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190A -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 Google Patents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190A
KR20140089190A KR1020130001121A KR20130001121A KR20140089190A KR 20140089190 A KR20140089190 A KR 20140089190A KR 1020130001121 A KR1020130001121 A KR 1020130001121A KR 20130001121 A KR20130001121 A KR 20130001121A KR 20140089190 A KR20140089190 A KR 20140089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ntent
broadcast channel
channel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지은
류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190A/ko
Publication of KR2014008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04H20/33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by plur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6Characteristics of the server or Internal components of the server
    • H04N21/2265Server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Abstract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 방법에서는,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컨텐츠를 제공받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성격과 다른 성격을 갖는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하는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customized dual presentation envent) 발생에 따라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브로드밴드망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제1 컨텐츠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SERVICES}
본 발명은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가진 TV 화면에서, 배경이 되는 쪽을 메인 화면, 작게 표시되는 쪽을 PIP라고 한다. 사용자는 어떤 채널의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을 때 다른 채널의 컨텐츠를 PIP를 통해 동시에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구현을 위한 방송망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IP 구현을 위해, TV 내부에 2개의 튜너들이 구비된다. 2개의 튜너들은 방송망을 통해 두 개의 채널로 전송되는 컨텐츠들을 각각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TV 구조 및 방송망 구조로 인해 1개의 튜너를 구비한 TV에서는 복수의 채널 컨텐츠들을 동시에 시청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TV에서는, 컨텐츠들의 각 특성 즉, 각 컨텐츠들의 미디어 포맷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미디어 포맷의 컨텐츠들을 동시에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TV에서는 서로 다른 성격의 컨텐츠들을 동시에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튜너를 구비한 단말에서도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고, 동시에 각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른 미디어 포맷으로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동시 시청 이벤트(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동시 시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컨텐츠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시 시청 이벤트(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는 상기 제1 관리 블록과, 상기 호출된 동시 시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로부터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관리 블록으로 전달하는 제2 관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블록은,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컨텐츠와 상기 제2 관리 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컨텐츠를 제공받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성격과 다른 성격을 갖는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하는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customized dual presentation envent) 발생에 따라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브로드밴드망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제1 컨텐츠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른 단말은, 방송사 방송망 서버로부터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성격과 다른 성격을 갖는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와,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customized dual presentation envent) 발생에 따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채널을 통해 서로 다른 media format의 컨텐츠를 제공받을지라도 사용자에게 조화롭게 두 채널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IP 구현을 위한 방송 네트워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을 이용하여 dual pres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채널 컨텐츠들을 보여주는 TV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사용한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을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4: 이하, HbbTV라 한다)는 하나의 튜너를 통해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PIP)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112)과 광대역 채널(broadband channel)(116) 통해 방송국(102)으로부터 오디오 컨텐츠(Audio Content)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Video Content)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방송 채널(112)은 방송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광대역 채널(116)은 일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에서 제공하는 양방향 채널을 의미한다.
방송국(104)은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웹 페이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 TV(104)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방송국(104)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HbbTV(104)는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consume), 즉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는 광대역 채널(116)과 방송 채널(11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TV(104)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광대역 채널(116)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방송사(어플리케이션 제공자)는 광대역 채널 혹은 별도의 통신 수단(예를 들어 백본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접속되는 인터넷(106)을 통해 HbbTV(104)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HbbTV(104)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에 상기 두 채널(112, 11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방송사(102)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610)은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 방송 인터페이스(620)(Broadcast Interface), 역 다중화(622), AIT 필터(624), PIP 관리 블록(626), 광대역 인터페이스(628)(Broadband Interface), 방송 처리부(630)(Broadcast Processing), DSM-CC 클라이언트(632)(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Client),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634)(Internet Protocol Processing), 미디어 플레이어(636)(Media Player)을 포함한다.
방송 인터페이스(620)는 AIT 데이터(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Data), 선형 A/V 컨텐츠(Linear A/V Content),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Data) 및 스트림 이벤트(Stream Events)를 방송사(Broadcast System)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들 중 AIT 데이터는 역다중화기(622)(Demultiplexing unit)를 통해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Runtime Environment unit)로 전달되고, 스트림 이벤트(Stream Events)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Data)은 역다중화기(622)를 통해 DSM-CC 클라이언트(632)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 중 선형 A/V 컨텐츠(Linear A/V Content)은 역다중화기(622)를 통해 방송 처리부(630)로 전달된다. DSM-CC 클라이언트(632)는 DSM-CC 객체 카루셀(object carousel)을 통해 전달되는 마지막 2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복구하여 런타임 환경 처리부(Runtime Environment)(614)로 제공한다.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는 양방향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612)들이 실행되는 개념적인 개체(abstract component)를 의미하는 구성으로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Application Manager)와 브라우저(618)(Browser)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은 AIT 필터(624)로 통해 제공된 AIT 데이터를 평가하고, 해당하는 양방향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612)들의 사용시간(lifecycle)을 제어한다.
브라우저(618)은 양방향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612)들을 실행시키고, 각 양방향 어플리케이션(interactive application)(612)들의 동작에 응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방송 처리부(630)는 통상적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단말에서 제공되는 모든 DVB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방송 처리부(630)는 역다중화기(622)를 통해 전달되는 선형 A/V 컨텐츠(Linear A/V Content)를 통상적인(standard) DVB 단말에서 처리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방송 처리부(630)는 채널 리스트(Channel List), EIT p/f 테이블(Event Information present/following table), 튜닝(tuning) 기능과 같은 추가적인 정보 및 기능들을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에게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어플리케이션(612)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형 A/V 컨텐츠(Linear A/V Content)를 변형(scale and embed)하는 경우, 미디어 플레이어(636)가 동작한다. 미디어 플레이어(636)는 선형 A/V 컨텐츠(Linear A/V Content)와 비선형 A/V 컨텐츠(Non-Linear A/V Content)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광대역 인터페이스(628)(Broadband Interface)는 단말(610)을 위한 인터넷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단말(610)은 광대역 인터페이스(628)(Broadband Interface)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Application Data)를 어플리케이션 제공자의 인터넷 서버에게 요청할 수 있다. 요청형 컨텐츠(Content on Demand)와 같은 비선형 A/V 컨텐츠(Non-Linear A/V Content)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634)는 단말(610)이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기능들을 제공하며, 특히 어플리케이션 데이터(Application Data)를 런타임 환경 처리부(614)에게 전달하고 비선형 A/V 데이터를 미디어 플레이어(636)에게 전달한다.
PIP 관리 블록(626)은 사용자가 한 채널을 시청 중에 다른 채널의 시청을 요청하는 PIP 시청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PIP 시청 요청에 응답하여 Dual presentation 을 위한 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고, 사용자가 동시에 보고자 하는 채널의 ID를 확인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에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PIP 관리 블록(626)으로 PIP 시청을 요청하면, PIP 관리 블록(626)은 상기 Dual Presentation을 위한 event를 호출하는 데, 상기 호출된 event는 채널(channel) ID 및 고유의 이벤트(event) ID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는 상기 채널(channel) ID와 상기 이벤트(event) ID를 이용하여 해당 Dual presentation을 위한 AIT를 검출하고, 검출된 AIT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PIP 방식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광대역 채널(Broadband channel)을 통해 제공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두 개의 채널을 통해 동시에 2개의 채널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정의한 AIT의 일례를 보여주는 표이다.
application_type As required, eg Flash or HTML
application_control_code Not used
Customization URL The server manages user/device data
Customization Parameter The application can be customized with this parameter
application_descriptor(){
application_profile_length 0 (no application profile provided)
service_bound_flag 채널에 종속여부를 알려주는 값
event_bound_flag Event에 종속여부를 알려주는 값
event_ID 종속되어 있는 Event ID
service_ID 종속되어 있는 Service(채널) ID
transport_protocol_descriptor()
protocol_id 0x03 (broadband server)
selector_bytes Carry the min. application version
simple_application_location_descriptor()
initial_path_bytes Parameters for the application
<표 1>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616)는 상기 표 1에 정의된 값을 이용하여 채널에 종속되어 있고, 동시에 Dual Presentation event에 종속되어 있는 Application 의 AIT를 불러온다.
<표 1>을 참조하면, AIT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일 예로서 플래시 혹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을 지시하는 application_type과 어플리케이션의 설명을 나타내는 application descriptor과 전송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transport protocol descriptor과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나타내는 simple application location descriptor 등과 함께, 사용자 및/또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개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개인화된 URL을 더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개인화 파라미터(Customization Parameter)가 AIT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개인화 파라미터는 인터넷 서버 혹은 단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개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일 예로 장치의 종류,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성별/나이, 시청 기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AIT로부터 획득한 URL이 가리키는 인터넷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넷 서버는 방송 서버 혹은 단말의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 서버로부터 단말의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터넷 서버는 별도의 수단을 통해 단말의 사용자 정보나 장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Channel에 종속되어 있고, Dual Presentation event에 종속되어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불러오기 위해, Service_bound_flag, Event_bound_Flag, Event_ID, Service_ID가 application_descriptor에 추가된다.
Service_bound_flag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채널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값으로써, 해당 채널의 시청이 요청되면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는 application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Event_bound_Flag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특정한 event 발생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값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Dual Presentation 요청에 대한 event와의 종속 여부를 알려주는 데 사용된다.
Event_ID는 상기 Event_bound_flag의 값이 true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event와 종속되어 있는 경우, 그 종속된 event의 ID 값을 나타낸다.
Service_ID는 Service_bound_flag의 값이 true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채널과 종속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종속된 채널의 ID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싱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용도를 나타내는 정보가 AIT의 Application usage descriptor에 추가된다. 하기의 <표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도를 나타내는 Application usage descriptor의 일례를 보여주는 표이다.
No. of bits Identifier Value
application_usage_descriptor(){
descriptor_tag 8 uimsbf 0x16
descriptor_length 8 uimsbf
usuage_type 8 uimsbf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하기의 표 3과 같이 usuage_type의 값들에 dual representation을 정의하는 하나의 값이 0x02에 할당된다.
Type Value Description
0x00 Reserved
0x01 Digital Text application
0x02 Dual representation
0x03 to 0x07F Reserved for futur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말을 이용하여 dual pres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사용자의 단말(610)은 TV 혹은 방송 서비스의 수신이 가능한 휴대 기기(mobile device)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TV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TV 단말(610)이 광대역 채널(Broadband channel)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경우의 절차가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과정 412에서, 사용자(606)가 TV 단말(610)을 통해 사용자(606)가 수신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면, 상기 TV 단말(610)은 방송사 방송망 서버(6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방송 스트림의 수신을 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채널을 시청하게 된다.
과정 414에서, 사용자(606)는 방송사의 방송망 서버(604)에서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에 TV 단말(610)에서 제공하는 해당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TV 단말(610)의 PIP 관리 블록(626)에게 PIP(Picture in Picture) 요청을 전달하고, 동시에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채널의 ID 값을 PIP 관리 블록(626)에게 전달한다.
과정 416에서 PIP 관리 블록(626)은 상기 PIP 요청에 응답하여 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고, 과정 418에서, PIP 관리 블록(626)은 채널의 ID 값과 Dual presentation event의 ID 값을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에게 전송한다.
과정 42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상기 수신한 채널의 ID 값과 Dual presentation event의 ID 값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AIT를 검출한다.
과정 422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608)에 대한 인터넷 주소, 일 예로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혹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등의 전송(Transport) 정보를 상기 검출된 AIT로부터 추출한다.
과정 424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상기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사의 브로드밴드망 서버(608)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과정 426에서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608)는 상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으로 전송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요청된 채널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과정 428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PIP 관리 블록(626)에게 전송되고, 과정 430에서 상기 PIP 관리 블록(626)은 TV 화면에 기존의 채널의 영상과 함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를 PIP 방식으로 동시에 presentation 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TV 단말이 2개의 채널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컨텐츠를 그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적합한 또는 개인화된(customized)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2개의 채널 컨텐츠들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컨텐츠는 비디오 타입으로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채널 컨텐츠는 그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customized)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채널 컨텐츠들을 보여주는 TV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으로 등분된 화면의 아랫부분에는 영화 또는 드라마와 같은 비디오 형태의 채널 컨텐츠가 표시되고, 윗부분(40)에는 스포츠 경기의 스코어와 같은 Text 형태의 채널 컨텐츠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시청 중인 채널의 음성을 mute 시키고 영상만을 시청하고, 다른 음악 채널의 오디오만을 청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도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채널을 각각의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적합한 방식 또는 개인화된 방식(customized)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customized)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PIP 방식으로 제공받기 위해, TV 단말은 사용자의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통해 해당 채널의 컨텐츠가 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프로그램 가이드를 위한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는 해당 채널의 컨텐츠가 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아래와 같은 플래그가 정의될 수 있다.
"Customizedpresentation_Flag"--해당 컨텐츠가 개인화(customized) 된 Presentation 방식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 또한 다른 미디어 포맷으로 표현될지를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udio, Text 등이 있을 수 있다.
아래의 <표 4>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 Customizedpresentation_Flag를 포함하는 EIT의 일례이다.
Syntax Number of bits Identifier
event_information_section
table_id
section_syntax_indicator
reserved_future_use
reserved
section_length
service_id
reserved
version_number
current_next_indicator
section_number
last_section_number
transport_stream_id
original_network_id
segment_last_section_number
last_table_id
for(i=0; i< N;i++){
event_id
start_time
duration
Customizedpresentation _ Flag
running_status
free_CA_mode
descriptors_loop_length
for(i=0; i<N; i++){
descriptor()
}
}
CRC_32
}

8
1
1
2
12
16
2
5
1
8
8
16
16
8
8

16
40
24

3
1
12





32

uimsbf
bslbf
bslbf
bslbf
uimsbf
uimsbf
bslbf
uimsbf
bslbf
uimsbf
uimsbf
uimsbf
uimsbf
uimsbf
uimsbf

uimsbf
bslbf
uimsbf

uimsbf
bslbf
uimsbf






rpchof
하기의 <표 5>는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customized)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정의되는 descriptor의 일례이다.
No.of bits Value
Application_customized_dual_presentation_descriptor(){
descriptor_tag 8
descriptor_length 8
media_format 8
}
상기 표 5에 정의된 media_format은 PIP로 전송되는 채널의 컨텐츠의 미디어 포맷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Text, Audio 등을 나타내는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과정 712에서, TV 단말(610)이 사용자(606)가 수신을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정하면, 상기 TV 단말(610)은 방송사 방송망 서버(604)로부터 상기 선정된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서비스의 방송 스트림의 수신을 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채널을 시청하게 된다.
과정 716에서, TV 단말(610)은 사용자(606)가 방송사의 방송망 서버(604)에서 전송되는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에 TV 단말(610)에서 제공하는 해당 메뉴를 이용하여 상기 TV 단말(610)의 PIP 관리 블록(626)에게 동시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PIP 요청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과정 716에 앞서, 과정 714에서 사용자는 방송 채널 시청 중에 방송사 방송망 서버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가이드를 통해서 동시 시청을 원하는 방송 채널이 Customized presentation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TV 단말(610)의 PIP 관리 블록(626)은 상기 과정 716을 통해 확인된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방송 채널의 채널 ID가 포함된 PIP 요청을 수신한다.
과정 718에서 PIP 관리 블록(626)은 상기 PIP 요청에 응답하여 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고, 과정 720에서 PIP 관리 블록(626)은 채널의 ID 값과 Dual presentation event의 ID 값을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에게 전송한다.
과정 722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상기 수신한 채널의 ID 값과 Dual presentation event의 ID 값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검출한다.
과정 724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검출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AIT의 customized presentation 되는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을 상기 <표 5>에 정의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과정 726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과정 724에서 확인된 media format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과정 728에서 TV 단말(610)이 과정 724에서 확인된 media format을 지원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608)에 대한 인터넷 주소, 일 예로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혹은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등의 전송(Transport) 정보를 과정 722에서 검출된 AIT로부터 추출한다.
과정 730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상기 추출된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사의 브로드밴드망 서버(608)에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다.
과정 732에서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608)는 해당 채널 컨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으로 전송한다.
과정 734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블록(616)은 상기 수신된 채널 컨텐츠를 상기 채널 컨텐츠의 성격에 따라 개인화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PIP 관리 블록(626)으로 전달한다.
과정 736에서 PIP 관리 블록(626)은 TV 화면에 기존의 컨텐츠의 채널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개인화된 컨텐츠의 채널을 PIP 방식으로 동시에 presentation 한다.
도 4의 실시 예는 단순히 하나의 TV 화면에 두 개 채널의 각 영상을 단순히 PIP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면, 도 6의 실시 예는 두 개의 채널의 각 컨텐츠가 서로 다른 media format 일 수 있으므로, 한 채널의 media format을 중지시키고 보여준다거나 등의 기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조화롭게 두 채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동시 시청 이벤트(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동시 시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컨텐츠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요청은,
    상기 단말에게 픽쳐 인 픽쳐(Picture in Picture) 기능을 요청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ID와 상기 동시 시청 이벤트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ID와 상기 동시 시청 이벤트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AIT)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AIT로부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IT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방송 채널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Service_bound_flag)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동시 시청 이벤트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event_bound_flag)와, 종속되어 있는 이벤트 ID(event_ID)와, 종속되어 있는 서비스 ID(Service_ID)가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_descriptor)를 통해 검출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IT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동시 시청(Dual presentation)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용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에 있어서,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동시에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동시 시청 이벤트(Dual presentation event)를 호출하는 상기 제1 관리 블록과,
    상기 호출된 동시 시청 이벤트에 따라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로부터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상기 제1 관리 블록으로 전달하는 제2 관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리 블록은,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컨텐츠와 상기 제2 관리 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인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블록은,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컨텐츠와 상기 제2 관리 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픽쳐 인 픽쳐 화면으로 구성하는 것인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블록은,
    상기 제1 관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채널 ID와 상기 동시 시청 이벤트의 ID를 획득하여,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블록은,
    상기 제1 관리 블록으로부터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채널 ID와 상기 동시 시청 이벤트의 ID를 획득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AIT를 검출하고, 검출된 AIT로부터 상기 방송사 브로드밴드망 서버의 주소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IT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제2 방송 채널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Service_bound_flag)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동시 시청 이벤트에 종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려주는 플래그(event_bound_flag)와, 종속되어 있는 이벤트 ID(event_ID)와, 종속되어 있는 서비스 ID(Service_ID)가 정의된 어플리케이션 디스크립터(Application_descriptor)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IT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동시 시청(Dual presentation)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용도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13. 단말에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 서버로부터의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컨텐츠를 제공받는 동안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성격과 다른 성격을 갖는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받고자하는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customized dual presentation envent) 발생에 따라 상기 제2 방송 채널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브로드밴드망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제1 컨텐츠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상기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은 서로 다른 미디어 포맷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의 미디어 포맷은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미디어 포맷은 나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는,
    상기 제2 컨텐츠가 개인화된 동시 시청(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에 정의된 개인화된 동시 시청(Customized Dual Presentation)을 위한 플래그에 기초하여 브로드밴드망 서버에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따라 브로드밴드망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IT는,
    상기 제2 컨텐츠의 미디어 포맷의 종류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IT는,
    상기 단말이 상기 미디어 포맷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인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에 있어서,
    방송사 방송망 서버로부터 제1 방송 채널을 통해 제1 컨텐츠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와,
    제2 방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컨텐츠의 성격과 다른 성격을 갖는 제2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와,
    개인화된 동시 시청 이벤트(customized dual presentation envent) 발생에 따라 상기 제1 방송 채널의 제1 컨텐츠와 상기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
KR1020130001121A 2013-01-04 2013-01-04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140089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21A KR20140089190A (ko) 2013-01-04 2013-01-04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121A KR20140089190A (ko) 2013-01-04 2013-01-04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190A true KR20140089190A (ko) 2014-07-14

Family

ID=51737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121A KR20140089190A (ko) 2013-01-04 2013-01-04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391A1 (ko) * 2020-08-25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트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391A1 (ko) * 2020-08-25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트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76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テーブル供給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テーブル供給方法
US874566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preview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preview content
US20130291022A1 (e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from a plurality of content sources
KR101094553B1 (ko) 실시간 방송과 관련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63352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4125947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US11265600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for flexible simulcast operation
US201401736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transmitting apparatus
KR101952700B1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253631B1 (ko) 방송 프로그램 정보의 출력 방법 및 단말기
KR20140125686A (ko) 방송 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80517A (ko)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CN101242484A (zh) 电子节目指南信息处理方法和处理系统及服务器、机顶盒
US20100281406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stored therein
CN103905838A (zh) 一种终端播放dvb业务的方法及其系统
KR20140089190A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101086153B1 (ko) 신규 및 업데이트 정보에 대한 개인별 알림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
US10972205B2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20140125668A (ko) 방송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7859B1 (ko) 애드온 tv에서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US10743057B2 (en) Broadcaster application remote control key handling
KR20150140147A (ko) 하이브리드 방송을 위한 하위버전 호환성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6132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845132B1 (ko) 리치미디어 서비스에 의한 디지털 방송 채널의 제어방법 및그 단말기
KR2015006132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서비스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