판(130)에 결합되는 터미널(110)이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 내에는 상기 터미널(110)과 접촉하는 PCB기판(130)이 설치되고, 후술할 코어(200)의 갭(S) 위치하여 상기 전류버스바(B)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코어(300)에 발생되는 자속을 검출하는 홀센서(140)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키는 다수개의 방열통공(105)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200)는 자성체로써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소정의 갭(S)을 형성한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5 참조).
여기서, 상기 코어(2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이 복수개 이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코어(300)는 전류센서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공지된 구성요소이므로 그 구체적인 기능적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100)와 코어(200) 사이에는 상기 코어(200)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위치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코어(200)의 일측 또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41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4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가이드부(4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코어(200)에 제1 가이드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 제2 가이드부(420)가 형성되는 상호 분할된 구성으로부터 슬라이드 방식의 긴밀하게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과 같이 케이스(100) 내에 코어(200)를 고정 배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화성 밀봉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품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크게 줄일 수 있고,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에 의하여 상기 홀센서(140)와 코어(200)간의 간격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는 플라스틱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410)는 코어(200)와 함께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제1 가이드부(410)를 별도로 생산한 후 상기 코어(200)의 횡단면 둘레면를 감싸는 상태로 착탈결합되는 구조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410)는 상기 코어(200)와 접하는 몸체부(411)와, 상기 몸체부(41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420)와 결합되는 채널형 안내부재(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412)는 몸체부(41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1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안내부재(412)는 몸체부(41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412) 및 상기 안내부재(41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420)는 슬라이드 방식의 채널형 구조로 이루짐에 따라, 조립의 편의성 및 유격 틈새가 전혀 발생되는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410)에는 탄성클립(413)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 내측면에는 상기 탄성클립(413)을 단속하는 걸림턱(107)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도 4참조).
상기 탄성클립(413)은 제1 가이드부(4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ㄱ'자구조의 탄성부(413a)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413a)의 하단에는 걸림돌기(413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탄성클립(413)의 걸림돌기(413b)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즉, 상기 탄성클립(413)은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코어(200)의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안내부재(412)와 함께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클립(413)은 상기 제1 가이드부(410)에 대하여 별도로 분할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200)는 전술한 케이스(100)의 개방된 수용공간부(102)를 마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에 대응하는 형상 및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200)와 케이스(100)는 상호 착탈식 끼움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00)와 코어(200) 사이에 형성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코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경화성 밀봉재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품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밀봉재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고정 위치에 따른 불량율을 줄일 수 있으며, 간편한 조립공정에 의한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의 제1 가이드부(410)에는 탄성클립(413)이 추가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코어(200)가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0 : 케이스
101 : 관통구
102 : 수용공간부
200 : 코어
300 : 커버
400 : 체결용 유동방지부재
410 : 제1 가이드부
411 : 몸체부
412 : 안내부재
413 : 탄성클립
420 : 제2 가이드부

Claims (11)

  1. 전류버스바(B)가 관통하는 관통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101)의 바깥쪽 둘레에는 수용공간부(102)가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에 배치되되 양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소정의 갭(S)을 형성한 코어(2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를 마감하는 커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와 코어(200) 사이에는 상기 코어(200)가 케이스(100)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고정위치로부터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코어(200)의 일측 또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410)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4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2 가이드부(4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용 유동방지부재(400)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410)는 코어(200)와 함께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410)는 코어(200)의 횡단면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410)는 상기 코어(200)와 접하는 몸체부(411)와, 상기 몸체부(41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가이드부(420)와 결합되는 채널형 안내부재(4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412)는 몸체부(411)의 중앙부에 형성되거나,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410)에는 상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부(102) 내측면의 걸림턱(107)에 걸리는 탄성클립(413)이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413)은 제1 가이드부(4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ㄱ'자구조의 탄성부(413a), 및 상기 탄성부(413a)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07)에 걸리는 걸림돌기(4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클립(413)은 상기 제1 가이드부(410)에 대하여 별도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시키는 다수개의 방열통공(10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조립체.
KR1020110020895A 2011-03-09 2011-03-09 전류센서 조립체 KR10122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95A KR101225514B1 (ko) 2011-03-09 2011-03-09 전류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895A KR101225514B1 (ko) 2011-03-09 2011-03-09 전류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956A true KR20120102956A (ko) 2012-09-19
KR101225514B1 KR101225514B1 (ko) 2013-01-23

Family

ID=4711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895A KR101225514B1 (ko) 2011-03-09 2011-03-09 전류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91A (ko) * 2015-04-21 2016-10-31 렘 인텔렉튜얼 프라퍼티 에스.에이. 통합된 주 도전체 바를 갖는 전류 트랜스듀서
KR20220147446A (ko) * 2021-04-27 2022-11-03 (주) 에스엠엔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305B1 (ko) * 2017-06-07 2019-01-02 주식회사 신창코넥타 전류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1466A (ja) * 1995-08-24 1997-03-07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電流検出装置
US7084617B2 (en) * 2004-04-21 2006-08-01 Denso Corporation Electric current sensor having magnetic gap
KR100897229B1 (ko) * 2008-10-08 2009-05-14 태성전장주식회사 홀센서를 이용한 전류측정 장치
KR101090051B1 (ko) * 2009-04-21 2011-12-07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5291A (ko) * 2015-04-21 2016-10-31 렘 인텔렉튜얼 프라퍼티 에스.에이. 통합된 주 도전체 바를 갖는 전류 트랜스듀서
KR20220147446A (ko) * 2021-04-27 2022-11-03 (주) 에스엠엔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514B1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051B1 (ko)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10468832B2 (en) Connector
JP6419126B2 (ja) 電線接続構造、ノイズ低減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0707628B2 (en) Noise filter and noise reduction unit
KR102315176B1 (ko) 코일 장치, 기판을 갖는 코일 장치 및 전기 접속 상자
US10892081B2 (en) Reactor
CN103620880A (zh) 连接器
JP2019009336A (ja) ノイズ低減ユニット
US9071005B2 (en) Terminal block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09152316B (zh) 噪声滤波器和降噪单元
CN112816755B (zh) 电子部件的固定结构和电流检测装置
CN113363753A (zh) 电缆连接器
KR101225514B1 (ko) 전류센서 조립체
KR101169910B1 (ko) 전류센서 조립체
CN104703424A (zh) 电子外壳装置
JP2012122793A (ja) 電流センサ
US10650953B2 (en) Reactor
KR101049052B1 (ko) 멀티형 전류센서
KR20120017543A (ko) 전류센서 조립체
JP6630315B2 (ja) ノイズ低減ユニット
JP2013231691A (ja) 電流センサ
KR101359319B1 (ko) 전류센서 조립체
KR101243607B1 (ko) 전류센서
US11621119B2 (en) Reactor
KR20130005901U (ko)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