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8634A -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 - Google Patents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8634A
KR20120098634A KR1020127009934A KR20127009934A KR20120098634A KR 20120098634 A KR20120098634 A KR 20120098634A KR 1020127009934 A KR1020127009934 A KR 1020127009934A KR 20127009934 A KR20127009934 A KR 20127009934A KR 20120098634 A KR20120098634 A KR 2012009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rton
hinged
beam structure
main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미셸 오클레르
Original Assignee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미드웨스트바코 패키징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9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8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65D71/18Tabs inwardly folded tabs from the upper or low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65D71/20Slits or openings along the fold line of the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13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154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terlocked
    • B65D2571/00185Wrapper locking mean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terlocked by tabs cut within one end and facing away from the other end when blank is unfolded, and co-operting with openings at the other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59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 B65D2571/00265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inwardly folded tabs, i.e. elements substantially narrower than the corresponding package dimension extending from the upper or low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77Slits or openings formed along a fold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9Openings in top or 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246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 B65D2571/00253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302Locating elements for the contents integral with the wrapper consisting of an inward deformation of at least a wall, e.g. embossed,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709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 B65D2571/00716Shape of the formed wrapper, i.e. shape of each formed element if the wrapper is made from more than one element tubular without en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으로서, 카톤(100)은 복합 벽(2/10), 빔 구조물(29) 및 보강 배열체(5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빔 구조물(29)은 각각 상기 카톤(100)의 상기 복합 벽(2/10)의 내측 패널(10)로부터 형성되고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20, 24)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20, 24)을 상기 내측 패널(10)의 평면 밖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빔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보강 배열체(50)는 상기 복합 벽(2/10)의 외측 패널(2)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50)는 상기 빔 구조물(29) 내에 배치되어, 상기 빔 측면 패널들(20, 24)이 상기 내측 패널(10)의 평면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빔 측면 패널(20, 24)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강 배열체(50)가 상기 내측 패널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REINFORCED BEAM STRUCTURE FOR A CARTON AND BLANK FOR FORMING SAM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카톤의 일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빔 구조물 및, 빔 구조물과 접촉하도록 접힐 수 있고 그에 따라 빔 구조물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톤의 다른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보강 배열체에 관한 것이다.
카톤들은, 서로 간에 떨어지게 또는 예를 들어 카톤의 벽으로부터 떨어지게 유지되는 것이 이로운,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많은 물품들이 일단부에서 함께 결합되지만, 다른 단부에서는 서로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이러한 떨어져 있는 단부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에서, 물품들은 부서지기 쉬운, 유리와 같은 깨지기 쉬운 재료로 형성될 것이며, 물품들이 서로 떨어지게 유지함에 의해 물품들이 서로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톤 내에 유지되는 바와 같이 물품들을 떨어지게 하는 수단은, 인접한 물품들 사이 또는 물품들과 카톤의 측벽 사이에 상대적으로 단단한 장애물을 생성하기 위한 빔 구조물들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재료 효율적인 빔 구조물들 중 일부는, 초기에 모두 동일 평면에 놓이는 힌지연결되는 패널들로 형성되며, 단일 접힘 이동에 의해 사용을 위한 위치로 조립될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상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빔 구조물들의 공지된 단점은, 이러한 구조물들이 사용 위치로의 접힘에 저항하는 경향 및 구조물이 복귀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기 위한 물품들이 존재하지 않을 때 그들의 초기 평면형 배치로 복귀하는 경향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지어 복귀를 막는 물품들의 부재시에도 평면형 배치로 복귀하는 이러한 자연적인 경향에 저항할 수 있는, 개선된 빔 구조물에 대한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복합 벽(composite wall), 빔 구조물 및 보강 배열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카톤의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빔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빔 구조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내측 패널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외측 패널의 평면에 놓이는 제1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되는 제2 위치로부터 힌지선회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detent)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이 상기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접는선이, 상기 멈추개의 끝단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절단선에 의해 단절되며, 상기 멈추개는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힌지선회됨에 따라 상기 보강 배열체의 변형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주 플랩(primary flap)을 포함하며, 상기 주 플랩의 측면 가장자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주 플랩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연결되는 제1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과 면접촉 관계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의 평면 밖으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멈추개에 인접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멈추개의 두께를 수용하고 상기 주 플랩에 대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힌지선회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인접한 표면으로부터 치우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제1 측면 탭 반대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2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탭은 하나 이상의, a) 물품이 존재할 때 상기 카톤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표면과의 접촉 위치로 접힐 수 있는 부분, 또는 b)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탭의 접힘을 촉진하기 위한 테이퍼형 부분이다.
바람직하게, 카톤은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2 이상의 빔 구조물을 더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빔 구조물의 보강이 상기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다른 하나의 빔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빔 구조물은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 모두에 힌지연결되는 빔 상부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빔 상부 패널의 아래쪽 표면과 접촉상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복합 벽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 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 및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카톤의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이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빔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빔 구조물 내에 배치가능하여,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조립된 카톤에서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합 벽의 상기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카톤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주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주 플랩은 상기 빔 구조물의 상기 빔 측면 패널들 중 하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도록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의 측면 가장자리가 상기 하나의 빔 측면 패널과 접촉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의 빔 측면 패널이 상기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접는선이 상기 복합 벽의 상기 내측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의 끝단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절단선에 의해 단절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주 플랩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1 측면 탭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의 평면 밖으로 접을 수 있어, 상기 멈추개에 인접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조립된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제1 측면 탭이 상기 조립된 카톤의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될 때, 상기 멈추개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이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상기 접는선으로부터 치우치게 되는, 최하부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제1 측면 탭 반대편의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2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탭은, 물품이 존재할 때, 상기 조립된 카톤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표면과의 접촉 위치로 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탭의 접힘을 촉진하기 위한 테이퍼형 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블랭크는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2 이상의 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더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조립된 빔 구조물의 보강이 상기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다른 빔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각각 상호 맞물리게 되는 암?수 펀치-록 잠금 탭(punch-lock locking tabs) 및, 빔 구조물과 보강 배열체를 포함하며 서로에 대해 상기 잠금 탭들에 대한 내측 패널 및 외측 패널의 회전을 완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수단을 구비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내측 및 외측 중첩 패널로 형성되는 복합 벽을 포함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고 빔 상부 패널에 의해 서로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에 의해 조립가능하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을 수 있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블랭크로 카톤을 조립하기 위한 접는 작업의 가능한 순서에서 제1 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접는 작업의 순서에서 제2 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접는 작업의 순서에서 제3 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접는 작업의 순서에서 제4 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접는 작업의 순서에서 제5 단계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카톤을 아래로부터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카톤의 일부분을 예시한 확대도,
도 8은 사용 방향에 있는 도 6의 카톤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카톤의 내용물들이 카톤의 내부를 드러내기 위해 가공의 윤곽선으로 도시된, 도 8의 카톤을 예시한 도면.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여기에 개시된다. 개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양태가 수행될 수 있는 방식의 예시들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방식의 모두를 총망라한 리스트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여기서 설명되는 패키지, 블랭크 및 카톤은 다양하고 선택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들은 반드시 비례에 맞을 필요는 없으며, 몇몇 특징들은 특정 부품들의 세부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두드러지게 될 수도 최소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잘 알려진 부품들, 재료들 또는 방법들은 반드시 본 발명의 설명을 불분명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매우 상세하게 설명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개시되는 어떤 구체적인 구조적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청구범위에 대한 기본으로서 및 본 발명을 다양하게 실시하기 위해 당업자를 가르치기 위한 전형적인 기본으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카톤(100)(도 8에 최상으로 도시됨)을 형성하기 위한 카톤 블랭크(1)의 제1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이 블랭크(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강 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한다. 이 빔 구조물은 유리하게 단일 접는 작업을 통해 조립하기 단순하며, 제2 단순 접는 작업을 통해 그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빔 구조물 내부의 보강 위치로 접을 수 있는 보강 배열체를 포함한다.
블랭크(1)는, 개별적인 접는선(44, 42, 40, 38, 36)에 의해 선형 연속으로 차례로 힌지연결되는, 외측 바닥 패널(2), 제1 측면 패널(4), 상부 패널(6), 제2 측면 패널(8), 내측 바닥 패널(10) 및 제2 빔 측면 패널(24)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들의 배치형태는 블랭크(10)가 물품들(A)의 그룹 둘레를 둘러싸도록 허용하여, 빔 구조물(이하에 설명됨)이 그러한 물품들(A) 중 선택된 것들을 분리하는 가운데, 내측 바닥 패널(10) 및 외측 바닥 패널(2)이 물품들(A) 둘레에 튜브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한다.
내측 바닥 패널(10)은, 내측 바닥 패널(10) 내부에 한정되며 접는선(30)을 따라 내측 바닥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빔 측면 패널(20)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빔 구조물(29)(그 중 하나가 도 8에 조립된 상태로 최상으로 도시됨)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한다. 이 제1 빔 측면 패널(20)은 이어서, 추가적인 접는선(32)에 의해, 그 반대편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빔 측면 패널(24) 내부에 한정되는 빔 상부 패널(22)에 힌지연결된다. 이 추가적인 접는선(32)은 바람직하게, 제1 빔 측면 패널(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볼록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만곡된 절단선으로 이루어지며, 서로에 대해 힌지선회할 수 있는 제1 빔 측면 패널(20) 및 빔 상부 패널(22) 사이에 약화된 연결 부분들을 남겨두기 위해 제1 빔 측면 패널(20)의 인접한 가장자리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종결된다. 이 빔 상부 패널(22)은 이어서, 접는선(34)에 의해 그의 반대편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빔 측면 패널(24)에 차례로 연결된다.
빔 상부 패널(22) 및 내측 바닥 패널(10)이 각각 제2 빔 측면 패널(24)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접는선들(34, 36)은, 제1 빔 측면 패널(2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에 대해 치우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은, 내측 바닥 패널(10)에 수직인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20, 24)을 동시에 접음에 의해, (도 8에 가장 명확하게 예시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 및 바람직하게 정사각형 단면의 빔 구조물(29)의 조립을 허용한다.
제1 빔 측면 패널(20)을 내측 바닥 패널(10)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30)은, 멈추개(26)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빔 측면 패널(20) 내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절단선(31)에 의해 단절된다. 따라서, 제1 빔 측면 패널(20)이 사용 상태로 조립될 때, 이 멈추개(26)는, 제1 빔 측면 패널(20)(도 7에 최상으로 도시됨)에 의해 비워지게 되는, 내측 바닥 패널(10)의 구멍 속으로 연장된다. 멈추개(26)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폭을 구비하며, 이하에 설명되는 접힘 과정에서 접촉하는 가장자리를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도록 하기 위해, 그의 하나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다.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빔 구조물(29)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의 제2 배열은 이상에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선형 연속의 패널들의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는 제1 내측 바닥 패널(10)의 전체 폭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빔 측면 패널(24)이 둘 모두에 공통이다.
외측 바닥 패널(2)은 상응하는 2개의 빔 구조물(29)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배열체(50)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며, 각 보강 배열체(50)는 외측 바닥 패널(2) 내부에 한정되며 접는선(66)에 의해 거기에 힌지연결되는 주 플랩(51)을 포함한다. 접는선(66)에 인접한 주 플랩(51)의 대향하는 측면들은 각각 제1 및 제2 접는선(60, 61)에 의해 제1 및 제2 측면 탭(52, 54) 각각의 일 측면에 힌지연결된다. 주 플랩(51)을 외측 바닥 패널(2)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66)은 실질적으로 그 외측 바닥 패널(2)의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카톤(100)으로 접히게 될 때, 주 플랩(51)이 빔 구조물(29)의 빔 측면 패널들(20, 24)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각각의 제1 측면 탭(52)은 주 플랩(51)으로부터 제1 측면 패널(4)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의 길이의 실질적인 대부분에 걸쳐 균일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주 플랩(51)을 외측 바닥 패널(2)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66)에 인접한 제1 측면 탭(52)의 일 끝단부에서, 제1 측면 탭(52)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외측 바닥 패널(2) 내에 절단선(63)에 의해 한정되는 각각의 제1 측면 탭(52)의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접는선(66)의 끝단부와 교차하도록 한다. 각 제1 측면 탭(52)의 반대편 단부는 주 플랩(51)의 상응하는 끝단부로부터 내측으로의 작은 치우침을 갖도록 종결되어, 제1 측면 탭(52)의 길이가 주 플랩(51) 보다 약간 짧게 되도록 한다.
주 플랩(51)의 반대편 측면에, 각각의 제2 측면 탭(54)가 제1 측면 패널(4)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된다. 제2 측면 탭(54)은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폭을 갖는다. 제2 측면 탭(54)의 양 단부는 주 플랩(51)의 상응하는 인접한 단부들로부터 치우치게 되어, 이들이 제1 측면 탭(52) 보다 길이가 짧게 되도록, 그리고 각각 주 플랩(51)을 외측 바닥 패널(2)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66)에 대해 치우치게 되도록 한다.
보강 배열체(5)와 빔 구조물(29) 사이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잠금 배열체(90/91, 96/99)가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의 인접한 부분들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잠금 배열체(90/91, 96/99)는,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형성되는 구멍(91, 99) 및 외측 바닥 패널(2) 내에 형성되는 맞물림 탭(90, 96)을 포함하는 펀치-록 구조부(punch-lock structure)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상응하는 맞물림 탭(90)이 있음에 따라, 2개의 구멍(91, 99)이 제공된다. 내측 바닥 패널(10) 및 외측 바닥 패널(2)이 이하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중첩될 때, 맞물림 탭들(90, 96)은 외측 바닥 패널(2)로부터 뜯겨져 나와 구멍들(90, 99)을 통과하도록 접히게 될 것이며, 그로 인해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이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맞물림 탭(90)은 절단선(94)에 의해 한정되며 접는선(95)을 따라 외측 바닥 패널(2)에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제1 맞물림 탭(90)은 접는선(95)에 인접한 그의 대향하는 측면들을 따르는 멈추개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멈추개들은 제1 맞물림 탭(90)이 내측 바닥 패널(10) 내의 상응하는 하나의 구멍(91)을 통과함에 따라 휘어지고, 일단 삽입되면, 내측 바닥 패널(10)의 내측 표면의 부분들과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위치를 차지하며, 그에 의해 제1 맞물림 탭(90)이 그 구멍(91)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제1 구멍(91)은, 절단선(92)에 의해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한정되는 제1 구멍 플랩이 제1 맞물림 탭(90) 위의 내향의 접는 힘에 대응하여 내측 바닥 패널(10) 밖으로 힌지선회함에 따라, 생성된다.
제2 맞물림 탭(96)은 절단선(97)에 의해 한정되며, 접는선(980)을 따라 외측 바닥 패널(2)에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제2 맞물림 탭(96)은 하나의 멈추개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나의 멈추개는 그의 측면들 중 하나에 형성되며, 제2 맞물림 탭(96)이 상응하는 제2 구멍(99)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휘어진다. 일단 삽입되면, 이러한 하나의 멈추개는 내측 바닥 패널(10)의 내측 표면의 부분들과 접촉하고, 제2 맞물림 탭(96)이 제2 구멍(99)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 구멍(99)은,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절단선(89)에 의해 한정되는 제2 구멍 플랩이 제2 맞물림 탭(96) 위의 내향의 힘에 대응하여 내측 바닥 패널(10)의 평면 밖으로 힌지선회함에 따라, 형성된다.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 사이의 향상된 고정 강도를 위해, 제2 맞물림 탭(96)이 2 이상의 멈추개를 갖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상부 패널(6)은, 상응하는 측면 패널(4, 8)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의도되는 각 물품(A)을 위한, 예를 들어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당 2개의, 그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71)를 포함한다. 멈추개(71)는 상부 패널(6)의 가장자리로부터 블랭크(1) 내의 상응하는 측면 패널(4, 8)로 연장되며, 멈추개(71)는 이하에 설명되는 카톤 조립 과정에 의해 측면 패널들(4, 8)로부터 떨어져 나온다. 멈추개(71)는, 상부 패널(6)을 제1 측면 패널(4) 및 제2 측면 패널(8)에 각각 힌지연결하는 접는선들(42, 40)을 단절시키는, 절단선(70)에 의해 한정된다. 절단선(70)의 짧은 부분들(75)이 상기한 접는선들(42, 40)을 가로질러 상부 패널(6) 속으로 짧은 거리 연장되도록 이어진다. 각 절단선(7) 상의 두 지점으로부터, 상응하는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 속으로 상부패널로부터 멀어지게 절단선들(74)이 연장된다. 이러한 절단선(74)들 사이에 상부 항복 탭(72)(upper yieldable tab)이 한정된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은 각각, 내측 바닥 패널(10) 또는 외측 바닥 패널(2) 각각에 인접한 측면 패널들(4, 8)의 가장자리들에 탭들(76)을 형성하기 위해, 각 멈추개(71)에 대한 절단선들(78, 80, 81)의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절단선들(78, 80, 81)은,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을 외측 바닥 패널(2) 및 내측 바닥 패널(10)에 각각 힌지연결하는, 접는선(38, 44)을 단절시키며 이와 동축상에 놓이는 직선 부분(8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선 부분(80)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들이 짧은 단부 절단선들(81) 및 중간 절단선(78)이며, 이들 각각은 상부 패널(6)을 향해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중간 절단선(78)의 양측면에) 2개의 하부 항복 탭(76)을 형성한다.
블랭크(1)로 카톤(100)을 조립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방법(도 2 및 도 8 사이에 다양한 조립 단계들에 도시됨)이 지금부터 설명된다.
블랭크(1)는 물품들(A)의 그룹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패널(6)이 그러한 물품들(A)의 위쪽 표면 위에 놓이도록 한다. 이어서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이 물품들(A)의 그룹의 측면들 둘레에서 아래로 접히게 된다. 물품들(A)의 위쪽 부분들은 상부 패널(6)의 멈추개들(71) 아래에 위치하며 멈추개들(71)이 떨어져 나온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의 비워진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플랜지 부분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이 그러한 인접한 물품들(A)의 외측 표면에 대항하도록 압력을 받음에 따라, 상부 항복 탭들(72)이 인접한 물품들(A)의 위쪽 부분들의 둥글게 된 외부를 수용하기 위해 변형된다.
이어서 내측 바닥 패널(10)이, 도 2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바닥 패널(10)에 대해 수직의 위치를 향해 카톤(100)의 내측으로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20, 24)을 접음에 의해 각각의 빔 구조물(29)이 조립됨에 따라, 물품들의 그룹의 아래쪽 부분과 접촉하도록 접히게 된다. 빔 구조물들(29)이 물품들의 그룹의 인접한 물품들(A) 사이에 끼워지는 지점까지, 이들은 그러한 물품들(A) 사이에 위치하도록 충분히 조립된다. 이어서 외측 바닥 패널(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튜브형 구조를 생성하도록, 물품들(A)의 그룹의 아래쪽 부분 및 내측 바닥 패널(10)의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도 3에 도시된 방식으로, 접히게 된다.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 내의 하부 항복 탭들(76)이, 제1 및 제2 측면 패널(4, 8)이 그러한 인접한 물품들(A)의 외측 표면에 대항하도록 압력을 받음에 따라, 필요에 따라 그의 내측 부분들과 접촉하는 물품들의 둥글게 된 외측 표면을 수용하기 위해 변형된다.
빔 구조물들(29)은 내측 바닥 패널(10)의 단부 영역들에서 형성된다. 일단 조립되면, 내측 바닥 패널(10)의 이러한 단부 영역 전체가 물품들(A) 중 선택된 것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물품들은 스스로, 그들의 외측 표면들이 빔 구조물들(29)에 접촉하여 빔 구조물들이 붕괴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빔 구조물(29)의 강건함을 더욱 증대시킨다.
잠금 배열체들(90/91 , 96/99)은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을 물품들 둘레에 함께 고정하여 카톤의 복합 바닥 벽을 형성하도록 작동된다. 잠금 배열체들(90/91 , 96/99)은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을 서로 잠그는 기능 뿐만 아니라 조립된 빔 구조물들(29)에 대해 보강 배열체들(50)의 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여, 그로 인해 결과적으로 빔 구조물(29)과 맞물린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 보강 배열체들(50)을 돕도록 한다. 보강 배열체들(50)은 또한, 보강 배열체(50)의 빔 구조물(29)과의 맞물림이 내측 바닥 패널(10)과 외측 바닥 패널(2)이 사용시에 잠금 배열체들(90/91 , 96/99)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잠금 배열체들(90/91 , 96/99)을 돕는다.
상기한 접는 작업의 순서는 결과적으로 보강 배열체들(5)이 조립된 빔 구조물(29) 아래에 수직 정렬로 놓이게 하여, 이어서 각 보강 배열체(5)의 주 플랩(51)이, 외측 바닥 패널(2)에 주 플랩을 힌지연결하는 접는선(66)에 대해, 제1 빔 측면 패널(20)의 조립에 의해 비워지게 되는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형성되는 구멍들을 통해, (도 5 내지 도 7의 일련의 예시들에 최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응하는 빔 구조물들(29) 내측으로 접히게 되도록 할 것이다. 보강 배열체(50)의 제2 측면 탭(54)이 힌지연결되는 각 주 플랩(51)의 하나의 측면 가장자리가, 제1 빔 측면 패널(20)을 내측 바닥 패널(10)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30)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각 주 플랩(51)의 내향 접음은 제2 측면 탭(54)의 내측 바닥 패널(10)과의 접촉에 의해 그리고 또한 멈추개(26)의 주 플랩(51)의 일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주 플랩(51)의 약간의 휘어짐이 주 플랩(51)을 빔 구조물(29) 속으로 힌지선회시키기 위해 필요하며, 이러한 휘어짐은 보강 배열체(50)를 구성하는 재료의 유연성에 의해 가능해진다는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주 플랩(51)의 휘어짐은, 빔 구조물(29) 속으로 힌지선회하게 됨에 따라 주 플랩(51)의 휘어짐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웨지(wedge)와 같이 작용하는, 멈추개(26)의 둥근 모서리에 의해 도움받게 된다. 제2 측면 탭(54)을 주 플랩(51)에 힌지연결하는 접는선(61)은, 주 플랩(51)이 빔 구조물(29) 속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항복하며, 그에 의해 제2 측면 탭(54)이 주 플랩(51)의 평면 밖으로 접히도록 야기한다. 주 플랩(51)이 카톤(100)의 내측으로 힌지선회함에 따라, 제2 측면 탭(54)의 외측 표면은, 최종적으로 제2 측면 탭(54)이 멈추개(26)를 전체적으로 지나칠 때까지, 멈추개(26)의 앞쪽 가장자리(leading edge)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접는선(66)과 제2 측면 탭(54)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치우침은, 제2 측면 탭(54)이 주 플랩(51)의 측면에 대해 힌지선회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멈추개(26)의 결과적인 위쪽 표면 위에 어느 정도의 틈새(clearance)를 허용한다. 유사하게, 제2 측면 탭(54)의 다른 단부와 주 플랩(51)의 인접한 가장자리 사이의 치우침은, 제2 측면 탭(54)이 주 플랩(51)에 대해 접는선(61)에 대해 접히게 되는 것을 돕는다. 이 지점에서, 보강 배열체(50)를 형성하는 재료의 자연적인 경향은, 제1 빔 측면 패널(20)과 접촉상태에 이를 때까지, 주 플랩(51)의 평면을 향해 복귀하도록 제2 측면 탭(54)을 가압한다. 이러한 제2 측면 탭(54)의 제1 빔 측면 패널(20)과의 접촉 또는 마찰접촉은 빔 구조물(29)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는 그밖에 빔 패널들(20, 22, 24)이 본래의 내측 바닥 패널(10)의 평면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주 플랩(51)의 자유 상부 가장자리가 또한 빔 상부 패널(22)의 아래쪽 표면과 접촉상태에 놓이게 되어, 또한 빔 구조물(29)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지점에서, 도 7(아래에서) 및 도 8(위에서)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측면 탭(54)은 멈추개(26)의 위쪽 표면과 접촉하며, 빔 구조물 밖으로의 주 플랩(51)의 힌지선회가 이러한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측면 탭(54)의 접음과 동시에, 제1 측면 탭(52)이 부분적으로 그 위에 배치되는 물품(A)의 최하단 표면에 대항하도록 유사하게 가압된다. 제1 측면 탭(52)이 그에 따라 주 플랩(51)에 힌지연결되는 접는선(60)은 이에 응하여 항복하며, 제1 측면 탭(52)은 주 플랩(51)의 평면 밖으로 힌지선회되어, 제1 측면 탭(52)의 외측 표면이 물품(A)의 아래쪽 부분의 외측 표면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제1 측면 탭(52)의 단부의 테이퍼형 부분은, 카톤(100)의 내측으로의 그의 어떠한 힌지선회가 일어날 수 있기 이전에 제1 측면 탭(52)이 주 플랩(5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는 것을 요구하는 대신에, 제1 측면 탭(52)의 접힘을 점진적으로 진행시킴에 의해 이러한 과정을 돕는다.
따라서, 내측 바닥 패널(10)에 수직으로 각 주 플랩(51)을 접음에 의해, 각 주 플랩(51)의 제2 측면 탭(54)이 각각의 빔 구조물(29)의 제1 빔 측면 패널(20)과 동일평면 상에 또는 접촉 상태에 놓이게 되고, 제2 측면 탭(54)의 아래쪽 가장자리가 멈추개(26)의 위쪽 표면과 접촉한다. 각 빔 구조물(29) 상에서의 보강 배열체(50)의 이러한 접촉은 주 플랩(51)이 외측 바닥 패널(2)의 평면으로 복귀하도록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주 플랩을 외측 바닥 패널(2)에 대한 수직 관계로 유지한다. 주 플랩(51)의 위쪽 가장자리는 빔 상부 패널(22)의 아래쪽 표면과 접촉하여, 또한 주 플랩(51)이 외측 바닥 패널(2)의 평면으로 복귀하도록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인접한 물품(A)의 아래쪽 부분과의 주 플랩(51)의 반대편 측면 가장자리(즉, 제1 측면 탭(52))의 접촉에 의해 도움받게 된다(도 8 참조). 제1 빔 측면 패널(20)이 빔 상부 패널(22)을 경유하여 제2 빔 측면 패널(24)에 힌지연결되는 덕분에, 이러한 접촉은 또한 빔 상부 패널(22) 및 제2 빔 측면 패널(24)이 내측 바닥 패널(10)의 평면으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해당하는 빔 구조물(29)을 조립된 위치에 유지한다.
완전히 조립되고 적재된 패키지에서, 각 보강 배열체(50)의 주 플랩(51)은, 일 측면 상의 물품 및 반대편 측면 상의 빔 구조물(29)의 측면 사이에, 버팀대(brace)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빔 구조물(29) 모두 공통의 빔 측면 패널(24)을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보강은 다른 것의 보강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2개의 빔 구조물 중 첫 번째 것의 보강이, 상응하는 보강 배열체(5)가 손상되거나 빔 구조물(29)의 밖으로 접히게 됨에 따른 이유로, 실패한다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측 바닥 패널(10)에 수직 관계로의 제2 측면 패널(24)의 유지가 조립된 위치에 있는 빔 구조물 중 두 번째 것의 유지를 돕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톤(100)은 유리하게 각 빔 구조물(29)을 조립하고 보강 배열체(50)를 삽입하기 위한 단지 2번의 접는 작업을 필요로 함에 의해 조립의 용이함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보강 배열체(50)를 빔 구조물 속으로 접는 작업은 내측 바닥 패널(10) 및 외측 바닥 패널(2)이 중첩관계에 놓인 이후에도 달성가능하다. 이는, 보강 배열체가 대신에 내측 바닥 패널(10)과 접촉상태로 접히게 되는 외측 바닥 패널(2)과 동시에 빔 구조물 속으로 정확하게 접히고 직접적으로 삽입될 필요가 있다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으로 불리한 제조 문제들을 회피시킨다.
그 내부에 배치되는 4개의 물품을 갖는 완성된 카톤(100)의 마지막 배열형태가 도 9에 예시된다. 향상된 명확함을 위해, 도 9는, 물품들과 빔 구조물(29)의 상대적인 배치를 예시하기 위해, 단지 가공의 윤곽선으로 예시되는 물품(A)을 갖는 카톤(100)의 동일한 모습을 도시한다.
블랭크(1)는 임의의 수의 빔 구조물(29) 및 상응하는 보강 배열체(5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예시된 블랭크는 2×2 배열의 물품들을 저장하는데 적합하며, 그러므로 각 열의 각 물품을 그 열의 다른 물품으로부터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더 많은 빔 구조물(29) 및 연관된 보강 배열체(50)가 물품들의 요구되는 그룹 크기 및 배치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열의 물품들로부터 한 열의 물품들을 분리하는 것 또는 물품들을 카톤의 인접한 벽들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예상된다.
예시된 블랭크(1)는 둘러싸는 스타일의 카톤(100)을 형성하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빔 구조물은, 특히 단부 적재 카톤들 및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카톤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카톤의 본성에 의존하여, 블랭크로부터의 카톤의 조립 과정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같은 카톤은 물품들의 삽입 이전에 조립된 빔 구조물들의 사전 형성에 더욱 적합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패널들 및 구멍들의 크기와 형상이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의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화들이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품 배열 구조 또는 다른 사실들은 서로 다른 빔 구조물 단면들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20, 24) 및 빔 상부 패널(22)이 각각 정사각 단면의 빔 구조물을 생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유사한 길이임에 반하여, 예를 들어 빔 구조물의 측면들이 빔 상부 패널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빔 구조물의 폭이 빔 상부 패널의 결과적인 길이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빔 상부 패널은 또한 부분적으로 제2 빔 측면 패널(24) 뿐만 아니라 내측 바닥 패널(10) 내에 한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나아가, 제2 빔 측면 패널(24)는 대신에 빔 구조물 둘 모두(또는 모든 빔 구조물)에 공통이 아닐 수도 있으며, 각 빔 구조물(29)은 그 자신의 독립적인 제2 빔 측면 패널(24)을 구비할 수도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상부", "바닥", "전방", "후방", "단부", "측면", "내측", "외측", "위쪽" 및 "아래쪽" 등과 같은 방향 관련 언급은 개별적인 패널들을 그러한 방향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러한 패널들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힌지연결에 대한 임의의 언급이 반드시 단일 접는선만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실제로 힌지연결은 짧은 슬릿, 파단선 또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는 접는선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Claims (21)

  1.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에 있어서,
    복합 벽, 빔 구조물 및 보강 배열체를 포함하며,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카톤의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빔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빔 구조물 내에 배치되어,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내측 패널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외측 패널의 평면에 놓이는 제1 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되는 제2 위치로부터 힌지선회가능한,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측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의 표면에 접촉하게 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이 상기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접는선이 상기 멈추개의 끝단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절단선에 의해 단절되며, 상기 멈추개는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힌지선회됨에 따라 상기 보강 배열체의 변형을 필요로 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주 플랩을 포함하며, 상기 주 플랩의 측면 가장자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도록 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주 플랩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에 힌지연결되는 제1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빔 측면 패널과 면접촉 관계로 배치될 수 있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의 평면 밖으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멈추개에 인접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멈추개의 두께를 수용하고 상기 주 플랩에 대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힌지선회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인접한 표면으로부터 치우치게 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제1 측면 탭 반대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2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탭은 하나 이상의, a) 물품이 존재할 때 상기 카톤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표면과의 접촉 위치로 접힐 수 있는 부분, 또는 b)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탭의 접힘을 촉진하기 위한 테이퍼형 부분인,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2 이상의 빔 구조물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빔 구조물의 보강이 상기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다른 하나의 빔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하도록 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구조물은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 모두에 힌지연결되는 빔 상부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빔 상부 패널의 아래쪽 표면과 접촉상태로 배치되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12.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에 있어서,
    복합 벽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 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 및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카톤의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이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빔 구조물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빔 구조물 내에 배치가능하여,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빔 측면 패널에 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도록 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조립된 카톤에서 상기 보강 배열체가 상기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합 벽의 상기 내측 패널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접을 수 있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패널들은, 상기 카톤이 조립되었을 때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는, 주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주 플랩은 상기 빔 구조물의 상기 빔 측면 패널들 중 하나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빔 측면 패널들이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으로 복귀하도록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의 측면 가장자리가 상기 하나의 빔 측면 패널과 접촉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빔 측면 패널이 상기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접는선이 상기 복합 벽의 상기 내측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멈추개의 끝단 가장자리를 한정하는 절단선에 의해 단절되며,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주 플랩의 상기 측면 가장자리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1 측면 탭을 더 포함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의 평면 밖으로 접을 수 있어, 상기 멈추개에 인접한 상기 제1 측면 탭의 가장자리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조립된 빔 구조물 밖으로 힌지선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멈추개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탭은, 상기 제1 측면 탭이 상기 조립된 카톤의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될 때, 상기 멈추개의 두께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주 플랩이 상기 외측 패널에 힌지연결되도록 하는 상기 접는선으로부터 치우치게 되는, 최하부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제1 측면 탭 반대편의 그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주 플랩에 힌지연결되는, 제2 측면 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탭은, 물품이 존재할 때, 상기 조립된 카톤 내에 수용되는 물품의 표면과의 접촉 위치로 접을 수 있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탭은, 상기 주 플랩이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히게 됨에 따라, 상기 제2 측면 탭의 접힘을 촉진하기 위한 테이퍼형 부분을 구비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20.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2 이상의 빔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들을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조립된 빔 구조물의 보강이 상기 공통의 빔 측면 패널을 공유하는 다른 빔 구조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하도록 하는, 물품들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21.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에 있어서,
    각각 상호 맞물리게 되는 암?수 펀치-록 잠금 탭 및, 빔 구조물과 보강 배열체를 포함하며 서로에 대해 상기 잠금 탭들에 대한 내측 패널 및 외측 패널의 회전을 완화시키기 위한, 안정화 수단을 구비하도록 제공되는, 한 쌍의 내측 및 외측 중첩 패널로 형성되는 복합 벽을 포함하며,
    상기 빔 구조물은, 각각 상기 복합 벽의 내측 패널에 힌지연결되고 빔 상부 패널에 의해 서로에 힌지연결되는,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빔 측면 패널을 상기 내측 패널의 평면 밖으로 접음에 의해 조립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강 배열체는 상기 복합 벽의 외측 패널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빔 구조물 속으로 접을 수 있는, 물품을 패키징하기 위한 카톤.
KR1020127009934A 2009-10-19 2010-10-19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 KR20120098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918250.2A GB0918250D0 (en) 2009-10-19 2009-10-19 Reinforced beam structure for a carton
GB0918250.2 2009-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8634A true KR20120098634A (ko) 2012-09-05

Family

ID=4146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934A KR20120098634A (ko) 2009-10-19 2010-10-19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490961A1 (ko)
JP (1) JP5997049B2 (ko)
KR (1) KR20120098634A (ko)
CN (1) CN102596746A (ko)
AU (1) AU2010308307A1 (ko)
GB (1) GB0918250D0 (ko)
RU (1) RU2012120725A (ko)
WO (1) WO2011049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15835B2 (en) * 2011-05-06 2017-08-0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US9022217B2 (en) 2011-05-06 2015-05-0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EP3150499B1 (en) 2011-05-06 2018-06-2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Method of forming a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JP5820057B2 (ja) * 2011-05-12 2015-11-24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保持機能部を有するキャリア
BR112014009736B1 (pt) 2011-10-19 2020-09-29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Método de embalagem de artigos, e máquina de embalagem para fazer a embalagem de uma série de artigos dentro de uma série de embalagens de acondicionamento
WO2014014505A1 (en) 2012-07-17 2014-01-2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lap
CA2900923C (en) * 2013-03-14 2018-01-0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US9840358B2 (en) 2013-03-14 2017-12-1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US9701436B2 (en) 2013-04-10 2017-07-11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ton with article protection feature
MX363062B (es) 2013-04-10 2019-03-06 Graphic Packaging Int Llc Caja de carton con elemento de proteccion de articulo.
US9708112B2 (en) 2014-01-07 2017-07-18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Carrier for containers
CN111315663B (zh) * 2017-11-15 2022-10-04 维实洛克包装系统有限公司 纸箱和其坯件
USD993016S1 (en) 2021-04-22 2023-07-25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8780C (nl) * 1970-04-18 1982-05-17 Unilever Nv Verzamelverpakking voor een rij houders.
GB1493811A (en) * 1975-01-31 1977-11-30 Drg Packaging Ltd Blank for packaging and packages made therewith
DE7625311U1 (de) * 1976-08-12 1977-01-20 Mead Corp Falthuelle fuer in zwei Reihen angeordnete Flaschen
DE2909800A1 (de) * 1978-03-17 1979-09-27 Unilever Nv Verfahren und zuschnitt zur verbesserung des verschlusses einer umhuellung fuer flaschen u.ae. gegenstaende
US4437606A (en) * 1982-03-26 1984-03-20 Manville Service Corp. Beverage package and production blank with improved locking features
US4703847A (en) * 1987-01-30 1987-11-03 The Mead Corporation Multipack for flanged primary containers
JP4098382B2 (ja) * 1997-08-29 2008-06-11 ミードウエストヴェイコ・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ズ・エルエルシー カートン
GB0202869D0 (en) * 2002-02-07 2002-03-27 Mead Corp Carton with overlapped base panels and blank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918250D0 (en) 2009-12-02
JP2013508234A (ja) 2013-03-07
RU2012120725A (ru) 2013-11-27
EP2490961A1 (en) 2012-08-29
AU2010308307A1 (en) 2012-05-03
JP5997049B2 (ja) 2016-09-21
CN102596746A (zh) 2012-07-18
WO2011049947A1 (en)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8634A (ko) 카톤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를 위한 보강 빔 구조물
US7000824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therefor
US6923365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CN101253099B (zh) 具有自锁蹼形底折片的八角形散装箱
US6755300B2 (en) Flat blank from which to form a rigid packet
JP6863340B2 (ja) 包装箱の組み立て方法
EP2256048B1 (en) Swing-open type package
KR20030069988A (ko) 포장용 카톤 블랭크
US10301061B2 (en) Carton and carton blank
US8523047B2 (en) Handle structure
MXPA03003461A (es) Carton y plantilla de carton.
CN105683058A (zh) 纸箱及纸箱坯料
JP5642413B2 (ja) 緩衝機能付包装用箱
KR100957901B1 (ko) 겹침 베이스 패널을 구비한 카톤 및 그 카톤용 블랭크
JP2020132184A (ja) トレーと包装用箱
JP6809508B2 (ja) 包装箱
EP1320489A2 (en) Carton and carton blank therefor
JP7007949B2 (ja) 包装用箱
MXPA03001284A (es) Caja de carton y lienzo.
WO2003053796A1 (en) Carton and carton blank
EP1533239A2 (en) Carton and carton blank
EP1992564B1 (en) Container having reinforced corners
JP3933629B2 (ja) 物品用カートンおよびそのためのブランク
WO2002030765A2 (en) Carton and carton blank
TWI408084B (zh) 用於紙箱之補強樑結構及形成該結構之胚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