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673A - 배출 펌프 유닛 - Google Patents

배출 펌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673A
KR20120098673A KR1020127011594A KR20127011594A KR20120098673A KR 20120098673 A KR20120098673 A KR 20120098673A KR 1020127011594 A KR1020127011594 A KR 1020127011594A KR 20127011594 A KR20127011594 A KR 20127011594A KR 20120098673 A KR20120098673 A KR 20120098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lement
suction pump
level sensor
housing
fluid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772B1 (ko
Inventor
찰스 기젠다너
크리스토프 구글
Original Assignee
메델라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델라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메델라 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9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3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with means for emptying the suction container, e.g. by interrupting s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8Containers specifically adapt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 A61M1/982Containers specifically adapted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with means for detecting level of collected exud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01F23/26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mounting arrangements of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90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evices, i.e. devices for applying suction to a wound to promote healing, e.g. including a vacuum dressing
    • A61M1/96Suction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2Upper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61M2209/086Docking s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펌프로 인체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출 펌프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 배출 펌프 유닛은 흡입 펌프 하우징(1) 및 이 하우징 안에 들어 있는 흡입 펌프를 포함한다. 유체 모음 용기(2)가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유체 모음 용기(2)내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하여, 납작한 밴드형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4)가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 펌프 유닛은 탄성적인 결합 요소(3)를 또한 포함하고, 이 결합 요소는 제 1 표면 및 이 제 1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유체 모음 용기(2)가 고정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결합 요소(3)는 제 1 표면으로 충전 레벨 센서(4)에 지지되고 제 2 표면으로는 유체 모음 용기(2)의 외벽에 지지된다. 탄성적인 결합 요소로 인해, 배출 펌프 유닛은 충전량이 적을 때도 충전 레벨의 측정을 가능케 해준다.

Description

배출 펌프 유닛{DRAINAGE PUMP UNIT}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배출 펌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배출 펌프 시스템은 의료 분야에서 체액이나 인체 유체를 흡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대, 이 시스템은 수술 중에 또는 후에, 상처 배출, 흉부 배출 또는 지방 흡입시 사용된다. 이들 배출 펌프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진공 펌프, 하나 이상의 유체 모음 용기 및 환자와 유체 모음 용기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유체 모음 용기는 배출 펌프의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진공관을 통해 펌프에 연결된다.
흡입 펌프 또는 진공 펌프에 의해 유체 모음 용기 안에 과소압이 발생되면, 환자의 공동부로부터 유체나 분비물이 흡인되어 배출관 또는 분비물 관을 통과하여 모음 용기 안으로 들어가서 거기에 모이게 된다. 모음 용기의 펌프측 출구에 배치되어 있는 필터는 흡인된 유체로 인해 있을 수 있는 오염으로부터 흡입 펌프를 보호해 준다. 이러한 종류의 배출 펌프 시스템이 예컨대 WO 2007/128156 및 WO 2008/141471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배출 펌프 시스템은 휴대가능하다.
배출 프로파일과 유체 모음 용기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는데는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적합하다. 이러한 충전 레벨 센서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따라서, JP 2161322 및 US 4 099 167에는 액체 용기의 충전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센서는 액체 용기의 외측에 장착된다.
US 4 092 860 에는 연결편의 외부에 장착되는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센서는 테플론 코팅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DE 196 45 970 에는 밴드형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센서는 용기의 내부에 배치된다.
체액을 흡인하기 위한 배출 시스템에서, 충전 레벨 센서는 보통 유체 모음 용기상에 또는 그 안에 위치된다. 따라서 WO 2008/119993 에는 복수의 충전 레벨 센서가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유체 모음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EP 0 853 950 에는 흡입 유닛 및 유체 모음 용기를 갖는 배출 펌프 유닛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흡입 유닛에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배치된다.
위생상의 이유로, 유체 모음 용기는 제한된 시간 동안만 사용될 수 있고 그래서 가능한 한 저렴해야 한다. 그러나, 충전 레벨 센서가 유체 모음 용기에 장착되면, 그 용기의 가격은 증가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특히 충전량이 적은 경우에는, 배출 펌프 유닛에 장착되는 충전 레벨 센서는 용기에 장착되는 충전 레벨 센서 보다 정확도가 낮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는 배출 펌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1 의 특징적 구성을 갖는 배출 펌프 유닛으로 달성된다
흡입 펌프로 인체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출 펌프 유닛은 흡입 펌프 하우징 및 이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한다. 유체 모음 용기가 흡입 펌프 하우징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유체 모음 용기내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납작한 밴드형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가 흡입 펌프 하우징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출 펌프 유닛은 탄성적으로 형성된 결합 요소를 또한 포함하고, 이 결합 요소는 제 1 표면 및 이 제 1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유체 모음 용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요소는 제 1 표면으로 충전 레벨 센서에 지지되고 제 2 표면으로는 유체 모음 용기의 외벽에 지지된다.
이러한 결합 요소에 의해, 유체 모음 용기와 충전 레벨 센서의 민감한 면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공기틈이 회피될 수 있다. 측정 정확도가 증가하고, 단지 0 ? 200 ml 또는 0 ? 300 ml 의 충전 레벨을 ml 단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충전 레벨의 연속적인 측정과 충전 속도의 결정에 적합하다.
이 구성은 하나 이상의 기울기 센서와 조합될 수도 있는데, 이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흡입 펌프 하우징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충전 레벨 센서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센서들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모음 용기의 기울기도 결정할 수 있으며, 그래서 별도의 기울기 센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결합 요소의 탄성은 한편으로 재료의 적절한 선택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적절한 성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유체 모음 용기와 같은 용량 특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요소는 유체 모음 용기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결합 요소는 흡입 펌프 하우징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경우에, 유체 모음 용기는 센서 없이 설계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체 모음 용기는 저렴하게 생산될 수 있으며 또한 일회용 제품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체 모음 용기는 처음으로 사용된 후에 버려질 수 있다.
결합 요소의 탄성으로 인해, 센서와 측정 시스템의 기능성은 유체 모음 용기가 여러번 교체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다.
결합 요소가 흡입 펌프 하우징에 배치되어 충전 레벨 센서의 센서 면을 덮으면, 이 센서 면은 외부의 영향으로 부터 보호되며, 하우징은 센서 면이 노출된 경우 보다 정화하기가 더 쉽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는 흡입 펌프 하우징의 외측벽에 배치되고, 결합 요소는 이 외측벽에서 돌출되어 있다. 유체 모음 용기가 하우징에 고정될 때 결합 요소가 탄성적으로 안으로 눌러지게 되며 그리 하여 충전 레벨 센서의 센서 면으로부터 용기의 외측벽으로의 최적의 균일한 유전 천이(dielectric transition)을 보장한다.
결합 요소는 충전 레벨 센서, 특히 그의 민감한 표면에 용접되거나 그에 용융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충전 레벨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요소에 끼워진다. 이렇게 하면, 충전 레벨 센서가 흡입 펌프 하우징에 고정될 때 결합 요소는 동시에 조립 보조물로서 역할할 수 있다. 충전 레벨 센서가 끼워지는 경우, 결합 요소는 동시에 또는 대안적으로 그 충전 레벨 센서를 위한 보호 쉬스(sheath)로서도 역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보호 쉬스는 베이스를 가지며, 이 베이스의 서로 반대편의 두 표면은 상기 제 1 및 2 표면을 형성한다. 이 베이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형태로 된 측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측벽은 중공의 공간을 형성하고, 따라서 충전 레벨 센서는 이 중공의 공간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펌프 하우징의 개구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플랜지가 베이스의 반대쪽에 있는 결합 요소의 측벽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플랜지가 베이스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두 플랜지는 하우징의 개구의 양 측면에 지지된다.
충전 레벨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펌프에 이르는 흡입 펌프 하우징의 진공 부착부 아래쪽의 영역에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전 레벨 센서는 환자측 분비물 관에 연결되는 흡입 펌프 하우징의 분비물 부착부로부터 거리를 두고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이들 모든 경우, 분비물 부착부로부터 나갈 수 있는 유체의 액적으로 인해 야기되는 센서의 오염을 크게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제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모음 용기를 갖는 배출 펌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유체 모음 용기가 없이, 도 1 에 따른 배출 펌프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충전 레벨 센서가 끼워져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요소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결합 요소를 밑에서 본 것이다.
도 5 는 도 3 에 따른 결합 요소의 C - C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에 따른 결합 요소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에 따른 결합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2 는 예컨대 WO 2007/128156 및 WO 2008/141471 에 그 원리가 알려져 있는 배출 펌프 유닛을 나타낸다. 이 펌프 유닛은 전방벽(12), 후방벽(12') 및 두 측벽(11)을 갖는 흡입 펌프 하우징(1)을 갖는다. 이 하우징(1)은 예컨대 운반 손잡이(1)로 휴대할 수 있다. 운반 손잡이(10)에 대안적으로 또는 그에 추가하여, 하우징(1)은 스탠드 또는 발부를 바람직하게 갖는데, 따라서 도시된 위치에서 하우징은 테이블이나 다른 적절한 지지 표면 상에 놓일 수 있다.
아래에서 방향에 대한 언급은 하우징의 이 직립 위치를 기준으로 해석될 것이다.
하우징(1)은 흡입 펌프 또는 진공 펌프(보이지 않음) 및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이 전자 장치는 펌프를 작동시키고 또한 센서가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라인에서 주어지는 특정 데이타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흡입 펌프는 하우징에 있는 제어판 또는 제어 키이 및/또는 버튼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흡입 펌프 하우징(1)은 입방형이고, 이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벽(11)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그러나, 흡입 펌프 하우징(1)은 또한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전방벽(12)과 후방벽(12')은 하우징의 평평한 측벽(11)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의 측벽(11)과 함께 유체 모음 용기(2)를 위한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 유체 모음 용기(2)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입방형이다. 흡입 펌프 하우징(1) 및 유체 모음 용기(2)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유체 모음 용기(2)는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용기는 바람직하게는 선회하여 이 위치에 잠금된다. 이를 위해, 전방벽(12)과 후방벽(12')의 돌출부는 상하부 슬라이드 가이드(13, 14)를 갖고 있는데, 유체 모음 용기(2)의 상하부 잠금 핀(20)이 이 슬라이드 가이드와 결합하게 된다. 도 1 에는 상부 잠금 핀만(20) 만 볼 수 있다. 유체 모음 용기(2)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개의 상부 및 하부 잠금 핀(20)을 가지며, 이들 핀 모두는 용기(2)의 동일 외측벽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 측벽으로 유체 모음 용기(2)는 흡입 펌프 하우징(1)의 측벽(11)에 지지된다. 유체 모음 용기(2)의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평평하다.
상기 유체 모음 용기(2)는 리세스(21)을 갖는데, 하우징(1)에 있는 잠금 훅크(15)가 이 리세스에 걸려 모음 용기(2)를 하우징(1)상의 그의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잠금 핀 및 감금 훅크 대신에, 모음 용기(2)의 안정화 및 고정은 다른 수단으로도 될 수 있다.
하우징(1)의 측벽(11)에는 하우징측 진공 부착부(16)가 있다. 이 부착부는 바람직하게는 측벽(11)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진공 부착부(16)는 커넥터 편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는 유체 모음 용기(2)의 대응 개구(여기서는 미도시)에 결합한다. 연결편(16)의 자유 단부는 하우징(1)의 측벽(11)과 동일 면을 이루거나, 하우징(1)의 방향으로 그 측벽에 대해 뒤로 물러나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편(16)은 바람직하게는 돌출되어 있지 않다. 연결편(16)에 의해 하우징(1)과 용기(2) 사이에 이루어진 진공 연결에 누출이 없도록, 하우징(1)의 연결편(16) 및/또는 용기(2)의 개구는 시일링 링(여기서는 미도시)를 갖는다. 용기(2)안에 모여 있는 흡인된 분비물이 하우징(1)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진공 부착부(16) 및/또는 용기(2)의 관련 개구에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필러가 제공된다.
이러한 부착부를 부착하기 위한 하우징측 분비물 부착부 또는 리세스(17)가 진공 부착부(16)의 반대쪽에서 측벽(11)의 상부 영역에 존재한다. WO 2008/14147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자측 배출관의 펌프측 부착부가 여기서 끼워질 수 있다. 유체 모음 용기(2)가 제 위치로 선회하여 하우징(1)에 고정될 때 이 분비물 부착부(17)는 진공 부착부(16) 처럼 유체 모음 용기(2)의 대응 개구에 누출 없이 연결된다. 그러나, 용기(2)와 환자측 배출관 간의 연결은 다른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컨대 관을 직접 끼우거나 용기(2)에 있는 적절한 결합부를 통해 끼워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부착부(16)를 통해 과소압이 흡입 펌프에 의해 용기(2)안에 발생된다. 이 과소압 때문에, 환자의 공동부로부터 유체 또는 분비물이 흡인되어 배출관을 통과하여 용기(2) 안으로 들어가서 거기에 모이게 된다.
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납작한 밴드형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충전 레벨 센서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이들 센서는 평평하고 납작하다. 이 센서의 길이는 그들의 폭 및 두께 보다 실질적으로 크며, 폭은 통상 두께 보다 휠씬 더 크다.
평가 유닛(여기서는 미도시)이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4)에 연결된다. 이 평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안에 우치된다.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4)는 바람직하게는 충전 레벨의 연속적인 측정을 가능케 해주며 따라서 충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측정은 간격을 두고 또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행해질 수 있다.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하우징(1)의 측벽(11)에 배치되는데, 이때 그의 민감한 면은 바람직하게는 용기(2)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민감한 면 및 그래서 센서(4)는 바닥에서 부터 위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면과 센서는 비스듬히 배치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하나 이상, 특히 두개 또는 세개의 충전 레벨 센서(4)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상이한 위치 및/또는 상이한 높이에서 수직으로 신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한 충전 레벨 센서(4)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있을 수 있고 다른 충전 레벨 센서는 그 센서에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충전 레벨을 측정할 때 하우징과 용기의 기울기도 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에 대응하여 충전 레벨에 관한 측정 데이타를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기울기 센서를 충전 레벨 센서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센서(4)와 용기(2) 사이에는 탄성적으로 형성된 결합 요소(3)가 있다. 이 결합 요소(3)는 베이스(30)를 가지며, 이 베이스는 서로 반대편에 있으면서 면 평행한 두개의 표면(300)을 갖는다. 용기(2)가 고정된 상태에서, 센서(4)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민감한 면으로 이들 표면 중의 하나에 지지된다. 용기(2)의 외벽은 이 상태에서 이들 표면 중의 제 2 표면에 지지된다. 이 제 2 표면(300)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민감한 면의 표면적에 대응하는 표면적으로 용기(2)에 지지된다. 즉, 이리 하여, 민감한 면 전체가 용기 벽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 요소(3)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PVC 또는 고무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적절한 유전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용기(2)의 재료와 유사한 용량 특성을 갖는다.
간단한 실시 형태에서, 센서(4)는 하우징(1)에 유지되며, 외측으로 향하는 그의 민감한 면은 완전히 이 결합 요소(3)로 덮히게 된다. 그러나, 도 3 ? 7 에서 뚜렷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 1 및 2 에서 하우징(1)에 끼워져 있는 바와 같이, 결합 요소(3)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쉬스(sheath)를 형성하게 된다.
센서 쉬스(3)는 바람직하게는 일체형으로 설계된다. 이 쉬스의 길이는 적어도 센서(4)의 길이에 상당한다. 쉬스는 면 평행한 두 표면을 갖는 베이스(30)를 갖는다. 장착 상태에서 하우징(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에는 평평한 접촉면(300)이 존재한다. 이 접촉면(300)의 표면적은 적어도 상기 민감한 면의 표면적에 상당하며, 그 민감한 면은 이 접촉면(300)으로 완전히 덮히게 된다. 이 평평한 접촉면(300)은 바람직하게는 그를 둘러싸는 외측 표면의 나머지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도 6 에서 뚜렷히 볼 수 있다.
장착 상태에서 하우징(1)을 향하는 베이스(30)의 내측면의 주변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측벽(3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측벽(34)은 베이스(30)의 두 긴 변과 하나의 짧은 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다른 짧은 변은 개방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센서 쉬스는 개방 단부(31) 및 폐쇄되어 있는 또한 이 경우 둥글게 되어 있는 단부(32)를 갖는다.
이 측벽(34)의 자유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플랜지(35)와 결합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내향 돌출부(351)를 갖는다. 측벽(34)은 베이스(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또한 뒤로 물러나 있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플랜지(33)를 형성하며, 이 플랜지는 제 1 플랜지로부터 거리를 두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 2 플랜지(33)는 바람직하게는 어떤한 틈도 없이 에워싸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제 1 플랜지(35)는 틈(350)을 가질 수 있다.
도 5, 6 및 7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납작한 밴드형 용량성 센서(4)는 이 센서 쉬스(3) 안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으며 주변의 측벽(34)과 베이스(30)로 형성된 중공의 공간내에 유지된다. 제 1 플랜지(35)의 내향 돌출부(351)에 의해 센서(4)는 제 위치에 고정된다. 센서(4)의 상기 민감한 면은 베이스(30)의 평평한 내측면에 지지되며, 센서 쉬스(3)의 외부 접촉면(300)에서(바람직하게는 그에 면 평행하게) 그의 결합편을 갖는다.
이제 센서 쉬스(3)는 하우징의 측벽(11)의 개구 안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제 1 플랜지(35)는 하우징(1)의 내측에 지지되고 제 2 플랜지(33)는 하우징 벽(11)의 외측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센서 쉬스의 측벽(34)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하우징의 측벽(11)의 두께에 상당한다.
이제 유체 모음 용기(2)가 하우징(1)에 고정될 때, 그 용기(2)는 그의 평평한 외측면으로 전제 접촉면(300)에 지지된다. 용기(2)는 바람직하게는 접촉면(300)을 변형시켜 그 접촉면을 하우징(1)의 방향으로 누르게 되며, 그래서 탄성력에 대한 최적의 접촉 카운터가 얻어진다. 그러므로 전체 장치의 치수는 접촉면(300)이 안으로 늘러질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정해진다.
여기서 설명한 배출 펌프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교시를 실행하기 위한 실례적인 일 실시 형태일 뿐이다. 예컨대, 펌프 하우징과 배출 용기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진공 및 분비물 부착부는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요소는 다르게, 특히 센서 쉬스가 아닌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수정도 가능하다.
탄성적으로 형성된 결합 요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배츨 펌프 유닛은 충전 양이 적은 경우에도 충전 레벨 측정을 할 수 있게 해준다.
1 흡입 펌프 하우징
10 운반 손잡이
11 하우징의 측벽
12 전방벽
12' 후방벽
13 상부 슬라이드 가이드
14 하부 슬라이드 가이드
15 잠금 기구
16 하우징측 진공 부착부
17 리세스/하우징측 분비물 부착부
2 유체 모음 용기
20 잠금 핀
21 리세스
3 결합 요소
30 베이스
300 접촉면
31 개방 단부
32 폐쇄 단부
33 제 2 플랜지
34 측벽
35 제 1 플랜지
351 내향 돌출부
350 틈
4 충전 레벨 센서

Claims (15)

  1. 흡입 펌프로 인체 유체를 흡인하기 위한 배출 펌프 유닛으로서, 이 배출 펌프 유닛은 흡입 펌프 하우징(1) 및 이 하우징 안에 배치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고, 유체 모음 용기(2)가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유체 모음 용기(2)내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납작한 밴드형 용량성 충전 레벨 센서(4)가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 펌프에 있어서,
    상기 배출 펌프 유닛은 탄성적으로 형성된 결합 요소(3)를 또한 포함하고, 이 결합 요소는 제 1 표면 및 이 제 1 표면의 반대편에 있는 제 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유체 모음 용기(2)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요소(3)는 제 1 표면으로 충전 레벨 센서(4)에 지지되고 제 2 표면으로는 유체 모음 용기(2)의 외벽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 펌프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는 흡입 펌프 하우징(1)에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흡입 펌프 하우징(1)의 외측벽(11)에 배치되고, 결합 요소(3)는 이 외측벽(11)에서 돌출되어 있는 배출 펌프 유닛.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결합 요소(3)에 끼워지는 배출 펌프 유닛.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는 제 1 및 2 표면을 형성하는 베이스(30)를 가지며, 이 베이스(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형태로 된 측벽(34)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측벽은 중공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충전 레벨 센서(4)가 이 중공의 공간내에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1 플랜지(35)가 베이스(30)의 반대쪽에 있는 결합 요소(3)의 측벽(34)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 2 플랜지(33)가 베이스(3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플랜지(34, 35)는 결합 요소(3)를 흡입 펌프 하우징(1)의 외측벽(11)의 개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배출 펌프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표면은 평평하고 또한 적어도 충전 레벨 센서(4)의 전체 센서 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배출 펌프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는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배출 펌프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길이 방향을 가지며, 이 길이 방향으로 흡입 펌프 하우징(1)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흡입 펌프에 이르는 흡입 펌프 하우징(1)의 진공 부착부(16) 아래쪽의 영역에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센서(4)는 환자측 분비물 관에 연결되는 흡입 펌프 하우징(1)의 분비물 부착부(17)로부터 거리를 두고 비스듬히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펌프 하우징(1)은 외측벽(11)을 가지며, 충전 레벨 센서(4) 및 다음의 부착부, 즉 분비물 부착부(17)와 진공 부착부(16)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측벽(11)에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3)는 실리콘 또는 PVC 또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는 배출 펌프 유닛.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펌프 유닛은 유체 모음 용기(2)를 포함하고, 결합 요소(3)는 이 유체 모음 용기(2)에 배치되는 배출 펌프 유닛.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출 펌프 유닛에 사용되는 결합 요소(3).
KR1020127011594A 2009-11-05 2010-11-01 배출 펌프 유닛 KR101718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706/09A CH702195A1 (de) 2009-11-05 2009-11-05 Drainagepumpeinheit
CH1706/09 2009-11-05
PCT/CH2010/000273 WO2011054118A1 (de) 2009-11-05 2010-11-01 Drainagepump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73A true KR20120098673A (ko) 2012-09-05
KR101718772B1 KR101718772B1 (ko) 2017-03-22

Family

ID=4168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594A KR101718772B1 (ko) 2009-11-05 2010-11-01 배출 펌프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26620B2 (ko)
EP (1) EP2496276B1 (ko)
JP (1) JP5589086B2 (ko)
KR (1) KR101718772B1 (ko)
BR (1) BR112012010617A2 (ko)
CH (1) CH702195A1 (ko)
WO (1) WO20110541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500A (ko) * 2015-08-07 2018-04-16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세정제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14657A1 (en) 2010-10-12 2012-04-19 Kevin J. Tanis Medical device
US9108423B2 (en) * 2011-05-31 2015-08-18 Funai Electric Co., Ltd. Consumable supply item with fluid sensing for micro-fluid applications
US9737649B2 (en) 2013-03-14 2017-08-22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EP2968706B1 (en) 2013-03-14 2022-12-07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CN105916530B (zh) 2013-08-13 2019-09-17 史密夫和内修有限公司 用于应用减压治疗的系统和方法
US10219814B2 (en) 2013-12-13 2019-03-05 Rex Medical, L.P. Aspiration system for thrombectomy procedures
US11806266B2 (en) 2014-03-19 2023-11-07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US11090183B2 (en) 2014-11-25 2021-08-17 Purewick Corporation Container for collecting liquid for transport
US11376152B2 (en) 2014-03-19 2022-07-05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EP2959926A1 (de) 2014-06-26 2015-12-30 Medela Holding AG Medizinische Saugpumpe und Fluidsammelbehälter
AU2014402290B2 (en) 2014-07-31 2020-05-21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EP3200861B1 (en) 2014-09-29 2023-04-05 Centese, Inc. Devices for managing chest drainage
CA2972701A1 (en) 2014-12-30 2016-07-07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CN104689391A (zh) * 2015-03-05 2015-06-10 昆山韦睿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负压伤口治疗设备
JP6812363B2 (ja) 2015-05-18 2021-01-13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陰圧閉鎖療法装置および方法
JP2018529407A (ja) 2015-08-13 2018-10-11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治療をか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074359A (ja) * 2015-10-13 2017-04-20 株式会社興伸工業 吸引装置
AU2017218439B2 (en) 2016-02-12 2022-07-28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perational conditions of reduced pressure therapy
US10973678B2 (en) 2016-07-27 2021-04-13 Pure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eiving discharged urine
DE102016115835A1 (de) * 2016-08-25 2018-03-01 Paul Hartmann Ag Vorrichtung zur Unterdruckbehandlung von Wunden am menschlichen Körper
US11395870B2 (en) 2017-02-15 2022-07-26 Smith & Nephew Asia Pacific Pte.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1389582B2 (en) 2017-09-29 2022-07-19 T.J. Smith And Nephew, Limited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with removable panels
GB201813282D0 (en) 2018-08-15 2018-09-26 Smith & Nephew System for medical device activation and opertion
GB201804347D0 (en) 2018-03-19 2018-05-02 Smith & Nephew Inc Securing control of settings of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D888225S1 (en) 2018-04-30 2020-06-23 Smith & Nephew Asia Pacific Pte. Limited Pump and canister assembly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GB201806988D0 (en) 2018-04-30 2018-06-13 Quintanar Felix Clarence Power source charging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WO2019211731A1 (en) 2018-04-30 2019-11-07 Smith & Nephew Pt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ual mode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pparatus
EP3787568B1 (en) 2018-05-01 2023-12-0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related systems, and related methods
WO2019212951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A3098680A1 (en) 2018-05-01 2019-11-07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garments
GB201808438D0 (en) 2018-05-23 2018-07-11 Smith & Nephew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blockages in a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CN109876203A (zh) * 2019-03-29 2019-06-14 苏州新区景欣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负压引流器
USD967409S1 (en) 2020-07-15 2022-10-18 Purewick Corporation Urine collection apparatus cover
US11801186B2 (en) 2020-09-10 2023-10-31 Purewick Corporation Urine storage container handle and lid accessories
EP4110247B1 (en) 2021-01-19 2024-02-28 Purewick Corporation Variable fit fluid collection devices
JP2023553620A (ja) 2021-02-26 2023-12-25 ピュアウィ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管開口とバリアとの間に排水受けを有する流体収集装置、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938054B2 (en) 2021-03-10 2024-03-26 Purewick Corporation Bodily waste and fluid collection with sacral pad
EP4306914A1 (en) * 2022-07-14 2024-01-17 Illinois Tool Works Inc. Capacitive sensor for detecting a fluid level within a movable fluid tank of a domestic appliance
JP7276791B1 (ja) * 2023-01-12 2023-05-18 株式会社三幸製作所 電動式低圧吸引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860A (en) * 1974-10-14 1978-06-06 Matheus Gijsbertus Jozef Arts Level measurement and control
US4898593A (en) * 1988-08-29 1990-02-06 Sherwood Medical Company Autotransfusion bag holder
EP0853950A1 (en) * 1994-08-22 1998-07-22 Kinetic Concepts, Inc. Wound drainage canister
WO2008119993A1 (en) * 2007-04-02 2008-10-09 Huntleigh Technology Limited Fluid level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167A (en) 1977-02-10 1978-07-04 P.R. Mallory & Co. Inc. Capacitive means for measuring the level of a liquid
JPS6059120U (ja) * 1983-09-27 1985-04-24 サンクス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センサ
JPS6128824A (ja) * 1984-07-18 1986-02-08 Naoyuki Omatoi 静電容量検出電極
JPH02161322A (ja) 1988-12-14 1990-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位検出装置
JPH04130034U (ja) * 1991-05-21 1992-11-30 裕治 幸重 コンテナ用液量指示装置
DE19645970C2 (de) 1996-11-07 2000-03-16 Heinz Ploechinger Kapazitiver Füllstandsensor zum Erfassen des Füllstandes eines innerhalb eines Behälters befindlichen Fluids
EP2015796B1 (de) 2006-05-09 2009-10-21 Medela Holding AG tragbare Absaugpumpeneinheit für Körperflüssigkeiten
WO2008039223A1 (en) * 2006-09-26 2008-04-03 Boehringer Technologies L.P. Pump system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A2685991C (en) 2007-05-22 2015-10-13 Medela Holding Ag Drainage pump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2860A (en) * 1974-10-14 1978-06-06 Matheus Gijsbertus Jozef Arts Level measurement and control
US4898593A (en) * 1988-08-29 1990-02-06 Sherwood Medical Company Autotransfusion bag holder
EP0853950A1 (en) * 1994-08-22 1998-07-22 Kinetic Concepts, Inc. Wound drainage canister
WO2008119993A1 (en) * 2007-04-02 2008-10-09 Huntleigh Technology Limited Fluid level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500A (ko) * 2015-08-07 2018-04-16 프랑케 카페마쉬넨 아게 세정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9896A (ja) 2013-03-21
US20110106028A1 (en) 2011-05-05
EP2496276B1 (de) 2013-08-28
EP2496276A1 (de) 2012-09-12
BR112012010617A2 (pt) 2016-03-29
JP5589086B2 (ja) 2014-09-10
KR101718772B1 (ko) 2017-03-22
US8226620B2 (en) 2012-07-24
CH702195A1 (de) 2011-05-13
WO2011054118A1 (de)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673A (ko) 배출 펌프 유닛
JP6535033B2 (ja) 医療吸引ポンプ及び流体収集容器
KR101874506B1 (ko) 배출 펌프 유닛
KR102259656B1 (ko) 유동 채널을 갖는 장치
US90749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dside collection of body fluids and automatic volume level monitoring
US8479573B2 (en) Fluid level sensor
US10376617B2 (en) Suspension device of a drainage container
RU2543042C2 (ru) Надеваемое на тело пользователя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создание вакуум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US6210383B1 (en) Fluid recovery system
KR20130139957A (ko) 주입 펌프용 압력 감시 시스템
KR20090016472A (ko) 안과 수술용 카세트 및 시스템
RU2012108481A (ru) Надеваемое на тело пользователя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ивающее создание вакуума для медицин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ES2282754T3 (es) Dispositivo para la motorizacion automatica del flujo de un liquido, particularmente orina.
KR20160032123A (ko) 착유펌프 유닛
TW201143714A (en) Pressure detection device for electronic blood pressure detector
US11464895B2 (en) Body drainage apparatus
KR101231909B1 (ko) 체액 수집용기 및 그 체액 수집용기가 포함된 체액 배출장치
CN113646018A (zh) 用于医疗或外科用途的抽吸袋以及抽吸袋装置
US20140081224A1 (en) Aspiration cassette with gas and debris management
CN217548648U (zh) 一种具有计量和固定功能的负压装置
ES2631557T3 (es) Unidad de bomba de drenaje
CN213964561U (zh) 一种消化内科用胃肠减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