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348B1 -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348B1
KR102445348B1 KR1020210054626A KR20210054626A KR102445348B1 KR 102445348 B1 KR102445348 B1 KR 102445348B1 KR 1020210054626 A KR1020210054626 A KR 1020210054626A KR 20210054626 A KR20210054626 A KR 20210054626A KR 102445348 B1 KR102445348 B1 KR 10244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und connection
enclosure
leakage current
frequenc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선
김충식
김진기
이인용
김한기
Original Assignee
(주) 에스엠엔디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스엠엔디,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에스엠엔디
Priority to KR102021005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통 보조장치에서 연장된 접지연결선 외면이 감싸지도록 설치되어 해당 접지연결선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를 포함하는 복합전류를 일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는 접지연결선(10)이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100); 접지연결선(10)의 부분방전으로 인한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접지연결선(10)의 누설전류를 감지하되 차폐층이 형성되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HYBRID TYPE CURRENT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절연통 보조장치에서 연장된 접지연결선 외면이 감싸지도록 설치되어 해당 접지연결선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를 포함하는 복합전류를 일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배전기술 분야에서의 부분방전(PD:Partial Discharge)은 절연물 표면에서 고전계에 의한 부분적인 표면방전 또는 절연물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이나 기포에 발생하는 내부방전을 의미하며, 누설전류(Leakage Current)는 전력선 이외의 접지선이나 열화된 절연통 보호장치(SLV:Sheath Voltage Limiter) 등에 흐르는 전류로 이 누설전류가 증가하면 절연통 보호장치가 과열되어 파괴에 이르게 되어 전력선로의 고장 및 화재, 그리고 타 전기시설물의 파괴를 일으키는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주기적으로 검측하여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부분방전을 측정하기 위한 고주파전류센서(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와 누설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변류기(CT:Current Transformer)를 개별로 구비 후, 전기시설물의 하나인 절연통 보호장치(SLV:Sheath Voltage Limiter)에서 연장되는 접지연결선(10) 외면에 감싸도록 설치하여 부분방전과 누설전류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복수의 계측기를 사용하기에 각가의 무게로 인한 취급의 용이성이 현저하게 떨어져 사용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접지선 주변의 전력선이나 변류기와 연결되어 측정된 누설전류를 디스플레이하는 전류계에서 발생하는 전자계의 외부 영향('외란'이라 함)으로 인하여 정밀한 누설전류의 측정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20170호(공고일:2013.10.23.) 국내등록특허 제10-2044318호(공고일:2019.11.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분방전과 누설전류를 하나의 센서장치로 일괄 측정하여 취급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정밀한 누설전류의 측정을 위해 외란에 의한 영향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센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는 외면에 구비된 결속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두 분체로 이루어지되 절연통 보호장치의 접지연결선이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삽입 설치되되 접지연결선에 부분방전으로 생성되는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삽입 설치되되 접지연결선에 생성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폐층을 형성하는 누설전류 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게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 및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는 개구된 양측과 연통하는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와, 중공부 길이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와 연결되게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의 측정값을 신호검출기에 전송하기 위한 센서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는 두 분체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반원 형상으로 상호 마주보게 각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코어 중 어느 하나는 관통공에 관통 삽입되는 접지연결선의 공차값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회전하는 상기 코어 외면에는 상기 센서단자부가 관통 삽입되되 상기 코어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장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면이 개구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가 격판에 의해 분할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외함 및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외함에 각각 천공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되, 상기 외함은 반원 형상의 관통공이 원형을 이루도록 결속수단에 의해 한 쌍이 분리 결합하며, 상기 격판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상기 외함 내부에는 각각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와 차폐층을 갖는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가 서로 마주보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외함의 개구된 부분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함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와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는 경화 가능한 수지에 의해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외함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격판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호 기둥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제1삽입편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는 양단과 외면이 개구되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제1차폐관과, 상기 제1차폐관 내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중공부의 형상과 대응되게 삽입되되 양측이 개구된 제2차폐관과, 상기 제2차폐관의 개구된 양측을 통해 외부로 복수의 단자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구비되는 단자부재 및 상기 단자부재와 이어되게 상기 외함 외부로 돌출 형성되되 전류계와 연결되어 누설전류 측정값이 전송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측정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는 한 쌍의 상기 외함 내부에 반원 형상으로 상호 마주보게 각각 삽입되며, 상기 차폐층은 상기 제1차폐관 외면과 상기 격판을 포함하는 상기 외함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제1차폐층과 상기 제1차폐관 내면과 상기 제2차폐관 외면 사이에 형성된 제2차폐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폐관 양측에는 내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차폐관과 서로 마주보는 또 다른 상기 제1차폐관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삽입편 또는 상기 단자 외면에 테이퍼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는 접지연결선(10)이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100); 접지연결선(10)의 부분방전으로 인한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접지연결선(10)의 누설전류를 감지하되 차폐층이 형성되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외면이 개구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가 격판(111)에 의해 분할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관통공(120)이 형성된 외함(110); 및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외함(110)에 각각 천공형성된 삽입공(115);을 포함하되, 상기 외함(110)은 반원 형상의 관통공(120)이 원형을 이루도록 결속수단(400)에 의해 한 쌍이 분리 결합하며, 상기 격판(111)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상기 외함(110) 내부에는 각각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와 차폐층을 갖는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서로 마주보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외함(110)의 개구된 부분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함(110)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와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는 경화 가능한 수지(117)에 의해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외함(110)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격판(111)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상호 기둥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제1삽입편(119)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코어(220); 및 상기 코어(220)와 연결되게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며, 측정된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검출기(20)에 전송하는 센서단자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220) 중 어느 하나는 관통공(120)에 관통 삽입되는 접지연결선(10)의 공차값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210)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서로 분리 결합하는 한 쌍의 외함 내부에 각각 한 쌍의 고주파 전류센서부 및 한 쌍의 누설전류 측정부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구비시켜 관통공을 통해 외면이 감싸지는 접지연결선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과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일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수지에 의해 간격이 고정된 제1 및 제2차폐층을 통해 주변의 전력선이나 전자계의 간섭을 방지한 상태에서 누설전류의 측정이 가능하여 정밀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절연통 보호장치에 설치된 고주파 전류센서와 변류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외함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에 대한 한 쌍의 외함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에 대한 한 쌍의 고주파 전류센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코어가 회전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대한 코어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작용관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에 대한 한 쌍의 누설전류 측정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대한 한 쌍의 누설전류 측정부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대한 단자 간의 접촉관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이하, 간략하게 '센서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1)는 크게 하우징(100),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진 외함(110)이 전체적으로 사각 또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결속수단(400)에 의해 체결되며, 각각의 상기 외함(110) 내부에는 후술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설치되어 접지연결선(10)의 부분방전(PD:Partial Discharge) 및 누설전류(Leakage Current)을 포함하는 복합전류를 일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참조)
이때, 결속수단(400)에 의해 기둥형상으로 상호 체결된 한 쌍의 외함(110) 사이에는 상면에서 하면까지 이어지되 그 내부에 구비된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접지연결선(10)이 관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컨대 각각의 외함(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격판(111)이 설치되어 상기 외함(110) 내부의 공간부가 분할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격판(111)의 위치는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분할된 각각의 공간부에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또는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격판(111)은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구성하는 제1차폐관(310) 외면과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외함(110) 내면과 함께 제1차폐층(S1)이 형성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외함(110) 중 어느 하나에는 도시한 바와 가팅, 제1삽입편(119)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삽입편(119) 외면은 다른 외함(110) 내면과 면접하여 한 쌍의 상기 외함(110)이 결속수단(400)에 의해 서로 결합시에 그 표면이 매끄럽게 형상 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제1삽입편(119)은 하우징(100)이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경우, 외함(110)의 내면과 안정적으로 면접할 수 있게 곡선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삽입편(119)이 삽입되는 외함(110) 내부에 구비된 격판(111) 양단은 상기 제1삽입편(119)이 삽입되는 삽입홈(113)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외함(110) 상부에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또는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신호검출기(20) 또는 전류계(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단자부(230) 또는 측정단자부(340)가 삽입되는 삽입공(115)이 형성된다.
한편, 각각의 외함(110) 내부에 구비된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누설전류 측정부(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경화가능한 수지(11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함(110) 외부에 구비되는 결속수단(400)은 회전에 의해 결속 또는 해지되는 통상의 매미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르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HFCT: 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는 접지연결선(10)의 부분방전이 발생되면 그 부분방전으로 생성되는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케이스(210), 코어(220) 및 센서단자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는 그 중앙부에 하우징(100)에서 연장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게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의 외함(110) 내부에 상호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구현하여 상기 관통공(120) 내측으로 접지연결선(10) 외면이 감싸지게 설치되는 점에 유의한다.
예컨대 케이스(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를 재료하여 양측이 개구되되 내부에는 코어(220)가 삽입되기 위한 중공부를 갖는 반원의 관(Pipe) 형상으로 성형된다.
아울러, 케이스(210) 상부에는 외함(110)에 형성된 삽입공(115)과 대향되게(도면상으로 수직방향) 끼움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5)에 결합하는 센서단자부(230)와 코어(2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코어(220)는 양단이 케이스(210)의 개구된 양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중공부 내에 삽입되어 부분방전으로 생성되는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가 센서단자부(230)를 통해 신호검출기(2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코어(220)의 양단은 양측이 개구된 케이스(2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외함(110)에 외부로 노출된 상기 코어(220)의 양단이 상호 마주보게 링(Ring)의 형상을 갖도록 설치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사이로 관통공(120)을 통해 관통 삽입된 접지연결선(10) 외면이 감싸지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중 어느 하나의 코어(220)는 접지연결선(10)의 외경에 대한 공차값의 보상을 위해 케이스(210) 내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이를 위해 상기 코어(220) 외면에는 끼움공(211)과 대향되되 센서단자부(230) 하부가 삽입되는 굴곡된 형상의 장공(221)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센서단자부(230)에서 연장된 케이블 등이 상기 코어(220)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코어(220)가 회전시에 외함(110)에 고정된 상기 센서단자부(230)의 외면과의 면접에 의해 정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는 접지연결선(10)에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류계(30)를 통해 감지한 누설전류의 측정값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차폐관(310), 제2차폐관(320), 단자부재(330) 및 측정단자부(3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는 그 중앙부에 하우징(100)에서 연장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될 수 있게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의 외함(110) 내부에 상호 마주보게 각각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구현하여 상기 관통공(120) 내측으로 접지연결선(10) 외면이 감싸지게 설치되는 점에 유의한다.
예컨대 제1차폐관(3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외면 및 양측이 개구되게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차폐관(320)이 삽입 설치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를 갖도록 한 쌍의 외함(110)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제1차폐관(31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제1차폐관(310)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2삽입편(311)이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제1차폐관(310)이 안정적으로 삽입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차폐관(310) 외면 즉, 상면은 격판(111)과 이격되되 양면과 하면은 각각 외함(110) 내면과 이격 형성되어 제1차폐층(S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차폐층(S1)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제1차폐관(310)은 상기 제1차폐층(S1) 내부에 주입되는 수지(117)를 통해 외함 또는 격판(111)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2차폐관(3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단자부재(330)가 삽입되는 중공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양측을 통해 상기 단자부재(330)를 구성하는 단자(331)가 외부로 노출되어 한 쌍의 상기 제2차폐관(320)이 상호 결합시에 각각의 상기 단자(331)가 서로 면접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제2차폐관(320) 외면은 제1차폐관(310) 내면과 서로 이격되게 고정 배치되어 제2차폐층(S2)을 형성하되 상기 제2차폐층(S2)은 그 내부에 주입되는 수지(117)의 경화를 통해 그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제1차폐층(S1)과 상기 제2차폐층(S2)은 각각 2 내지 5mm 이내의 간격을 갖도록 수지(117)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3 참조)
아울러, 상술한 제1차폐관(310) 및 상기 제2차폐관(320) 외면에는 외함(110) 외면에 구비된 측정단자부(340)가 단자부재(330)를 구성하는 코일(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통공이 천공형성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제2차폐관(320) 내부에 상호 마주보게 구비된 복수의 단자(331)는 서로 면접시에 접촉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각각의 상기 단자(331)는 하방으로 경사지게 그 외면에 테이퍼(3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퍼(333)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단자(331)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접촉력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상술한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를 제외한 외함(110), 제1 및 제2차폐관(320)은 1,0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총 2회에 걸쳐 열처리를 실행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우선적으로 성형하기 이전인 원재료의 상태에서 열처리를 실행한 이후에 해당 원재료를 이용하여 완전한 물품으로 성형한 이후에 추가적으로 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서로 분리 결합하는 한 쌍의 외함(110) 내부에 각각 한 쌍의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한 쌍의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구비시켜 관통공(120)을 통해 외면이 감싸지게 절연통 보호장치(SVL)에서 연장된 접지연결선(10)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과 누설전류를 용이하게 일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수지(117)에 의해 간격이 고정된 제1 및 제2차폐층(S2)을 통해 주변의 전력선이나 전자계의 간섭을 방지한 상태에서 누설전류의 측정이 가능하여 정밀한 측정값을 도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100: 하우징
110: 외함 111: 격판
113: 삽입홈 115: 삽입공
117: 수지 119: 제1삽입편
120: 관통공
200: 고주파 전류센서부
210: 케이스 211: 끼움공
220: 코어 221: 장공
230; 센서단자부
300: 누설전류 측정부
310: 제1차폐관 311: 제2삽입편
320: 제2차폐관 330: 단자부재
331: 단자 333: 테이퍼
340: 측정단자부
400: 결속수단
S1: 제1차폐층
S2: 제2차폐층

Claims (3)

  1. 접지연결선(10)이 관통 삽입되는 하우징(100);
    접지연결선(10)의 부분방전으로 인한 고주파 전류의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류센서부(200); 및
    접지연결선(10)의 누설전류를 감지하되 차폐층이 형성되게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누설전류 측정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은
    외면이 개구된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가 격판(111)에 의해 분할 형성되며, 반원 형상의 관통공(120)이 형성된 외함(110); 및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외함(110)에 각각 천공형성된 삽입공(115);을 포함하되,
    상기 외함(110)은 반원 형상의 관통공(120)이 원형을 이루도록 결속수단(400)에 의해 한 쌍이 분리 결합하며,
    상기 격판(111)에 의해 분할된 한 쌍의 상기 외함(110) 내부에는 각각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와 차폐층을 갖는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가 서로 마주보게 삽입 설치되어 상기 외함(110)의 개구된 부분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함(110) 내부에 삽입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와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300)는 경화 가능한 수지(117)에 의해 고정되며,
    한 쌍의 상기 외함(110) 중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의 상기 격판(111)에 형성된 삽입홈(113)에 삽입되어 상호 기둥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게 안내하는 제1삽입편(119)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는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에 삽입되는 코어(220); 및
    상기 코어(220)와 연결되게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되며, 측정된 전기적인 신호를 신호검출기(20)에 전송하는 센서단자부(230);를 포함하되,
    상기 고주파 전류센서부(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220) 중 어느 하나는
    관통공(120)에 관통 삽입되는 접지연결선(10)의 공차값을 보상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케이스(210) 내외부로 출입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KR1020210054626A 2021-04-27 2021-04-27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KR10244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26A KR102445348B1 (ko) 2021-04-27 2021-04-27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26A KR102445348B1 (ko) 2021-04-27 2021-04-27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5348B1 true KR102445348B1 (ko) 2022-09-20

Family

ID=8344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26A KR102445348B1 (ko) 2021-04-27 2021-04-27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3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70B1 (ko) 2009-07-16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리액터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932901B1 (ko) * 2017-09-12 2018-12-28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위치 검출 장치
KR102044318B1 (ko) 2017-12-21 2019-11-1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2089184B1 (ko) * 2018-11-29 2020-03-13 한국전력공사 절연통 보호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70B1 (ko) 2009-07-16 2013-10-23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리액터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932901B1 (ko) * 2017-09-12 2018-12-28 한국전력공사 부분방전위치 검출 장치
KR102044318B1 (ko) 2017-12-21 2019-11-13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2089184B1 (ko) * 2018-11-29 2020-03-13 한국전력공사 절연통 보호장치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35565B1 (ko) * 2019-06-03 2020-07-20 주식회사 테스 부하와 차단기 사이의 전류량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2207B1 (en) Power sensing transducer
EP2148210A1 (en) 3-phase Faraday optical current sensor assembly
JP2023030195A (ja) 電気ケーブルのインピーダンス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結合器構成、およびそれらの使用
JPS60256067A (ja) 中高電圧用電流センサー
US11367545B2 (en) Pluggable high-voltage bushing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the pluggable high-voltage bushing
RU2659354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CN109313219A (zh) 高压引入绝缘装置
KR102445348B1 (ko) 고주파전류와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KR102465089B1 (ko) 복합전류측정 센서장치
JP5328598B2 (ja) 放射線モニタ
DE102010061605A1 (de) Faseroptischer Sensor sowie Messeinrichtung mit einem faseroptischen Sensor
KR100996138B1 (ko) 광파이버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3상 일괄형 gis 스페이서
EP2625699B1 (en) Multifunctional measuring device
CN210984509U (zh) 一种开合式电流互感器
KR102498070B1 (ko) 외란의 영향을 차단하는 누설전류 측정센서
RU2384913C1 (ru) Ионизационная камера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и защиты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US20210265110A1 (en) Current transformer
GB2179455A (en) Conducting enclosures for magnetometers
KR101040336B1 (ko)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전선관
CN108352249B (zh) 电流传感器
JP2016213082A (ja) 電離箱装置
CN210604843U (zh) 高压套管末屏装置
KR101678998B1 (ko) 계기용 변류기
CN214753353U (zh) 壳体结构及电流互感器
JP2009198273A (ja) 原子炉核計装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