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46A -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 Google Patents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46A
KR20220147446A KR1020210054624A KR20210054624A KR20220147446A KR 20220147446 A KR20220147446 A KR 20220147446A KR 1020210054624 A KR1020210054624 A KR 1020210054624A KR 20210054624 A KR20210054624 A KR 20210054624A KR 20220147446 A KR20220147446 A KR 2022014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current measuring
disturbance
shielding laye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8070B1 (ko
Inventor
이전선
김충식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엠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엠엔디 filed Critical (주) 에스엠엔디
Priority to KR102021005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35Testing shielding, e.g. for effici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시에 외부에 존재하는 전력선이나 전력계의 외란에 간섭되지 않도록 차폐가 이루어진 누설전류 측정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류계와 연결되어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측정부 및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란에 의해 누설전류의 측정값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외면을 감싸는 분리 결합 가능한 외란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LEAKAGE CURRENT SENSORS}
본 발명은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시에 외부에 존재하는 전력선이나 전력계의 외란에 간섭되지 않도록 차폐가 이루어진 누설전류 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선 또는 전력기기의 절연성능 이상으로 인하여 접지측에 충전전류 이외에 저항성 전류가 흐르면 정상적인 건전상태일 때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누설전류의 양은 수 mA 내지 수십 mA 정도로 매우 작은 전류의 양을 갖게 된다.
이러한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누설전류센서(LEAKAGE CURRENT SENSORS)를 접지선 외면이 감싸지도록 관통하여 그 주변의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것으로 측정이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해당 접지선 주변에 존재하는 전력선 또는 전자계의 영향인 외란으로 인하여 정밀한 측정값이 산출되지 않아 근래에는 이러한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외란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차폐기능을 갖는 누설전류센서가 도출되고 있으며, 종래기술로 도 1에 도시한 누설전류센서를 일예로 들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누설전류센서는 접지선이 관통삽입되는 삽입공를 중심으로 케이스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해당 케이스 내부 코일이 외란으로부터 영향을 받지않도록 차폐하는 기능을 수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누설전류센서는 그 내부에 구비된 차폐층만 가지고는 외란의 요인 중 하나인 외부 전력선 등의 세기와 대응하여 차폐기능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는 불편함이 존재하여 정밀한 누설전류의 측정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20170호(공고일:2013.10.23.) 국내등록특허 제10-2044318호(공고일:2019.11.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누설전류센서가 가지고 있는 차폐층 이외에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외란 등에 대비하여 해당 차폐층 이외에 별도로 차폐층을 선택적으로 추가 형성하여 외란의 방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누설전류센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는 전류계와 연결되어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측정부 및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란에 의해 누설전류의 측정값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외면을 감싸는 분리 결합 가능한 외란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란방지부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두 분체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가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재 및 두 분체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재가 상호 결속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층은 상기 몸체부재 내면과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는 내측에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몸체부재 내측으로 상기 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하부몸체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몸체부재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를 관통한 접지선이 추가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에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삽입공과 대향되게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가 회전하는 방향인 일측의 높이가 타측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삽입공의 개폐를 위해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가 회전시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상기 차폐층이 제1차폐층과 제2차폐층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게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분할차폐막 및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분할차폐막을 고정시켜 분할 형성된 상기 제1차폐층과 상기 제2차폐층 각각의 간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는 상기 하부몸체 내부에 구비된 상기 분할차폐막 내측으로 수지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폐층과 상기 제2차폐층 각각의 간격은 2 내지 10mm 이되 해당 간격은 상기 고정부재의 폭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는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중앙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자성체에 의해 제3차폐층을 형성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내부에 구비되되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에 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는 코일 및 상기 외란방지부 외부로 노출되되 전류계와 연결되어 측정된 누설전류가 전류계를 통해 수치로 변환하여 식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삽입공은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에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접지선이 관통하는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회전체와 상기 제2회전체가 서로 면접하는 끝단부에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된 누설전류정보가 상기 커넥터를 통해 전류계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자부 또는 상기 제2단자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방으로 경사지되 끝단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 또는 상기 제2단자부가 상호 탈착시에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결속부재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한 몸체부재 내부에 접지선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누설전류 측정부를 설치하여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 내부에 형성된 제3차폐층과 함께 상기 몸체부재 내부에 또 다른 차폐층을 형성하여 외란의 방지를 통해 정밀한 누설전류의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부재는 차폐층을 분할하기 위한 한 쌍의 분할차폐막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폐층의 동일 간격 내에서 고정부재의 폭과 대비하여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제1 및 제2차폐층이 상기 분할차폐막에 의해 형성되어 차폐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누선전류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단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누설전류 측정부와 하부몸체의 결합관계도.
도 5는 도 4에 대한 회전체의 작용관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에 대한 회전체의 제1 및 제2단자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에 대한 분할차폐막이 구비된 상부몸체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8은 도 7에 대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에 대한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의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이하, 간략하게 '측정센서'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센서(1)는 크게 누설전류 측정부(100) 및 외란방지부(20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접지선(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측정센서(1)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전력선(20)이나 전자계의 영향인 외란이 차단되어 정밀한 누설전류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0 참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외란방지부(200) 내측에 고정 설치되되 접지선(10) 외면이 감싸지게 전류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접지선(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체(110) 및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회전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19)을 통해 제1회전체(111)와 제2회전체(112)가 상호 회전 및 고정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되 중앙부에 접지선(10)이 관통 삽입되는 삽입공(117)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갖도록 몸체부재(210)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 4 및 도 5 참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체(110) 내부에는 삽입공(117) 주변으로 자성체에 의해 제3차폐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차폐층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차폐층(221a,221b)과 함께 외란의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삽입공(117)은 제1회전체(111)와 제2회전체(112)에 각각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체(111)와 상기 제2회전체(112)가 링 형상으로 결합한 이후에 접지선(10)이 관통하는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서로 회전하는 제1 및 제2회전체(111,112)가 상호 면접하는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단자부(113)와 제2단자부(114)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113,114)는 상기 제1 및 제2회전체(111,112) 내부에 구비되어 접지선(10)에 전류가 흐를시에 유도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코일(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120)에 의해 연결된 전류계(30)에 측정된 누설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 참조)
이때, 제1단자부(1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그 끝단에는 테이퍼(11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113) 사이로 인입되는 제2단자부(114)가 상기 테이퍼(115)에 안내되어 용이하게 상기 제1단자부(113)와 접촉 후, 상기 제1단자부(113)의 텐션에 의해 제2단자부(114)가 들려져 상기 제1 및 제2단자부(113,114) 간의 접촉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제1 및 제2회전체(111,112)의 반복되는 분리 결합을 통해 제1 및 제2단자부(113,114)의 접촉불량 증상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1단자부(113)가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테이퍼(115)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제2단자부(114)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120)는 상술한 코일의 양단부나 제1 및 제2단자부(113,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110) 외면에서 연장되어 몸체부재(2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전류계(30)와 케이블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회전체(110)는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몸체부재(210)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게 하부몸체(211)의 바닥면이나 분할차폐막(220) 바닥면에 공급되는 경화성의 수지(223)에 의해 고정되어 차폐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참조)
즉, 체결수단에 의해 외란방지부(200) 내부에 누설전류 측정부(100)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하게 상기 외란방지부(200)에 체결을 위한 천공부를 형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천공부는 차폐층(221)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누설전류 측정에 미세하게 간섭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회전체(110)는 이러한 천공부의 형상을 최초화할 수 있게 상기 회전체(110)의 고정을 경화성 수지(223)에 의지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란방지부(200)는 상술한 누설전류 측정부(100)로 누설전류를 측정시에 외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여 전류계(30)를 통해 정밀한 누설전류 측정값이 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부재(210) 및 결속부재(240)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재(2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매미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가 서로 결합 및 해지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르지 않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예컨대 몸체부재(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 맞춤으로 결합하는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의 두 분체로 이루어지되 각각이 금속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이를 통해 상기 몸체부재(210) 내부에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 참조)
하부몸체(211)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으로 커넥터(120)가 관통되어 노출될 수 있게 내측 바닥면에 회전체(110) 하부가 수지(223)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이때, 하부몸체(21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회전체(112)가 회전시에 상기 하부몸체(211)의 개구된 상단의 간섭에 의해 회전반경의 제약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2회전체(112)가 회전하는 방향인 일측의 높이(h2)가 타측의 높이(h1)보다 낮게 턱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5 참조)
또한, 상부몸체(213)는 하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턱부가 형성된 하부몸체(211) 상부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하여 결속부재(240)에 의해 상호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의 결합을 통해 상기 하부몸체(211) 내부에 설치된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외부로부터 차단되게 일정 간격(W)을 갖는 차폐층(221)이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측정시에 외란의 영향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몸체(213) 하부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211)와 서로 결합시에 상기 하부몸체(211) 내면과 면접 후, 삽입되어 상기 상부몸체(213)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플레이트(215)가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참조)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 각각의 외면에는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갖는 관통공(217)이 천공형성되어 누설전류를 측정시에 삽입공(117)에 관통 삽입된 접지선(10)이 추가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7)은 상기 하부몸체(211)와 상기 상부몸체(213)에 각각 반원의 형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11)와 상기 상부몸체(213)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상기 삽입공(117)과 대향되게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일전 간격(W)의 차폐층(221)을 제1차폐층(221a)과 제2차폐층(221b)으로 분할 형성하여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 각가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할차폐막(220) 및 상기 분할차폐막(22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211)에 구비되는 상기 분할차폐막(220)은 그 내부에 회전체(110)가 수지(223)에 고정될 수 있게 항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 참조)
예컨대 분할차폐막(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성형되되 각각의 하부몸체(211) 또는 상부몸체(213)와 동일 형상을 갖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하나는 상기 하부몸체(211) 내측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상부몸체(213)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체(110)는 하부몸체(211) 내부에 구비된 분할차폐막(220) 내측에 수지(22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하부몸체(211)와 동일하게 제2회전체(112)의 회전반경에 제약이 따르지 않도록 턱부가 형성되며, 상부몸체(213) 내측에 구비된 또 다른 분할차폐막(22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안내플레이트(215)가 추가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몸체(211) 내부에 설치된 분할차폐막(220) 내면에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분할차폐막(220) 각각의 외면에는 상술한 관통공(217)과 동일하게 반원 형상을 갖되 한 쌍의 상기 분할차폐막(220)이 서로 결합시에 상기 관통공(217)과 대향되게 동일한 지름 크기를 갖는 추가관통공(217-1)이 형성되어 접지선(1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3 참조)
고정부재(2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절연재질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며, 하부몸체(211)나 상부몸체(213) 내부에 상호 마주보게 한 쌍이 대칭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분할차폐막(220) 외면이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및 도 9 참조)
아울러, 분할차폐막(220) 외면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고정부재(230)는 그 폭(D1,D2)을 달리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분할차폐막(220)을 통해 분할된 제1 및 제2차폐층(221a,221b) 간의 간격(W1,W2)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9 참조)
이때, 제1 및 제2차폐층(221a,221b)의 간격(W1,W2)은 2 내지 10mm의 간격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하부몸체(211)와 상부몸체(213)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분할차폐막(220)을 통해 일정 간격(W)을 갖는 차폐층(221)이 제1 및 제2차폐층(221a,221b)으로 분할형성되어 복수의 차폐층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회전체(110) 내부에 형성된 제3차폐층과 함께 외란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하부몸체(211), 상부몸체(213) 및 분할차폐층(221)은 1,0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총 2회에 걸쳐 열처리를 실행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우선적으로 성형하기 이전인 원재료의 상태에서 열처리를 실행한 이후에 해당 원재료를 이용하여 완전한 물품으로 성형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센서(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결속부재(240)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한 몸체부재(210) 내부에 접지선(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누설전류 측정부(100)를 설치하여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 내부에 형성된 제3차폐층과 함께 상기 몸체부재(210) 내부에 또 다른 차폐층(221)을 형성하여 외란의 방지를 통해 정밀한 누설전류의 측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부재(210)는 차폐층(221)을 분할하기 위한 한 쌍의 분할차폐막(22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차폐층(221)의 동일 간격(W) 내에서 고정부재(230)의 폭(D1,D2)과 대비하여 동일 또는 서로 다른 간격(W1,W2)을 갖는 제1 및 제2차폐층(221a,221b)이 상기 분할차폐막(220)에 의해 형성되어 차폐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100: 누설전류 측정부
110: 회전체 111: 제1회전체
112: 제2회전체 113: 제1단자부
114: 제2단자부 115: 테이퍼
117: 삽입공 119: 회전축
120: 커넥터
200: 외란방지부
210: 몸체부재 211: 하부몸체
213: 상부몸체 215: 안내플레이트
217: 관통공 217-1: 추가관통공
220: 분할차폐막 221: 차폐층
221a: 제1차폐층 221b: 제2차폐층
223: 수지 230: 고정부재
240: 결속부재
10: 접지선
20: 전력선
30: 전류계

Claims (9)

  1. 전류계(30)와 연결되어 접지선(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측정부(100); 및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 외부에서 발생하는 외란에 의해 누설전류의 측정값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차폐층(221)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 외면을 감싸는 분리 결합 가능한 외란방지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란방지부(200)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을 이루도록 두 분체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측에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재(210); 및
    두 분체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부재(210)가 상호 결속 또는 해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속부재(240);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층(221)은 상기 몸체부재(210) 내면과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210)는
    내측에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몸체(211);
    상기 하부몸체(211) 상부에 탈부착하여 상기 몸체부재(210) 내측으로 상기 차폐층(221)을 형성할 수 있게 상기 하부몸체(211)와 형상맞춤으로 결합하는 상부몸체(213); 및
    상기 몸체부재(21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를 관통한 접지선(10)이 추가적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7);을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217)은 상기 상부몸체(213)와 상기 하부몸체(211)에 분할 형성되어 상기 상부몸체(213)와 상기 하부몸체(211)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삽입공(117)과 대향되게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11)는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회전하는 방향인 일측의 높이(h2)가 타측 높이(h1)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삽입공(117)의 개폐를 위해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가 회전시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213)와 상기 하부몸체(211)는
    상기 차폐층(221)이 제1차폐층(221a)과 제2차폐층(221b)으로 분할 형성될 수 있게 상기 상부몸체(213) 및 상기 하부몸체(211)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분할차폐막(220); 및
    상기 상부몸체(213)와 상기 하부몸체(211)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분할차폐막(220)을 고정시켜 분할 형성된 상기 제1차폐층(221a)과 상기 제2차폐층(221b) 각각의 간격(W1,W2)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는 상기 하부몸체(211) 내부에 구비된 상기 분할차폐막(220) 내측으로 수지(223)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폐층(221a)과 상기 제2차폐층(221b) 각각의 간격(W1,W2)은 2 내지 10mm 이되 해당 간격(W1,W2)은 상기 고정부재(230)의 폭(D1,D2)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00)는
    제1회전체(111)와 제2회전체(112)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중앙부에는 삽입공(117)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자성체에 의해 제3차폐층(221)을 형성하는 회전체(110);
    상기 회전체(110) 내부에 구비되되 접지선(1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내부에 유도전류가 흐를 수 있는 코일; 및
    상기 외란방지부(200) 외부로 노출되되 전류계(30)와 연결되어 측정된 누설전류가 전류계(30)를 통해 수치로 변환하여 식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커넥터(120);를 포함하되,
    삽입공(117)은 상기 제1회전체(111)와 상기 제2회전체(112)에 분할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체(111)와 상기 제2회전체(112)가 서로 결합한 이후에 접지선(10)이 관통하는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천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10)는
    상기 제1회전체(111)와 상기 제2회전체(112)가 서로 면접하는 끝단부에 제1단자부(113)와 제2단자부(114)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측정된 누설전류정보가 상기 커넥터(120)를 통해 전류계(3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113) 또는 상기 제2단자부(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방으로 경사지되 끝단에 테이퍼(115)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자부(113) 또는 상기 제2단자부(114)가 상호 탈착시에 접촉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KR1020210054624A 2021-04-27 2021-04-27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KR10249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24A KR102498070B1 (ko) 2021-04-27 2021-04-27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24A KR102498070B1 (ko) 2021-04-27 2021-04-27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46A true KR20220147446A (ko) 2022-11-03
KR102498070B1 KR102498070B1 (ko) 2023-02-10

Family

ID=84040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24A KR102498070B1 (ko) 2021-04-27 2021-04-27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0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283A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KR20120102956A (ko) * 2011-03-09 2012-09-1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 조립체
KR101320170B1 (ko) 2009-07-16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리액터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2044318B1 (ko) 2017-12-21 2019-11-1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70B1 (ko) 2009-07-16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리액터
KR20120098283A (ko) * 2011-02-28 2012-09-05 한국전력공사 자계 차폐형 휴대용 누설전류 측정기
KR20120102956A (ko) * 2011-03-09 2012-09-1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 조립체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2044318B1 (ko) 2017-12-21 2019-11-1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8070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818B1 (ko) 로고스키코일을 구비하는 분할클램프식 전류센서
US6825650B1 (en) Current measuring probe and electrical energy meter for use therewith
TWI538331B (zh) 具有電流及電壓感測之引線管理器及量測方法
US9791474B2 (en) Current sens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77247B1 (ko) 전기 스위치기어를 위한 광센서 장치
CN108369857A (zh) 磁屏蔽型电流互感器
WO2005119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urrent
JP2016085216A (ja) 電流測定装置及び方法
US20140097924A1 (en) Current Transformer
US20130342188A1 (en) Disassociated Split Sensor Coil for Power Distribution Line Monitoring
KR101586785B1 (ko) 분리형 변류기
US3620079A (en) Fluid flow measuring apparatus
KR20220147446A (ko)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CN109313461A (zh) 具有综合电力监测的电源连接器
JP6803974B2 (ja) 多導体システムの1つの個別導体の電流強度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9297829B2 (en) Multifunctional measuring device
US9912289B2 (en) Distributor load cell for determining phase current in photovoltaic installations
JP2016511825A (ja) フレキシブル磁界センサー
KR102465089B1 (ko)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KR102445348B1 (ko)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KR20090131386A (ko) 광파이버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3상 일괄형 gis 스페이서
CN115524520A (zh) 磁屏蔽装置和电流传感器
US20210265110A1 (en) Current transformer
JP2013003127A (ja) 電気計測器の電線固定構造
KR102493905B1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