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225A -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225A
KR20120096225A KR1020110015501A KR20110015501A KR20120096225A KR 20120096225 A KR20120096225 A KR 20120096225A KR 1020110015501 A KR1020110015501 A KR 1020110015501A KR 20110015501 A KR20110015501 A KR 20110015501A KR 20120096225 A KR20120096225 A KR 2012009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laser beam
vehicle
generator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홍
Original Assignee
김영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홍 filed Critical 김영홍
Priority to KR102011001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6225A/ko
Publication of KR2012009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2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과제는 차량의 형태에 부응하고, 레이저 빔의 스폿을 조절하여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차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경통과, 선택적으로 경통과 연결되어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렌즈 및 레이저 발생부, 경통 및 줌렌즈로 이루어진 레이저 광학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거나,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고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반사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Apparatus of warning lane departure using laser beam}
본 발명은 차량의 차선 이탈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에 의해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이탈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상에서 차량은 차선을 따라 주행한다. 도로 상에 표시된 차선은 각 주행 차량의 경계를 짓는 중앙선, 정지선 등이 있으며, 빛에 대해 반사도가 큰 흰색이나 눈에 잘 띄는 노란 색 등으로 도색되어,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노면 공사 등으로 인하여 도로에 형성된 차선을 차량이 지킬 수 없을 경우에는 교통안전 표시구를 도로에 설치하여 차량이 안전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임의대로 차선을 만들고,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도로의 중앙선 및 도로 양측으로 교통안전 표시구를 설치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도로의 중앙선 및 양측의 길가를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로 상에서 위와 같은 차선을 따라 운전하는 초보 운전자나 운전 미숙자의 경우에는 차선의 한편으로 치우쳐 운전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차선의 한편에 붙어서 운행하는 경우,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과 미미한 접촉 사고를 유발하게 되고, 가끔씩 옆 차선을 넘어 주행할 가능성이 있어서 운전자의 마음을 불안하게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야간 운전을 할 때 더욱 심해지며, 심지어는 차선을 이탈하게 되어 원하지 않은 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레이저 빔을 도로 상에 조사하여 주행하는 차량이 차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야간 운전에는 레이저 빔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의 스폿(spot)을 형성하므로, 운전자가 차선을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장치가 차량의 형태에 부응하지 못하고, 레이저 빔의 스폿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없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장치를 차량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의 형태에 부응하고, 레이저 빔의 스폿을 조절하여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차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발생 장치의 하나의 예에 있어서,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경통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광학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선 이탈 방지 장치는 상기 경통과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레이저 광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치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은 60도 내지 120도의 각을 이루면서 배치되될 수 있다. 이때, 각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 사이에 상기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경로변환부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줌렌즈 앞부분에는 상기 레이저 빔을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색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발생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고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하여 상기 도로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미러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차량의 중앙,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량의 측면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를 조절하고, 회전체에 의해 레이저 빔이 도로 상에 형성되는 레이스 스폿과의 거리(d)를 다르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에 맞게 레이저 스폿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높이를 차량의 형태에 맞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레이저 스폿을 차량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줌렌즈 또는 미러의 형상을 변경하여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초점거리에 변화를 주어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의해 차선 이탈을 감지하는 하나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의해 차선 이탈을 감지하는 다른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를 회전조절부의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위에서 바라보도록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레이저 빔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회전체와 레이저 빔 스폿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렌즈를 두어, 차량의 형태에 부응하고, 레이저 빔의 스폿의 크기를 조절하여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차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어서 이를 구현하는 상기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의해 차선 이탈을 감지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a는 상기 장치가 차량 안에 설치된 경우이고 도 1b는 상기 장치가 차량 밖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차선(120)과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주행을 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는 차선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량(100) 내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레이저 빔 발생 장치(110a) 또는 차량(100)의 외부에 장착된 상기 장치(110b)에 의한 레이저 빔을 도로 상에 조사한다. 조사된 레이저 빔은 일정한 크기를 가진 레이저 스폿(spot)을 만들어, 운전자는 이를 통하여 차선(120)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이저 빔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하는 자신의 차량(100)과 차선(120)과의 간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빔에 의해 차선(120)을 확인하는 경우는 특히 야간 운전에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나아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빔 발생 장치(110a, 110b)를 차량(100)의 양측에 설치하면, 운전자는 레이저 스폿을 통하여 차폭(W)을 알 수 있다.
레이저 빔 발생 장치(110a, 110b)는 각각 차량(100)의 내부 및 외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장자리에 위치하여야 차선(120)과 차폭(W)을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고, 차선(120)과 가장 근접하기 때문이다. 즉, 가장자리는 차량(100)의 차폭(W)과 최대한으로 근접하므로, 레이저 빔에 의해 차량(100)이 주행하는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이때, 레이저 빔 발생 장치(110a, 110b)는 설치되는 장소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운전자가 차선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도로 상에 나타난 레이저 스폿의 크기, 레이저 스폿에서의 레이저 빔의 강도(intensity) 및 차량(100)의 앞부분과 레이저 스폿까지의 거리(d)가 중요하다. 여기서, 차량(100)의 앞부분이란 레이저 발생 장치(110a, 110b)와 차량(100)의 앞 끝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말한다. 만일, 레이저 스폿을 발생시켜도 레이저 스폿의 크기, 레이저 빔의 강도 및 레이저 스폿까지의 거리(d)가 적합하지 않으면, 운전자의 시야에 레이저 스폿이 명확하게 들어오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차선(120)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각각의 운전자마다 적합한 레이저 스폿이 이루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레이저 스폿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빔 발생 장치(110a, 110b)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를 회전조절부(18)의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때,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의한 차선 이탈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 1a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에 의하면,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10),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경통(14) 및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렌즈(zoom lens; 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줌렌즈(16)는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레이저 발생부(10), 경통(14) 및 선택적인 줌렌즈(16)를 제1 레이저 광학부라고 하며, 여기서는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제1 레이저 광학부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와 제1 레이저 광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2)를 포함한다.
제1 레이저 광학부의 경통(14)과 연결부(22)는 회전체(12)에 의해 감싸인 형태로 회전조절부(18)에 의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12)는 제1 레이저 광학부와 지지대(20)를 연결부(22)를 통하여 고정하며, 회전조절부(18)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지지대(2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제1 레이저 광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부착된다. 이때, 전원은 차량 자체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발생부(10)는 차량 자체에서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바람직하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원하는 레이저 빔의 강도(intensity)를 얻을 수 있다. 경통(12)은 레이저 발생부(10)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이 직진할 수 있도록 하고 줌렌즈(16)에 의한 초점을 결정하는 길이를 가진다. 줌렌즈(16)는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도로 상에 맺히는 레이저 스폿(도 1a 참조)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레이저 발생부(10)는 레이저 빔의 강도, 그리고 선택적으로 줌렌즈(16)는 레이저 스폿의 크기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 스폿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레이저 빔의 강도를 높이면, 운전자가 레이저 빔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없게 할 수 있다.
줌렌즈(16)에 의해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조절하면, 운전자마다 자신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레이저 스폿을 확보할 수 있어서, 차선(도 1a의 120)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야간운전의 경우, 운전자는 레이저 스폿의 크기와 강도를 자신의 시력에 맞출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저 광학부는 도 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폭(W)에 맞추어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설치된다. 다시 말해, 제1 레이저 광학부가 하나인 경우는 차폭(W)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상기 광학부가 가상적으로 있다고 가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회전체(12)는 회전조절부(18)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여, 도 1a에서 제1 레이저 발생장치와 레이저 스폿까지의 거리(d)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하"란 지면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위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12)를 회전조절부(18)에 의해 아래 방향, 즉 줌렌즈(16)를 아래로 굽히면, 제1 레이저 발생장치와 레이저 스폿까지의 거리(d)는 좁아진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보다 명확하게 차선(120)을 인식하기 위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거리(d)를 회전체(12)의 회전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d)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요소는 연결부(22)의 높이이다. 즉, 연결부(22)의 높이와 제1 레이저 광학부의 회전을 조합하여 제1 레이저 발생장치와 스폿까지의 거리(d)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22)의 높이는 차량(1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100)은 그 형태, 특히 차량(100)의 앞부분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여, 본 발명의 제1 레이저 광학부를 포함하는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이 차량(100)의 종류마다 다르다. 트럭과 같이 앞부분이 없는 경우는 연결부(22)의 높이는 크게 고려하지 않아도 되나, 고급 승용차 등은 앞부분이 상대적으로 크고 길어서 레이저 스폿이 제대로 형성되기 위하여 연결부(22)의 높이를 트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차량(100)의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따라 연결부(22)의 높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제1 레이저 광학부의 줌렌즈(16)의 앞부분에는 색필터(24)를 더 부가할 수 있다. 색필터(24)는 도로면으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줌렌즈(16)와 경통(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줌렌즈(16)의 앞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필터(24)를 부착하면, 예를 들어 빨간색의 레이저 빔을 운전자가 원하는 녹색 또는 파란색 등으로 색을 변경할 수 있다. 색필터(24)는 자체를 줌렌즈(16)에 고정시키고 색을 변경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색 셀로판지를 변경하거나, 색필터(24) 자체를 탈착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의하면, 레이저 발생부(10)에 의해 발생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를 조절하고, 선택적으로 줌렌즈(16)에 의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초점거리에 변화를 주어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하며, 회전체(12)에 의해 레이저 빔이 도로 상에 형성되는 레이스 스폿과의 거리(d)를 다르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자신에 맞게 레이저 스폿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2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차량(100)의 형태를 고려하여 레이저 스폿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적용하면, 차량의 형태에 부응하고 레이저 빔의 스폿을 조절하여 차량이 주행 차선에서 차선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의한 차선 이탈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 1a를 참조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비하여, 레이저 빔의 경로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서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발생부, 줌렌즈부, 회전체, 회전조절부, 지지대, 연결부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레이저 발생 장치와 그 기능과 역할이 같으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현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이저 발생 장치는 레이저 발생부(10)와 경통(14) 사이에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하는 광경로변환부(30)로 이루어진 제2 레이저 광학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은 광경로변환부(30)를 거치면 그 경로가 바뀌어 경통(14)과 줌렌즈(16)를 통하여 제2 레이저 광학부의 외부로 방출된다. 광경로변환부(30)는 반사경 또는 프리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광경로변환부(30)를 거치면,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은 소정의 각(θ)만큼 꺾여서 진행한다. 소정의 각(θ)은 60도~120도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도~100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레이저 발생 장치는 차량(도 1a의 100)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100)의 구조에 적합하게 제2 레이저 광학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를 변형예 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여기서는,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회전체를 별도로 두지 않고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반사부들이 직접 회전하거나, 반사부 내에 장착된 미러가 회전하는 것이 앞의 레이저 빔 발생 장치들과 다른 점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부들을 지지하는 지지대는 앞의 레이저 빔 발생 장치들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단부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레이저 발생 장치와 그 기능과 역할이 같은 것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현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의 하나의 변형예는 도 4a 처럼 레이저 발생부(10)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이 제1 반사부(50)를 거쳐 경로가 변환되어 도로면으로 방출된다. 이때, 경로가 변화되는 정도는 제2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제1 반사부(50)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고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와 같이 상하로 회전한다.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것은 하나의 미러 또는 미러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제1 반사부(50)를 거친 레이저 빔은 줌렌즈(16)를 거쳐 초점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의 다른 변형예는 도 4b와 같이 레이저 발생부(10)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이 제2 반사부(52)를 거쳐 경로가 변환되어 도로면으로 방출된다. 이때, 경로가 변화되는 정도는 제2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제2 반사부(52)는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고 제1 레이저 빔 발생 장치와 같이 상하로 회전하며, 내부에 고정된 미러의 형상, 예를 들어 볼록한 형상으로 하여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하여 방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반사부(52)에 의해 별도의 줌렌즈를 생략할 수 있다.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는 도 4c와 같이 레이저 발생부(10)와 공간적으로 떨어진 제3 반사부(54)를 거쳐 경로가 변환되어 도로면으로 방출된다. 즉, 레이저 발생부(10)는 차량의 중앙에 배치하고, 제3 반사부(54)는 차량의 측면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반사부(54)는 제1 반사부(50)와 같이 회전을 하고 별도의 줌렌즈(16)를 부착할 수 있고, 제2 반사부(50)와 같이 회전과 함께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하여 방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색필터(24)를 장착할 수 있다. 색필터는 변형예에 따라 줌렌즈(16)의 앞부분 또는 반사부(50, 52, 54)의 앞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차량
110a, 110b; 레이저 빔 발생장치
120; 차선
10; 레이저 발생부 12; 회전체
14; 경통 16; 줌렌즈
18; 회전조절부 20; 지지대
22; 연결부 24; 색필터
30; 광경로변환부 50; 제1 반사부
52; 제2 반사부 54; 제3 반사부

Claims (10)

  1.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이 진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경통;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 상기 경통으로 이루어진 레이저 광학부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이탈 방지 장치는 상기 경통과 연결되어 상기 레이저 빔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줌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레이저 광학부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은 60도 내지 120도의 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와 상기 경통 사이에 상기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는 광경로변환부가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렌즈 앞부분에는 상기 레이저 빔을 색깔을 변화시킬 수 있는 색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8. 차량의 적어도 일측에 장착되어 도로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차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이저 빔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발생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을 발생하는 레이저 발생부; 및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발생한 레이저 빔의 경로를 변환시키고,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하여 상기 도로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 스폿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미러의 형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발생부는 상기 차량의 중앙, 그리고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량의 측면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KR1020110015501A 2011-02-22 2011-02-22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KR201200962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01A KR20120096225A (ko) 2011-02-22 2011-02-22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501A KR20120096225A (ko) 2011-02-22 2011-02-22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225A true KR20120096225A (ko) 2012-08-30

Family

ID=4688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501A KR20120096225A (ko) 2011-02-22 2011-02-22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62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8837A (zh) * 2013-06-10 2014-12-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识别行驶车道的装置和方法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20180046487A (ko) * 2016-10-28 2018-05-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어드밴스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자동주차방법 및 자동주차시스템
CN109017566A (zh) * 2018-08-17 2018-12-18 合肥中科自动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行驶的车道偏移预警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8837A (zh) * 2013-06-10 2014-12-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识别行驶车道的装置和方法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CN104228837B (zh) * 2013-06-10 2019-07-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识别行驶车道的装置和方法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KR20180046487A (ko) * 2016-10-28 2018-05-09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어드밴스드 스마트 키를 이용한 자동주차방법 및 자동주차시스템
CN109017566A (zh) * 2018-08-17 2018-12-18 合肥中科自动控制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行驶的车道偏移预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326B1 (ko) 그림문자를 표시하는 자동차용 신호전달 장치 및 이러한 조명 장치를 장착한 신호 조명구
US9169985B2 (en) Lighting apparatus, headlamp, and mobile body
JP6275408B2 (ja) 自動車用の適応照明システム
JP5369014B2 (ja) 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WO2014024385A1 (ja) 車両用灯具
US20170217361A1 (en) Optical Warning Illumination Array
CN104648224B (zh) 头灯控制系统
JP6376348B2 (ja) 車両運転支援装置
TWI546492B (zh) 車燈模組
CA27480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a safety zone for a vehicle, a person or an animal
JP2011157022A (ja) 前照灯および移動体
CN105822975A (zh) 一种照明装置及方法
TW201534504A (zh) 車輛前照燈
KR20120096225A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차선 이탈 방지 장치
WO2016047686A1 (ja) 車載用照明装置
KR20170021394A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안전구역 표시 기능을 가지는 경광등
JP2016004641A (ja) 照明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KR102651938B1 (ko) 차량의 조명 장치
CN107891800B (zh) 基于激光照明的防眩光汽车大灯灯组及其照明控制方法
US20180209603A1 (en) Light device, especially a projector system of a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JP2013023848A (ja) 視線誘導装置および視線誘導システム
JP6924494B2 (ja) 路面反射式視線誘導装置及び視線誘導システム
ITBO20090803A1 (it) Dispositivo ottico indicatore dell'angolo di planata per aeromobili.
JP7341369B2 (ja) 照明装置及び自発光標識
JP6443734B2 (ja) 光制御部材、それを備える照明機能付き構造物及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