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743A -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743A
KR20120093743A KR1020110061963A KR20110061963A KR20120093743A KR 20120093743 A KR20120093743 A KR 20120093743A KR 1020110061963 A KR1020110061963 A KR 1020110061963A KR 20110061963 A KR20110061963 A KR 20110061963A KR 20120093743 A KR20120093743 A KR 20120093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apparatus
content
contac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384B1 (ko
Inventor
박진영
김종철
크리슈나 랑아나단 모한
멘네일 존 로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67,403 priority Critical patent/US8725133B2/en
Priority to EP12000895.8A priority patent/EP2490421B1/en
Priority to CN201210032992.7A priority patent/CN102638610B/zh
Publication of KR2012009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에 따라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을 인식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이하게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직감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형상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휴대용 단말기가 전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휴대용 단말기가 후면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0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들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5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송수신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는 TV,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영상 표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TV, IPTV(Internet Protocol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또는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비교하여 작은 화면부를 가져 크기 및 무게 측면에서 휴대 및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SoIP 등의 인터넷 전화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또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영상 또는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WiFi(Wireless Lan), WiFi direct, WiFi display, 블루투스(Blutooth), 지그비(ZigBee),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PnP(Universal Plug and Play)/DLB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UWB(Ultra wide band)/무선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식 방식을 이용해,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실시간 방송, 영화, 음악, 사진, 문서 파일,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전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 공유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되어 컨텐츠가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휴대용 단말기(200)의 일부분을 물리적으로 접촉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의 접촉이 인지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대방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휴대용 단말기(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A/V 입력부(140), 센싱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입력 및 처리부(18)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규격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정보 등을 휴대용 단말기(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를 이용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부(180)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A/V 입력부(140)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 입력부(140)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음성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데이터는 제어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센싱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 자기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감지 센서, 색도계 또는 태그(tag)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센싱부(150)에 구비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 또는 방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거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7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95)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95)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화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기능 또는 사양 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부(21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부(21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215)은 휴대용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A/V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그를 위해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스크린(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24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현재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 자기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감지 센서, 색도계 또는 태그(tag)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4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 또는 방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7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등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및 알람부(2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며,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컨텐츠 데이터들(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 방향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화면부에 접촉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컨텐츠 공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예를 들어,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송수신된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한다(S300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WiFi, 블루투스, UPnP/DLBNA, UWB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해당 통신 규격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송수신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설정 정보는 각 장치의 식별 정보(ID), 해당 네트워크에 대한 식별 정보(ID) 및 보안 정보(passwo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각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컨텐츠 공유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 이전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의 컨텐츠 공유를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등록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네트워크 연결 요청 시 상기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를 인증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WiFi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이 활성화(on)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컨텐츠 공유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가 각각 서로를 검색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그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2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되는 WiFi 네트워크에 대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암호화 키들(Encryption keys)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 설정된 후,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S310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를 인식한다(S320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는 사용자 측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중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되는 화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광학 시트 또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등과 같은 기능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되는 화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형성된 기능 층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된다 함은, 상기 화면부에 휴대용 단말기(200)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나, 상기 물리적 접촉 이외에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접촉이 인식될 수 있는 거리 이내로 휴대용 단말기(200)가 상기 화면부에 매우 가깝게 인접해 있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물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물체의 접촉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상기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물체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터치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들은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또는 정전용량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사람의 손가락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 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 패턴 또는 접지 전극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 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구비된 상기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50)는 자기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감지 센서 및 색도계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시킬 수 있으며, 접촉 시 센싱부(15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어느 방향으로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가 센싱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값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을 판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촉 방향의 판단을 위해 상기 센싱부(150)의 센싱 값과 함께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센싱부(240)에서 측정된 센싱 값일 수 있다.
그와 달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센싱부(240) 또는 제어부(280)에 의해 인식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S300 단계에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수신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33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S300 단계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은 상기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서 원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이 전면과 후면 중 어느 방향인지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서로 다른 제1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제2 데이터 송수신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1 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2 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면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면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고 상기 제2 면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제1 면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고 상기 제2 면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일 수도 있고, 상기 제1, 2 면들 중 어느 하나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일 수도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한다(S340 단계).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S320 단계에서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중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되어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가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된 컨텐츠는 계속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된 컨텐츠가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된 컨텐츠는 저장부(170)에서 삭제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에는 영상, 예를 들어 사진(C1)이 표시되는 표시부(251)가 구비되며, 후면(200R)은 케이스(case)로 덮혀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에 사진(C1)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시킨 후 떼면, 상기 사진(C1)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 사진(C1)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화면부(181)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사진(C1)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하도록 이동시켜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시킨 후 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사진(C2)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된 사진(C2)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251)에 의해 출력되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표시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 사진을 공유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사진 이외에 동영상, 음악, 애플리케이션, 연락처 정보,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화상 통화, 게임, 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 공유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복수의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진(C1)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접촉시키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상기 사진(C1)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상기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사진(C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시, 상기 사진(C1)은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표시되는 크기보다 큰 크기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사진(C1)을 일정 비율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데이터 전송 상태(예를 들어, 전체 사진(C1) 데이터 중 현재 전송 완료된 데이터의 비율)가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로부터 떼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확대 표시되던 사진(C1)이 축소되어 썸네일 아이콘(thumbnail icon)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상기 사진(C1)의 썸네일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사진(C1)이 확대되어 원본 크기 또는 전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진(C1)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사진(C2)가 표시된 영역에 접촉시키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상기 사진(C1)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전송된 사진(C1)은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던 사진(C2)과 합성되어 상기 접촉 위치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인의 연락처 정보(C6)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접촉시키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상기 연락처 정보(C6)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상기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연락처 정보(C6)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인의 연락처 정보(C6)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사진(C2)이 표시된 영역에 접촉시키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시된 연락처 정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에 표시된 사진(C2)과 연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사진(C2)이 표시된 위치에 접촉시켜, 휴대용 단말기(200)에 표시된 연락처 정보(C6)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사진(C2)에 맵핑(mapping) 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진(C2)에 맵핑된 연락처 정보는 항목별로 아이콘화되어 상기 사진(C2)과 함께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에 표시된 연락처 정보(C6) 중 휴대 전화 번호는 제1 아이콘(C6a)으로 표시되고, 이메일 주소는 제2 아이콘(C6b)으로 표시되며, SNS(Social Network Servie)의 사용자 ID는 제2 아이콘(C6c)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진(C2)에 맵핑되어 표시되는 연락처 아이콘들(C6a, C6b, C6c)을 이용하여 특정인의 사진과 연락처 정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콘들(C6a, C6b, C6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항목에 대응되는 연락처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사진(C1)(또는, 해당 사진을 나타내는 썸네일 아이콘)을 드래그하여 상기 사진(C2)에 맵핑된 이메일 아이콘(C6b)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드랍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래그된 사진(C1)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이메일 아이콘(C6b)에 대응되는 이메일 주소(즉, ab@x.com)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연락처 정보의 표시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맵핑되어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접촉시킨 후, 사진(C1)을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를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C1) 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사진(C1)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상기 사진(C1)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2 이상의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접촉시킨 후, 3개의 손가락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진(C1), 사진(C2) 및 음악(C4)을 선택하여 해당 이미지들을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로 드래그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사진(C1), 사진(C2) 및 음악(C4) 데이터가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접촉시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시키는 경우, 파일의 "복사(copy)" 명령과 유사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0)에서 삭제되지 않고 저장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계속하여 표시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로 드래그되는 이미지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가상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사진(C1)이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어도, 상기 사진(C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삭제되지 아니하고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계속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들을 선택한 후,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상기 컨텐츠가 표시된 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이 접촉된 위치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접촉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의 (b) 및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사진(C2)이 표시되어 있는 영역에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을 접촉시키는 경우, 상기 사진(C2)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상기 사진(C2)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에 표시되던 사진(C2)는, 파일의 "이동(move)" 명령과 유사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됨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70)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된 사진(C2)는 더 이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선택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를 전면 또는 후면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해 이동시켜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이 화면부(181)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이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 중 사진(C2) 썸네일 아이콘이 표시된 영역 내에 접촉시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사진(C2)이 선택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의 특정 지점(P)에 접촉시킨 후, 화면부(18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을 이동시켜 곡선을 형성하면, 상기 형성된 곡선 내에 위치하는 컨텐츠들(예를 들어, 사진(C1)과 사진(C2)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기 이전에,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등록 및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록 프로세스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컨텐츠 공유를 허가하는 단계이며, 상기 인증 프로세스는 컨텐츠 공유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근하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해 해당 기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FM 송신기(FM transmitter, 300)를 구비하며, FM 송신기(300)는 FM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등록 정보를 포함하는 FM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M 송신기(300)는 FM 주파수 대역들을 스캔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FM 주파수 대역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식별 정보(network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RDS(Radio Data System) 신호를 캐로셀(carousel) 바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RDS 신호는 RDS 페이로드(paylpoad)에 포함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가지며, FM 송신기(300)로부터 송출되는 RDS 신호는 상기 등록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ID(unique identifier)를 비트 시퀀스(bit sequence)로 포함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DS 신호에 포함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network ID)와 패스워드는 암호화되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암호화된 네트워크 식별 정보(network ID)와 패스워드를 해독하기 위한 키(keys)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보안을 위해, 상기 암호 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변경되는 암호 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에 미리 알려질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식별 정보(ID)가 부여되고, 휴대용 단말기(200)는 FM 스펙트럼(spectrum)을 스캔할 수 있다.
상기 FM 스펙트럼 스캔 과정에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RDS 페이로드에 포함된 고유 ID 비트 시퀀스를 확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RDS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검출된 RDS 신호로부터 암호화된 네트워크 ID와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암호화된 네트워크 ID와 패스워드를 미리 알고 있는 키를 이용하여 해독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암호 해독된 네트워크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식별 정보(ID)와 사용자 정보들(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또는 사진 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휴대용 단말기 식별 정보(ID)를 저장하여 해당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FM 스펙트럼 스캔 과정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송출되는 RDS 신호기 검출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는 WiFi 무선 통신 규격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RDS 신호를 이용하여 송출되는 등록 정보는 WiFi 네트워크의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등록 정보는 정보 은닉 매커니즘(steganography mechanism)을 이용한 패턴(310)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달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각각에서 컨텐츠 공유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암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패턴(31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상기 패턴(310)에 촛점을 맞추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화면(251)에 패턴(310)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획득된 패턴(310) 이미지로부터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정보, 예를 들어 WiFi 네트워크 ID 및 패스워드 등을 수집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모델 넘버 또는 IMEI 시리얼(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Serial))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등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등록 및 인증 프로세스가 수행된 후,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되면, 도 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자기장 센서(Magnetometer)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비된 자기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한 후 상기 접촉 방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자기장 센서의 출력 값이 108˚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 접촉 방향이 전면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접촉 방향이 전면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시 상기 수신된 접촉 방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에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선택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기장 센서의 출력 값이 108˚ 미만을 나타내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접촉 방향이 후면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접촉 방향이 후면이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시 상기 수신된 접촉 방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 식별 정보(ID)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ID 접촉 방향 (orientation)
10 전면
21 후면
51 전면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구비된 가속도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가 이동하는 축(axis)을 따라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접촉 방향이 전면인 경우와 후면이 경우에 있어서 서로 반대의 값을 가지므로,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면(200F)과 후면(200R)에 각각 구비된 근접 센서들(320, 321)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에 구비된 근접 센서(320)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것이며,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부(181)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200R)에 구비된 근접 센서(321)가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 각각에 자이로 센서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의 특정 값을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받아 내부의 자이로 센서의 측정 값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1)과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에 의해 검출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2)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에 각각 구비된 자이로 센서들의 특정 값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1)과 휴대용 단말기(2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2)이 어느 한 축에서 약 180˚ 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1)과 휴대용 단말기(200)의 방향을 나타내는 xyz 축(g2)이 모두 상이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광 감지 센서(3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접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광 감지 센서(330)는 주변 광 감지 센서(ALS, Ambient Light Sensor) 또는 색도계(Colorimet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면(200F)에 구비된 광 감지 센서(330)를 통해 측정된 색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 정보(ID)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되는 시점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색 정보와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색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200F)에 구비된 광 감지 센서(3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감지되어, 상기 광 감지 센서(330)에서 측정된 색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색 정보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예를 들어, 표시 영상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평균 밝기)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에 구비된 주변 광 감지 센서(ALS)에서 측정된 광 밝기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색 온도(예를 들어, 표시 영상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 온도)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에 구비된 색도계에 의해 측정된 색 온도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접촉 시점에 표시되는 영상의 색 정보(예를 들어, 광 밝기 또는 색 온도)를 표시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광 감지 센서(330)에서 측정된 색 정보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색 정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촉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예를 들어, 표시 영상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평균 밝기)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에 구비된 주변 광 감지 센서(ALS)에서 측정된 광 밝기와 상이한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색 온도(예를 들어, 표시 영상 중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 온도)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에 구비된 색도계에 의해 측정된 색 온도와 상이한 경우(또는,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접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전도체들이 부착되고, 상기 부착된 전도체들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면의 전도체들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된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는 후면의 전도체들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는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는 3축 자이로 센서와 2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접촉 방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31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NFC 태그들을 이용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의 한 분야로, 13.56㎒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SO 18092에 표준으로 규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다. 또한, 상기 NFC는 13.56㎒의 주파수 이외에도 125㎑, 135㎑ 또는 900㎒ 등과 같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에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400)을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400)는 수동형(passive) NFC 태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그(400)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조사 정보, 모델 명, 모델 넘버 및 해당 장치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와 함께 해당 NFC 태그가 배치된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인덱스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태그 인덱스는 NFC 태그(400)의 위치를 (x, y)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NFC 태그(400)에 저장된 정보들 중 상기 시리얼 넘버는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상이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태그 인덱스는 NFC 태그마다 상이하여 해당 NFC 태그(400)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NFC 리더(410)를 포함하며, 상기 NFC 리더(410)는 소정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13.56㎒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NFC 태그(400)로 전력과 신호를 전송하여 활성화시키고 상기 활성화된 태그(400)로부터 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NFC 리더(410)는 일정 거리, 예를 들어 4cm 이내에 위치하는 NFC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다.
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에 배치된 NFC 태그로부터 4cm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NFC 리더(410)는 상기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NFC 리더(410)는 복수의 NFC 태그들 중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영역(R)에 배치된 NFC 태그들(401 내지 406)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NFC 리더(410)를 통해 읽어들인 제조사 정보, 모델 명, 모델 넘버 및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NFC 태그(400)와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NFC 리더(410)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으로부터 NFC 태그(400)까지의 거리는 NFC 태그(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는 일정 거리(예를 들어, 4cm) 또는 상기 일정 거리보다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태그(400)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두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는 상기 일정 거리 또는 그 보다 약간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NFC 리더(410)를 통해 읽어들인 태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된 휴대용 단말기(200)는 접촉 영역(R)에 배치된 NFC 태그들(401 내지 406)로부터 태그 인덱스를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태그 인덱스들의 (x, y) 좌표들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그(400)에 저장된 데이터는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들(UPnP Device Description Parameters)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NFC 리더(410) 통해 상기 NFC 태그(400)로부터 읽어들인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들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등록 및 인증 과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복수의 RFID 레이더들(420 내지 423)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의 RFID 태그(430)에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UPnP 디바이스 디스크립션 파라미터들)를 읽어들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RFID 레이더들(420 내지 423) 각각으로 수신되는 RF 신호들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4개의 RFID 레이더들(420 내지 423)로 수신되는 RF 신호들의 세기가 동일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앙 부분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특정 RFID 레이더로 수신되는 RF 신호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상기 접촉 위치는 해당 RFID 레이더에 인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RFID 리더(440)가 구비되고, 휴대용 단말기(200)에 RFID 태그(430)가 구비되어,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한 RFID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센싱부(240)에서 측정된 센싱 값들(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접촉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의 출력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반사 굴절(catadioptric) 카메라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 및 접촉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서리 부분에 복수의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굴절 카메라(500)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프로파일(low profile)을 가지는 반사 굴절 반사체(501)와 특수 렌즈 시스템(special lens system)을 가지는 카메라(50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 굴절 반사체(501)는 일정 초점 거리를 가지는 볼록 거울(convex mirro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개의 서로 다른 시각들로부터 화면부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야(field of view)를 확보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의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구비된 카메라들(212f, 212r)이 동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과 전면 카메라(212f)를 통해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면 카메라(212f)를 통해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이 전면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을 통해 획득되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미지(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 형상)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이 전면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의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과 후면 카메라(212r)를 통해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가 후면 카메라(212r)를 통해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이 후면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을 통해 획득되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미지(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 형상)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이 후면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4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의 측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의 시야에 들어오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는 각각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과 전후면 카메라들(212f, 212r)를 통해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가 전후면 카메라들(212f, 212r)를 통해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방향이 측면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을 통해 획득되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이미지(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후면 형상)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 방향이 측면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의 시야에 들어오는 시점에서, 휴대용 단말기(200)에 구비된 자기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감지 센서 또는 색도계 등이 동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 상기 접촉 방향이 인식될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을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반사 굴절 카메라(500)의 광축(optical axis)로부터 접촉 지점(P)까지의 거리(d(x))는 영상면(image plane)에서의 거리(x)와, 거울에 수직한 선의 각도(θ)를 이용하여 구해질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서리 부분들에 4개의 반사 굴절 카메라들(500 내지 530)을 각각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 지점(P)까지의 거리들(d(x))이 구해지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구해진 거리들(d(x))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22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및 접촉 방향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테두리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예를 들어, IR LED Emitters)과 복수의 광 검출 센서들(예를 들어, IR Photodetectors)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0)의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2)

  1.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위치 인식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면이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시켜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전면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면이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 컨텐츠의 저장을 유지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는 컨텐츠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에 표시된 컨텐츠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후면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위치 인식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및 반사 굴절(catadioptric)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부 후방에 배치된 복수의 NFC 태그들 중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NFC 리더에 의해 정보가 읽혀진 적어도 하나의 NFC 태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NFC 태그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모서리 부분들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반사 굴절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위치를 판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접촉된 위치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송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면이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1 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된 컨텐츠와 연관시켜 상기 접촉 위치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면이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 컨텐츠의 저장을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2 면이 컨텐츠가 표시된 위치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된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61963A 2011-02-15 2011-06-24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28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67,403 US8725133B2 (en) 2011-02-15 2012-02-07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12000895.8A EP2490421B1 (en) 2011-02-15 2012-02-10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201210032992.7A CN102638610B (zh) 2011-02-15 2012-02-14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以及使用其的显示装置和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2810P 2011-02-15 2011-02-15
US61/442,810 201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743A true KR20120093743A (ko) 2012-08-23
KR101281384B1 KR101281384B1 (ko) 2013-07-02

Family

ID=4688508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979A KR101816930B1 (ko) 2011-02-15 2011-06-24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061963A KR101281384B1 (ko) 2011-02-15 2011-06-24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20110071049A KR20120093745A (ko) 2011-02-15 2011-07-18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71105A KR101227331B1 (ko) 2011-02-15 2011-07-18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979A KR101816930B1 (ko) 2011-02-15 2011-06-24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049A KR20120093745A (ko) 2011-02-15 2011-07-18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71105A KR101227331B1 (ko) 2011-02-15 2011-07-18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8169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266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WO2017142163A1 (ko) * 2016-02-17 2017-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6907A (ko) * 2016-09-05 2018-03-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객체 인식 기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23B1 (ko) * 2012-09-07 2014-03-07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79174B1 (ko) * 2012-10-15 2020-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2215860B1 (ko) * 2013-09-12 2021-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3215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219798B1 (ko) * 2014-01-13 2021-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6155378B (zh) * 2015-03-30 2017-12-05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终端及其近场通信方法、装置和系统
CN111831243A (zh) 2019-04-18 2020-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用户终端装置、以及装置的控制方法
KR102339367B1 (ko) * 2019-04-18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 의 제어 방법
KR20240016779A (ko) * 2022-07-29 2024-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이어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0982B2 (ja) * 2002-07-05 2006-05-31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KR20050077932A (ko) * 2004-01-29 2005-08-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확장 액정 화면을 이용하는 이동단말기 장치
KR100711093B1 (ko) * 2005-01-11 2007-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와 디스플레이상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직접통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2063350A1 (en) 2007-11-20 2009-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devices in home network
KR20090084634A (ko) * 2008-02-01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GB2463638A (en) 2008-09-01 2010-03-24 Anthony Richard Hardie-Bick Initiating data transfer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by tapping them together.
KR20100109686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9830123B2 (en) 2009-06-09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with intuitively displaying content transmission direction and device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266A (ko) * 2014-01-09 2015-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WO2017142163A1 (ko) * 2016-02-17 2017-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6907A (ko) * 2016-09-05 2018-03-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객체 인식 기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331B1 (ko) 2013-01-28
KR101816930B1 (ko) 2018-01-09
KR20120093744A (ko) 2012-08-23
KR20120093745A (ko) 2012-08-23
KR20120093746A (ko) 2012-08-23
KR101281384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384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872513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03042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685318B (zh)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显示装置以及移动终端
KR10225488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3771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1447B1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465052B (zh) 用于将用户设备装置与合作装置自动连接的方法及其用户设备装置
EP2816498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181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KR1024875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US20170207859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051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201601475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8783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
KR101632220B1 (ko) 이동 단말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그리고, 제어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US10013949B2 (en) Terminal device
KR10154902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412140B1 (ko)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US201303286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control program
KR2016004128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467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6477A (ko) 카드 형태의 디바이스 및 결제 방법
KR20160048361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168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와 연결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