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537A - 앵커 - Google Patents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537A
KR20120093537A KR1020110013161A KR20110013161A KR20120093537A KR 20120093537 A KR20120093537 A KR 20120093537A KR 1020110013161 A KR1020110013161 A KR 1020110013161A KR 20110013161 A KR20110013161 A KR 20110013161A KR 20120093537 A KR20120093537 A KR 2012009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weakening
flexural strength
w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제노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젠(주) filed Critical 제노젠(주)
Priority to KR102011001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3537A/ko
Publication of KR2012009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2Pegs, stak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Abstract

앵커가 세로축(A1)에 편향되게 부착된 날개형 부재(110, 120)를 포함하고, 날개형 부재는 약화 홈(111, 112) 및 보강 리브(116)를 포함한다. 날개형 부재는 약화 홈 부분에서 휨강도가 약화 되어 있다. 앵커의 세로축에 근접하는 휨 변형에 대해서는 변형의 크기에 무관하게 약화 된 휨강도가 적용되고,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는 휨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크기의 변형까지는 약화 된 휨강도가 적용되며, 정해진 크기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원래대로 복원된 휨강도가 적용된다. 보강 리브는 앵커 축에 근접하는 휨 변형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으며,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는 휨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크기의 변형까지는 작용하지 않고, 정해진 크기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날개형 부재의 전반적인 휨강도를 보강하도록 작용한다.

Description

앵커 {ANCHOR}
이 발명은 베이스(base)에 외부 물체를 부착하기 위해 이용되는 앵커(anchor)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베이스에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앵커는 베이스에 외부 물체를 부착하기 위해 이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라고 함은 예를 들어 토사층, 모래층, 자갈층 등과 같은 지표층 또는 토대, 또는 각종 재료로 구성된 벽 또는 물체 등을 통칭하는 것이며, 외부 물체라고 함은 베이스와 분리된 별도의 물체로서 앵커에 의해 베이스에 부착되는 객체를 통칭하는 것이다.
베이스에 외부 물체를 안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앵커가 베이스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야 한다. 앵커를 베이스에 안정적으로 부착하기 위해 흔히 이용되는 방법은 앵커를 베이스에 파묻거나 또는 앵커를 베이스에 강하게 접합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앵커를 베이스에 파묻는 작업은 매우 시간소모적이고 비용소모적이며 인력소모적인 것이고, 앵커와 베이스를 접합시키는 것은 앵커와 베이스의 구성 재료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좀더 단순한 방식으로는 앵커를 베이스에 박아넣는 방식이 있는데, 앵커를 깊숙이 견고하게 박아넣는 것은 작업이 어렵고, 쉽고 얕게 박아넣은 앵커는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베이스에 부착되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앵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베이스에 부착하는 작업이 쉬운 앵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베이스에 비교적 작은 힘으로 쉽게 박아넣을 수 있고, 베이스에 박힌 후에는 비교적 큰 인발력에 견딜 수 있는 앵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베이스에 외부 물체를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앵커가 제공된다. 앵커는 베이스에 매립되는 앵커 헤드(anchor head)와, 앵커 헤드에 외부 물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 및,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편향되게 부착된 하나 이상의 날개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날개형 부재는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bending strength)를 약화시키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한다.
휨강도 약화 수단은 날개형 부재를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게 하는 외향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한계까지의 변형에 대해서만 휨강도를 약화시키고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휨강도를 원래의 강도로 복원시키는 휨강도 복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휨강도 약화 수단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약화 홈 중 적어도 일부는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휨강도 복원 수단은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형 부재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두께를 증대시키고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ri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휨강도 약화 수단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며, 휨강도 복원 수단은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앵커 헤드가 앵커 스템(anchor stem)으로부터 구분되지 않고 앵커 스템만으로 형성된 앵커가 제공된다. 앵커는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에 매립되는 앵커 스템 및, 상기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편향되게 부착된 하나 이상의 날개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날개형 부재는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를 약화시키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한다.
휨강도 약화 수단은 날개형 부재를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게 하는 외향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한계까지의 변형에 대해서만 휨강도를 약화시키고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휨강도를 원래의 강도로 복원시키는 휨강도 복원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휨강도 약화 수단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약화 홈 중 적어도 일부는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휨강도 복원 수단은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형 부재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두께를 증대시키고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 중 적어도 일부는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휨강도 약화 수단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날개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며, 휨강도 복원 수단은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른 앵커가 베이스에 매립된 상태에서 베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날개형 부재가 베이스 구성 재료를 퍼내면서 빠져나와야 하므로, 비교적 큰 인발력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쉽사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앵커를 베이스에 박아넣을 때, 앵커는 베이스 구성재료를 밀어내면서 구멍을 뚫고 베이스 속으로 진입하는데, 날개형 부재로 인해 더 많은 베이스 구성재료를 밀어내고 더 큰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앵커를 박아넣기가 어려워진다. 이 발명에 따른 날개형 부재는 예를 들어 약화 홈으로 이루어지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하므로 날개형 부재가 쉽게 휘어져서 앵커의 세로축에 접근하도록 좁혀진 상태로 비교적 작은 구멍 속으로 진입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적은 양의 베이스 구성재료를 밀어내면서 비교적 작은 구멍을 뚫고 앵커를 비교적 쉽게 베이스 속에 박아넣을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앵커가 베이스에 매립된 상태에서 앵커를 베이스의 외부로 뽑아내는 인발력이 가해지면 날개형 부재에는 베이스 구성 재료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며, 이 압력으로 인해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압력을 받는 면적이 넓어진다. 날개형 부재가 더 넓은 수압 면적을 가지면 앵커가 빠져나오기 위해 날개형 부재가 더 많은 베이스 구성 재료를 퍼내야 하므로, 더 큰 인발력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쉽사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베이스 구성 재료를 퍼내기 위해 필요한 힘에 비해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휨강도가 너무 크다면, 날개형 부재가 휨 변형되어 수압면적이 커지기도 전에 비교적 소량의 베이스 구성 재료만을 밀어내면서 앵커가 베이스로부터 쉽게 뽑혀버릴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른 날개형 부재는 예를 들어 약화 홈으로 이루어지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하므로 비교적 약한 힘만으로 날개형 부재가 적시에 휘어져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면서 수압면적이 커지므로, 비교적 큰 인발력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쉽사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져 수압면적이 커진 상태에서, 베이스 구성 재료로부터 받는 압력에 비해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휨강도가 너무 작으면, 날개형 부재가 압력에 항복하거나 뒤로 젖혀지면서 수압면적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비교적 소량의 베이스 구성 재료만을 밀어내면서 앵커가 베이스로부터 쉽게 뽑혀버릴 수 있다. 휨강도 복원 수단을 갖는 이 발명에 따른 날개형 부재는 휨강도 약화 수단에 의해 약화된 휨강도를 원래의 휨강도로 복원시키므로, 날개형 부재가 압력에 쉽사리 항복하거나 뒤로 젖혀지지 않고 견디면서 앵커가 베이스로부터 쉽게 뽑히지 않는다. 또한, 휨강도 복원 수단은 초기에는 작용하지 않다가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져 수압면적이 커진 상태에서만 작용하므로, 비교적 큰 인발력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쉽사리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가 원래 그다지 크지 못한 경우에는, 휨강도 약화 수단에 의해 약화된 휨강도를 휨강도 복원 수단에 의해 원래의 휨강도로 복원시킬지라도 다소 큰 압력이 날개형 부재에 가해지면 항복하거나 뒤로 젖혀져서 앵커가 베이스로부터 뽑힐 수 있다.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를 보강해주는 보강 리브를 갖는 이 발명에 따른 앵커는 아주 큰 인발력이 가해져도 베이스로부터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에 따른 앵커는 베이스에 파묻거나 접합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쉽게 박아넣을 수 있으며, 베이스에 박힌 후에는 매우 큰 인발력에도 뽑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a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앵커의 전면도이며,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앵커의 측면도이고,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앵커의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앵커를 베이스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가 베이스에 삽입되고 있는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앵커 헤드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a는 베이스에 삽입된 앵커를 뽑아내려는 인발력이 가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력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앵커 헤드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앵커의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b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헤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앵커 헤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c는 도 8a에 도시된 앵커 헤드에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앵커 헤드에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a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를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b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를 와이어가 끼워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a 내지 도 1d에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 및 도 1c는 앵커를 베이스(300)에 박아넣을 때 선단이 되는 앵커 헤드(100)가 도면에서 수직방향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는 앵커 헤드(100) 및 앵커의 세로축(A1)을 따라 배치된 앵커 스템(200)을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두개의 날개형 부재(110, 120)를 포함하는 2엽식 앵커 헤드이고, 날개형 부재(110, 120)는 앵커의 세로축(A1) 또는 앵커 스템(200)으로부터 도 1b 및 도 1c에서 보아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편향된 상태로 앵커 헤드(100)에 부착되어 있다.
전면에서 본 앵커 헤드(100)는 팁(tip) 부분이 베이스(300)를 뚫고 들어가기 쉽게 역삼각형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날개형 부재(110)는 앵커의 세로축(A1)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보강 리브(116) 및, 앵커의 가로축(A2)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약화 홈(111, 112)을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16)와 약화 홈(111, 112)이 모두 날개형 부재(110)의 외면(141), 즉 앵커의 세로축(A1)을 마주보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약화 홈(111, 112)은 날개형 부재(110)의 휨강도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00)에 박아 넣음으로써 고정된다. 베이스(300)에 구멍(310)을 뚫으면서 앵커 헤드(100)를 박아 넣을 때에는 구멍(310)의 바닥 및 벽면으로부터 앵커 헤드(100)에 외력이 가해진다. 외력은 도 2b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로 보이듯이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의 외면(141)을 가압하여 날개형 부재(110, 120)를 안쪽으로 오그라들게 변형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날개형 부재(110, 120)에 약화 홈(111, 112, 121, 122)을 설치함으로써 날개형 부재(110, 120)가 안쪽으로 오그라드는 변형은 더욱 커지게 되며, 앵커 헤드(100)를 박아넣기 위해 베이스(300)에 뚫어야 할 구멍(310)의 크기는 더욱 작아진다. 다시 말해서, 날개형 부재(110, 120)에 약화 홈(111, 112, 121, 122)을 설치함으로써 앵커 헤드(100)를 베이스(300)에 더 작은 힘으로 더 쉽게 박아넣을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헤드(100)를 베이스(300)에 박아넣고 나면, 앵커 헤드(100)를 박아넣는 과정에서 베이스(300)에 생겼던 구멍(310)은 벽이 저절로 무너져내려 막힐 수 있다. 구멍(310)이 저절로 막히지 않으면, 베이스 구성 물질과 유사한 물질을 채워넣음으로써 구멍(310)을 막을 수도 있다.
앵커 헤드(100)가 베이스(300)에 박혀 고정되면, 베이스(300)에 부착해 두고자하는 외부 물체를 앵커 스템(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이스(300)에 부착된 외부 물체가 베이스(300)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힘은 앵커를 베이스(300)로부터 뽑아내려는 인발력으로 작용한다.
앵커에 인발력이 작용할 때, 앵커 헤드(100)에는 베이스(300)의 구성 물질로부터 외력이 가해진다. 외력은 도 3b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로 보이듯이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의 내면(142)을 가압하여 날개형 부재(110, 120)를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변형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날개형 부재(110, 120)가 벌어질수록 도 3b에서의 수직 외력을 받아내는 날개형 부재(110, 120)의 수평 면적은 더 커진다. 다시 말해서, 단위면적 당 수직 외력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날개형 부재(110, 120)의 수평 면적이 더 넓게 벌어질수록 날개형 부재(110, 120)가 받아낼 수 있는 수직 외력은 더 커지며, 더 큰 인발력에 저항해서 앵커가 베이스(300)에 박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단위면적 당 수직 외력의 크기에 비해 날개형 부재(110, 120)의 변형에 필요한 힘이 너무 크다면, 날개형 부재(110, 120)가 벌어져서 인발에 대한 저항력이 커지기도 전에 앵커는 베이스(300)로부터 뽑혀나갈 것이다. 그러므로, 날개형 부재(110, 120)에 설치된 약화 홈(111, 112, 121, 122)은 날개형 부재(110, 120)의 변형을 촉진하여 날개형 부재(110, 120)의 수평 면적이 적시에 적절하게 확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날개형 부재(110, 120)의 변형이 너무 커져서 날개형 부재(110, 120)가 도 3a에서 하측으로 젖혀져버리면, 수직 외력을 받아내는 날개형 부재(110, 120)의 수평 면적이 감소되고, 인발에 대한 저항력이 약화되어 앵커가 베이스(300)로부터 뽑혀나가버린다. 그러므로, 날개형 부재(110, 120)에 설치된 보강 리브(116)는 날개형 부재(110, 120)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발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에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100)는 비교적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약화 홈(111, 112, 121, 122)에서 쉽게 변형되어 날개형 부재(110, 120)가 외측으로 확장된다. 날개형 부재(110, 120)가 충분히 벌어지면, 각각의 약화 홈(111, 112, 121, 122)의 마주보는 두개의 측벽(131, 132)이 맞닿아서 더 이상의 변형이 저지된다. 즉, 날개형 부재(110, 120)의 휨 변형이 적절한 수준에 도달하면, 약화 홈(111, 112)의 측벽(131, 132)은 약화 홈(111, 112)에 의해 약화된 날개형 부재(110)의 휨강도를 윈래의 수준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강 리브(116)는 날개형 부재(110, 120)가 충분히 큰 외력에도 변형되지 않고 견디게 한다. 또한, 보강 리브(116)는 날개형 부재(110)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약화 홈(111, 112)의 깊이, 즉 측벽(131, 132)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측벽(131, 132)이 서로 맞닿는 것에 의한 변형 저지 효과를 강화한다.
도 4에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앵커와 유사한 2엽식 앵커인데, 앵커 헤드(100)의 팁(180)의 모서리를 모따기 하여 선단이 좁게 테이퍼 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베이스(300)를 좀더 쉽게 뚫고들어가게 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는 3개의 날개형 부재(110, 120, 130)를 갖는 3엽식 앵커 헤드(100)를 포함하며, 각각의 날개형 부재(110)는 두개의 보강 리브(117, 118) 및 두개의 약화 홈(111, 112)을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의 앵커 헤드(100)의 팁은 베이스(300)를 쉽게 뚫고들어갈 수 있도록 삼각뿔 형상의 팁(182)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 따른 3엽식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 130)들의 보강 리브(117, 118) 및 약화 홈(111, 112)의 구성과 기능 및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2엽식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들의 보강 리브(116) 및 약화 홈(111, 112)의 구성과 기능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다.
도 6a에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앵커는 4개의 날개형 부재(110, 120, 130, 140)를 갖는 4엽식 앵커 헤드(100)를 포함한다.
도 6b에 도시된 앵커는 도 6a에 도시된 앵커와 유사하지만, 앵커 헤드(100)의 팁(184)이 원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4엽식 앵커 헤드의 날개형 부재(110, 120, 130, 140)들도 앞서 설명한 2엽식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들의 보강 리브(116) 및 약화 홈(111, 112)과 동일한 구성과 기능 및 작용효과를 갖는 보강 리브 및 약화 홈을 갖는다.
도 7a 내지 도 7b에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앵커와 유사한 앵커의 헤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는 두개의 보강 리브(117, 118)를 가지며, 도 7b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는 세개의 보강 리브(116, 117, 118)를 갖는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달리,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앵커가 앵커 스템(200)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앵커 헤드(100)가 앵커의 세로축(A1) 상에 천공된 와이어 삽입 구멍(160)을 포함한다. 와이어 삽입 구멍(160)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와이어(210)가 삽입된다.
와이어(2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에서의 앵커 스템(20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300)에 부착하고자 하는 외부 물체를 묶어두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210)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끈이나 철사 등 앵커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앵커 스템(200)과 유사한 강봉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b에 도시된 와이어는 구멍(160)으로 삽입된 와이어(210)가 구멍(160)을 통과해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헤드(211)를 갖는다. 도 8c에는 도 8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의 와이어 삽입 구멍(160)에 도 8b에 도시된 와이어(160)가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와 보강 리브 및 약화 홈의 구성과 기능 및 작용효과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헤드에서와 동일하다.
도 9a 및 도 9c에는 도 8a에 도시된 앵커 헤드와 유사한 앵커 헤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앵커의 세로축(A1)에 평행한 방향으로 천공된 두개의 와이어 삽입 구멍(161, 162)을 포함한다. 도 9b에는 와이어 삽입 구멍(161, 162)에 와이어(220)가 삽입된 상태의 앵커 헤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c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앵커의 가로축(A2)에 평행한 방향으로 천공된 하나의 와이어 삽입 구멍(163)을 포함한다.
도 10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날개형 부재(110, 120)의 각각에 하나씩 두개의 구멍(165, 166)이 천공되어 있다. 두개의 구멍(165, 166)을 통과하는 와이어(220)가 지나는 앵커 헤드(100)의 선단에는 와이어 고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처럼 와이어(220)가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에 천공된 구멍(165, 166)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면, 와이어(220)에 인발력이 가해질 때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는 도 10a에 도시된 앵커 헤드(100)와 유사하지만, 날개형 부재(110, 120)에 천공된 구멍(167, 168)이 날개형 부재(110, 120)의 외측 약화 홈(112)을 벗어난 끝부분에 천공되어 있고, 앵커 헤드(100)의 선단에도 하나의 구멍(169)이 천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삽입 구멍을 날개형 부재(110, 120)의 외측 약화 홈(112)을 벗어난 끝부분에 천공된 구멍(167, 168)으로 구성하면, 와이어(220)에 인발력이 가해질 때 앵커 헤드(100)의 날개형 부재(110, 1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힘을 도 10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경우보다 더 크게 보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앵커 헤드(100)가 앵커 스템(200)으로부터 구분된 앵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앵커가 앵커 헤드(100)와 앵커 스템(200)으로 구분되지 않고 앵커 스템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앞서 기술된 앵커 헤드(100)에 날개형 부재(110, 120, 130, 140)가 부착되는 구성으로부터 날개형 부재가 앵커 스템에 부착되는 구성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앵커가 앵커 헤드와 앵커 스템으로 구분되지 않고 앵커 스템만으로 구성되며 날개형 부재가 앵커 스템에 부착되는 구성에 의해서도 이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약화 홈(111, 112, 121, 122)이 날개형 부재(110, 120)의 외면(141)에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약화 홈(111, 112, 121, 122)의 전부 또는 일부가 날개형 부재(110, 120)의 내면(142)에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서도 이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16, 117, 118)가 날개형 부재(110, 120)의 외면(141)에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보강 리브(116, 117, 118)의 전부 또는 일부가 날개형 부재(110, 120)의 내면(142)에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서도 이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약화 홈(111, 112, 121, 122)과 보강 리브(116, 117, 118)를 모두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날개형 부재(110, 120)의 휨강도가 충분히 강하고 약화 홈(111, 112, 121, 122)의 깊이가 폭에 비해 충분히 큰 경우에는 보강 리브(116, 117, 118)를 갖지 않고도 휨강도 약화 수단과 휨강도 복원 수단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약화 홈(111, 112, 121, 122)이 날개형 부재(110, 120)의 일부를 침입하도록 형성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날개형 부재(110, 120)의 휨강도가 충분히 약한 경우에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구성할 필요가 없고 휨강도 보강 수단만 필요하며, 날개형 부재(110, 120)에 보강 리브(116, 117, 118)를 형성하고 약화 홈(111, 112, 121, 122)은 날개형 부재(110, 120)를 침입함이 없이 보강 리브(116, 117, 118)에만 형성함으로써 이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약화 홈(111, 112, 121, 122)이 날개형 부재(110, 120)의 일부만 침입하도록 형성된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날개형 부재(110, 120)의 내면(142)에 보강 리브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약화 홈(111, 112, 121, 122)이 날개형 부재(110, 120)의 두께를 완전히 침입하여 절개하도록 형성되고, 날개형 부재(110, 120)의 절개된 부분들이 보강 리브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보강 리브(116, 117, 118)가 앵커의 세로축(A1)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약화 홈(111, 112, 121, 122)이 형성된 위치에서 앵커의 가로축(A2)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강 리브의 구성에 의해서도 이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것이며, 이 발명은 그러한 앵커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앞서 설명한 앵커 스템, 앵커 헤드, 날개형 부재, 보강 리브, 와이어 등의 구성요소들은 이 발명에 따른 앵커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금속, 고분자 수지, 복합소재 등 다양한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구성요소들의 재료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은 이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이 발명의 정신에 따라 이 발명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변경과 치환 및 수정을 용이하게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그러한 자명한 변경과 치환 및 수정을 이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두고자 한다.
100 : 앵커 헤드
110, 120, 130, 140 : 날개형 부재
111, 112, 121, 122 : 약화 홈
131, 132 : 측벽
141 : 외면
142 : 내면
116, 117, 118 : 보강 리브
160, 161, 162, 163, 165, 166, 167, 168, 169 : 와이어 삽입 구멍
180, 182, 184 : 팁
200 : 앵커 스템
220 : 와이어
300 : 베이스
310 : 구멍
A1 : 세로축
A2 : 가로축

Claims (19)

  1. 베이스에 외부 물체를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앵커에 있어서,
    베이스에 매립되는 앵커 헤드와,
    앵커 헤드에 외부 물체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 및,
    상기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편향되게 부착된 하나 이상의 날개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를 약화시키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를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게 하는 외향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한계까지의 변형에 대해서만 휨강도를 약화시키고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휨강도를 원래의 강도로 복원시키는 휨강도 복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약화 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휨강도 복원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상기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두께를 증대시키고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복원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상기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앵커의 세로축을 따라 형성된 앵커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9.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이 외부 물체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앵커 헤드에 천공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삽입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0.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헤드가 2개의 날개형 부재가 부착된 2엽식 앵커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1.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헤드가 3개의 날개형 부재가 부착된 3엽식 앵커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2.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헤드가 4개의 날개형 부재가 부착된 4엽식 앵커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3. 베이스에 외부 물체를 부착할 수 있게 구성된 앵커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에 매립되는 앵커 스템과,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편향되게 부착된 하나 이상의 날개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형 부재가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의 휨강도를 약화시키는 휨강도 약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를 앵커의 세로축으로부터 벌어지게 하는 외향 변형에 대해서는 정해진 한계까지의 변형에 대해서만 휨강도를 약화시키고 정해진 한계를 초과하는 변형에 대해서는 휨강도를 원래의 강도로 복원시키는 휨강도 복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약화 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휨강도 복원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상기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날개형 부재가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두께를 증대시키고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날개형 부재의 양면 중 앵커의 세로축과 마주보지 않는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휨강도 약화 수단이 앵커의 가로축에 평행한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보강 리브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약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휨강도 복원 수단이 상기 날개형 부재의 외향 변형이 정해진 한계에 도달하면 서로 맞닿을 수 있게 구성된 상기 약화 홈의 양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KR1020110013161A 2011-02-15 2011-02-15 앵커 KR20120093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61A KR20120093537A (ko) 2011-02-15 2011-02-15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161A KR20120093537A (ko) 2011-02-15 2011-02-15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537A true KR20120093537A (ko) 2012-08-23

Family

ID=4688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161A KR20120093537A (ko) 2011-02-15 2011-02-15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35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88B1 (ko) * 2016-07-14 2017-03-14 주식회사 도운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88B1 (ko) * 2016-07-14 2017-03-14 주식회사 도운 지반 보호 공사용 망체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2816C (en) Spiral steel pile
KR101413593B1 (ko)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 확보가 가능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870410B1 (ko) 사면 보강용 소일네일
JP2008057113A (ja) 回転圧入杭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963682B1 (ko) 앵커 조립체, 이를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1265226B1 (ko) 압착콘을 간격재로 이용한 강관네일과 이의 시공방법
KR20090114292A (ko) 토목용 앵커핀
KR101491746B1 (ko) 보강된 두부의 유지가 가능한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설치 공법
JP5919675B2 (ja) 複合基礎杭及び複合基礎杭の構築方法
KR100672039B1 (ko) 헤드 확장형 파일의 가변 확장부재
KR20140096577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복합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말뚝 매입공법
KR20120093537A (ko) 앵커
KR20120102480A (ko) 선단 지지력이 강화된 phc 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 말뚝 매입 공법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1047395B1 (ko) 강관 파일의 선단부 보강 부재
KR101438013B1 (ko) 선단지지력이 강화된 복합말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6611B1 (ko) 덮개 및 앵커부재가 구비된 옹벽구조물
JP3977647B2 (ja) 土留め壁構造
KR101182802B1 (ko) 복합 마이크로파일
KR101110039B1 (ko) 앵커 헤드
JP2007107253A (ja) 引き抜き容易な杭と、その杭の引き抜き方法。
KR20140014739A (ko) 말뚝 최하단부에 복수의 요철 단면 형상을 가지는 말뚝 및 이를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KR20190137293A (ko) 회전 관입 말뚝의 시공방법
KR200339359Y1 (ko) 지지력이 강화된 나선형 파일
KR102246482B1 (ko) 야자 매트 고정용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