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215A -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215A
KR20150033215A KR20130112913A KR20130112913A KR20150033215A KR 20150033215 A KR20150033215 A KR 20150033215A KR 20130112913 A KR20130112913 A KR 20130112913A KR 20130112913 A KR20130112913 A KR 20130112913A KR 20150033215 A KR20150033215 A KR 2015003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auxiliary
mai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215A/ko
Priority to PCT/KR2014/008848 priority patent/WO2015041504A1/ko
Publication of KR2015003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specially adapted to be executed by a peripheral of the client device, e.g. by a 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통신 망에 연결이 가능한 혼합 통신 환경에서 주 장치가 자신에 의해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응용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한다.

Description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IN A HYBRID BROADCAST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복합 방송 환경에서 복수 기기들의 연동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망은 지원하는 통신 방식, 전속 속도, 사용 자원 등의 요소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분류된다. 예컨대 상기 통신 망은 방송 망 (Broadcast Network), 고속 데이터 통신 망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망은 방송 채널 (broadcast channel)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통신 망이다. 상기 고속 데이터 통신 망은 고속 데이터 채널 (broadband channel)을 통해 HTTP 등의 프로토콜 기반으로 HTML 등의 메시지 타입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대표적인 통신 망이다.
한편 통신 망을 기반으로 서비스되는 콘텐트 (content)는 그 종류를 증가시켰으며, 상기 콘텐트의 증가는 콘텐트를 소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증가를 야기하였다. 상기 개인화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기기간 연결을 통해 콘텐트를 다양한 경로로 소비할 수 있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방송 채널과 고속 데이터 채널 (broadband channel)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복합 방송에 대한 기술에는 유럽에서 제정한 복합 방송 텔레비전 (HbbTV: Hybrid Broadcasting TV) 규격이 있다. 상기 HbbTV 규격은 Broadcasting 망으로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연결된 Broadband 채널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정의한다.
그러나 이 규격에는 방송정보에 부가 정보를 실어 보내는 방법 및 부가 정보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환경에 대해서만 정의를 하고 있을 뿐, 연결된 제 2의 기기에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 디지털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트는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 텔레비전 (DTV: Digital Television)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은 다수의 사람들이 함께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방송에 대한 부가 정보가 DTV의 화면 상에 표시될 경우, 기존 화면이 상기 표시된 부가 정보에 가려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화면을 시청하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부가 정보를 원하는 경우, 이에 따른 충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연동하는 주 장치와 보조 장치 각각이 연동하여 응용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채널과 고속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주 장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정보와 보조 장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독립적으로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채널과 고속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해 주 기지와 보조 장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채널과 고속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주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에서 보조 장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방송 채널과 고속 데이터 채널이 동시에 연결되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주 장치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이후에 필요에 의해 보조 장치를 위한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통신 망에 연결이 가능한 혼합 통신 환경에서 주 장치가 자신에 의해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방법은, 상기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통신 망에 연결이 가능한 혼합 통신 환경에서 주 장치가 자신에 의해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는, 상기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필터와, 상기 추출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하는 CS 관리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방송 환경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작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응용프로그램과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 관계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주 장치의 동작을 정의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가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Resolution 서버로부터 얻어 오는 동작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후술될 설명에서는 하나의 주 장치와 상기 주 장치와의 연동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단말 장치에서 상기 주 장치에서 구동되고 있거나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 (Main Application)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서 보조 응용프로그램 (Sub-Application)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안할 것이다.
상기 주 장치는 복합 단말 장치에서 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1기기를 지칭한다. 그 예로는 DTV, STB (Set-Top Box) 등의 공용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는 복합 단말 장치에서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2기기를 지칭한다. 그 예로는 모바일 단말, 태블릿 등의 개인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주 응용프로그램은 복합 단말 장치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일 예로 상기 주 응용프로그램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HbbTV 응용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주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복합 단말 장치를 통해 개인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다. 일 예로 상기 보조 응용프로그램은 주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한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 출연자 정보 등의 연동 화면 (CS: Companion Screen) 응용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될 실시 예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는 주 장치를 통해 주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면서 보조 장치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고유한 보조 응용프로그램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후술될 실시 예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서는, 주 기지와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복합 단말 장치는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망이 동시에 연결된 복합 방송 환경을 기반으로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망에 연결된다는 것은 해당 망과의 채널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즉 방송 망은 방송 채널을 통해 연결되고, 고속 데이터 망은 고속 데이터 채널을 통해 연결된다. 후술될 각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주 장치와 보조 장치가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망 중 어떠한 망과의 연결을 형성하여야 하는 지에 대해 정의할 것이다.
후술될 첫 번째 실시 예는, 주 장치가 방송 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사용하여 보조 장치에서의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단지 상기 첫 번째 실시 예에 의해 마련된 방안은 방송 정보를 어떻게 주 장치로 제공하는 지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첫 번째 실시 예에서 방송 정보 (또는 부가 정보)는 응용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AIT: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에 의해 제공되거나 다목적 마크-업 언어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후술될 두 번째 실시 예는, 주 장치가 주 응용프로그램 내에서 제공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보조 장치에서의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예컨대 HbbTV의 경우, HbbTV 응용프로그램 내에 CS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미리 작성하여 제공한다. 상기 보조 장치를 위한 CS 응용프로그램은 주 장치를 위한 HbbTV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므로, 상기 CS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는 HbbTV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방송 스트림과 관련된 정보이다. 따라서 HbbTV 응용프로그램을 제작 및/또는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는 CS 응용프로그램을 제작 및/또는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동일하거나 사전에 CS 응용프로그램과 관련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후술될 세 번째 실시 예에서는, 보조 장치가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이 요구되는 시점에 외부 서버로부터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즉 제안된 세 번째 실시 예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주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순간이 아니라,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요구되는 순간에 별도로 제공하는 방안이다. 일 예로 상기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이 요구되는 순간은 보조 장치에 의해 웹 브라우저가 구동되는 시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안된 세 번째 실시 예는 CS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시점이 일정하지 않고, HbbTV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었다 하더라도 관련된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가 시간에 따라 빈번하게 변경되는 경우 유용하다. 이 경우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는 별도의 외부 서버 (일 예로 Resolution 서버)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Resolution 서버는 웹 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클라우드에서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합 방송 환경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단말 장치 (Hybrid Terminal)(130)는 방송 채널에 의한 방송 경로 (broadcast path)(110)와 고속 데이터 채널에 의한 고속 데이터 통신 경로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path)(120)가 동시에 형성되는 복합 방송 환경에서 주 응용프로그램과 보조 프로그램을 서비스한다.
예컨대 상향링크에 상응한 방송 경로(110)에는 방송/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 (Broadcaster and Application Provider)(140)와 연결된 지상 사이트(112)와, 복합 단말 장치(130)로 신호를 방송하는 위성(114)이 존재한다. 상기 지상 사이트(112)는 상기 방송/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주 응용프로그램에 상응한 데이터 (Application Data), 제어 정보 (Signaling Information), 선형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Linear A/V Content)를 위성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 위성(114)는 상기 지상 사이트(112)로부터 수신한 위성 신호를 방송함으로써, 상기 복합 단말 장치(130)가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고속 데이터 통신 경로(120)는 방송/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140)와 연결된 웹 서버(Application Hosting/Web-Playout)(122)와, 상기 웹 서버(122)를 복합 단말 장치(130)로 연결하는 인터넷(124)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웹 서버(122)는 방송/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140)로부터 응용프로그램 데이터, 비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Non-linear A/V Content)를 제공 받으며, 이를 상기 복합 단말 장치(130)로 전달한다.
상기 복합 단말 장치(130)는 방송 경로(110)를 통해 방송/응용프로그램 제공 서버(14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와, 고속 데이터 통신 경로(120)를 통해 웹 서버(122) 및/또는 해결 처리 서버 (Resolution Server)(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 응용프로그램 및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기 복합 단말 장치(130)가 주 응용프로그램과 상기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동작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다. 복합 단말 장치(130)는 하나의 주 장치와 다수의 보조 장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주 장치와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복합 단말 장치(130)를 구성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2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사선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각 기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아무 표시도 없는 구성들은 스마트 기기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사선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기기간 연동을 위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응용 프로그램 제공 서버(140)는 방송 망을 통해 방송 스트림을 전송한다. 복합 방송 환경에서 방송 스트림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AIT를 포함한다. 상기 AIT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주 장치(210)에서 실행되는 주 응용프로그램 (HbbTV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외에 보조 장치(220)에서 실행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 (CS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주 장치(210)는 주 응용프로그램 (HbbTV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일 예로 상기 주 장치(210)는 DTV나 STB 등과 같은 공용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주 장치(210)는 AIT 필터 (Filter)(212), 주 응용프로그램 (HbbTV App.)(216)을 구동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er)(214), CS 관리부 (CS Manager)(218)를 포함한다.
상기 AIT 필터(212)는 방송 스트림에서 AIT를 추출하여 웹 브라우저(214)에게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CS 관리부(218)는 보조 장치(220)와 연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CS 관리부(218)는 네트워크에서 보조 장치(220)를 탐색하는 기능, 응용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보조 장치에게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 보조 장치에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S 관리부(218)는 상기 주 장치(210)에 의해 구동된 주 응용프로그램(216)과 상기 보조 장치(220)에 의해 구동된 보조 응용프로그램(226)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 브라우저(214)는 상기 주 장치(210)에서 구동되며, 상기 CS 관리부(218)의 요청에 의해 주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방송 망 및/또는 고속 데이터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주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웹 브라우저(214)는 스마트 기기 등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웹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필수적인 컴포넌트다.
상기 보조 장치(220)는 상기 주 장치(210)와 연동하여 보조 응용프로그램 (CS 응용프로그램 등)을 구동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장치(220)는 모바일 단말, 태블릿 등과 같은 개인 단말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220)는 론처 (Launcher)(222), 보조 응용프로그램 (CS App.)(226)을 구동하는 웹 브라우저 (Web Brower)(224),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 (Native CS App.)(228)을 포함한다.
상기 론처(222)는 상기 주 장치(210)와의 연동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론처(222)는 네트워크에서 주 장치(210)를 탐색하는 기능, 응용프로그램의 요청에 의해 주 장치(210)에게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요청하는 기능 및 상기 보조 장치(220)에 의해 구동된 보조 응용프로그램(226)과 상기 주 장치(210)에 의해 구동된 주 응용프로그램(216)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 브라우저(224)는 상기 보조 장치(220)에서 구동되며, 상기 런처(222)의 요청에 의해 보조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방송 망 및/또는 고속 데이터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웹 브라우저(224)는 스마트 기기 등에 공통으로 포함되며, 웹 응용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필수적인 컴포넌트다.
상기 주 장치(210)의 웹 브라우저(214)에 의해 실행되는 주 응용프로그램(216)과 상기 보조 장치(220)의 웹 브라우저(224)에 의해 실행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226)에 상응한 웹 응용프로그램은 브라우저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상기 웹 응용프로그램은 HTML과, CSS, 자바스크립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228)은 보조 장치(220)의 독자적인 OS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상기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228)은 바이너리로 컴파일되어 있으며, 각 OS에 종속적이다. 여기에는 안드로이드나 iOS, TiZen 등의 OS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말한다.
상기 웹 서버(122)는 주 장치(210)와 보조 장치(220)에서 수행되는 웹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웹 서버(122)는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거나 네트워크 밖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웹 응용프로그램은 HTML과 CSS, 자바스크립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보조 응용프로그램 정보, 예컨대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세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
첫 번째로 AIT에서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제1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방송 망을 통해 제공되는 AIT를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서술자(descriptor)를 정의하고, AIT가 새로이 정의된 서술자들을 포함하는 지를 식별하는 HbbTV descriptor tag를 추가한다.
하기 [표 1]는 새롭게 정의된 서술자들을 포함하는 AIT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새롭게 추가된 필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CSApplication_identifier: CS 응용프로그램의 ID를 나타낸다. 이 ID는 고유한 값으로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여기서는 방송사업자)에 의해 할당된다.
- CSApplication_type: CS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 여기에는 웹 응용프로그램과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 기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CSApplication_URL: CS 응용 프로그램의 URL 정보. 실제 CS 응용프로그램은 방송 스트림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아니고, 웹 서버나 기기에 인스톨된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으로 구동된다. 여기서는 이 URL 정보로 웹 응용프로그램이나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을 둘 다 나타낼 수 있다.
- CSApplication_flag: CS 응용 프로그램과 HbbTV 응용 프로그램의 관계를 나타낸다. CS 응용 프로그램은 HbbTV 응용프로그램에 종속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이 필드를 통해 이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sharable과 dynamic, complementary가 포함된다. 각각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음 [그림3]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 응용프로그램과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동작 관계를 보이고 있다.
먼저, CSApplication_flag가 Dependent로 설정된 경우, 주 장치의 HbbTV 응용프로그램은 보조 장치의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에만 실행된다. 즉, 보조 장치가 없거나 아직 실행되지 않은 경우, 주 장치의 HbbTV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보조 장치의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될 때까지 활성화되지 않거나, 화면에 보여지지 않는다. 이는 상기 보조 장치의 CS 응용프로그램이 원격 제어장치 (Remote Controller)처럼 입력 장치로 활용되거나, 보조 장치의 응용프로그램의 결과로 주 장치의 HbbTV 응용프로그램이 동작되는 경우에 유용하다.
다음으로 CSApplication_flag가 Independent로 설정된 경우, 주 장치의 HbbTV 응용프로그램은 보조 장치의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 여부에 상관없이 실행된다. 이는 보조 장치의 CS 응용프로그램이 보조적인 정보를 표시하거나, 개인화된 정보를 보여 줄 경우 상기 보조 장치의 유무와 상관없이 주 장치의 HbbTV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경우 유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주 장치의 동작을 정의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 장치는 410단계에서 방송 망을 통해 방송 정보, 즉 방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상기 주 장치는 412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AIT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AIT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주 장치는 414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부가 정보를 구성하는 확장 HbbTV descriptor tag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장 HbbTV descriptor tag가 존재할 시, CSApplication_flag를 확인한다.
상기 주 장치는 416단계에서 CSApplication_flag가 종속 실행을 지시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주 장치는 종속 실행이 지시된 경우, 420단계에서 보조 장치가 가용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보조 장치가 가용하지 않다면, 상기 주 장치는 HbbTV 응용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422단계로 진행하여 대기 상태에서 HbbTV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대기한다.
하지만 보조 장치가 가용한 상태인 경우, 상기 주 장치는 414단계에서 보조 장치에게 CS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할 것을 명령한다. 이때 CS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명령은 보조 장치로 CS 응용프로그램의 URL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명령이다.
상기 주 장치는 426단계에서 상기 보조 장치에 의해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주 장치는 HbbTV 응용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 판단하여 428단계에서 HbbTV 응용프로그램을 바로 실행하지 못하고 대기 상태로 기다린다. 하지만 상기 보조 장치에 의해 CS 응용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있는 경우, 상기 주 장치는 430단계에서 HbbTV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한편 상기 주 장치는 확장 tag가 존재하지 않으면, 432단계에서 바로 AIT에서 HbbTV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여 HbbTV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기 주 장치는 CSApplication_flag가 Independent인 경우, 주 장치는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여부와 상관없이 HbbTV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주 장치는 보조 장치에게 CS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한 후, 상기 보조 장치가 CS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였는지를 확인할 필요 없이 바로 HbbTV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주 장치의 동작에 대응한 보조 장치의 동작은 매우 단순하다. 즉 보조 장치는 주 장치로부터 CS 응용프로그램의 구동 명령을 받으면, 수신한 정보를 사용하여 CS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동작이 전부이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AIT가 소정의 포맷에 의해 정의된 메시지에 의해 제공됨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방송에 연동되지 않은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주 장치가 앞에서 [표 1]로 정의한 AIT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를 위해, XML 형태로 AIT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위에서 살펴본 AIT를 마찬가지로 XML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하기 [표 2]는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새롭게 정의한 XMLAIT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xsd:complexTypename=“HBBTVApplicationSpecificDescriptor”>
????<xsd:complexContent>
????????<xsd:extension base=“mis:ApplicationSpecificDescriptor”>
????????????<xsd:element name=“HBBTVCSApp” type=“HBBTVCSAPPType” minOccurs=“0” maxOccurs=“unbounded” />
????????</xsd:extension>
????</xsd:complexContent>
</xsd:complexType>
?
<xsd:complexType name=“HbbTVCSAPPType”>
????<xsd:complexContent>
????????<xsd:extension base=“mis:ApplicationSpecificDescriptor”>
?
????????<xsd:attribute name=“CSAppID” type=“mis:ApplicationIdentifier” />
????????<xsd:attribute name=“CSURL” type=“xsd:anyURI” />
????????<xsd:attribute name=“CSAppType” type=“CSAppType” />
????????<xsd:attribute name=“CSAppFlag” type=“”CSAppFlagType />
????????</xsd:extension>
????</xsd:complexContent>
</xsd:complexType>
?
<xsd:simpleType name=“CSAppType”>
????<xsd:restriction base=“xsd:token”>
????????<xsd:enumeration value=“web“/>
?
????????<xsd:enumeration value=“native“/>
????????<xsd:enumeration value=“etc“/>
????</xsd:restriction>
</xsd:simpleType>
?
<xsd:simpleType name=“CSAppFlag”>
????<xsd:restriction base=“xsd:token”>
????????<xsd:enumeration value=“dependent“/>
????????<xsd:enumeration value=“independent“/>
????</xsd:restriction>
</xsd:simpleType>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방안은 AIT에서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이 경우 제2기기의 CS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하기 [표 3]은 이 방법에 의해 HTML 내에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html>
????<head>
????????<meta data-CSAppID=“12345678” data-CSURL=“http://10.10.10.10/CSApp.html” data-CSAppType=“web” data-CSAppFlag=“Independent” />
????</head>
?
<body>
????<div>HTML for HbbTV Application </div>
</body>
</html>
상기 [표 3]에서 HTML5는 "data" 라는 속성을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 속성을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data 속성을 확장하여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한다.
제공하는 정보는 상기 [표 1]이나 상기 [표 2]에 나열한 정보와 동일하다. 다만, 여기서는 HTML에 속성 값으로 포함시키기 위해 ‘data-*’라는 속성으로 변경하였다.
아래 표3에서 <meta> 요소 안의 각 속성값들은 이 정보를 확장한 예를 보여 준다.
한편 상기 속성 값들을 처리방법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제어 흐름에 따른 동작과 동일하다. 단지 차이는 도 4에서 AIT로 CS 정보가 전달된 경우 AIT Filter와 CS Manager에 의해 처리되기 때문에 실행 코드로 작성되어야 하나, HTML 내에 CS 정보가 전달된 경우에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이에 대한 처리가 작성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가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Resolution 서버로부터 얻어 오는 동작 시나리오를 보이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들 중 도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였다. 복합 단말 장치(130)는 하나의 주 장치와 다수의 보조 장치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나,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주 장치와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복합 단말 장치(130)를 구성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도 5에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사선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각 기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아무 표시도 없는 구성들은 스마트 기기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 사선으로 표시된 구성들은 기기간 연동을 위한 컴포넌트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220)의 웹 브라우저(524)는 Resolution Server(530)로 부터 실제 구동해야 할 보조 장치(220)의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CS 응용프로그램 정보에 의해 CS 응용프로그램(526)을 구동한다.
이 경우, [표 1]이나 [표 2], 또는 [표 3]에 제시된 방법과 동일하게 CS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CSURL의 값은 실제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가 아니라 실제 CSURL 값을 요청해서 가져올 Resolution 서버의 URI가 된다. 또한 이 경우 CSAppType은 web이 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보조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장치는 610단계에서 주 장치로부터 CS URL에 상응한 URI를 수신할 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한다. 상기 보조 장치는 612단계에서 상기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수신한 URI 주소로 웹 페이지의 제공을 요청한다.
상기 보조 장치의 웹 브라우저는 614단계에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Resolution 서버로부터 CS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하기 [표 4]는 Resolution 서버로부터 수신한 CS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다음과 같은 응답을 받는다.
HTTP/1.1 302 FOUND
X-CSAppID: 12345678
X-CSAppType: web
X-CSAppFlag: Independent
Location: http://10.10.10.10/CSApp.html
상기 [표 4]에서 정의되고 있는 CS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는 HTTP의 헤더를 확장하여 전달된다. 각 헤더의 의미는 앞에서 설명한 [표 1]이나 [표 2], [표 3]과 동일하다.
상기 보조 장치의 웹 브라우저는 616단계에서 CSAppType을 판단하여 웹 응용프로그램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보조 장치의 웹 브라우저는 웹 응용프로그램인 경우, 618단계에서 해당 URL을 웹 서버로 요청하여 웹 페이지를 수신하고, 620단계에서 웹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를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웹 페이지는 HTML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장치의 웹 브라우저는 CSAppType을 판단하여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인 경우, 622단계에서 런처로 URL을 전달하여, 네이티브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안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방송정보로부터 수신한 부가정보를 보조 장치에게 제공함으로써, 주 장치에서는 방송정보만을 보여 주고 보조 장치에서는 부가정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송정보에 부가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보조 장치는 주 장치를 통해 해당 부가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가정보 데이터가 외부 Broadband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보조 장치는 주 장치로부터 해당 URL 정보만을 수신하고 실제 데이터는 외부 Broadband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 예를 보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기기(DTV)로 Broadcasting 채널로부터 방송정보를 수신하여 영화를 시청하고 있다. 사용자는 영화 시청 중, 해당 영화에 대한 부가 정보 (예, 캐스팅 정보, 영화의 시놉시스, 온라인 쇼핑 등)를 제 2기기(Mobile)를 통해 제공받고자 한다.
제 1기기는 해당 부가정보의 URL을 제 2기기로 전달하고, 이 URL을 전달받은 제 2기기는 Broadband 채널을 통해 부가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변형에 의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

  1.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통신 망에 연결이 가능한 혼합 통신 환경에서 주 장치가 자신에 의해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방법.
  2. 방송 망과 고속 데이터 통신 망에 연결이 가능한 혼합 통신 환경에서 주 장치가 자신에 의해 구동될 주 응용프로그램에 연동하는 보조 응용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망을 통해 수신한 방송 정보로부터 부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가 정보에 포함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 테이블 필터와,
    상기 추출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장치에 의한 보조 응용프로그램의 구동을 명령하는 CS 관리부를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KR20130112913A 2013-09-23 2013-09-23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50033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913A KR20150033215A (ko) 2013-09-23 2013-09-23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PCT/KR2014/008848 WO2015041504A1 (ko) 2013-09-23 2014-09-23 방송 네트워크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913A KR20150033215A (ko) 2013-09-23 2013-09-23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15A true KR20150033215A (ko) 2015-04-01

Family

ID=5268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913A KR20150033215A (ko) 2013-09-23 2013-09-23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33215A (ko)
WO (1) WO2015041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303A (ko)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HbbTV 지원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9053B2 (ja) * 2010-03-11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送信サーバ
EP2487924A3 (en) * 2011-02-10 2013-11-13 LG Electronics Inc. Multi-functional display device having a channel map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81384B1 (ko) * 2011-02-15 201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30033667A (ko) * 2011-09-27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5608B1 (ko) * 2011-09-27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303A (ko)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씨오티커넥티드 HbbTV 지원 가능한 방송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1504A1 (ko)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6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US92260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 capable of accessing broadcasting network and internet network to receive application
EP1942674B1 (en) Method of transmitting preview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review content
JP6133997B2 (ja) 両方向サービスを処理する装置及び方法
US102440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738469B2 (ja) 単一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含まれる基本メディアプレイヤを用いてスマートサービス及びデジタルテレビサービスを提供するスマート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及びその駆動方法
JP660506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215480B2 (en) Terminal cooperation system,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US10070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20130182192A1 (en) Method for moving pointer i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110302603A1 (en) Content output system, content output method, program, terminal device, and output device
Merkel 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the new way to a comprehensive TV experience
US20130291003A1 (en)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for
KR20140016695A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JP5773746B2 (ja) 端末連携システム
KR20150033215A (ko) 복합 방송 환경에서의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620220B1 (ko) 지상파 uhd 방송 브로드캐스터 어플리케이션 재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86986A1 (ko) 하이브리드 방송을 위한 하위버전 호환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89190A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