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488A -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488A
KR20120092488A KR1020110059716A KR20110059716A KR20120092488A KR 20120092488 A KR20120092488 A KR 20120092488A KR 1020110059716 A KR1020110059716 A KR 1020110059716A KR 20110059716 A KR20110059716 A KR 20110059716A KR 20120092488 A KR20120092488 A KR 2012009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ranslation
server
translat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환
정도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358,78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209589A1/en
Priority to JP2013553347A priority patent/JP2014510965A/ja
Priority to AU2012215291A priority patent/AU2012215291A1/en
Priority to CA2826160A priority patent/CA2826160A1/en
Priority to RU2013137426A priority patent/RU2608245C2/ru
Priority to PCT/KR2012/000871 priority patent/WO2012108656A2/en
Priority to BR112013020548A priority patent/BR112013020548A2/pt
Priority to EP20120154518 priority patent/EP2487889A1/en
Priority to CN2012100312381A priority patent/CN102638414A/zh
Publication of KR2012009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88A/ko
Priority to ZA2013/06035A priority patent/ZA201306035B/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송신 시 작성된 메시지를 타언어로 번역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언어와 다른 언어로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송신측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시지 송신 시 작성된 메시지를 타언어로 번역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언어와 다른 언어로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화 이외에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SMS) 송수신 기능 및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 송수신 기능을 포함한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기능은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기에 전달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한 기능만을 제공함에 따라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상세하게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대방 및 자신이 공통적으로 알고 있는 언어로 메시지를 작성해야 한다. 또는, 사용자가 별도의 번역 프로그램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상대방이 알고있는 언어로 번역하고,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작성창에 입력한 후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언어로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수신된 메시지를 별도의 번역 프로그램을 통해 번역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데 불편함에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 송신 시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타언어로 번역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언어로 작성된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기 설정한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할 수 있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은 송신측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번역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 상기 번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번역 서버;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전송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작성된 메시지 및 번역 요청을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성된 메시지 및 상기 번역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번역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번역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상기 메시지 서버의 번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번역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전송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은 메시지 송수신 시 실시간으로 번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사용 언어가 다른 사용자들 간에도 메시지를 용이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할 메시지 또는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기 위하여 별도의 번역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 메시지 프로그램 상에서 번역 기능을 바로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로써, 개인 정보 단말기(PDA),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Notebook),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가 메시지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송신측 단말기로 명칭하고, 메시지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측 단말기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SMS) 및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 IM)를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시지"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0)은 송신측 단말기(10), 수신측 단말기(20), 메시지 서버(300) 및 번역 서버(Translate Server,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메시지의 송신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100)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메시지 작성 후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번역 메뉴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 번역 요청 메시지 및 번역 언어를 번역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번역된 메시지 수신 후 수신된 번역 메시지를 편집하는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자동 번역 기능이 활성화(ON)되어 있는 경우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전송 메뉴 입력 시 상기 전송 요청된 메시지의 번역을 상기 번역 서버(400)에 요청하고,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이유는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용량이 제한되며, 장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추가 요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번역된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추가 요금 및 용량을 고려치 않아도 되는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번역된 메시지 전송 시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기 정의된 구분자(예컨대 '&' 또는 '/' 등)를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 사이에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상기 구분자를 추가하지 않고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번역 서버(400)와 메시지 서버(300)가 연동된 경우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상기 번역 서버(400)에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지 않고, 상기 메시지 서버(300)에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는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메시지의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100)이다. 즉,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메시지 서버(300)를 통해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송신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작성된 메시지(원문) 및 번역된 메시지(번역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 시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원문)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번역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언어가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된 언어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을 상기 번역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사용자 언어를 상기 번역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재번역 요청 발생 시 상기 번역 서버(400)에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원문), 재번역 요청 메시지 및 재번역할 번역 언어를 상기 번역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송신측 단말기(10)와 수신측 단말기(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송신측 단말기(10)가 송신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에 전달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상기 수신측 단말기(20)가 송신한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단문 메시지(SMS)를 처리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 SMSC)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IM)를 처리하는 인스턴트 메시지(IM) 서버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신측 단말기(10)로부터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상기 번역 서버(400)에 요청하고,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번역 서버(400)는 번역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번역 서버(400)는 송신측 단말기(10) 또는 수신측 단말기(20)가 전송한 메시지를 번역한 후 번역된 메시지를 송신측 단말기(10) 또는 수신측 단말기(20)에 재전송해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번역 서버(400)는 번역 언어를 함께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번역 서버(400)와 메시지 서버(300)가 연동된 경우 상기 번역 서버(400)는 메시지 서버(300)로부터 번역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메시지 서버(300)와 번역 서버(400)가 별도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메시지 서버(300)와 번역 서버(400)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상기 번역 서버(400)가 하나의 번역 메시지를 송신측 단말기(1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번역 서버(400)는 다수의 번역 메시지를 송신측 단말기(10)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적절한 번역 메시지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번역 서버(400)는 다수의 번역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표시부(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황에 따라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측 단말기(10) 및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20)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황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송신측 단말기(10)와 수신측 단말기(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부(150)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송신측 단말기(1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이 요청 시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번역 언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번역 언어는 기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번역 요청 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편집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번역 서버(400)와 메시지 서버(300)가 연동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 번역 요청 메시지 및 번역 언어를 상기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측 단말기(2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상기 메시지 서버(3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메시지는 작성된 메시지(원문) 및 번역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 또는 재번역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번역 서버(400)에 번역 요청 또는 재번역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또는 재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 메시지를 상기 번역 서버(4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메시지 처리를 위한 다양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40)는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신호,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할 번역 언어를 선택하는 신호, 번역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 번역 메시지의 편집을 요청하는 신호,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신호, 번역 기능의 온/오프(ON/OFF)를 설정하는 신호,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 요청 신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과 같은 입력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컨대 페이지 방식의 홈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0)는 메시지 작성 화면, 번역 메시지 편집 화면, 메시지 수신 화면 등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화면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입력부(140)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120)는 사용자 언어 및 번역 언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언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상기 사용자 언어는 단말기 제조사가 휴대 단말기(100)를 판매하는 국가에 따라 설정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언어는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된 사용자 식별 카드(User Identity Card)의 이동 국가 코드(Mobile Country Code : MCC)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카드는 가입자 인증을 위한 카드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nformation Module)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번역 언어는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의 언어를 의미한다. 상기 번역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번역 언어는 번역 요청 시 출력되는 번역 언어 리스트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인과 미국인이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 한국인의 입장에서 상기 사용자 언어는 한국어가 되고, 번역 언어는 영어가 될 수 있다. 반대로 미국인의 입장에서 상기 사용자 언어는 영어가 되고, 상기 번역 언어는 한국어가 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언어별 유니코드(UNICODE)를 통해 메시지의 언어를 판별할 수 있는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언어 분석 프로그램은 메시지 수신 시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어 분석 프로그램은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작성된 메시지(원문)와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송신하는 메시지 송신 기능,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송신측 단말기(1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 전송 시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종래와 같이 번역없이 수신측 단말기(20)에 송신하며,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한 후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번역 서버(400)에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거나, 상기 메시지 서버(300)에 번역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가 메시지 서버(300)가 번역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번역 서버(400)에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한 후 번역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송신 시 제어부(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수신측 단말기(2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바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수신된 메시지가 작성된 메시지(원문)와 번역된 메시지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원문)와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2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MPeg audio layer-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단말기(10)의 사용자는 301 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하여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IM)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03 단계에서 번역 기능의 활성화(ON)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옵션 메뉴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자동 번역 기능의 활성화(ON)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메시지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317 단계에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는 경우 즉, 상기 메뉴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305 단계로 진행하여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할 번역 언어(예컨대 영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등)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역 언어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번역을 요청하는 옵션 메뉴 입력 시 상기 제어부(110)는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할 번역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07 단계에서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309 단계에서 번역된 메시지를 표시부(130) 일측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311 단계에서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이 요청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313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메시지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서버(300)가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314 단계에서 편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입력부(140)를 통해 번역된 메시지를 편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315 단계에서 메시지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편집된 번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송신측 단말기(10)가 번역 서버(400)에 번역을 요청하여 번역 메시지를 수신한 후 번역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측 단말기(10)의 제어부(110)는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을 상기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시지 서버(300)는 작성된 메시지 및 번역 언어를 번역 서버(400)에 전송하여,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번역된 메시지만을 수신측 단말기(20)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번역된 메시지 전송 시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기 정의된 구분자(예컨대 '&' 또는 '/' 등)를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구분자를 추가하지 않고 작성된 메시지와 번역된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수신측 단말기(20)는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측 단말기(20)는 401 단계에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IM)가 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3 단계에서 번역 기능이 활성화(ON)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17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이하 원문)와 번역된 메시지(이하 번역문) 중 어느 하나만을 전송한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의 제어부(110)는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상기 원문과 상기 번역문을 함께 전송한 경우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의 제어부(110)는 원문과 번역문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 표시 후 상기 제어부(110)는 419 단계에서 표시된 메시지의 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번역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409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번역 요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420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답장 기능을 수행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거나, 대기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403 단계에서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110)는 405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측 단말기(20)는 언어별 유니코드(UNICODE)를 통해 메시지의 언어 종류를 판별하는 언어 분석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 종류를 분석한 후 상기 제어부(110)는 407 단계에서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와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치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번역문만 전송한 경우 또는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전송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술한 417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상기 송신측 단말기(10)가 원문만 전송한 경우 또는 송신측 단말기(10)가 전송한 번역문의 언어가 상기 수신측 단말기(20)의 사용자 언어와 다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409 단계에서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사용자 언어를 번역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411 단계에서 번역 서버(4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413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415 단계에서 재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재번역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술한 409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재번역 요청 시 제어부(110)는 번역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409 단계는 수신된 메시지 및 선택된 번역 언어를 전송하는 과정이 되고, 상기 411 단계는 재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가 되며, 상기 413 단계는 수신된 메시지 및 재번역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메시지 작성 후 옵션 메뉴를 통해 번역이 요청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기능을 실행하여 메시지(40)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40)를 작성한 후 기 설정된 메뉴키를 입력하면, 식별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메시지 작성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옵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창(50)이 표시부(130)의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520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 창(50)은 연락처 추가 메뉴(51), 파일 첨부 메뉴(52), 번역 메뉴(53), 글자 종류 변경 메뉴(54), 전체 목록 보기 메뉴(55), 삭제 메뉴(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창(50)은 일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메뉴 창(50)에서 번역 메뉴(53)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40)의 번역을 번역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번역 서버(400)로부터 번역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상기 작성된 메시지(40)와 번역된 메시지(60)를 구분하여 표시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전송 메뉴(75)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번역된 메시지(60)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번역 언어 선택 메뉴(70)를 통해 번역 언어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40)를 변경된 언어로 번역하도록 번역 서버(4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번역 언어 선택 메뉴(70)를 터치하여 번역 언어를 프랑스어로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40)를 프랑스어로 번역하도록 상기 번역 서버(400)에 요청하고, 프랑스어로 번역된 번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60)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4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상기 번역된 메시지(60)를 편집하는 편집 화면을 출력하도록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540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번역된 메시지(60)가 표시되는 영역이 표시부(130) 상단으로 이동되었으며, 표시부(130) 하단에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패드가 출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편집 화면에서 전송 메뉴(75)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편집된 번역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자동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표시부(130)는 식별 부호 6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대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대화 화면에서 사용자는 메시지 작성 영역(91)에 메시지를 입력한 후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메뉴(90)를 터치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전송 요청된 인스턴트 메시지 및 기 설정된 번역 언어를 번역 서버(400)에 전송하고,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전송 요청된 인스턴트 메시지 및 상기 번역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가상 키패드를 제거하고, 인스턴트 메시지 표시 영역(95)에 전송 요청된 인스턴트 메시지와 번역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부호 6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사용자 언어(예컨대 한국어)로 작성된 인스턴트 메시지(81)를 하단에 표시하고, 번역 언어(예컨대 영어)의 인스턴트 메시지(82)를 상단에 표시하는 제1말풍선(80)을 인스턴트 메시지 표시 영역(95)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 서버(300)로부터 수신측 단말기(20)가 송신한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30)는 식별 부호 6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말풍선(85)을 상기 제1말풍선(80) 하단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630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제2말풍선(85)은 제1말풍선(80)과 달리 사용자 언어(예컨대 한국어)의 인스턴트 메시지(84)가 상단에 표시되고, 번역 언어의 인스턴트 메시지(83)가 하단에 표시된다. 이는 수신측 단말기(20)를 기준으로 한 경우 영어가 사용자 언어가 되고, 한국어가 번역 언어이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송신측 단말기 20 : 수신측 단말기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표시부
140 : 입력부 150 : 무선 통신부
300 : 메시지 서버 400 : 번역 서버
1000 : 메시지 처리 시스템

Claims (27)

  1.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 및 번역 언어를 번역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서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 요청 시 편집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편집 화면에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편집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을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및 인스턴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자동 번역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메뉴에 대응하는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 사이에 기 정의된 구분자를 추가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시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 종류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사용자 언어를 번역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
    상기 번역 서버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 표시 후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표시한 후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번역 요청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재번역할 번역 언어를 선택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방법.
  15.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번역 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
    상기 번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번역 서버;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전송한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전송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편집을 요청하는 편집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번역 메뉴에 대응하는 신호 입력 시 상기 번역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자동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전송 요청 시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상기 번역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하도록 설정하는 메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 사이에 기 정의된 구분자를 추가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메시지 수신 시 번역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하여, 상기 번역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번역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언어 종류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기 설정된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분석된 언어 종류가 상기 사용자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사용자 언어를 상기 번역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한 후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번역 요청 발생 시 상기 번역 서버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번역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번역하여 표시한 후 상기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재번역 요청 발생 시 상기 번역 서버에 번역된 메시지의 재번역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재번역 요청 시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재번역할 번역 언어를 선택하는 팝업창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단말기는
    상기 송신측 단말기가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같이 송신한 경우 상기 작성된 메시지와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27.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성된 메시지, 번역 언어 및 번역 요청을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기;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상기 작성된 메시지, 상기 번역 언어 및 상기 번역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번역을 번역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번역 서버로부터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상기 메시지 서버의 번역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상기 번역 언어로 번역하고,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서버에 전송하는 번역 서버; 및
    상기 메시지 서버가 전송한 상기 번역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처리 시스템.
KR1020110059716A 2011-02-11 2011-06-20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2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58,784 US20120209589A1 (en) 2011-02-11 2012-01-26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JP2013553347A JP2014510965A (ja) 2011-02-11 2012-02-07 メッセージ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AU2012215291A AU2012215291A1 (en) 2011-02-11 2012-02-07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CA2826160A CA2826160A1 (en) 2011-02-11 2012-02-07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RU2013137426A RU2608245C2 (ru) 2011-02-11 2012-02-07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сообщений
PCT/KR2012/000871 WO2012108656A2 (en) 2011-02-11 2012-02-07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BR112013020548A BR112013020548A2 (pt) 2011-02-11 2012-02-07 método para tratar mensagem e sistema
EP20120154518 EP2487889A1 (en) 2011-02-11 2012-02-08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CN2012100312381A CN102638414A (zh) 2011-02-11 2012-02-13 消息处理方法和系统
ZA2013/06035A ZA201306035B (en) 2011-02-11 2013-08-12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1821P 2011-02-11 2011-02-11
US61/441,821 2011-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88A true KR20120092488A (ko) 2012-08-21

Family

ID=4688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716A KR20120092488A (ko) 2011-02-11 2011-06-20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4510965A (ko)
KR (1) KR20120092488A (ko)
BR (1) BR112013020548A2 (ko)
CA (1) CA2826160A1 (ko)
RU (1) RU2608245C2 (ko)
ZA (1) ZA20130603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729A (ko) * 2019-03-19 2021-11-19 서비스나우, 인크. 동적 번역
WO2022186434A1 (ko) * 2021-03-03 2022-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28111B2 (en) 2021-03-03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8973A (ko) * 2017-03-24 2018-10-05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복수의 언어 사용자 대화 시 자동 번역 제공 방법
WO2022219706A1 (ja) * 2021-04-13 2022-10-20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メッセージ配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50790C1 (ru) * 1994-10-27 2000-06-10 Интернэшнл Бизнес Машинз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щен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мобильного пользователя в сети связи
JP3813710B2 (ja) * 1997-08-26 2006-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メール機械翻訳システム
JP4118470B2 (ja) * 1999-08-30 2008-07-1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メール装置,電子メール送信方法及び記録媒体
JP4073635B2 (ja) * 2000-02-29 2008-04-09 富士通株式会社 中継装置、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翻訳サーバシステム
JP2001265700A (ja) * 2000-03-16 2001-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通信端末装置
US20020173946A1 (en) * 2001-03-28 2002-11-21 Christy Samuel T.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of a digital message using a pivot language
US7221933B2 (en) * 2001-10-22 2007-05-22 Kyocera Wireless Corp. Messaging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3186789A (ja) * 2001-12-18 2003-07-04 Logo Vista Corp 電子メール翻訳システム
JP2004072654A (ja) * 2002-08-09 2004-03-04 Cosmo Soft:Kk 翻訳電子メールシステム
GB2395029A (en) * 2002-11-06 2004-05-12 Alan Wilkinson Translation of electronically transmitted messages
US8392173B2 (en) * 2003-02-10 2013-03-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ssage translations
US7849144B2 (en) * 2006-01-13 2010-12-07 Cisco Technology, Inc. Server-initiated language translation of an instant message based on identifying language attributes of sending and receiving users
EP2216973B1 (en) * 2009-02-06 2019-11-13 Orange A method to silently answer a call using different languag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729A (ko) * 2019-03-19 2021-11-19 서비스나우, 인크. 동적 번역
WO2022186434A1 (ko) * 2021-03-03 2022-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928111B2 (en) 2021-03-03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08245C2 (ru) 2017-01-17
BR112013020548A2 (pt) 2016-10-18
CA2826160A1 (en) 2012-08-16
RU2013137426A (ru) 2015-02-20
JP2014510965A (ja) 2014-05-01
ZA201306035B (en)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09589A1 (en) Message handling method and system
AU20132376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KR102045585B1 (ko) 적응식 입력 언어 전환
KR101948645B1 (ko) 그래픽 오브젝트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71285B1 (ko) 채팅창 내에 포함된 메시지에 대하여 다국어 번역을 지원하는 방법
KR101784898B1 (ko) 니어 필드 통신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니어 필드 통신 장치
KR102013338B1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203293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39553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0541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디바이스들 간 서비스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8121086A1 (zh) 连接隐藏ap的方法与终端设备
US956018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phone call content
KR2013007310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창에 포함된 메시지 입력창을 이용하여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US9723471B2 (en) Method, mobi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iggering an event of interest based on communications established with nearby wireless devices
US9654616B2 (en) Displaying a group message
KR20110064528A (ko)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20092488A (ko)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932097B1 (ko) 음성을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EP27602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FC service in electronic device not having NFC module
KR20160122371A (ko) 전자장치를 이용한 자동 통·번역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US8107980B2 (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SMS messages using a mobile terminal to/from a foreign country
KR102206426B1 (ko) 사용자 기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KR101958747B1 (ko) 휴대단말기의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701853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