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562A -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562A
KR20120096562A KR1020127017485A KR20127017485A KR20120096562A KR 20120096562 A KR20120096562 A KR 20120096562A KR 1020127017485 A KR1020127017485 A KR 1020127017485A KR 20127017485 A KR20127017485 A KR 20127017485A KR 20120096562 A KR20120096562 A KR 2012009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execution
physical
logic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가자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4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changing the state or mode of one or mor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7Permi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한다.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1)이며, 제어부(1a)는, 처리의 실행 대상의 물리 드라이브(1c1)(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a)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RIVE CONTROL PROGRAM AND DRIV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Hard Disk Drive) 등의 기억 장치의 저렴화 및 사용되는 데이터 증가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갖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는, 이들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복수의 기억 장치 중 일부의 기억 장치에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장해가 발생한 것을 분리하고, 교환 후의 것에 관해서만 복원 데이터를 기입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개평7?121316호 공보
여기서, 복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물리 드라이브) 등의 순번과 OS(Operating System) 등이 인식하는 논리적인 드라이브(논리 드라이브)의 순번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에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OS 재(再)인스톨 시에, 논리 드라이브와 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가 생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서 취급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유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OS가 겹쳐 써져서 재인스톨될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OS 재인스톨 시에, OS가 인스톨될 예정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에 관해, 접속을 물리적으로 끊고 나서 재인스톨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한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기억 장치에도 생길 수 있음과 함께, OS 재인스톨 시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다른 동작에 관해서도 생길 수 있다.
본건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개시의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제어부는 처리의 실행 대상의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개시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에서는, 컴퓨터를 처리의 실행 대상의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개시의 드라이브 제어 방법에서는, 컴퓨터가 처리의 실행 대상의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에 따르면,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를 일치시킴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예로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첨부의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설정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2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1)는,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한다. 정보 처리 장치(1)는 제어부(1a),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b), 물리 드라이브(1c19, 1c2)를 갖는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1c1, 1c2)는, 정보 처리 장치(1)의 외부에 설치되어, 정보 처리 장치(1)와 접속되어도 된다.
제어부(1a)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예를 들면, 물리 드라이브(1c1))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a)는 이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제어부(1a)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예를 들면, 물리 드라이브(1c2))를 무효로 하고,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a)는 처리 실행 완료 후에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b)에 기억되어 있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유효에서 무효로 한 물리 드라이브를 유효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 장치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b)는, 물리 드라이브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란, 정보 처리 장치(1)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하여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의 무효란, 정보 처리 장치(1)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하여 사용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해, 처리의 실행에 의해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가 무효로 되는 이전의 상태가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의 실행 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의 실행 전에 유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로 설정되고, 처리의 실행 전에 무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무효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각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 또는 무효에 관해, 처리 실행 전의 상태와 같게 설정할 수 있다.
물리 드라이브(1c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판독 기입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여기서는, 물리 드라이브(1c1)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의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예를 들면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한 OS 재인스톨에 의한 정보 처리 장치(1)의 OS 복원,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한 데이터 기입, 처리 실행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 등,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행해지는 임의의 처리가 해당된다.
물리 드라이브(1c2)는, 물리 드라이브(1c1)와 마찬가지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판독 기입 가능한 기억 장치이다. 물리 드라이브(1c2)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물리 드라이브(1c2)는, 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OS 재인스톨이나 데이터 기입일 경우에는, 겹쳐 써지면 안 되는 유저 데이터 등의 보호해야 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1c2)는, 정보 처리 장치(1)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일 경우에는,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1c1, 1c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한하지 않고, 판독 기입 가능한 기억 장치이면 되고, RAID(Redundant Arrays of Inexpensive Disks) 등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솔리드 메모리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의 기억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를 일치시킴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2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에 의해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101)에는, 버스(107)를 통해 RAM(Random Access Memory)(102), 내장 드라이브(103), 그래픽 처리 장치(104), 입출력 인터페이스(105), 통신 인터페이스(106)가 접속되어 있다.
RAM(102)에는, CPU(101)에 실행시키는 OS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RAM(102)에는, CPU(10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내장 드라이브(103)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옵티컬 드라이브(Optical Drive) 등의 기억 장치이다. 내장 드라이브(103)에는, OS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옵티컬 드라이브는, CD(Compact Disc)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자기 디스크에 액세스해서 데이터를 판독 기입하는 장치이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에는, 모니터(11)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는,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모니터(11)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에는, 키보드(12), 마우스(13), 외부 드라이브(14)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는, 키보드(12)나 마우스(13)로부터 보내져 오는 신호를, 버스(107)를 통해서 CPU(101)에 송신함과 함께, 버스(107)를 통해 CPU(101)의 제어에 의거하여, 외부 드라이브(14)에 대해 데이터의 판독 기입을 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06)는, 인터넷(Internet)(도시 생략), LAN(Local Area Network)(도시 생략)이나 케이블 텔레비전(도시 생략) 등의 통신 회선에 접속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106)는, 통신 회선을 통해, 다른 컴퓨터(도시 생략)나 네트워크 드라이브(도시 생략) 등의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06)에 의해, 통신 회선을 통해 배신(配信)되는 인터넷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동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
이상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내장 드라이브(103), 제어부(111), 설정 정보 기억부(151),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외부 드라이브(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내장 드라이브(103)로서, 옵티컬 드라이브(103a),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외부 드라이브로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옵티컬 드라이브(103a)에 세트된 리커버리 디스크(recovery disk)를 사용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100)에 직접 접속된 외부의 옵티컬 드라이브 등의 외부 드라이브,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LAN 등의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또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제어부(111)는, OS 복원에 사용되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예를 들면,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OS 복원 대상인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이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1)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처리가 행해지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0))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OS 복원 처리 실행 완료 후에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시에 유효에서 무효로 한 물리 드라이브를 유효로 한다.
설정 정보 기억부(151)는, 본 실시형태의 복원 기능을 제어하는 설정 정보를 기억한다. 이 설정 정보에 의거하여,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후술하는 복원 처리의 실행이 제어된다. 이 설정 정보 기억부(151)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Basic Input/Output System)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RAM(102)이나 내장 드라이브(10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는,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란, 정보 처리 장치(100)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의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하여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의 무효란, 정보 처리 장치(100)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하여 사용 불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RAM(102)이나 내장 드라이브(10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해, 처리의 실행에 의해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가 무효로 되는 이전의 상태가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 실행 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실행 전에 유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로 설정되고, 처리 실행 전에 무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무효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각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 또는 무효에 관해, 처리 실행 전의 상태와 같게 설정할 수 있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처리 실행 대상의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OS 복원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데이터 기입이어도 되고,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이어도 된다. 또한, 그 외의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실행되는 임의의 처리여도 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c)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c)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OS 재인스톨이나 데이터 기입일 경우에는, 겹쳐 써지면 안 되는 유저 데이터 등의 보호해야 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일 경우에는,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OS 복원 시 등에서, 처리 대상 외인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해서, 접속을 물리적으로 끊는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물리 드라이브의 오인을 방지해서 확실하게 대상으로 하는 하드디스크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상, 복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물리 드라이브(0)(“0”은 물리 드라이브 번호)와 논리 드라이브(0)(“0”은 논리 드라이브 번호)는 일치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전제로서 OS 복원 등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러나, 컴퓨터의 오인식 등에 의해, 물리 드라이브에 대하여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물리 드라이브(0)에 설정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OS가 인스톨되어 있고, 물리 드라이브(1)에 설정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유저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케이스에 관하여 생각한다. 또한, 여기서는 OS 복원이 물리 드라이브(0)에 대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물리 드라이브(1)에 대하여, 본래 물리 드라이브(0)에 할당되어야 할 논리 드라이브(0)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은 물리 드라이브(0)에 OS를 복원하기 위해, 논리 드라이브(0)에 OS 재인스톨을 실행한다. 그러나, 논리 드라이브(0)가 잘못하여 물리 드라이브(1)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리 드라이브(1)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데이터에 대하여 OS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겹쳐 써지게 되어, 유저 데이터의 파괴라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 OS 복원 처리의 실행 시 등에는, 처리에 관계없는 다른 물리 드라이브(예를 들면, 물리 드라이브(1))의 접속을 미리 물리적으로 끊은 후에, OS를 재인스톨하는 대처 방법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성?효율성의 면에서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OS 복원 시에, OS가 갖는 인스톨 툴보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에 대해 물리적으로, 또한 유효하게 접속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수(예를 들면, 3개)를 알아본다.
다음으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중 OS가 재인스톨되는 물리 드라이브(예를 들면,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를 BIOS에서 OS로부터 참조할 수 없게 되도록, 인스톨 툴은, BIOS에 대하여 무효(Disable) 설정을 행하도록 의뢰를 행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재기동을 행한다.
다음으로, BIOS는, 재기동 시에, 인스톨 툴로부터의 의뢰에 의거하여,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를, OS로부터 참조할 수 없게 되도록 무효 설정을 행한다.
다음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재기동 후에 OS 재인스톨이 행해진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0)에서는, 인스톨 툴로부터의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는, 무효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참조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물리 드라이브(0) 이외에 OS가 인스톨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OS 재인스톨 완료 후, 인스톨 툴은, BIOS에 의해 OS로부터 참조 불가로 된 무효 설정의 물리 드라이브(예를 들면, 3개)가 OS로부터 참조될 수 있도록, 인스톨 툴에 의해 BIOS에 대하여 유효(Enable) 설정을 행하도록 의뢰한 후에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재기동을 행한다.
다음으로, BIOS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재기동 시에, 인스톨 툴로부터의 의뢰에 의거하여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에 대하여, OS로부터 참조할 수 있도록 유효 설정을 행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재기동 후, 새롭게 인스톨된 OS는, 물리 드라이브(0)로부터 기동됨과 함께,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도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OS 복원 시를 예로 설명했지만, 초기 상태의 OS 인스톨 시, OS 이외의 소프트웨어의 인스톨 시나 재인스톨 시, 소프트웨어 이외의 데이터 기입 시 등의 임의의 기억 장치를 사용하는 처리의 실행 시, 기억 장치의 접속 변경 시, 초기 설정 시나 설정 변경 시, 수리 시 등의 복수의 기억 장치를 인식 및 구별해서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고,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모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해도 되고, 외부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이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ATA(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RAID 등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솔리드 메모리 드라이브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의 기억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설정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설정 테이블(151a)은, 정보 처리 장치(100)가 갖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도 3에 있어서 전술)에 기억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에 의해 작성 및 관리되고 있다. 설정 테이블(151a)은, 정보 처리 장치(100)가 갖는 복원 기능의 제어에 사용되는 플래그를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설정 테이블(151a)에는, 항목으로서 “플래그”, “값”이 마련되어 있다. 설정 테이블(151a)에서, 각 항목의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정보끼리가 설정 정보로서 서로 관련지어져 있다.
플래그는, 설정 정보가 갖는 플래그를 특정하기 위해 붙여진 명칭이다. 값은 그 플래그의 현재의 값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정 정보의 각 플래그의 값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복원 처리의 실행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실행 요구 플래그 값이 “1"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의 실행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행 요구 있음」임을 나타내고, “0"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의 실행이 현재 요구되고 있지 않는 「실행 요구 없음」임을 나타낸다. 실행 가부 플래그 값이 “1"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의 실행이 허가되어 있는「실행 가능」임을 나타내고, “0"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의 실행이 허가되어 있지 않는「실행 불가능」임을 나타낸다. 실행중 플래그 값이“1"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실행중」임을 나타내고, “0"일 경우에는, 복원 기능이 현재 실행되고 있지 않는「비실행중」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른 값에 의해 복원 기능의 실행에 사용하는 플래그의 상태를 나타내도 된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의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152a)은,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칩이 갖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도 3에 있어서 전술)에 기억되어 있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BIOS에 의해 작성 및 관리되고 있다.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152a)은, 정보 처리 장치(100)가 갖는 복원 기능에 있어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및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의 상태를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152a)에는, 항목으로서 “물리 드라이브 번호", “상태"가 마련되어 있다.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152a)에 있어서, 각 항목의 가로 방향으로 나열된 정보끼리가 드라이브 상태 정보로서 서로 관련지어져 있다.
물리 드라이브 번호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OS 복원 시에 액세스 가능한 하드디스크인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및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일의(一意)로 특정하기 위해 할당된 번호이다.
상태는, OS 복원 전에 있어서의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및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에 관해 설정된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이 사용 상태는, 물리 드라이브마다 그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이 가능한 「유효」 및 그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이 불가능한 「무효」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복원 기능에서는, 복원시에 OS가 재인스톨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 불가능한 무효로 설정한다. 이때,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복원 전의 각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 상태를 드라이브 상태 정보로서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에 보존해 둔다. 그리고, 복원 완료 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판독하여,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취득한다. 그 후, 취득한 상태에 의거하여 각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 상태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복원 기능에 의해 사용 상태가 변경된 각 물리 드라이브에 관해, 복원 전의 사용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가 “1"인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태가 “0"인 물리 드라이브는, 무효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른 값에 의해 각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서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옵티컬 드라이브나 다른 기억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도 된다.
도 6 및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복원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OS를 재인스톨함으로써 물리 드라이브 상에 OS를 복원하는 처리이다. 복원 처리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의거한 OS 복원(리커버리) 실행시, 또는 자동적인 OS 복원 실행시 등에 실행된다.
[스텝 S11]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를 판독하고, 실행중 플래그의 값이, 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행중 플래그의 값이 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12로 진행된다. 한편, 진행중 플래그의 값이 비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14로 진행된다.
[스텝 S12] 제어부(111)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드라이브 상태 테이블(152a)의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판독하고,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 상태를 복원 기능의 실행 전의 상태로 복원한다.
[스텝 S13]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의 실행중 플래그에, 비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스텝 S14]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를 판독하고, 실행 요구 플래그의 값이, 「실행 요구 있음」을 나타내는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행 요구 플래그의 값이 「실행 요구 있음」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15로 진행된다. 한편, 실행 요구 플래그의 값이 「실행 요구 없음」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21(도 7)로 진행된다.
[스텝 S15]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의 실행중 플래그에, 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스텝 S16] 제어부(111)는, 물리 드라이브(O)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의 사용 상태를 무효로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1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무효로 된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는 OS 복원중에는 액세스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가 잘못해서 논리 드라이브(0)로 인식되거나,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에 OS가 재인스톨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21]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를 판독하고, 실행중 플래그의 값이, 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실행중 플래그의 값이 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22로 진행된다. 한편, 실행중 플래그의 값이 비실행중을 나타내는 값이면, 처리는 스텝 S24로 진행된다.
[스텝 S22] 제어부(111)는 논리 드라이브(0)에 대해 OS 복원(재인스톨)을 실행한다. 이때, 논리 드라이브(0)는 물리 드라이브(0)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OS 복원이 올바르게 실행되게 된다.
[스텝 S23]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의 실행 요구 플래그에, 「실행 요구 없음」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24] 제어부(111)는, 설정 정보 기억부(151)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 테이블(151a)의 설정 정보의 실행 요구 플래그에, 「실행 요구 있음」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한다.
[스텝 S25] 제어부(111)는, 정보 처리 장치(100)를 재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재기동에 의거하여, 그 후, 처리는 스텝 S11(도 6)로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OS 복원의 대상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일치시킴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데이터 파괴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OS 복원의 대상 이외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한 후 OS 복원을 행함으로써, OS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기입되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해 확실하게 기입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의 시스템이 논리 드라이브를 오인하는 등으로 생기는 데이터의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OS 복원 전의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가 나타나 있으므로,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후에,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실행 전으로 돌릴 수 있다.
또한 OS 복원 처리의 실행 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설정하므로, OS 복원 처리의 실행 후에, OS 복원 처리 실행 전에 있어서의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로 돌릴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는, OS 복원 처리의 실행 전에, OS가 재인스톨되어야 할 물리 드라이브에 대하여, OS가 재인스톨되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할당 및 판정을 반복해서 행하고,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을 경우에 OS 복원이 행해지는 점에서, 제 2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한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내장 드라이브(103), 제어부(211)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는, 외부 드라이브(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내장 드라이브(103)로서, 옵티컬 드라이브(103a),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에는, 외부 드라이브로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는, 옵티컬 드라이브(103a)에 세트된 리커버리 디스크를 사용해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200)에 직접 접속된 외부의 옵티컬 드라이브 등의 외부 드라이브, 정보 처리 장치(200)에 접속된 LAN 등의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또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제어부(211)는, OS 복원에 사용되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예를 들면,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해, OS 복원 대상인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11)는, 이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의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및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의 각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키는 대응시킴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11)는, 대응시킴에 의해 OS 복원의 처리 대상인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실행 대상의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논리 드라이브 번호(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0))가 대응시켜져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올바른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대응시켜져 있을 경우에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의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동작하는 OS 복원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데이터 기입이여도 되고,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이어도 된다. 또한, 그 외의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실행되는 임의의 처리여도 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c)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처리 실행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내장 하드디크스 드라이브(103c)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OS 재인스톨이나 데이터 기입일 경우에는, 겹쳐 써지면 안 되는 유저 데이터 등의 보호 해야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일 경우에는,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고,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모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해도 되고, 외부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00)는, 이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ATA, SCSI, USB, IEEE 1394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RAID 등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솔리드 메모리 드라이브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의 기억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복원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200)가, 할당이 올바르게 행해져 있는지 판정을 행하여, 판정의 결과 할당이 올바르면, OS를 재인스톨함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상에 OS를 복원하는 처리이다. 복원 처리는, 예를 들면 유저 조작에 의거하는 OS 복원 실행시, 또는 자동적인 OS 복원 실행시 등에 실행된다.
[스텝 S31] 제어부(211)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 가능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및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의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할당한다.
[스텝 S32] 제어부(211)는, 스텝 S31에서 물리 드라이브의 할당의 결과, OS가 재인스톨되어야 할 물리 드라이브(0)와 OS가 재인스톨되는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는(동일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물리 드라이브(0)와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다면, 처리는 스텝 S33으로 진행된다. 한편, 물리 드라이브(0)와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지 않다면, 처리는 스텝 S31로 진행된다.
[스텝 S33] 제어부(211)는 논리 드라이브(O)에 대하여 OS 복원(재인스톨)을 실행한다. 이때, 논리 드라이브(0)는 물리 드라이브(O)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OS 복원이 올바르게 실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OS 복원의 대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일치시킴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데이터의 파괴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전에, 처리의 대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나서 OS 복원을 행함으로써, OS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기입되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확실히 기입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200)의 시스템이 논리 드라이브를 오인하는 등으로 생기는 데이터의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같은 사항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 4 실시형태는, OS 복원 처리의 실행 전에, OS가 재인스톨되어야 할 물리 드라이브에 대하여, OS가 재인스톨되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소정 횟수, 할당 및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고,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을 경우에 OS 복원이 행해진다. 소정 횟수 할당 및 판정을 행해도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 OS가 재인스톨되어야 할 물리 드라이브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하여 할당을 행한다. 그리고, 할당의 결과에 의거하여 OS 재인스톨을 행하는 점에서, 제 3 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 실행에 사용한다. 정보 처리 장치(300)는 내장 드라이브(103), 제어부(311)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에는 외부 드라이브(1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내장 드라이브(103)로서, 옵티컬 드라이브(103a),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에는, 외부 드라이브로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는, 옵티컬 드라이브(103a)에 세트된 리커버리 디스크를 사용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300)에 직접 접속된 외부 옵티컬 드라이브 등의 외부 드라이브, 정보 처리 장치(300)에 접속된 LAN 등의 네트워크에 설치된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또한,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에 OS를 복원해도 된다.
제어부(311)는, OS의 복원에 사용되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예를 들면,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해, OS 복원 대상인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이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논리 드라이브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및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의 각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대응시키는 대응시킴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대응시킴에 의해 OS 복원 처리의 대상인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실행 대상의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논리 드라이브 번호(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0))가 대응시켜져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올바른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대응시켜져 있을 경우에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제어부(3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올바른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대응시켜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응시켜져야 할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대응시켜질 때까지, 대응시킴과 판정을 소정 횟수 반복한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소정 횟수의 대응시킴과 판정을 반복해도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올바른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대응시켜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311)는,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에 대하여, 처리가 행해지는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예를 들면, 논리 드라이브(0))를 대응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논리 드라이브 번호에 의거하여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OS 복원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311)는,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완료 후에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의 실행 시에 유효에서 무효로 한 물리 드라이브를 유효로 한다.
또한, 제어부(311)는 미리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에 기억되어 있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각 물리 드라이브가 유효인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OS 복원 완료 후에 각 물리 드라이브의 상태를 OS 복원 이전의 상태로 돌릴 수 있다.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는,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란, 정보 처리 장치(300)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해 사용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물리 드라이브의 무효란, 정보 처리 장치(300)가 물리 드라이브를 참조, 데이터 기입, 데이터의 판독 입력 등에 관해 사용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152)는, 정보 처리 장치(300)의 BIOS칩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RAM(102)이나 내장 드라이브(10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해, 처리의 실행에 의해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가 무효로 되는 이전의 상태가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의 실행 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의 실행 전에 유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로 설정되고, 처리의 실행 전에 무효였던 물리 드라이브는 무효로 설정된다. 이렇게 하여, 각 물리 드라이브의 유효 또는 무효에 관해, 처리의 실행 전의 상태와 같게 설정할 수 있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의 처리 실행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동작하는 OS 복원이 실행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처리는, 데이터 기입이어도 되고,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이어도 된다. 또한, 그 외의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를 사용해서 실행되는 임의의 처리여도 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c)는, 여기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실행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인 것으로 한다.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c)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OS 재인스톨이나 데이터 기입일 경우에는, 겹쳐 써져서는 안 되는 유저 데이터 등의 보호해야 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는, 정보 처리 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처리가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일 경우에는,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닌 물리 드라이브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를 갖고,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가 접속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모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내장해도 되고, 외부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300)는, 이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ATA. SCSI, USB, IEEE 1394 등의 각종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300)는,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RAID 등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솔리드 메모리 드라이브 등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이외의 기억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의 복원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복원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300)가, 할당이 올바르게 행해져 있는지 소정 횟수의 판정을 행하고,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OS를 재인스톨함으로써 물리 드라이브 상에 OS를 복원하는 처리이다. 복원 처리는, 예를 들면, 유저의 조작에 의거하여 OS 복원 실행시, 또는 자동적인 OS 복원 실행시 등에 실행된다.
[스텝 S41] 제어부(311)는, 정보 처리 장치(200)에서 사용 가능한 내장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03b, 103c) 및 외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4a, 14b) 등의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할당한다.
[스텝 S42] 제어부(311)는, 스텝 S41의 판정 횟수가 소정 횟수(예를 들면, 10회)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이면, 처리는 스텝 S44로 진행된다. 한편, 판정 횟수가 소정 횟수 미만이면, 처리는 스텝 S43으로 진행된다.
[스텝 S43] 제어부(311)는, 스텝 S41에서 물리 드라이브의 할당 결과, OS가 재인스톨 되어야 할 물리 드라이브(0)와 OS가 재인스톨되는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는(동일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물리 드라이브(0)와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으면, 처리는 스텝 S45로 진행된다. 한편, 물리 드라이브(0)와 논리 드라이브(0)가 일치하고 있지 않으면, 처리는 스텝 S41로 진행된다.
[스텝 S44] 제어부(311)는,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에 관하여 사용 불가라고 간주하고, 물리 드라이브(0)에만 논리 드라이브(0)를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는 OS 복원중에는 액세스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가 잘못해서 논리 드라이브(0)로 인식되거나, 물리 드라이브(0) 이외의 물리 드라이브에 OS가 재인스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텝 S45] 제어부(311)는, 논리 드라이브(0)에 대해 OS 복원(재인스톨)을 실행한다. 이때, 논리 드라이브(0)는 물리 드라이브(0)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OS 복원이 올바르게 실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OS 복원 대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 번호를 일치시킴으로써, 물리 드라이브와 논리 드라이브의 불일치에 의한 데이터의 파괴 등의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전에, 처리의 대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나서 OS 복원을 행함으로써, OS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기입되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확실히 기입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300)의 시스템이 논리 드라이브를 오인하는 등으로 생기는 데이터의 파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횟수의 확인을 행해도 처리의 대상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논리 드라이브 번호가 올바르게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OS 복원의 대상 이외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하고 나서 OS 복원을 행함으로써, OS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기입되어야 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확실히 기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OS 복원 전의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가 나타나 있으므로, OS 복원 처리의 실행 후에,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실행 전으로 돌릴 수 있다.
또한,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전에,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를 설정하므로,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후에, OS 복원의 처리의 실행 전에 있어서의 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상태로 돌릴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처리 기능은,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그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 200), 300)가 가져야 할 기능의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상에서 실현된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자기 기록 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기록 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 기록 장치에는, HDD, 플랙시블 디스크(FD), 자기 테이프(MT) 등이 있다. 광 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Read Only Memory), CD-R(Recordable) / RW(ReWritable) 등이 있다. 광자기 기록 매체에는, MO(Magneto-Optical disk) 등이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휴대형 기록 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에 기억해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에 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휴대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신의 기억 장치에 기억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자신의 기억 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컴퓨터는 휴대형 기록 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그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차례대로, 수취한 프로그램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개시의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을, 도시의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상기에 관해서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개시의 기술은, 다수의 변형, 변경이 당업자에게 있어 가능하며, 상기에 나타내어, 설명한 정확한 구성 및 응용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부의 구성은 같은 기능을 갖는 임의의 구성의 것으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개시의 기술에 다른 임의의 구성물이나 공정이 부가되어도 된다. 또한, 개시의 기술은 전술한 실시형태 중 임의의 2 이상의 구성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개시의 기술에 대응하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물은, 첨부의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한 본 발명의 범위로 간주된다.
1 정보 처리 장치
1a 제어부
1b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
1c1, 1c2 물리 드라이브

Claims (11)

  1.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상기 처리의 실행 대상의 상기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하고,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처리의 실행 완료 후에는 유효에서 무효로 한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 드라이브는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나타내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의 실행 완료 후에는, 상기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의거하여, 유효에서 무효로 한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유효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라이브 상태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드라이브 상태 정보에, 각 상기 물리 드라이브가 유효인지 무효인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OS 복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데이터 기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상기 물리 드라이브의 고장 진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물리 드라이브에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는 대응시킴을 행하고, 상기 대응시킴에 의해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응시킴을 행하고, 상기 대응시킴에 의해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질 때까지, 상기 대응시킴과 상기 판정을 소정 횟수 반복하고, 상기 소정 횟수의 상기 대응시킴과 상기 판정을 반복해도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시켜져야 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가 대응시켜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 이외의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무효로 하고,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하는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를,
    상기 처리의 실행 대상의 상기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
  11. 물리 드라이브에 논리 드라이브를 설정해서 상기 물리 드라이브를 처리의 실행에 사용하는 드라이브 제어 방법으로서,
    컴퓨터가,
    상기 처리의 실행 대상의 상기 물리 드라이브인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드라이브를 나타내는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를 대응시키고,
    상기 논리 드라이브 식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처리 실행 드라이브를 사용해서 상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브 제어 방법.
KR1020127017485A 2010-01-21 2010-01-21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 KR20120096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0700 WO2011089700A1 (ja) 2010-01-21 2010-01-21 情報処理装置、ドライブ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ドライブ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562A true KR20120096562A (ko) 2012-08-30

Family

ID=4430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485A KR20120096562A (ko) 2010-01-21 2010-01-21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71995A1 (ko)
EP (1) EP2527986A4 (ko)
JP (1) JP5365703B2 (ko)
KR (1) KR20120096562A (ko)
CN (1) CN102725740A (ko)
WO (1) WO20110897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8001B1 (ja) * 1997-09-01 1999-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アレイ装置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6519762B1 (en) * 1998-12-15 2003-02-11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ation of a computer system hard drive
EP1195679A1 (en) * 2000-10-06 2002-04-10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Performing operating system recovery from external back-up media in a headless computer entity
US7007141B2 (en) * 2001-01-30 2006-02-28 Data Domain, Inc. Archival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CN1277211C (zh) * 2003-05-06 2006-09-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计算机操作系统的修复方法
US7822937B2 (en) * 2004-05-03 2010-10-26 Gatewa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reserve area of disk drive or memory
EP1879109A4 (en) * 2005-03-29 2009-07-29 Fujitsu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7694123B2 (en) * 2006-03-28 2010-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oring files for operating system rest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71995A1 (en) 2012-10-25
EP2527986A1 (en) 2012-11-28
JP5365703B2 (ja) 2013-12-11
CN102725740A (zh) 2012-10-10
WO2011089700A1 (ja) 2011-07-28
EP2527986A4 (en) 2014-01-22
JPWO2011089700A1 (ja)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8556B2 (en) Storage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which can be reliably started up when power is turned on even after there is an error during firmware update
US8839030B2 (en) Methods and structure for resuming background tasks in a clustered storage environment
US73668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programs from HDD independent of operating system
US8381029B2 (en) Processing method, storage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1313283B (zh) 用于动态地暴露逻辑备份卷和还原卷的方法
US20080126784A1 (en) Storage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US7661018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storage device for providing automatic recovery from premature reboot of a system during a concurrent upgrade
EP32443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recovery in redundant storage system
JP200403829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ディスク制御方法
US20150378858A1 (en) Storage system and memory device fault recovery method
US20100191944A1 (en) Data storage apparatus
US7529776B2 (en) Multiple copy track stage recovery in a data storage system
JP2006268502A (ja) アレイコントローラ、メディアエラー修復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92196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shared memory management method
JP2868001B1 (ja) ディスクアレイ装置制御方法およ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JP5760585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異常発生箇所判定方法
JP2010536112A (ja) 中断された書込みの回復のためのデータ記憶方法、機器およびシステム
KR20120096562A (ko) 정보 처리 장치, 드라이브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드라이브 제어 방법
JP20190828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229742A (ja) アクセス切替制御装置、および、アクセス切替制御方法
CN102549550B (zh) 一种数据访问方法及系统
US11953985B1 (en) Dial-home and template based automatic recovery of virtual machine guest operating system
JP2018124618A (ja) 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H09101866A (ja) ディスクアレイシステムとその運用方法
JPH07141120A (ja) 情報記憶媒体障害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