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849B1 -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849B1
KR101963849B1 KR1020170078792A KR20170078792A KR101963849B1 KR 101963849 B1 KR101963849 B1 KR 101963849B1 KR 1020170078792 A KR1020170078792 A KR 1020170078792A KR 20170078792 A KR20170078792 A KR 20170078792A KR 101963849 B1 KR101963849 B1 KR 10196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character
func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851A (ko
Inventor
배한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8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04M1/72519
    • Y02D10/1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패드 및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이,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패턴 테이블의 패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OUCH PAD IN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드를 사용하는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입력장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단말기는 터치패드 및 표시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때 상기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패드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채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입력은 표시부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에만 발생된다. 즉,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 표시부 및 터치패드가 일체형으로 동작되므로, 표시부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런 애플리케이션들 중에는 표시부를 구동하지 않고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예를들면 음악 재생 기능(예를들면 full touch MP3 player)의 경우, 표시부가 온된 상태에서만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 제어키(control key)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표시부를 볼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표시부를 온시키고 터치 기능을 활성화한 후,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제어하고 있다. 즉, 터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표시부를 구동하여 표시부 상에서 터치할 영역(또는 터치할 기능을 표시)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부 상에 해당 영역을 터치하면 터치패드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입력(명령)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부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부를 온시켜 터치할 영역(또는 키)을 표시하고, 해당 영역(또는 키)가 터치되면 이를 인식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경우 불필요하게 표시부를 온시켜야 하며, 이로인해 전원 등의 소모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풀 터치 방식이 아닌 휴대단말기(예를들면 MP3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서 표시 기능을 필요로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표시부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 입력을 활성화하고, 터치 입력 활성화시 터치 입력을 분석하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이,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패턴 테이블의 패턴들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패드와,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입력되는 패턴들 및 각 패턴들에 대한 제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터치활성화 모드의 명령을 발생하는 특정키를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터치활성화 모드 요구시 표시부 구동은 오프시키고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을 설정된 메모리의 패턴들과 비교하고, 상기 입력 패턴이 설정된 패턴이면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해당 패턴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풀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휴대전화기, MP3 player 등)에서 표시부의 구동없이 간단한 터치 인식을 통해 해당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의 기기 편의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전원 소모를 줄일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모드, 해당 모드에서 터치 입력들의 종류, 패턴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풀 터치(full touch) 기능을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예를들면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등)에서 표시부를 구동하지 않고 간단한 터치 인식을 통해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풀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특정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등록하고, 표시부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는 기능 수행시 표시부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활성화시키고, 터치패드를 통해 패턴의 터치가 감지되면 휴대단말기는 해당 패턴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터치 활성화모드"라는 용어는 표시부가 오프인 상태에서 터치패드만을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발생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활성화모드인 경우, 표시부의 표시 기능은 중단된 상태(즉, 표시에 의한 전원 소모가 발생되지 않는 상태)이고, 터치패드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어부가 정상적인 스캔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패드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1은 휴대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경우는 통신부100을 제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통신부110은 휴대단말기의 RF 송신 및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RF송신부는 기저대역의 송신신호를 RF 대역으로 주파수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RF수신부는 RF 대역의 신호를 저잡음 증폭한 후 기저대역의 신호로 주파수 하강변환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변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이런 경우 상기 변조기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기저대역의 신호를 발생하며, 복조기는 수신되는 기저대역의 신호를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오프인 상태에서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입력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해당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 입력 처리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을 판정하기 위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수행 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패드140 및 표시부150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장치로써, 각각 독립적인 전원 포트를 가지고 있다. 상기 표시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들에 대한 표시 동작을 수행하며, 터치패드140은 상기 표시부150가 구동될 때 활성화되어 터치되는 입력을 감지 및 이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터치 활성화모드시 표시부150의 구동은 정지되며 터치패드는 제어부100에서 인가되는 스캔제어신호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터치패드140 상에 터치가 발생되면 터치에 따른 물리량 변화(캐패시턴스 또는 저항 등)가 발생되며, 제어부100은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키입력부130은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외부 키들로써, 각각 설정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이 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홀드키(hold key), 업다운키(up/down key), 메뉴키(menu ke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 키들 중에 어느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터치 활성화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 홀드키는 설정 시간 이상 눌려지면(long key) 표시부150의 동작을 구동하는 기능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드키가 설정 시간보다 짧게 눌려지면(short key) 터치활성화모드로 동작하는 기능키로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홀드키가 short key로 2회 연속 발생되면, 터치 활성화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스피커160은 휴대단말기에서 발생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활성화모드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터치 활성화모드에서 터치입력을 판별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테이블을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120에 등록한다. 상기 터치 활성화모드에서는 표시부150이 오프 상태이므로, 표시부150의 특정 터치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 활성화모드에서는 특정 패턴을 미리 설정하여 테이블(이하 패턴테이블이라 칭함)에 등록하고, 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패턴은 기호, 문자 또는 숫자 패턴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은 사용자가 터치패드140 상에서 터치, 드래그 및 드롭(touch, drag and drop) 동작을 수행하여 그릴 수 있고, 제어부100은 터치패드140 상에 그려지는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패턴을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과 비교하여 제어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 테이블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MP3 재생모드에서 MP3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패턴들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설정모드에서 패턴 테이블에 패턴 및 대응되는 제어명령들을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제품 제조시 제조사에 도 3과 같은 패턴 테이블을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0이 터치 활성화모드에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모드감지부210, 입력감지부220, 입력분석부230, 인식부240 및 구동부 2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상기 키입력부130으로부터 수신되는 키 입력을 분석하여 모드를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감지부210은 특정 키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패드140을 활성화시키는 터치 활성화모드로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키는 홀드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홀드키가 short key로 2회 발생되는 경우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터치활성화모드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활성화모드가 되면 상기 모드감지부210은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터치패드140의 동작을 활성화시킨다. 이때 상기 터치패드140은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스캔제어신호를 입력하며,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되는 위치 및 물리량 변화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활성화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의 동작을 오프시킨다.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터치패드140의 스캔감지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터치패드 140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터치 입력은 특정 패턴이 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숫자나 문자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터치패드140 상에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패턴으로 입력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입력감지부220은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터치패드140에 터치되는 패턴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감지부210 및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터치패드제어부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터치패드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140의 스캔제어포트 및 스캔감지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터치패드로부터 스캔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분석부230은 상기 입력감지부220에 감지되는 패턴을 상기 도 3과 같이 미리 설정된 상기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패턴과 비교한다. 상기 입력분석부230은 패턴비교부 또는 패턴분석부가 될 수 있다. 인식부240은 상기 입력분석부230에서 출력되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부240은 인식 결과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를 생성한다. 구동부250은 상기 인식부240의 출력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 해당 구동부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패턴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력감지부220은 패턴감지부가 될 수 있으며, 입력분석부230은 입력되는 패턴을 설정된 패턴과 비교하는 패턴분석부 또는 패턴비교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의 메모리120의 패턴 테이블에 도 3과 같이 터치활성화모드에서 사용할 패턴들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상기 패턴테이블에 등록되는 패턴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등록 또는 설정모드에서 원하는 패턴들을 설정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할 때 해당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기능은 표시부150이 오프모드로 동작되며 터치패드140만 활성화시키는 터치 활성화모드를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MP3 재생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표시부150의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키입력부150의 미리 설정된 키를 이용하여 터치 활성화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는 키입력부130의 특정 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hold key를 짧게 2회 입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오프하며,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활성화 모드를 구동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시작되면, 모드감지부210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터치패드140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활성화 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100은 해당 기능(예를들면 MP3 재생 모드)을 수행하면서 표시부150은 오프되고 상기 터치패드140은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40 상에 특정의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패턴을 그리면, 입력감지부220은 상기 스캔감지포트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그려지는 패턴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은 입력분석부230에서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과 비교되어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 판단한다. 이때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면, 인식부240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메모리140의 패턴테이블로부터 확인한 후,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부250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도 4는 휴대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터치활성화 모드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터치패드140만 활성화시키는 모드로써, 키입력부130의 특정키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3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터치패드140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표시부150의 표시 동작이 중단되며 터치패드140으로 스캔제어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제어부100은 사용자가 선택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들어 MP3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00은 스피커를 통해 음악이 재생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현재의 수행 중인 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터치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터치패드140에 현재 터치 입력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5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417단계에서 터치에 따른 패턴을 감지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에서 사용자가 터치 후 드래그하는 궤적을 감지하여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419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과 메모리120의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이 있는가 검사한다. 이때 일치하는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21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고, 423단계에서 상기 일치하는 패턴의 설정 기능을 확인하여 터치 입력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인식된 터치 입력에 따라 해당 현재 동작중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30을 통해 터치활성화 모드를 해제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이후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의 해제는 키입력부130의 특정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hold key는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를 해제하는 기능키로써, 설정시간 이상 길게 누르면(long key) 휴대단말기의 잠금모드를 해제한다. 따라서 상기 홀드키가 길게 눌려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터치활성화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표시부150의 구동을 온시켜 표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20의 패턴테이블이 상기 도 3과 같이 설정되어 있고, 현재의 동작모드는 MP3 재생모드이며 터치활성화 모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로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터치패드140에 특정 패턴을 그리면, 제어부100은 상기 터치되는 패턴과 상기 패턴 테이블에 등록된 패턴들을 비교하여 MP3 재생모드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 패턴을 그리면,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 - 423단계를 수행하면서 정지 명령임을 인식하고 재생중인 MP3 모드를 중지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 패턴을 그리면, 상기 제어부100은 417단계 - 423단계를 수행하면서 재생 명령임을 인식하고 MP3 모드에서 현재 선택된 곡의 재생을 실행한다. 여기서 곡 탐색(forward search, reverse search) 기능은 현재 선택된 곡에서 다음 또는 이전 곡을 선택하는 기능으로써, 상기 탐색 기능의 패턴이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 패턴 입력 없이 탐색된 곡의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볼륨 업/다운 패턴으로 재생되는 음악의 볼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방법에 있어서,
    표시부는 비활성화되고, 터치 입력은 가능한 상태인 터치활성화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문자를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려진 문자와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문자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그려진 문자와 상기 테이블의 문자가 일치하면,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설정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다수의 키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기반으로 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활성화모드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은 기능 수행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휴대단말기의 터치 입력장치에 있어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패드와,
    상기 표시부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터치 입력은 가능한 상태인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수신되는 문자들 및 각각의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설정된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의 활성화를 위한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에서 상기 문자를 그리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그려진 문자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테이블의 문자를 비교하고, 상기 그려진 문자와 상기 테이블의 문자가 일치하면,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문자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설정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는 상기 다수의 키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기반으로 설정된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활성화 모드시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오프시키고 상기 터치패드에 스캔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캔감지포트로부터 터치패드의 스캔감지포트 출력을 감지하여 터치여부를 감지하는 터치패드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70078792A 2017-06-21 2017-06-21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196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92A KR101963849B1 (ko) 2017-06-21 2017-06-21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92A KR101963849B1 (ko) 2017-06-21 2017-06-21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413A Division KR20120095034A (ko) 2011-02-18 2011-02-18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51A KR20170077851A (ko) 2017-07-06
KR101963849B1 true KR101963849B1 (ko) 2019-03-29

Family

ID=5935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92A KR101963849B1 (ko) 2017-06-21 2017-06-21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8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72471A1 (en) * 2004-12-14 2006-06-21 Thomson Multimedia Broadband Belgium Content playback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100093293A (ko) * 2009-02-16 2010-08-25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851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709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portable touch input device through patterns while the device is in the locked condition
KR101565768B1 (ko) 휴대단말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및 장치
US86190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tific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40857B1 (ko) 펜 인식 패널을 포함한 단말기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152008B1 (ko) 개체들을 관련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3403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contro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2150697A1 (ja) タッチパネル方式の携帯端末及び入力操作方法
US20130201131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00093293A (ko) 터치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JP2015207034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
US20160018911A1 (en) Touch pen
KR101413286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잠금 해제 장치와 방법
KR201000698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CN106874046B (zh) 一种应用程序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US10437336B2 (en) Haptics to identify button regions
US95885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KR20150012396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30126067A (ko)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6484296A (zh) 移动终端防止误触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CN112218281B (zh) 一种扫描枪连接方法、装置、终端及介质
KR101963849B1 (ko) 휴대단말기의 터치패드 구동 방법 및 장치
US2015014329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and executing functions of portable device
KR10128561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홀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10010522A (ko) 드래그 동작을 활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단말기
CN106484359B (zh) 一种手势控制的方法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