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287A -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287A
KR20120092287A KR1020110012228A KR20110012228A KR20120092287A KR 20120092287 A KR20120092287 A KR 20120092287A KR 1020110012228 A KR1020110012228 A KR 1020110012228A KR 20110012228 A KR20110012228 A KR 20110012228A KR 20120092287 A KR20120092287 A KR 2012009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brain cancer
extract
tum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연
정경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정경채
황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정경채, 황성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1001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287A/ko
Priority to PCT/KR2012/001083 priority patent/WO2012108749A2/ko
Publication of KR2012009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9Convolvulaceae (Morning-glory family), e.g. bind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축(Pharbitidis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일차성 뇌종양 또는 전이성 뇌종양을 포함하는 인간의 뇌암을 예방 치료하는데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BRAIN CANCER COMPRISING THE EXTRACTS FROM PHARBITIDIS SEMEN AS EFFEC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흑축(Pharbitidis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흑축의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사망원인 중의 하나이다. 약 천만 건의 새로운 케이스가 매년 발생하며, 전체 사망원인의 약 12%를 차지하여 세 번째로 많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여러 가지 종류의 암 중에서 특히 뇌암은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 되며, 소아에 발생 빈도가 다른 암에 비하여 높은 특징이 있다. 뇌암은 크게 일차성 뇌종양과 전이성 뇌종양으로 분류되며, 뇌암의 증세로는 운동 마비, 지각 마비, 언어 장애, 시력 장애, 평형 장애 등과 같은 국소 증상과 두개내압항진 증상을 들 수 있다.
암치료 분야에서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선두적인 치료는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 등이 주종을 이룬다. 화학요법적인 접근은 전이성이거나 특별히 공격적인 암을 치료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암화학요법 약제는 세포독소(cytotoxins)이다. 세포독성제는 빠른 성장을 보이는 세포들에 해를 입히거나, 살해함으로써 작용하게 된다.
이상적인 세포독성제는 암 및 종양 세포들에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세포독성제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으며, 대신 특별히 빠르게 분화하는 세포들 (종양 세포 및 정상 세포 모두)을 타겟으로 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정상 세포들에게는 단지 가벼운 효과를 미치면서, 암세포에게는 세포독성이 있는 물질들이 매우 바람직하다. 사실,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종양세포들(tumor cells)의 증식을 특히 억제할 수 있는 대안적인 항암물질을 개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한편, 흑축(Pharbitidis semen)은 예로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사하축수, 거적살충, 수종창만, 이변불통, 습열적체, 대변비결, 충적복통, 소종, 복부팽만, 변비 등에 사용하였다.
메꽃과의 나팔꽃(Pharbitis nil Choisy)의 씨를 말하며, 줄기가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3m안팎까지 뻗어나가고 줄기에는 밑을 향한 털이 있다. 7~8월에 꽃이 홍자색, 흰색, 붉은색 등 여러 가지 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1~3개의 꽃이 달린다. 꽃부리는 지름이 10~23mm이며 깔때기 모양이고, 꽃봉오리는 붓끝같은 모양으로 오른쪽으로 말리는 주름이 있다. 또한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달린다. 열매는 속의 3실에 각각 2개의 씨가 들어 있고 9~10월에 까맣게 익는다.
흑축의 약리 작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흑축에 함유되어 있는 파르비틴이라는 성분은 장내에서 담즙 장액에 의해 분해되어 이풀로릭 엑시드를 생산한다. 이것이 장관에 강렬한 자극을 주어 장의 연동운동을 증가시켜 장점막에 충혈을 일으키고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하 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전 때문에 대변을 보지 못할 때 효과가 있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체내의 진액이 메말라 변을 보지 못하거나 평소 풍병을 앓는 환자가 변을 보지 못할 때 특히 효과가 있다. 또한 급체는 물론 숙체에도 좋다. 흑축의 또 다른 약리 작용으로는 소변을 보지 못할 때 효과가 있으며, 특히 고창 병에 널리 사용되고, 복수가 차고 몸에 부기가 있을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래, 기침, 천식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거담 작용, 회충, 촌충 등의 구제약으로 쓰이며 기생충에 의한 복통이나 혹은 그에 수반되어 여러 증세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작용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흑축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 특히 뇌암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흑축(Pharbitidis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brain cancer)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은 95%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45℃의 감압 조건에서 건조 및 농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암은 일차성 뇌종양(primary brain tumors) 또는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일차성 뇌종양 또는 전이성 뇌종양을 포함하는 인간의 뇌암을 예방 치료하는데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흑축 추출물의 농도별 U-87 MG 세포주에 대한 E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강황 추출물의 농도별 U-87 MG 세포주에 대한 EC50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흑축(Pharbitidis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brain cancer)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흑축 추출물은 각종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에탄올의 농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95%,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40~60℃,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에서 건조 및 농축시켜 제조되며, 특히 감압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뇌암은 일차성 뇌종양(primary brain tumors) 또는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s)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뇌암(brain cancer)"은 뇌 및 중추신경계에서 발생되는 종양으로 본 명세세에서는 "뇌종양(brain tumors)"으로도 혼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치료될 수 있는 뇌 및 중추신경계에서 발견되는 암은 다양한 타입이 있다. 뇌암은 일반적으로 일차성 뇌종양과 전이성 뇌종양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뇌암은 세포타입, 형태학(morphology), 세포유전학(cytogenetics), 분자유전학(molecular genetics), 면역표지자(immunologic markers),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종종 분류된다. 예를 들어, 뇌암은 신경상피종양(neuroepithelial tumors)(예를 들어, 아교세포종양(glial tumors), 신경세포(neuronal) 및 혼합된 신경세포-아교세포 종양(mixed neuronal-glial tumors), 및 비아교세포종양(nonglial tumors)), 수막종(meningeal tumors), 종자세포종양(germ cell tumors), 안장영역 종양(sellar region tumors), 원발성 중추신경계 임파종(primary CNS lymphoma),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말초신경(peripheral nerves) 종양, 불확실한 조직발생(histogenesis) 종양 및 전이성 종양(metastatic tumors)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에 의한 뇌암의 분류는 종양의 조직학적 특징에 근거한 악성의 스케일에 따라 중추신경계 종양을 분류한다(Kleihues et al., Brain Pathol 3:255-268 (1993) 참조).
대부분의 보편적인 일차성 뇌종양(primary brain tumors)은 역형성 성상세포종(anaplastic astrocytomas) 및 교아세포종(glioblastomas)으로, 대략적으로 38%의 일차성 뇌종양을 차지하고, 수막종(meningiomas) 및 다른 중배엽성 종양(mesenchymal tumors)은 대략 27%의 일차성 뇌종양을 차지한다(Levin et al., Neoplasm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DeVita, et al., eds.,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Six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001), pp. 2100-2160 참조). 다른 보편적인 일차성 뇌종양은 뇌하수체 종양(pituitary tumors), 신경초종(schwannomas), 중추신경계 임파종(CNS lymphoma), 희소돌기아교세포종(oligodendrogliomas), 상의세포종(ependymomas), 저등급 성상세포종(low-grade astrocytomas) 및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s)을 포함한다. 부가적인 특별한 일차성 뇌종양은 성상세포종 종양(astrocytic tumors),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Pilocytic astrocytoma), 미만성 별아세포종(diffuse astrocytomas), 다형성 황색성상세포종(pleomorphic xanthoastrocytomas), 상의하 거대세포 성상세포종(subependymal giant cell astrocytomas), 희소돌기아교세포 종양(oligodendroglial tumors), 희소돌기아교세포종(oligodendrogliomas), 역형성 희소돌기아교세포종(anaplastic oligodendrogliomas), 희소돌기성상세포종(oligoastrocytomas), 역형성 희소돌기성상세포종(anaplastic oligoastrocytomas), 점액성 유두상 상의세포종(myxopapillary ependymomas), 상의하세포종(subependymomas), 뇌실상의세포종(ependymomas), 역형성 뇌실상의세포종(anaplastic ependymomas), 아스트로블라스토마(astroblastomas), 제3뇌실의 척삭모양 신경아교종(chordoid gliomas of the third ventricle), 대뇌 신경교종증(gliomatosis cerebris), 글랜글리오사이토마스(glangliocytomas), 결합조직생성 유아별세포종(desmoplastic infantile astrocytomas), 결합조직생성 유아신경절교종(desmoplastic infantile gangliogliomas), 태생기발육부전 신경상피종(dysembryoplastic neuroepithelial tumors), 중심성 신경세포종(central neurocytomas), 소뇌지방신경세포종(cerebellar liponeurocytomas), 부신경절종(paragangliomas), 상의모세포종(ependymoblastomas),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s), 천막위 원시신경외배엽성 종양(supratentorial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s), 맥락막총 유두종(choroids plexus papilloma), 송과체세포종(pineocytomas), 피네오블라스토마(pineoblastomas), 중등도 분화형의 솔방울샘 실질 종양(pineal parenchymal tumors of intermediate differentiation), 혈관주위세포종(hemangiopericytomas), 멜라닌 세포성 병변(melanocytic lesions), 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ors), 안장영역의 종양(tumors of the sellar region), 두개인두종(craniopharyngioma), 혈관모세포종(capillary hemangioblastoma), 및 일차성 중추신경계 임파종(primary CNS lymphoma)을 포함한다.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s)은 적어도 10 대 1정도로 원발성 뇌종양보다 수적으로 우세하며, 전형적으로 뇌로 전이하는 일차성 폐, 유방, 흑색종 또는 결장 암들의 결과로서 발생한다(Patchell RA, Cancer Treat. Rev. 29:533-540 (2003)). 뇌로 전이하는 암들은 70%가 넘는 케이스에서 다발성 뇌전이(multiple brain metastases)의 결과로 나타난다(Patchell RA, Cancer Treat. Rev. 29:533-540 (2003)). 그리고 그것들은 전형적으로 수술로 치료되지 않는다. 그러나, 화학요법은 항암제 감수성 암으로부터의 뇌전이 환자들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tchell RA, Cancer Treat. Rev. 29:533-540 (2003)).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피부를 통한 국소 투여(경피 투여) 또는 피하 주입이 바람직하며, 피하주입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흑축 추출물의 제조
서울 약재상에서 구입한 흑축(국산) 3 ㎏을 음지 및 실온에서 5일간 건조하고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흑축을 95% 에탄올(ethanol) 30 ℓ에 침지시키고 5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지를 통하여 여과한 후 45℃ 감압 조건에서 건조 및 농축하여 총 추출물 530 g을 수득하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2> 흑축 추출물이 뇌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흑축 추출물이 뇌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 뇌암 세포인 U-87 MG에 대하여 Alamar Blue 분석을 시행하였다. Alamar Blue 분석은 MTT 분석의 변형된 형태인데, 특정 효소에 의해서 분해되는 화합물을 살아있는 세포에 처리한 후 화합물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생성물의 형광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약물을 처리한 후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인 숫자를 알아내는 실험방법이다.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2-1> 인간 뇌암 세포주의 준비 및 처리
본 발명에 사용된 뇌암 세포주인 U-87 MG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n Cell Line Bank, KCLB)으로부터 분양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상기 U-87 MG 뇌암 세포를 10% FBS(fetal bovine serum, 소태아혈청)(Welgene)와 25 mM HEPES (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를 포함하는 MEM(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37℃, 5% CO2의 상태로 유지하고, 2-3일 정도 계대배양하였다.
<2-2> U-87 MG 세포의 세포 성장 억제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추출한 흑축 추출물이 뇌암 세포인 U-87 MG에 대한 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96 웰 플레이트에 각 웰 당 8.0 X 103 개의 U-87 MG 세포를 주입(seeding)하고,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인 상기 흑축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 내지 100 ㎍/㎖ 농도(구체적으로, 각각 0, 3.125, 6.25, 12.5, 25, 50 및 100 ㎍/㎖ 농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세포 성장을 저해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표 1). 각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96-웰 플레이트에서 각 웰에 채워진 0.2 ㎖의 세포 배양액에 20 ㎕의 Alamar Blue 시약을 첨가한 후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의 세포를 고르게 반응시키기 위하여 플레이트를 천천히 흔들고, 544 ㎚의 파장에서 조사광을 조사하면서 590 ㎚에서 형광의 세기를 형광광도계(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Corp.)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뇌암 세포의 생존율을 도 1에 나타내었다.
흑축 농도 뇌암 세포 생존율 (평균) 표준편차
0 ㎍/㎖ 1.000 0.000
3.125 ㎍/㎖ 0.335 0.031
6.25 ㎍/㎖ 0.076 0.006
12.5 ㎍/㎖ 0.019 0.002
25 ㎍/㎖ 0.007 0.000
50 ㎍/㎖ 0.007 0.000
100 ㎍/㎖ 0.020 0.001
그 결과, 표 1 및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흑축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뇌암 세포의 성장이 감소하였으며, 이로부터 흑축 추출물이 뇌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EC50(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은 2.4228 ㎍/㎖로 측정되었다. 상기 표 1에서 흑축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뇌암 세포의 생존율 수를 1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흑축 추출물 처리 농도에 따른 48시간 후의 뇌암 세포의 상대적 세포수를 기재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흑축 추출물은 우수한 U-87 MG 세포 사멸 활성을 가지며, 나아가 뇌암 치료 및 예방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시예 3> 흑축 추출물에 의한 급성독성 시험
본 발명에 이용된 흑축은 널리 약재로 이용되고 있어서 안정성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나, 경구 투여시 및 복강내 투여시의 독성 실험을 수행하여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군당 2 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흑축 추출물을 각각 0.5% 메틸셀룰로즈 용액에 현탁하여 5 g/㎏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부검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흑축 추출물은 모두 랫트에서 5 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경구 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5 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비교예 1>
강황은 폐암, 자궁암, 유방암 등의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하여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강황이 뇌암 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대계근 추출물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 약재상에서 구입한 강황(국산) 3 ㎏을 음지 및 실온에서 5일간 건조하고 분쇄하였다. 상기 분쇄된 강황을 95% 에탄올(ethanol) 30 ℓ에 침지시키고 5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것을 여과지를 통하여 여과한 후 45℃ 감압 조건에서 건조 및 농축하여 총 추출물 474 g을 수득하고, -20℃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강황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U-87 MG 세포의 성장 억제 정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기재하였다.
강황 농도 뇌암 세포 생존율 (평균) 표준편차
0 ㎍/㎖ 1.000 0.000
3.125 ㎍/㎖ 1.020 0.076
6.25 ㎍/㎖ 1.042 0.097
12.5 ㎍/㎖ 1.060 0.092
25 ㎍/㎖ 1.021 0.081
50 ㎍/㎖ 0.987 0.090
100 ㎍/㎖ 0.913 0.029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황은 그 처리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거의 뇌암 세포의 성장을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항암 물질로 널리 알려진 강황은 거의 뇌암 치료 효능이 없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흑축 추출물은 우수한 U-87 MG 세포 사멸 활성을 가지며, 나아가 뇌암 치료 및 예방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흑축(Pharbitidis semen)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brain cancer)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95%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45℃의 감압 조건에서 건조 및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뇌암은 일차성 뇌종양(primary brain tumors) 또는 전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종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012228A 2011-02-11 2011-02-11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92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228A KR20120092287A (ko) 2011-02-11 2011-02-11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CT/KR2012/001083 WO2012108749A2 (ko) 2011-02-11 2012-02-13 흑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228A KR20120092287A (ko) 2011-02-11 2011-02-11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287A true KR20120092287A (ko) 2012-08-21

Family

ID=4663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228A KR20120092287A (ko) 2011-02-11 2011-02-11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92287A (ko)
WO (1) WO201210874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693A1 (ko) * 2012-10-31 2014-05-08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4077437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흑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WO2014077438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흑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90132859A (ko) * 2018-05-21 2019-11-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0615A (ko) * 2020-06-26 2022-01-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Sr 140333 및 hbc를 포함하는 뇌암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0650B (zh) * 2015-11-26 2019-02-19 北京大学 功能靶向性载体材料二硬脂酰基磷脂酰乙醇胺-聚乙二醇-苯基葡萄糖苷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0464B2 (en) * 2003-01-16 2004-09-14 Healthaid Enterprise Pte. Ltd. Herbal compositions for prostate condi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693A1 (ko) * 2012-10-31 2014-05-08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WO2014077437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흑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WO2014077438A1 (ko) * 2012-11-16 2014-05-22 주식회사 한국전통의학연구소 흑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190132859A (ko) * 2018-05-21 2019-11-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00615A (ko) * 2020-06-26 2022-01-0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Sr 140333 및 hbc를 포함하는 뇌암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08749A2 (ko) 2012-08-16
WO2012108749A3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rade et al. A phytopharmacological review on Lawsonia inermis (Linn.)
KR20120092287A (ko) 흑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Martarelli et al. Hypericum perforatum methanolic extract inhibits growth of human prostatic carcinoma cell line orthotopically implanted in nude mice
Allen-Hall et al. Treatment of THP-1 cells with Uncaria tomentosa extracts differentially regulates the expression if IL-1β and TNF-α
US10675308B2 (en) Chinese medicine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Jain et al. Pharmacognostic and pharmacological aspect of Bacopa monnieri: a review
KR101872950B1 (ko)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종양 줄기세포 성장 억제 또는 사멸용 조성물
US20110117121A1 (en) Compositions for treatment and inhibition of pain
WO2012041256A1 (en) Anti-cancer extract and compounds
Anilkumar et al.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papaya blackseeds”(MPB) in Hep G2 cell lines and its effect in the regulation of bcl-2, caspase-3 and p53 gene expression
TWI395590B (zh) 相思樹抽出物及其成分作為抑制黃嘌呤氧化酶之應用
KR20100049454A (ko) 암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암 개선 및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20190106315A (ko) 비소세포폐암의 표피성장인자 수용체 표적 항암제에 대한 민감성 증진용 조성물
Gowdhami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of aromatic plant: Jasminum sambac Linn.
van Staden et al. Potential medicinal plants for progressive macular hypomelanosis
KR20150000219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신생으로 인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50147701A1 (en) Anti-prostate cancer composition and therapeutic uses therefor
KR101814760B1 (ko) 패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08747A2 (ko) 토목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2315A (ko) 미백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비룡추출물
WO2011108778A1 (ko) 치매치료 및 억제용 복합생약제제 조성물
Ismeel Cytogenetic and cytotoxic studies on the effect of phytoinvestigated active compounds of Hyoscyamus niger (in vivo and ex vivo)
WO2012108743A2 (ko)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US20220265753A1 (en)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ymptoms of andropause, containing extract of ficus auriculata lour. as active ingredient
KR102656760B1 (ko) 쇼가올을 함유하는 암 온열치료 효과 증진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