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034A -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034A
KR20120095034A KR1020110014413A KR20110014413A KR20120095034A KR 20120095034 A KR20120095034 A KR 20120095034A KR 1020110014413 A KR1020110014413 A KR 1020110014413A KR 20110014413 A KR20110014413 A KR 20110014413A KR 20120095034 A KR20120095034 A KR 20120095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pattern
activation mode
touc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034A/ko
Priority to US13/397,984 priority patent/US20120212435A1/en
Publication of KR20120095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034A/ko
Priority to US15/252,895 priority patent/US2016037098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터치패드 및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이,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패턴 테이블의 패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PAD IN PO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터치패드 및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은 표시부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발생된다. 즉,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표시부 및 터치패드가 일체형으로 동작되므로,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런 애플리케이션들 중에는 표시부를 구동하지 않고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예를들면 음악 재생 기능(예를들면 full touch MP3 player)의 경우, 표시부가 온된 상태에서만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제어키(control key)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표시부를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표시부를 온시키고 터치 기능을 활성화한 후,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제어하고 있다. 즉,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표시부를 구동하여 표시부 상에서 터치할 영역(또는 터치할 기능을 표시)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부 상에 해당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패드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입력(명령)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부를 온시켜 터치할 영역(또는 키)을 표시하고, 해당 영역(또는 키)가 터치되면 이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경우 불필요하게 표시부를 온시켜야 하며, 이로인해 전원 등의 소모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풀 터치 방식이 아닌 휴대단말기(예를들면 MP3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 기능을 필요로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표시부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활성화하고, 터치 입력 활성화시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이,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패턴 테이블의 패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드와,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입력되는 패턴들 및 각 패턴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터치활성화 모드의 명령을 발생하는 특정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메모리의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풀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휴대전화기, MP3 player 등)에서 표시부의 구동없이 간단한 터치 인식을 통해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의 기기 편의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드, 해당 모드에서 터치 입력들의 종류, 패턴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풀 터치(full touch) 기능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예를들면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등)에서 표시부를 구동하지 않고 간단한 터치 인식을 통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풀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표시부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는 기능 수행시 표시부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고, 터치패드를 통해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단말기는 해당 패턴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터치 활성화모드"라는 용어는 표시부가 오프인 상태에서 터치패드만을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활성화모드인 경우, 표시부의 표시 기능은 중단된 상태(즉, 표시에 의한 전원 소모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이고, 터치패드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어부가 정상적인 스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패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1은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는 통신부100을 제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10은 휴대단말기의 RF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RF송신부는 기저대역의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주파수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수신부는 RF 대역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기저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하강변환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이런 경우 상기 변조기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를 발생하며, 복조기는 수신되는 기저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오프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패드140 및 표시부15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장치로써, 각각 독립적인 전원 포트를 가지고 있다. 상기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들에 대한 표시 동작을 수행하며, 터치패드140은 상기 표시부150가 구동될 때 활성화되어 터치되는 입력을 감지 및 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터치 활성화모드시 표시부150의 구동은 정지되며 터치패드는 제어부100에서 인가되는 스캔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터치패드140 상에 터치가 발생되면 터치에 따른 물리량 변화(캐패시턴스 또는 저항 등)가 발생되며, 제어부100은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키입력부130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외부 키들로써, 각각 설정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홀드키(hold key), 업다운키(up/down key), 메뉴키(menu ke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 키들 중에 어느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터치 활성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홀드키는 설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long key) 표시부150의 동작을 구동하는 기능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드키가 설정 시간보다 짧게 눌려지면(short key) 터치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기능키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드키가 short key로 2회 연속 발생되면, 터치 활성화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피커160은 휴대단말기에서 발생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활성화모드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터치 활성화모드에서 터치입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테이블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120에 등록한다. 상기 터치 활성화모드에서는 표시부150이 오프 상태이므로, 표시부150의 특정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활성화모드에서는 특정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테이블(이하 패턴테이블이라 칭함)에 등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은 기호, 문자 또는 숫자 패턴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사용자가 터치패드140 상에서 터치, 드래그 및 드롭(touch, drag and drop) 동작을 수행하여 그릴 수 있고, 제어부100은 터치패드140 상에 그려지는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패턴을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과 비교하여 제어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MP3 재생모드에서 MP3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패턴들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설정모드에서 패턴 테이블에 패턴 및 대응되는 제어명령들을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 제조시 제조사에 도 3과 같은 패턴 테이블을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0이 터치 활성화모드에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모드감지부210, 입력감지부220, 입력분석부230, 인식부240 및 구동부 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상기 키입력부130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을 분석하여 모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감지부210은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140을 활성화시키는 터치 활성화모드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키는 홀드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홀드키가 short key로 2회 발생되는 경우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터치활성화모드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활성화모드가 되면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드14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140은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스캔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되는 위치 및 물리량 변화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활성화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터치패드140의 스캔감지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패드 14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터치 입력은 특정 패턴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숫자나 문자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터치패드140 상에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으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입력감지부220은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패드140에 터치되는 패턴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감지부210 및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터치패드제어부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터치패드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140의 스캔제어포트 및 스캔감지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터치패드로부터 스캔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분석부230은 상기 입력감지부220에 감지되는 패턴을 상기 도 3과 같이 미리 설정된 상기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패턴과 비교한다. 상기 입력분석부230은 패턴비교부 또는 패턴분석부가 될 수 있다. 인식부240은 상기 입력분석부230에서 출력되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부240은 인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구동부250은 상기 인식부240의 출력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 해당 구동부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패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력감지부220은 패턴감지부가 될 수 있으며, 입력분석부230은 입력되는 패턴을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는 패턴분석부 또는 패턴비교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메모리120의 패턴 테이블에 도 3과 같이 터치활성화모드에서 사용할 패턴들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되는 패턴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등록 또는 설정모드에서 원하는 패턴들을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 해당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기능은 표시부150이 오프모드로 동작되며 터치패드140만 활성화시키는 터치 활성화모드를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MP3 재생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표시부150의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키입력부150의 미리 설정된 키를 이용하여 터치 활성화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는 키입력부130의 특정 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hold key를 짧게 2회 입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오프하며,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활성화 모드를 구동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시작되면, 모드감지부2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활성화 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100은 해당 기능(예를들면 MP3 재생 모드)을 수행하면서 표시부150은 오프되고 상기 터치패드140은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40 상에 특정의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패턴을 그리면,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패턴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은 입력분석부230에서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과 비교되어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 판단한다. 이때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면, 인식부24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메모리140의 패턴테이블로부터 확인한 후,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50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터치활성화 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패드140만 활성화시키는 모드로써, 키입력부130의 특정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3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터치패드140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표시부150의 표시 동작이 중단되며 터치패드140으로 스캔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제어부100은 사용자가 선택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MP3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00은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재의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터치패드140에 현재 터치 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417단계에서 터치에 따른 패턴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에서 사용자가 터치 후 드래그하는 궤적을 감지하여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419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과 메모리120의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423단계에서 상기 일치하는 패턴의 설정 기능을 확인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인식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현재 동작중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30을 통해 터치활성화 모드를 해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후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의 해제는 키입력부130의 특정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hold key는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를 해제하는 기능키로써,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long key)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를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홀드키가 길게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터치활성화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온시켜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이 상기 도 3과 같이 설정되어 있고, 현재의 동작모드는 MP3 재생모드이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40에 특정 패턴을 그리면, 제어부100은 상기 터치되는 패턴과 상기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MP3 재생모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 패턴을 그리면,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 - 423단계를 수행하면서 정지 명령임을 인식하고 재생중인 MP3 모드를 중지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 패턴을 그리면,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 - 423단계를 수행하면서 재생 명령임을 인식하고 MP3 모드에서 현재 선택된 곡의 재생을 실행한다. 여기서 곡 탐색(forward search, reverse search) 기능은 현재 선택된 곡에서 다음 또는 이전 곡을 선택하는 기능으로써, 상기 탐색 기능의 패턴이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 패턴 입력 없이 탐색된 곡의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업/다운 패턴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패턴 테이블의 패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활성화모드는 표시부의 표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은 기능 수행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활성화모드는 휴대단말기의 특정 키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드와,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입력되는 패턴들 및 각 패턴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터치활성화 모드의 명령을 발생하는 특정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메모리의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시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상기 터치패드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캔감지포트로부터 터치패드의 스캔감지포트 출력을 감지하여 터치여부를 감지하는 터치패드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14413A 2011-02-18 2011-02-18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KR20120095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13A KR20120095034A (ko) 2011-02-18 2011-02-18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US13/397,984 US20120212435A1 (en) 2011-02-18 2012-02-16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ouch pad in portable device
US15/252,895 US20160370988A1 (en) 2011-02-18 2016-08-31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portable touch input device through patterns while the device is in the locked cond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413A KR20120095034A (ko) 2011-02-18 2011-02-18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92A Division KR101963849B1 (ko) 2017-06-21 2017-06-21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034A true KR20120095034A (ko) 2012-08-28

Family

ID=46652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13A KR20120095034A (ko) 2011-02-18 2011-02-18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20212435A1 (ko)
KR (1) KR201200950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1980A1 (en) * 2013-01-04 2014-07-10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System for reuse of touch panel and controller by a secondary display
CN104238771A (zh) * 2013-06-13 2014-12-24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触控输入装置及其热键设定方法
US9454251B1 (en) 2013-06-26 2016-09-27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rolling a remote device us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in a display inhibited state
AU2015356837A1 (en) * 2014-12-02 2017-06-29 Nes Irvine Touch display control method
GB2547504A (en) * 2015-12-02 2017-08-23 Stewart Irvine Nes A method of touch and a touch device
US10133396B2 (en) * 2016-03-07 2018-11-20 Intel Corporation Virtual input device using second touch-enabled display
CN107479816B (zh) * 2017-07-28 2019-09-2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黑屏手势的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7463329B (zh) 2017-07-28 2019-08-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黑屏手势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2111B2 (en) * 1998-01-26 2016-03-22 Apple Inc. Gesturing with a multipoint sensing device
DE10159395B4 (de) * 2001-12-04 2010-11-11 Braun Gmbh Vorrichtung zur Zahnreinigung
EP1672471A1 (en) * 2004-12-14 2006-06-21 Thomson Multimedia Broadband Belgium Content playback device with touch screen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CA2641967C (en) * 2006-02-09 2019-03-1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Erythroid cells producing adult-type .beta.-hemoglobin generated from human embryonic stem cells
KR20100093293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TWI391850B (zh) * 2009-03-31 2013-04-01 Au Optronics Corp 輸入圖形判定方法及電腦可讀儲存媒體
US9338274B2 (en) * 2009-10-02 2016-05-10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interacting with electronic devices in a locked stat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mit interaction when in a locked state
US20110163972A1 (en) * 2010-01-06 2011-07-07 Freddy Allen Anzure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 Digital Photo Frame
US20120062470A1 (en) * 2010-09-10 2012-03-15 Chang Ray L Power Management
US8345017B1 (en) * 2012-03-04 2013-01-01 Lg Electronics Inc. Touch input gesture based comm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70988A1 (en) 2016-12-22
US20120212435A1 (en)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034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US935484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oice input i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voice recognition
KR101565768B1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AU2013201063B2 (en) Hybrid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9220237A (ja) 文字入力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102116840B1 (ko) 해제 이미지 상에서의 제스처 수행에 의한 장치 해제
US20110246952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efining touch gestures and method thereof
US20100123664A1 (en) Method for operating user interface based on motion sensor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user interface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181746A1 (en) Electrionic device with shortcu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68250A (ko) 그립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기반의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20140142546A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JP2015207034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KR20120074490A (ko) 휴대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10125358A (ko)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10131909A (ko) 터치 단말에서 터치 인터페이스 불량 시 입력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6874046B (zh) 一种应用程序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KR20140024536A (ko) 음성 인식 장치 및 이의 음성 인식 방법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EP2829967A2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044585A (ko) 휴대단말기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40010845A (ko) 전자장치에서 자동응답시스템 서비스 이용중 화면 꺼짐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126067A (ko)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9687A (ko) 매크로 기능을 이용하는 복합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00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21

Effective date: 2019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