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98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798B1
KR102219798B1 KR1020140004173A KR20140004173A KR102219798B1 KR 102219798 B1 KR102219798 B1 KR 102219798B1 KR 1020140004173 A KR1020140004173 A KR 1020140004173A KR 20140004173 A KR20140004173 A KR 20140004173A KR 102219798 B1 KR102219798 B1 KR 10221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user
process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4302A (ko
Inventor
이홍진
이청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798B1/ko
Priority to US14/594,765 priority patent/US10139990B2/en
Priority to EP15150849.6A priority patent/EP2894557B1/en
Priority to CN201510016299.4A priority patent/CN104777997B/zh
Publication of KR2015008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7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다. 특히,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함으로써, 각 사용자 별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함으로써, 간단하게,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된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게 되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 편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별 영역을 설정할 수 있게되며, 이때,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특정 컨텐츠 항목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유되어, 각 사용자 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 별 대응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사용자 별 중첩 영역에, 특정 컨텐츠를 위치시키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각 사용자들과 간단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되어,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고,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며,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를 간편하게 재생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크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20c는 도 3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30b는 도 2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로서, 수평하게(hotizontal) 놓인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거나, 수직하게(vertical) 놓인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가 수평하게((hotizontal)) 놓인 상태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스쳐 입력, 오디오 입력 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 촬영을 위한 카메라(195)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카메라(195)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별도의 유닛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각형인 디스플레이(180)의 각 모서리 부근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사각형인 디스플레이(180)의 각 모서리 부근 중 적어도 하나에, 스탠드 형의 복수의 카메라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195)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한다.
특히,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서로 구분되는 영역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한 다양한 예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센서부(150), 프로세서(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95)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입력부(미도시), 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DLNA, APiX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응하는 선호 컨텐츠 등을 수신하고, 이를 프로세서(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는, 프로세서(170)로부터, 편집된 컨텐츠 등을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통신부(120) 외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방식에 의해,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USB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접촉 등을 감지할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50)는, 터치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이동 단말기의 접촉 입력 등은, 프로세서(170)에 입력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입력부(110), 즉 버튼의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각 사용자 별 컨텐츠,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각 사용자 별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이동된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에 대한 줌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고, 줌인 또는 줌 아웃된 미니 맵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사본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가 디스플레이(180)에 놓이는 경우, 센서부(15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데이터 공유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데이터 공유되는 경우, 설정된 사용자 영역 내에, 사용자와 관련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가,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역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중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소정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고, 각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 별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표시 전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컨텐츠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재생 표시시,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재생되는 컨텐츠 항목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확대 표시시, 확대 입력이 제1 방향 확대 입력인 경우, 컨텐츠 리스트를 제1 방향으로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프로세서(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195)는,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95)에서 촬영된 영상은, 프로세서(170)로 전송되며,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각 사용자 확인, 사용자 위치 확인, 제스쳐 인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수상기, 모니터, 프로젝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 단말기(600)는, 스마트 폰, 음악 재생 장치, 태블릿, 이북, 탭 북 등 이동 가능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저장부(140)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20c는 도 3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한다(S310).
도 1과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에, 배치되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제1 사용자(10)가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1 사용자(1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 외에,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얼굴 인식 알고리즘, 홍채 인식 알고리즘 등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1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컨텐츠 표시는, 제1 사용자(1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컨텐츠 표시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180도 회전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 사용자(10)는, 디스플레이(180)에 대한 터치 입력 등에 의해, 제1 컨텐츠(410)의 이동, 줌인/줌아웃, 병합 등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한다(S320).
제1 사용자(10)만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앞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고 있다가, 제2 사용자가 나타내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20)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10)의 위치 외에, 해당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b에서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제2 사용자(20)가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32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한다(S3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2 컨텐츠 표시는, 제2 사용자(20) 확인 및 위치 확인 완료 후에,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 달리, 별도의 컨텐츠 표시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4b에서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추가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다운 스케일링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2 사용자(20)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컨텐츠(418)의 표시와 함께, 도 4a와 같이 표시되는 제1 컨텐츠(410)는,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제2 컨텐츠와의 중첩 없이, 제1 컨텐츠(415)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도 4a와 달리, 제1 사용자(10)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5b는, 추가로, 제2 사용자(20)가,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면과 같이,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28)가 좌우로 다운 스케일링되고,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제2 사용자(20) 앞에 표시된다. 추가적으로, 도 5a에서 표시되던 제1 컨텐츠(410)는, 좌우로 다운 스케일링되어,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25)가 제1 사용자(10) 앞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와 같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사용자(10,20) 중,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우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는것을 예시한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20)의 이동을 파악하고, 이동된 제2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5c에서는, 도 5b에서,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에 표시되던 제2 컨텐츠(428)가,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회전된 제2 컨텐츠(515)가 디스플레이(180)의 우하측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사용자는 이동에도 불구하고, 대응하는 컨텐츠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c에서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사용자(10)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5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5d는, 도 5c에서 더 좌측으로, 제2 사용자(20)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제2 컨텐츠(518)가 좌측으로 이동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면과 같이, 제1 컨텐츠(510)와 제2 컨텐츠(518)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519)이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중첩 영역(519)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컨텐츠(510)와 제2 컨텐츠(518)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또는 위치 등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표시되는 제2 컨텐츠(518)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제1 컨텐츠(510)의 크기 또는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역으로, 미리 표시되고 있던, 제1 컨텐츠(510)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제2 컨텐츠(518)의 크기 또는 위치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e는, 제1 컨텐츠(510)의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도면과 같이,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컨텐츠(511)와 제2 컨텐츠(518)와의 중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a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상측, 하측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15)와 제2 컨텐츠(418)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상측, 하측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6b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제3 사용자(30)가, 하측에 위치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611)와 제2 컨텐츠(613)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상측 좌, 우에 각각 표시되며, 제3 컨텐츠(617)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하측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a는, 제1 사용자(10)와 제2 사용자(20)가 각각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25)와 제2 컨텐츠(428)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좌측과 우측에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b는, 제1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20)와 제3 사용자(30)가 디스플레이(180)의 우측의 상,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이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425)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좌측에 표시되며, 제2 컨텐츠(621)와 제3 컨텐츠(623)가, 디스플레이(180) 내의 우측 상, 하에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7c는, 제1 내지 제3 사용자(10,20,30)가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각각 순차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태에서, 제3 사용자(30)가 제2 사용자(20) 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할 때, 디스플레이(180)에 나란히 표시되던, 제1 내지 제3 컨텐츠(711,713,717)들 중 제2 컨텐츠(713)와 제3 컨텐츠(717) 사이에, 중첩 영역(718)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다.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중첩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2 컨텐츠(713)의 크기 또는 표시 위치를 가변하거나, 제3 컨텐츠(717)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713)의 표시 위치를 도 7c 보다 조금 더 좌측으로 이동시키거나, 그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컨텐츠(717)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이동된 제1 컨텐츠 또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는, 제1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180)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20)가 디스플레이(180)의 우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10)가 오른손(11)을 이용하여, 표시되고 이던 제1 컨텐츠(810)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을 취한 경우, 제1 컨텐츠가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우상측에, 이동된 제1 컨텐츠(81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우측 이동 입력은, 디스플레이(180) 터치 기반의 우측 드래그 입력 또는 우측 플릭킹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제스쳐 기반의 우측 이동 입력일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에 대한 줌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고, 줌인 또는 줌 아웃된 미니 맵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a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각각 제1 및 제2 사용자(10,20)가 위치함에 따라, 대응하는 제1 컨텐츠(911)와 제2 컨텐츠(913)가 각각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컨텐츠(911)에 대한 미니 맵(mini map)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10)가, 양손을 디스플레이(180)에 접촉하는 경우, 구체적으로, 내려치는 경우, 도 9a의 (b)와 같이, 미니맵(912)이 제1 컨텐츠(91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컨텐츠(911)와 이격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미니 맵(921)은, 제1 컨텐츠(911) 보다 그 크기가 작으며,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사용자 손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10)의 미니 맵(912)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제스쳐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미니 맵(912)이 줌 인 또는 줌 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b는, 미니 맵의 줌 인 입력에 의해, 확대된 미니맵(914)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확대된 미니맵(914)이 텍스트 영역과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9c는, 확대된 미니맵(914) 내의 특정 영역을 제1 사용자가 선택하고, 그에 대한 이동 입력을 취하는 경우, 특정 영역이, 이동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10)가 확대된 미니맵(914) 내의 이미지 영역(931)이 선택되고, 선택된 이미지 영역(931)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된 이미지(933)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가 공유하길 원하는 이미지 영역, 즉 컨텐츠 부분이, 제2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이동시, 영역 별로, 그 이동 속도가 다른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70)는, 이미지 영역(931)에 대한 우측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911) 내에서는, 이동 속도가 빠르도록 설정하고,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913) 내에서는, 이동 속도가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제2 사용자가 이동되는 컨텐츠를 쥐는 그랩(grab) 입력을 취하는 경우, 사용자 친화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a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에 대해, 제1 사용자(10)가 병합 입력을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병합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되어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할 수 있다.
도 10b는,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된, 통합 컨텐츠(1013)가 서로 포개져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이후, 다시, 서로 포개진 통합 컨텐츠는, 하나의 파일로서, 병합되게 된다.
도 10c는,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된, 병합 컨텐츠(1014)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로 병합되는 컨텐츠들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되지만, 동일한 컨텐츠인 경우에는, 병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a는, 도 10a와 동일하게,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에 대해, 제1 사용자(10)가 병합 입력을 취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병합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되어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1011,1012)을,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할 수 있다.
도 11b는, 하나의 컨텐츠로 통합된, 통합 컨텐츠(1016)가 서로 포개져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c는, 동일한 컨텐츠에 대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페이지로서 병합되는 것이 아닌, 어느 하나의 컨텐츠(1011)만 남고 다른 컨텐츠(1012)의 표시는 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의 사본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2a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측,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1211)와,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이 각각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2 사용자(20) 앞에 표시되는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은, 상술한 도 9a 내지 도 9c와 유사하게, 컨텐츠 이동 입력에 의해, 이동 표시되거나, 제2 사용자의 컨텐츠 편집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컨텐츠 편집을 위해, 제2 사용자(20)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을 줌인시킬 수 있으며, 도 12a에서는, 제1 컨텐츠(1211) 보다, 제1 컨텐츠의 사본(1213)이 더 큰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2 사용자(20)의 편집 입력에 의해, 추가 내용이, 제1 컨텐츠의 사본(1213) 내에 추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추가 내용(1219)이, 제1 컨텐츠의 사본(1213) 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미지, 오디오, 웹 주소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가,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사용자의 편집 내용 확인을 위해, 프로세서(170)는, 편집 중인 또는 편집 완료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b는,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을, 제1 컨텐츠(1211) 옆에 나란히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은, 편집 불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나타내는 잠금 오브젝트 등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사용자의 편집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에 대한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는, 편집 중인 내용 또는 편집 완료된 내용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편집 완료된 이후, 제1 컨텐츠(1211)와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에 대한 병합도 가능하다. 즉, 도 10a 내지 도 10c와 같이,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변경된 부분이 있는,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1217)만이 남고, 제1 컨텐츠(1211)는 사라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제1 컨텐츠(1211)를 저장 또는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는, 카메라(195) 외에,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이동 단말기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150)가 있는 경우, 특히, 센서부(150)가, 압력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센서부(150)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정전 용량 가변을 감지하여, 각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위치 파악 이후, 각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각 이동 단말기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기기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및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의 데이터 교환 방식은, NFC 방식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센서부(150)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접촉을 감지하고,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확인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8b는 상술한, 센서부(150), 및 통신부(120)를 활용한, 사용자 위치 인식 및 사용자 확인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3a는 제1 사용자(10)가 자신의 이동 단말기(600a)를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놓아두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600a)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연산)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1 이동 단말기(600a)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이동 단말기(600a)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1 컨텐츠(410)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컨텐츠(410)는, 제1 이동 단말기(600a)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 재생한 컨텐츠이거나, 가장 좋아하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도 13b에서는, 제1 이동 단말기(600a)가 디스플레이(180)의 상측에 놓인 상태에서, 새롭게, 제2 사용자(20)의 제2 이동 단말기(600b)가 디스플레이(180)의 하측에 놓인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센서부(150)를 통해, 제2 이동 단말기(600b)의 위치를 연산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연산)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이동 단말기(600b)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이동 단말기(600b)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제2 사용자(2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미지 기반의 제2 컨텐츠(418)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컨텐츠(410)는, 제1 이동 단말기(600a)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신 재생한 컨텐츠이거나, 가장 좋아하는 컨텐츠이거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제2 컨텐츠(418)의 표시와 함께, 도 13a와 같이 표시되는 제1 컨텐츠(410)는,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b에서는, 제1 사용자(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로 다운 스케일링된 제1 컨텐츠(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제2 컨텐츠와의 중첩 없이, 제1 컨텐츠(415)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a 내지 도 14e는,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 확인 및 위치 확인이 수행되는 것 외에는, 도 5a 내지 도 5e와, 그 동작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사하게, 도 15a 내지 도 15b는, 도 6a 내지 도 6b에 대응하며,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7a 내지 도 7c에 대응하며, 도 17a 내지 도 17b는, 도 8a 내지 도 8b에 대응하며, 도 18a 내지 도 18b는, 도 12a 내지 도 12b에 대응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9a 내지 도 11c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도 13a 내지 도 18b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 이후, 컨텐츠 표시시,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의 외형 크기에 비례하여, 컨텐츠 표시 영역을 가변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 내에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의 양에 따라, 또는 표시할 컨텐츠 데이터의 해상도에 비례하여, 컨텐츠 표시 영역을 가변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직관적으로, 이동 단말기 내의 컨텐츠 데이터 양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세부(150)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면과 제2 면을 구분하여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0)는, 터치 스크린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의 앞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촉하는 경우와, 이동 단말기의 뒷면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접촉하는 경우, 서로 다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이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앞면과 뒷면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컨테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9a는, 복수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 주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사용자 별 사용자 영역이 지정된 것을 예시한다.
특히, 각 사용자(10,20,30,40,50) 별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각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이 설정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생성시, 사용자(10,20,30,40,50)들이, 각 사용자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을 어느 위치에 놓느냐에 따라, 그 크기, 형상, 색상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10) 기준으로, 왼쪽에, 이동 단말기(600a)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a)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치우치게 제1 사용자 영역(Ar1)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제2 사용자(20) 기준으로, 오른쪽에, 이동 단말기(600b)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b)를 기준으로 왼쪽에 치우치게 제2 사용자 영역(Ar2)이 생성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3 사용자(30) 기준으로, 위쪽 방향에 이동 단말기(600c)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c)를 기준으로 아래쪽에 제3 사용자 영역(Ar3)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4 사용자(40)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에, 이동 단말기(600d)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d)를 기준으로 위쪽에 제1 사용자 영역(Ar1)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하며, 제5 사용자(50) 기준으로, 가운데에, 이동 단말기(600e)를 디스플레이(180)에 올려놓았을 경우, 이동 단말기(600e)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제5 사용자 영역(Ar5)이 설정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각 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 영역 내에서, 사용하기 좋도록 컨텐츠 항목을 배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들(600a,600b,600c,600d,600e)이 디스플레이(180)에 놓이는 경우, 센서부(15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통신부(120)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기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확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해당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 대한 확인 이후,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데이터 공유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오브젝트는, 각 사용자 영역들(Ar1,Ar2,Ar3,Ar4,Ar5) 내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가, 데이터 공유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 공유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디폴트로 설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메뉴 등을 통해, 사용자 영역의 크기를 조절허가너, 영역의 경계를 터치 앤 드래그 하여, 사용자 영역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리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사용자 영역의 크기 전체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사용자 영역의 수평 방향으로만 그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일 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이하의 도 25a 내지 도 25b와 같이, 사용자 영역 내의 컨텐츠 항목들의 배치가 가변될 수도 있다.
도 19b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대한 가변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1)의 크기가 가변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제1 사용자(10)가 양손을 이용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1)의 대각선을 늘리거나 줄이는 경우, 제1 사용자 영역(Ar1)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이동 단말기(6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데이터 공유되는 경우, 설정된 사용자 영역 내에, 사용자와 관련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전체가,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디스플레이(180)의 사용자 영역 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9c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이동 단말기(600a)의 화면 내의 컨텐츠들이 그대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데이터 공유가 설정된 이후,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a)로부터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이를,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각 컨텐츠 항목들 및 이를 포함하는 화면(1910)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 및 이를 포함하는 화면(1905)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단하게, 이동 단말기(600a)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9d는,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이동 단말기(600a)의 화면 중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데이터 공유가 설정된 이후,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중 특정 컨텐츠 항목(1908)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600a)로부터 선택된 컨텐츠 항목(1906)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70)는, 이를, 제1 사용자(10)의 제1 사용자 영역(Ar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특정 컨텐츠 항목(1918)의 크기는,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1908)의 크기 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사용자(10)는, 간단하게, 이동 단말기(600a)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a)에 표시되는 화면(1905) 중 특정 컨텐츠 항목(1908)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1908)은, 테두리 색상이 변한다던지 하여, 하이라이트 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a)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 데이터 공유 모드시,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은,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제어 입력이 아닌,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제어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a)의 제어부는, 데이터 공유 모드시, 이동 단말기(600a)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을 무시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a)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 데이터 공유 모드 설정시, 이동 단말기(600a)에 폴더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폴더 전체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데이터 공유 모드시, 데이터 공유가 온(on) 되었음을 알리는 오브젝트를 각 사용자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각 사용자는, 데이터 공유가 동작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영역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영역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사용자 영역 중 중첩되는 공통 영역에, 소정 컨텐츠가 위치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해당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a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한 사용자 영역(Ara,Arb)이 설정되어 표시되며, 특히, 제1 사용자 영역(Ara)과 제2 사용자 영역(Arb)이 일부 중첩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중첩 영역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 또는 사용자 영역의 크기 가변, 또는 표시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종류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영역(Ara)과 제2 사용자 영역(Arb)이 중첩될 수도 있다.
도 20b는, 각 사용자 영역(Ara,Arb,Arc)에 각 사용자(10,20,30) 별 컨텐츠 리스트(2010a,2010b,2010c)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사용자(20)가 제2 컨텐츠 리스트(2010b) 중 소정 컨텐츠 항목(2018)을, 제3 사용자 영역과 중첩되는 공통 영역(Arz)에 위치시키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항목(2018)이, 제2 사용자(20)에게 공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20)에 대한 제2 사용자 영역(Arb)으로, 전송되거나, 제2 이동 단말기(600b)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20c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제1 및 제2 사용자(10,20)에 대한 사용자 영역(Ara,Arm)이 설정되어 표시되며, 특히, 제1 사용자 영역(Ara) 내에 데이터가, 그대로 공유되어, 제2 사용자 영역(Arm) 내에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제2 사용자(20)는, 공유된 컨텐츠의 사용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편집된 컨텐츠는, 다시 제1 사용자(10)에게 재 공유하여 컨텐츠를 재구성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2 내지 도 30b는 도 2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10).
도 23(a)는,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컨텐츠 리스트(2415)는, 사용자 인식 이후, 자동으로 표시되거나, 별도의 입력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310 단계 이전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복수의 컨텐츠 항목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 항목을 병합하고,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수평으로 놓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될 수 있다.
도 22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전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일부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의 위치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70)가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도 22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2410)을 사용자 방향으로 모으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CT1~CT24)이 하나의 파일, 또는 하나의 컨텐츠 리스트(2415)로 합쳐지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들(2410)에 대한 병합 입력에 기초하여, 병합된 컨텐츠 항목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415)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2415)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 표시하면서,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2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확대 입력에 대해, 순차적으로, 컨텐츠 리스트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내에,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적어도 일부 컨텐츠 항목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해당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3(a)에서는, 사용자가 양손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는, 표시되는 컨텐츠 리스트(2415)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확대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2415)가 확대된다.
도 23(b)는, 제1 시간 이후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416)를 예시하며, 도 23(c)는, 제2 시간 이후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417)를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도 23(b)의 컨텐츠 리스트(2416)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제1 크기의, 컨텐츠 항목들(CTa,...CTk)로 예시하며, 도 23(c)의 컨텐츠 리스트(2417) 내의 컨텐츠 항목들을,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의, 컨텐츠 항목들(CT1,...CT11)로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3(b)와 도 23(c)의 각 컨텐츠 항목들이, 파일명이 아닌,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으며, 확대 입력에 의해,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 또는 선명도가 더 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3(c)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의 크기가, 도 23(b) 보다 더 크므로, 도 23(c)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항목들의 개수가 더 적은 것도 가능하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233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확대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 리스트를 계속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일부 컨텐츠 항목이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은, 도 23(c) 이후, 계속하여, 사용자가 좌우 방향 확대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응하여, 컨텐츠 리스트 내의 일부 컨텐츠 항목들(2607,2608,2609,2610,2611,2612,2613)이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컨텐츠 리스트 내의 일부 컨텐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의 크기가, 재생 가능한 크기인 경우, 도 24과 같이, 해당 컨텐츠(2610)를 재생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2610)의 크기가, 다른 일부 컨텐츠 항목들(2607,2608,2609,2611,2612,2613) 보다 그 크기가 더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5a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11)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7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상,하 확대 터치 입력이 있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상,하 확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도 25a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1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상,하 영역의 전 영역에,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1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25b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11)을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27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좌,우 확대 터치 입력이 있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좌,우 확대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도 25b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2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180)의, 좌,우 영역의 전 영역에, 일부 컨텐츠 항목(27201)을 포함하는 확대된 컨텐츠 리스트(272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26은,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가 확대되면서,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도 확대되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를 확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재생되는 컨텐츠의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6(a)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제1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0)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0)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0a,2820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6(b)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도 26(a)의 컨텐츠(2810) 보다 크기가 더 큰, 제2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2)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2)의 크기에 비례하여, 도 26(a) 보다 볼륨 크기가 더 큰, 제2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2a,2822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6(c)는, 디스플레이(18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확대 입력에 대응하여, 도 26(b)의 컨텐츠(2812) 보다 크기가 더 큰, 제3 크기의 소정 컨텐츠(2816)가 재생되고 있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컨텐츠(2816)의 크기에 비례하여, 도 26(c) 보다 볼륨 크기가 더 큰, 제3 볼륨 크기의 사운드(2826a,2826b)가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컨텐츠의 크기에 따라, 오디오 볼륨 크기가 가변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컨텐츠의 크기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제1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을 제1 방향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 외에, 추가 이미지 삽입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 사이에 삽입하고, 컨텐츠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대해,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 플리킹 입력이 있는 경우,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7a 내지 도 27e는,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해, 추가 이미지를 삽입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7a는, 사용자(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측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컨텐츠(29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컨텐츠(291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일 수 있다. 도 24에서 기술한 컨텐츠(2610)에 대응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사용자(10)가 우측 방향으로 터치에 기초한 플리킹 입력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27b와 같이, 컨텐츠(29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가 우측 방향으로, 펼쳐서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2910)는 일시 정지될 수 있다.
도 27b에서는, 컨텐츠(29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이미지들로, TH1~TH7(2912~918) 등의 썸네일 이미지를 예시한다.
다음, 도 27c와 같이, 사용자(10)가,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를 넓게하는 터치 입력을 한 후, 새로운 추가 이미지(THa)(2920)를,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에, 추가하는 경우, 도 27d와 같이, 추가 이미지(2920)가, 제4 이미지(TH4)와 제5 이미지(TH5) 사이에,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10)가 복수의 이미지들(TH1~TH7, THa)(2912~918, 920)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터치에 기초한 플리킹 입력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도 27e와 같이, 복수의 이미지가 사라지면서, 새로운 추가 이미지를 포함하는 새로운 컨텐츠(2930)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원하는 이미지를 포함시킨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 생성된 컨텐츠(2930)는, 생성 완료 후,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8a 내지 도 30b는, 복수의 컨텐츠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컨텐츠 항목 중 일부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들을 포함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28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1 사진 항목(3011)과 제1 음악 항목(3012)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된 제1 사진 항목(3011a)과 이동된 제1 음악 항목(3012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15)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8b와 같이, 제1 사진 항목(3011a)과 제1 음악 항목(3012a)이, 하나의 파일(30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9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2 사진 항목(3022)과 제4 사진 항목(3024)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된 제2 사진 항목(3022a)과 이동된 제4 사진 항목(3024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25)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9b와 같이, 제2 사진 항목(3022a)과 제4 사진 항목(3024a)이, 하나의 파일(31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0a는 복수의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츠 항목들(PHOTO, MUSIC 등)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10)가, 제3 음악 항목(3032)과 제2 음악 항목(3034)을, 병합하는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이동된 제3 음악 항목(3032a)과 이동된 제2 음악 항목(3034a)이 일부 중첩되어 중첩된 컨텐츠(3035)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0b와 같이, 제3 음악 항목(3032a)과 제2 음악 항목(3034a)이, 하나의 파일(3255)로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의도대로, 원하는 컨텐츠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이동, 공유, 편집 등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각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내의 컨텐츠 또는 각 사용자 별로 설정한,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컨텐츠를, 사용자 위치 별로 표시할 수 있게 되어, 동시에, 서로 다른 컨텐츠의 재생, 표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및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니 맵에 대한 이동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미니 맵의 이동 속도가 더 작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감지된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며, 상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텐츠의 상기 제2 사용자로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제1 컨텐츠 또는 상기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미니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미니 맵 내의 일부 영역에 대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내의 일부를, 이동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미니 맵에 대한 줌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미니 맵을 줌 인 또는 줌 아웃 하고, 줌인 또는 줌 아웃된 미니 맵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고, 상기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사본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상기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이동 단말기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 여부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컨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싱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이 상기 제1 컨텐츠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싱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 내의 소정 컨텐츠 항목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플릭킹 입력이 있는 경우, 선택된 컨텐츠 항목이 상기 제1 컨텐츠 표시 영역 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싱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컨텐츠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컨텐츠 영역이 중첩된 상태에서, 소정 컨텐츠 항목이, 중첩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 항목을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단말기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사용자의 위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을, 상기 제2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미니 맵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미니 맵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며,
    상기 미니 맵에 대한 이동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영역에서 보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미니 맵의 이동 속도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가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위치 가변된 제2 컨텐츠의 표시 영역이,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컨텐츠의 표시 영역의 크기 또는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복수의 제1 컨텐츠들 중 적어도 두 개에 대한, 병합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하는 제1 컨텐츠들을 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병합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컨텐츠의 사본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편집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컨텐츠의 사본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상기 편집된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 또는 상기 편집 중인 제1 컨텐츠의 사본의 사본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편집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40004173A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1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73A KR102219798B1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4/594,765 US10139990B2 (en) 2014-01-13 2015-01-12 Display apparatus for content from multiple users
EP15150849.6A EP2894557B1 (en) 2014-01-13 2015-01-12 Display apparatus
CN201510016299.4A CN104777997B (zh) 2014-01-13 2015-01-13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73A KR102219798B1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02A KR20150084302A (ko) 2015-07-22
KR102219798B1 true KR102219798B1 (ko) 2021-02-23

Family

ID=53874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173A KR102219798B1 (ko) 2014-01-13 2014-0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3465B (zh) * 2015-12-31 2021-01-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桌面的内容显示方法和智能桌面终端
CN108674298A (zh) * 2018-03-23 2018-10-19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一种可显示车辆信息的车灯控制系统
KR102180258B1 (ko) * 2018-10-18 2020-11-19 장명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20230015083A (ko) * 2021-07-22 2023-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491A (en) * 1992-12-31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s within a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system
JP2010020616A (ja) * 2008-07-11 2010-01-28 Fujifilm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45455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230B1 (ko) * 2008-03-20 2010-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터치 감지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화면 제어 방법
KR101816930B1 (ko) * 2011-02-15 2018-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101978239B1 (ko) * 2012-06-22 201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5491A (en) * 1992-12-31 1996-05-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s within a collaborative data processing system
JP2010020616A (ja) * 2008-07-11 2010-01-28 Fujifilm Corp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45455A (ja) * 2012-01-13 2013-07-2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302A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4557B1 (en) Display apparatus
US11132025B2 (en) Apparatus including multiple touch screen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s therein
US107688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list items and changing hierarchical level of display
US10310730B2 (en)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ing of a window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81925B1 (ko) 복수의 휴대 단말들을 이용하여 멀티 비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62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626583B (zh) 電子裝置及其資料處理方法
KR102031142B1 (ko)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9083048A (ja) 携帯端末に対する動作関連入力によって複数個のオブジェクト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及び携帯端末
CN105468229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50325211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72509B1 (ko)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JP5766019B2 (ja) 2眼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197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9001212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255087B1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3809872B (zh) 具有视差滚动功能的移动装置和控制所述移动装置的方法
KR102317619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7080711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221979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700685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5209203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US101854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