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2448A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448A
KR20120102448A KR1020110020620A KR20110020620A KR20120102448A KR 20120102448 A KR20120102448 A KR 20120102448A KR 1020110020620 A KR1020110020620 A KR 1020110020620A KR 20110020620 A KR20110020620 A KR 20110020620A KR 20120102448 A KR20120102448 A KR 20120102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ck signal
communication device
short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4250B1 (ko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0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50B1/ko
Priority to US13/293,278 priority patent/US9252925B2/en
Priority to GB1200270.5A priority patent/GB2488860B/en
Priority to CN201210060353.1A priority patent/CN102684829B/zh
Publication of KR20120102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92Physical properties of the supervisory signal, e.g. acknowledgement by energy bur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75Passive attacks, e.g. eavesdropping or listening without modification of the traffic monito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전송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통신 장치들 간의 최대 통신 거리에 따라 결정된 전송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통신 프로토콜에 몇 개의 수신 단말이 있는지 파악하지 않고도 일대일 통신의 프로토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대다 통신시에 일대일 통신 속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통신시스템에서 일대일 통신을 살펴보면 송신 단말에서 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에서는 그 신호를 잘 받았다는 ACK신호를 송신 단말로 다시 전송한다. 만약 데이터가 잘못 수신된 경우에는 NACK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단말에서는 수신 단말로부터의 ACK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다시 다음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만약 수신 단말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하거나 일정 시간 내에 ACK 신호를 받지 못했을 경우에는 이미 전송했던 데이터를 다시 전송한다.
또한, 일반적인 일대다 통신에서 하나의 송신 단말이 여러 개의 수신 단말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는 송신 단말에서 수신 단말의 ID 번호를 알아서 그 ID를 활용해서 전송한다. 수신 단말에서는 ID를 확인해서 자신의 ID가 맞으면 데이터를 수신하고, ID가 자신의 것이 아니면 받은 데이터를 버린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에 몇 개의 수신 단말이 있는지 파악하지 않고도 일대일 통신의 프로토콜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대다 통신시에 일대일 통신 속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일대일 통신과 일대다 통신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일대일 통신과 일대다 통신의 프로토콜이 같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대일 통신시에는 통신하고자 하는 수신 단말 이외에 제3의 단말에 데이터를 전달하지 못하도록 보호할 수 있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전송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통신 장치들 간의 최대 통신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전송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상기 도달 시간 차이보다 4배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상기 도달 시간 차이보다 8배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전송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 및 상기 일대다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일대일 통신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상기 생성한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일대다 통신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전송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제2 통신 장치와의 최대 통신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전송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보다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 및 상기 일대다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대일 통신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각각 생성한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ACK 신호를 확인하고 나서, 다음 전송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와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를 비교하고, 각각의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한 후,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와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를 비교하고, 각각의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대다 통신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 및 다른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나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각각의 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일대다 통신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전송할 이미지의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다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전송할 이미지의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헤더에 할당된 비트를 확인하여 상기 일대다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1 프레임을 확인하고, 제2 프레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단말은 적어도 둘이고,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일대다 전용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수신 단말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각각의 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일대일 통신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전송할 이미지의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전송할 이미지의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헤더에 할당된 비트를 확인하여 상기 일대일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1 프레임을 확인하고, 제2 프레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CK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ACK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ACK 신호가 적어도 1 회 이상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단말로의 이미지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전송을 중단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일대일 통신용의 간단한 프로토콜로 일대다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송신 단말에서 다수의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시간을 일대일 통신의 통신 시간과 동일하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일대일 근거리 통신시에 제3의 수신 단말이 일대일 통신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대다 통신에서 페이딩 효과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일대다 통신에서 동일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에서 수신한 ACK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 통신에서 동시에 일대다 통신을 수행하려고 하면 송신 단말이 수 신 기기의 아이디(ID)를 확인해서 아이디에 따라 따로 데이터를 할당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수신 단말 입장에서는 데이터 처리율(data throughput)이 수신 단말의 수에 비례해서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통신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근거리 통신에서는 일대다 통신보다는 일대일 통신을 여러 번 수행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통신거리가 짧은, 예를 들면 5cm 이내인 근거리 통신을 살펴보면 통신거리가 너무 짧아서 일대일 통신과 일대다 통신을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대일 통신중 제3자가 전송하고 있는 데이터를 가져갈 수 없다. 하지만 통신 거리가, 예를 들면 30cm 정도인 근거리 통신의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송신 단말에서 사진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단말에서는 각각의 프레임마다 잘 받았다는 ACK 신호를 보내는 경우, 일대일 통신을 원하는 상황에서 악의를 가진 제3의 사용자 또는 악의가 없는 제3의 사용자가 송신 단말에서 보낸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보안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악의가 없는 사용자는 원치 않는 데이터를 전송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프로토콜을 복잡하게 한다면 근거리 통신의 특징인 노 페이딩(no fading) 효과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매 통신마다 수신 단말의 개수를 파악하고 단말마다 다른 아이디를 부여하는 기존 통신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통신 속도가 줄어드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수십 cm의 통신 거리를 갖는 근거리 통신에서는 일반적인 통신환경과 다르다. 근거리 통신의 특징상 송신 단말와 수신 단말의 거리가 짧다. 그래서 페이딩 효과가 없으므로, 전송 이후 수신 단말의 응답 속도가 항상 일정하다. 그리고 수신 단말에서의 ACK 신호가 송신 단말에 도착하는 시간도 일정하다.
도 1은 일대다 통신에서 페이딩 효과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통신 환경에서, 송신 단말에서 전송한 신호가 페이딩 효과에 의해 수신 단말 1 및 수신 단말 2에서의 수신 신호의 시간차이가 나타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1b를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환경에서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사이에 페이딩 효과가 없기 때문에, 수신 단말 1 및 수신 단말 2에서의 수신 신호의 시간차이가 작게 또는 거의 나지 않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근거리 통신에서는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다중경로에 의한 다중 경로 페이딩(multi path fading) 효과가 작고 단지 두 단말 간의 거리 차에 의한 신호 전달 시간 차이에 의한 영향만 받는다. 페이딩 효과가 작다는 것은 하나의 송신 단말에서 주변에 여러 개의 수신 단말이 있을 때 송신 단말에서 전송된 신호가 주변의 수신 단말들에게 전달되는 신호가 같은 시간에 도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으로 일대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주파수는 근거리 시스템에서 전송 신호의 샘플링 레이트의 50% 이내에서 신호 도착시간이 차이가 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30cm가 최대 통신 거리인 근거리 통신에서 송신 단말의 신호가 수신 단말에 도착하는 시간 차이는 전파 속도가 300m/usec 이므로, 최대 1 nsec이다. 이러한 시간 차이가 전송할 데이터의 한 주기의 4배의 샘플링 레이트에도 지장없이 복조 되려면 샘플링 레이트의 12.5% 가 1nsec 보다 크면 여러 개의 수신 단말도 같은 시간에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즉, 송신 단말에서 전송한 신호의 수신 단말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 차이가 1nsec 이라면, 수신 단말에서 전송하는 ACK 신호를 송신 단말에서 수신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 차이는 2nsec가 된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송신 단말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송수신 단말 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의 도착시간차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 4배 크게, 더 바람직하게 8 배 크게 설정한다면 송신 단말에서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다수의 수신 단말로부터 ACK 신호를 거의 동시에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일대일 통신은 또는 일대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하나의 송신 단말에서 보낸 신호는 여러 개의 수신 단말에 전송되고, 수신 단말들은 같은 시간에 이 데이터를 받게되고, 또한 동시에 ACK 신호를 송신 단말에 보내게 되어 송신 단말은 여러 개의 수신 단말의 ACK 신호를 받게 된다. 여기에서 모두 같은 ACK 신호를 받았기 때문에 ACK 신호는 충돌(collision)이 없이 하나의 정상적인 ACK 신호를 받게 된다. 따라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송신 단말에서 여러 개의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대다 통신에서 동일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러 개의 송신 단말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 단말이 거의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신호의 충돌없이 완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다수의 수신 단말에서 전송한 ACK 신호를 거의 동시에 수신하기 때문에, 송신 단말에서는 완전한 ACK 신호를 수신하여 일대다 통신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수신 단말들은 전송 데이터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를 수신한 후, 바로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송신 단말에 ACK 신호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일 예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전송할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송수신 단말 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의 도착시간차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 4배 크게, 더 바람직하게 8 배 크게 설정한다. 또한, 통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캠코더 등의 휴대 디지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버퍼 저장부(140), 데이터 저장부(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2), 디스플레이부(160),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 및 조작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부(110),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112), 조리개 구동부(113), 촬상 소자(115), 촬상 소자 제어부(116),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부로 지칭할 수 있다.
렌즈부(lens unit, 110)는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부(1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리개(112)는 그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입사광의 광량을 조절한다. 렌즈부 구동부(111) 및 조리개 구동부(113)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제공받아, 각각 렌즈(110) 및 조리개(112)를 구동한다. 렌즈부 구동부(111)는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고,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들의 동작을 수행한다. 조리개 구동부(113)는 조리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고, 특히 f 넘버 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오토 포커스, 자동 노출 보정, 초점 변경, 피사계 심도 조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렌즈부(1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상기 촬상 소자(1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15)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16)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 소자(115)를 제어할 수 있다. 촬상 소자(115)의 노광 시간은 셔터(미도시)로 조절된다. 셔터는 가리개의 이동하여 빛의 입사를 조절하는 기계식 셔터와, 촬상 소자(11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노광을 제어하는 전자식 셔터가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120)는 촬상 소자(115)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저감 처리, 게인 조정, 파형 정형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접촉 또는 수 cm 내지 수십 cm 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 거리 내의 통신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전송할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송수신 단말 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의 도착시간차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 4배 크게, 더 바람직하게 8 배 크게 설정하여, 일대일 통신 프로토콜에 변경 없이, 일대다 통신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조작부(17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조작부(17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1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상기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서 촬영한 정지 영상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시각적인 정보 및 청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부(162)는 디스플레이부(16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제어부(20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을 포함한다. 압축한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
또한, 제어부(200)는 프로그램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별도의 모듈을 구비하여,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렌즈부 구동부(111), 조리개 구동부(113), 및 촬상 소자 제어부(116)에 제공하고, 셔터, 플래시 등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로서,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인터페이스부(400), 송신부(410) 및 수신부(42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00)는 송신부(410)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또는 수신부(420)를 통해 전송받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00)로부터 디지털 촬영 장치(10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의 일대일 또는 일대다 전송 명령을 송신부(41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200)로부터 근거리 통신 모듈(117)의 활성화 명령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117)을 활성화시킨다.
송신부(410)는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20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샘플링하여 변조된 데이터를 확산시켜 신호 전극(440)을 통해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송신부(410)는 데이터 생성기, 스크램블러, 샘플링부, 확산부, 멀티플렉서, 헤더 생성부, 프리엠블 생성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샘플링 레이트는 송수신 단말 간의 거리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송수신 단말 간의 신호의 도착시간차이보다 크게, 바람직하게 4배 크게, 더 바람직하게 8 배 크게 설정함으로써,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송신부(410)는 제어부(200)의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의 선택에 따라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전송 프레임 데이터의 헤더에 할당하여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전송 데이터의 프레임 구조에서, 헤더 부분에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을 각각 나타내는 비트를 할당한다.
또한, 송신부(410)는 수신부(420)를 통해 다른 송신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 데이터를 확인한 후 전송하는 ACK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송신부(410)는 수신부(420)를 통해 다른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의 헤더 정보를 전달받아, 일대일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확인한 경우에는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일대다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확인한 경우에는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부(420)는 다른 송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근거리 통신에 따라 신호 전극(440)을 통해 다른 송신 단말로부터의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회로(430)에서 노이즈 제거 및 게인 증폭 등을 거친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420)는 송신부(410)의 역과정, 예를 들면 전송 데이터를 헤더와 데이터로 분리하여 각각을 역확산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복조한다. 또한, 수신부(420)는 수신한 전송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리하고, 헤더를 확인하여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송신부(410)에 제공하면, 송신부(410)는 일대일 통신일 경우에는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전송하고, 일대다 통신일 경우에는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전송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에서 수신한 ACK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 1, 수신 단말 2, 수신 단말 3에서 동일한 ACK 신호를 전송한 경우, 이를 수신한 송신 단말에서는 ACK 신호가 거의 깨지지 않은 완전한 상태로 수신하게 된다. 즉, 송신 단말에서 수신한 ACK 신호가 충돌없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 단말의 사용자가 일대다 통신으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할 때는 송신 단말은 헤더에 일대다 통신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반영해서 전체 프레임을 전송한다. 수신 단말에서는 전체 프레임을 받고나서, 헤더를 읽고 일대다 통신인지 확인하는 비트를 확인해서 바로 ACK 신호를 만들어 내는데 일대다 통신 전용 ACK 신호를 만들어서 다시 송신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일대다 통신의 경우에는 수신 단말마다 같은 ACK 신호가 나오므로 신호끼리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신 단말 중의 하나가 데이터를 잘못 받았을 경우에 ACK가 아니 NACK를 보내게 되면 송신 단말에서는 NACK로 인식해서 이전에 전송했던 프레임을 다시 보내게 된다. 그러면 모든 수신 단말이 성공적으로 데이터를 전송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일대다 통신의 경우, 일대다 전용 ACK를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 모든 수신 단말에서 동일한 ACK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송신 단말에서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완전한 ACK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 1, 수신 단말 2, 수신 단말 3에서 서로 다른 ACK 신호를 전송한 경우, 이를 수신한 송신 단말에서는 ACK 신호가 깨지거나 또는 불완전한 상태로 수신하게 된다. 즉, 송신 단말에서 수신한 ACK 신호들이 서로 충돌한 상태로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일대일 통신의 경우, 수신 단말이 랜덤하게 ACK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송신 단말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불완전한 ACK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송신 단말 사용자가 일대일 통신으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할 때는 송신 단말은 헤더에 일대일 통신 정보를 반영해서 전체 프레임을 전송한다. 수신 단말에서는 전체 프레임을 받고, 헤더를 읽어서 일대일 통신인지 확인 한 후 ACK를 만들어 내는데 일대일 통신을 여러 개의 ACK 신호들 중에서 한 개를 랜덤으로 생성하여 다시 송신 단말로 전송한다. 송신 단말에서는 받은 ACK 신호를 보고 다음 프레임을 보낼지 결정한다. 일대일 통신을 선택했는데 다른 제3의 수신 단말이 있어서 ACK를 보낸다면 수신 단말마다 보내는 ACK 신호가 같지 않아 수신 단말의 ACK 신호가 서로 섞이는 간섭의 효과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송신 단말에서는 기대하는 ACK 신호를 받을 수 값을 받을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송신 단말에서는 이상한 ACK 값이 들어오게 되면 여러 가지 판단을 할 수 있는데 우선 통신 상태가 좋지 않아서 ACK 신호가 깨진 것으로 보고 다시 보냈던 프레임을 다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그 값이 일정하게 똑같이 깨진다면 일대일 통신을 해야 하는데 주변에 제3의 수신 단말이 있다고 판단하고 통신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일대일 통신과 일대다 통신의 프로토콜이 같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일대일 통신시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대상 수신 단말 이외의 제3의 단말에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 제어부(800) 및 수신 단말 제어부(830)에서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다.
송신 단말 제어부(800)에서 이미지 일대다 통신을 선택하면, 송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810)에서 헤더에 일대다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800)의 프레임 1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신 단말은 다수이다.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820)은 전송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헤더를 해석하여 일대다 통신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은 헤더에 설정된 비트를 확인하여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 후, 프레임 1을 수신 단말 제어부(830)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제어부(830)의 다음 프레임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820)은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선택하여 송신 단말에 전송한다.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810)은 ACK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800)의 프레임 2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다음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송신 단말 제어부(900) 및 수신 단말 제어부(930)에서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다.
송신 단말 제어부(900)에서 이미지 일대다 통신을 선택하면, 송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910)에서 헤더에 일대다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900)의 프레임 1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수신 단말은 다수이다.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920)은 전송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헤더를 해석하여 일대다 통신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은 헤더에 설정된 비트를 확인하여 일대일 또는 일대다 통신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 후, 프레임 1을 수신 단말 제어부(930)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제어부(930)의 다음 프레임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920)은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선택하여 송신 단말에 전송한다.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810)은 ACK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다. 여기서, NACK 신호를 전송하거나, 다수의 수신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수신 단말에서 NACK 신호가 전송된 경우에는 CRC 체크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900)에 NACK를 알리면 송신 단말 제어부(900)의 프레임 1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재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 제어부(1000) 및 수신 단말 제어부(1030)에서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다.
송신 단말 제어부(1000)에서 이미지 일대일 통신을 선택하면, 송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010)에서 헤더에 일대일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1000)의 프레임 1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020)은 전송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헤더를 해석하여 일대일 통신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은 헤더에 설정된 비트를 확인하여 일대일 통신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 후, 프레임 1을 수신 단말 제어부(1030)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제어부(1030)의 다음 프레임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020)은 일대일 통신을 위해 랜덤하게 ACK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단말에 전송한다.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1010)은 ACK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1000)의 프레임 2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따라 다음 프레임을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 제어부(1100) 및 수신 단말 제어부(1130)에서 각각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한다.
송신 단말 제어부(1100)에서 이미지 일대일 통신을 선택하면, 송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110)에서 헤더에 일대일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 단말 제어부(1100)의 프레임 1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120)은 전송 데이터에서 헤더를 분리하여 헤더를 해석하여 일대일 통신인지 확인한다. 여기서, 확인은 헤더에 설정된 비트를 확인하여 일대일 통신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 후, 프레임 1을 수신 단말 제어부(1130)에 전송한다. 수신 단말 제어부(1130)의 다음 프레임 전송 요청에 따라 수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1120)은 일대일 통신을 위해 랜덤하게 ACK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 단말에 전송한다.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1110)은 ACK를 확인하고, CRC 체크를 한다. 여기서, ACK 신호가 불완전하거나 또는 깨졌거나 NACK 신호를 확인한 경우에는 송신 단말 제어부(1100)에 NACK임을 알리면, 송신 단말 제어부(1100)의 프레임 1의 재전송 요청에 따라 프레임 1을 수신 단말에 재전송한다. 여기서, 일대일 통신의 대상 수신 단말 이외의 제3의 수신 단말에서 생성된 랜덤한 ACK 신호를 송신 단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수신한 경우에는 ACK 신호가 불완전하게 되므로, 프레임 1을 우선 재전송하고, 다시 ACK 신호를 확인하여 소정 횟수 이상 ACK 신호가 깨지거나 CR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보안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송신 단말 제어부(1100)에 알려, 전송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방법은 사용자의 간단한 선택에 따라 일대일 통신용의 간단한 프로토콜로 일대다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송신 단말에서 다수의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시간을 일대일 전송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대일 근거리 통신시에 제3의 수신 단말이 일대일 통신의 데이터를 읽지 못하도록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본 발명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본 발명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디지털 촬영 장치
200: 제어부
117 : 근거리 통신 모듈

Claims (22)

  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통신 장치의 전송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통신 장치들 간의 최대 통신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전송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상기 도달 시간 차이보다 4배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상기 도달 시간 차이보다 8배 크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전송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 및 상기 일대다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일대일 통신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전송 데이터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상기 생성한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일대다 통신인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전송 데이터를 송신한 통신 장치에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전송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샘플링 레이트를 제2 통신 장치와의 최대 통신 거리에 따라 결정된 상기 전송 데이터의 도달 시간 차이보다 크게 설정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상기 전송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통신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적어도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에서 일대일 통신 또는 일대다 통신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 및 상기 일대다 통신을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대일 통신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각각 생성한 ACK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ACK 신호를 확인하고 나서, 다음 전송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와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를 비교하고, 각각의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에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재전송한 후,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와 상기 다른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ACK 신호를 비교하고, 각각의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송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일대다 통신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 및 다른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전송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나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제1 통신 장치에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7.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각각의 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일대다 통신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전송할 이미지의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다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전송할 이미지의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헤더에 할당된 비트를 확인하여 상기 일대다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1 프레임을 확인하고, 제2 프레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은 적어도 둘이고,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수신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일대다 전용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일대다 전용 ACK 신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로부터 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수신 단말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9.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각각의 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일대일 통신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전송할 이미지의 데이터의 헤더에 상기 일대일 통신에 상응하는 비트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전송할 이미지의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헤더에 할당된 비트를 확인하여 상기 일대일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1 프레임을 확인하고, 제2 프레임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ACK 신호를 랜덤하게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ACK 신호를 상기 송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ACK 신호가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을 상기 수신 단말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근거리 통신 모듈에서 상기 ACK 신호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ACK 신호가 적어도 1 회 이상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수신 단말로의 이미지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전송을 중단한 경우, 상기 송신 단말의 제어부에서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110020620A 2011-03-08 2011-03-0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79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20A KR101794250B1 (ko) 2011-03-08 2011-03-0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13/293,278 US9252925B2 (en) 2011-03-08 2011-11-10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GB1200270.5A GB2488860B (en) 2011-03-08 2012-01-09 Communication apparatus,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201210060353.1A CN102684829B (zh) 2011-03-08 2012-03-08 通信设备、通信系统和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620A KR101794250B1 (ko) 2011-03-08 2011-03-0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448A true KR20120102448A (ko) 2012-09-18
KR101794250B1 KR101794250B1 (ko) 2017-11-07

Family

ID=4578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620A KR101794250B1 (ko) 2011-03-08 2011-03-08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2925B2 (ko)
KR (1) KR101794250B1 (ko)
CN (1) CN102684829B (ko)
GB (1) GB2488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193B1 (ko) * 2010-04-15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2407B1 (ko) 2013-05-07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콘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6921471A (zh) * 2015-12-28 2017-07-04 镇江高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短距离通信设备
US10388412B1 (en) * 2018-03-29 2019-08-20 Reciprocal Labs Corporation Decreased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for use with medicam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9830D0 (en) * 2000-04-25 2000-06-0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ime of arrival estimation for positioning systems
GB0012409D0 (en) 2000-05-23 2000-07-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system and stations for, and method of, multicast communication
GB0015621D0 (en) 2000-06-27 2000-08-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ulticast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US8220047B1 (en) * 2006-08-09 2012-07-10 Google Inc. Anti-phishing system and method
CN101242405A (zh) * 2007-02-09 2008-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媒体接入控制层协议数据单元帧的生成方法及其结构
JP2009049461A (ja) * 2007-08-13 2009-03-05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EP2026491A1 (en) * 2007-08-13 2009-02-18 Panasonic Corporation Soft-buffer management of a re-transmission protocol for uni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s
US8804611B2 (en) * 2009-02-12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ing successful reception of a data transmission for multi-access compatibil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038011A (en) * 2009-04-07 2010-10-16 Chicony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connecting and sett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8224233B2 (en) * 2009-10-09 2012-07-17 At&T Mobility Ii Llc Regulation of service in restricted telecommunication servic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88860B (en) 2018-11-21
KR101794250B1 (ko) 2017-11-07
CN102684829A (zh) 2012-09-19
GB2488860A (en) 2012-09-12
CN102684829B (zh) 2016-09-28
US9252925B2 (en) 2016-02-02
GB201200270D0 (en) 2012-02-22
US20120230234A1 (en)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4098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用户设备
US9584713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specifying an object in image data based on object detection, motion detection and/or object recognitio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753457A (zh) 具有可用作遥控器的触摸屏显示面板的数码相机和操作该数码相机的方法
JP2005341595A (ja) カメラ装置を利用して可視光線近距離通信を実行する無線端末機
JP2017507614A (ja) 高周波可視光通信信号を復号するための画像センサー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9430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ide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feedback
US202101767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unlicensed cell,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20120102448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US11894927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641179B1 (en) Harq feedback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4003255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09090862A1 (ja) 撮像装置、携帯端末及びカメラ制御方法
JP4732107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CN112055950B (zh) 用于混合自动重传请求harq传输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20150059964A (ko)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42271A (ja) ビデオカメラ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9534919A (ja) 携帯電子装置の特徴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200487B (zh) 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harq-ack的传输方法及装置
US1028503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9148456A1 (zh) 信息传输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041176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9136686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数据发送端
WO2022183457A1 (zh) 一种发送、接收harq-ack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2257048A1 (en) Camera unit and a multimedia information appliance
WO2022178864A1 (zh) 确定传输参数的方法、发送harq-ack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