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982A - 페길화된 주름개선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길화된 주름개선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982A
KR20120091982A KR1020110074417A KR20110074417A KR20120091982A KR 20120091982 A KR20120091982 A KR 20120091982A KR 1020110074417 A KR1020110074417 A KR 1020110074417A KR 20110074417 A KR20110074417 A KR 20110074417A KR 20120091982 A KR20120091982 A KR 20120091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mono
kttks
pegylated
penta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056B1 (ko
Inventor
나동희
김명선
박은지
김형석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해림파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해림파메틱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9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주름개선 기능을 가진 펜타펩타이드(KTTKS)의 비활성부위에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PEG)을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진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피부기능성 콜라겐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제조함에 있어 수율과 순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생성된 콜라겐 펩타이드 유도체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독성이 낮으며 생리활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페길화된 주름개선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EGylated anti-wrinkle skin-restoring pentapeptide derivative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페길화된(PEGylated, 폴리에틸렌글리콜이 결합된 )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와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주름개선 기능을 가진 펜타펩타이드 (KTTKS)에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ethylene glycol, 이하 PEG라 함)을 결합시킴으로써 생성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독성이 낮으며 생리활성이 우수한 페길화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와 피부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을 덮고 있는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표피는 가장 얇은 층으로 각질형성 세포와 멜라닌 세포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진피는 피부의 약 95%를 차지하며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층으로 피부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그물처럼 짜여져 있고,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나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과 같은 보습인자들을 함유하고 있다. 피하지방은 표피 및 진피로 영양공급, 체형결정, 체온유지, 외부적인 충격 흡수 및 피하지방 세포 보호 등의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들면 내인성 또는 외인성 원인으로 인해 피부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는데, 노화가 진행되면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의 두께가 얇아지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이 가늘어지며 구조가 느슨해져 피부탄력이 떨어지고 주름 등이 생긴다. 또한, 피부장벽의 기능을 맡고 있는 지질장벽의 지질조성과 함량이 변화되면서 피부의 수분함량이 떨어지고 피부가 건조해지는 등의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되고, 기미, 주근깨, 색소침착 및 그 밖의 다양한 피부병변이 유발된다. 최근 이러한 피부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기능성화장품의 소재로서 펩타이드가 최근 주목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1)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생체물질이므로 독성이 적어 안전하며, (2) 강력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고, (3) 정확한 활성기전이 밝혀져 있어 활용폭이 넓으며, (4) 빛에 안정하고, (5) 물과 강한 친화력을 가져 강한 보습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능성화장품 펩타이드 소재는 콜라겐유래 펩타이드인 펜타펩타이드(pentapeptide), 보톡스펩타이드인 아세틸 헥사펩타이드(acetyl hexapeptide-3), 구리를 함유한 카퍼 펩타이드(copper peptide) 등이 있다.
콜라겐유래 펜타펩타이드(Lys-Thr-Thr-Lys-Ser)는 피부결합조직과 주름형성 및 보습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 타입 I의 카르복실기 말단 단편으로써, 콜라겐을 생합성하는 세포인 섬유아세포의 세포배양에서 콜라겐 타입 I과 콜라겐 타입 III, 화이브로넥틴(fibronectin) 및 성장인자인 TGF-β합성을 촉진하며, 콜라겐 유전자의 포로모터에 결합하여 이의 전사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atayama et al. (1993) J. Biol. Chem., 268, 9941-9944).
상기 콜라겐은 피부, 혈관, 내장, 뼈 등에 다량 존재하며,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진피의 70%는 콜라겐으로 이루어져있다.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30%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유기체의 성장 또는 상처치유시 세포 분할과 분화를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콜라겐은 섬유아세포에서 생합성되는데, 자연노화 및 광노화에 의해 양이 감소하며, 20세에서 80세에 이르는 동안 65%의 감소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Shuster S., (1975)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93, 639-643). 생체내 콜라겐의 합성이 활발해지면 진피 기질 성분이 증가되어 상처치유, 탄력증가,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펩타이드는 주어진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불안정성을 보인다. 흡착과 응집(aggregation), 침전 등의 물리적 불안정성을 잘 나타내고,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펩타이드의 경우 탈아미노화 반응(deamidation), 산화(oxidation), 가수분해(hydrolysis), 라세미화(recemization), 이성질화(isomerization) 등의 다양한 화학적 열화 경로(degradation pathway)에 의해 변성 또는 분해되어 활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제형중 또는 생체조직중에서 펩타이드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요구되어진다.
상기 펩타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생체고분자나 지방산 등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바이오접합 (bioconjugation) 기술이 유용한데, 가장 주목받는 기술은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고분자를 화학적으로 접합하는 페길화 기술 (PEGylation technology)이다. 페길화 기술은 단백분해효소의 접근성을 차단하여 펩타이드가 분해되는 것을 막아주고,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의 용해성에 의해 펩타이드의 용해성을 증가시키며, 단백질에 적용될 경우 크기를 증가시켜 신장에서 소실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혈중 반감기를 크게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Harris J.M. and Chess R.B. (2003) Nat. Rev. Drug Discov., 2, 214-221).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페길화된 펩타이드는 균일하지 않은 다분산성(polydisperse)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 생산성 내지 수율이 저조하고 그 순도 또한 낮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을 대신하여 단분산성(monodisperse)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을 펜타펩타이드(KTTKS)의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을 펜타펩타이드(KTTKS)의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제조 수율을 크게 향상시킨 페길화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은 제조 수율로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이 콜라겐펩타이드(KTTKS)의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단분산성 모노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를 고순도로 제조할 수 있는 페길화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CH3O-(CH2CH2O)m-(CH2)n-CH2-NH-Lys-Thr-Thr-Lys-Ser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48 범위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 범위의 정수이며, NH는 Lys의 N-말단 아민기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에서 m이 2 내지 24 범위의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CH3O-(CH2CH2O)m-(CH2)n-CH2-NH-Lys-Thr-Thr-Lys-Ser로 이루어진 콜라겐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m이 2 내지 24 범위의 정수인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길화된 피부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pH 4.5 내지 6.0 범위에서 5 내지 50 mM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를 함유한 완충액에서 펜타펩타이드와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몰비 1:1 내지 1:5의 범위를 가지고 온도 4 내지 30도 범위에서 반응하여 제조된 단분산성 모노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대신하여 단분산성(monodisperse)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펜타펩타이드(KTTKS)의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킨 단분산성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PEG-KTTKS)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펜타펩타이드(KTTKS)의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에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단분산성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PEG-KTTKS)의 제조 수율과 순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한 PEG-펩타이드 제조의 장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는 Mono-PEG-2000-KTTKS의 분리 정제 HPLC 크로마토그램(상: 분리정제전 반응물의 크로마토그램, 하: 분리정제 후의 mono-PEG-2000-KTTKS의 크로마토그램)
도 4은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의 분리 정제 HPLC 크로마토그램 (상: 반응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램, 하: 분리정제 후의 mono-PEG-220-KTTKS의 크로마토그램).
도 5는 단분산성 mono-PEG-572-KTTKS의 분리 정제 HPLC 크로마토그램 (상: 반응 혼합물의 크로마토그램, 하: 분리정제 후의 mono-PEG-572-KTTKS의 크로마토그램).
도 6은 펜타펩타이드(KTTKS)의 LC-MS 질량분석 스펙트럼.
도 7은 Mono-PEG-220-KTTKS의 LC-MS 질량분석 스펙트럼.
도 8는 Mono-PEG-572-KTTKS의 LC-MS 질량분석 스펙트럼.
도 9은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의 LC-MS 질량분석 스펙트럼.
도 10은 펜타펩타이드(KTTKS)와 mono-PEG-220-KTTKS의 안정성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펩타이드(KTTKS), 단분산성 mono-PEG-220-KTTKS, 단분산성 mono-PEG-572-KTTKS,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의 세포독성 (* p<0.05)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펩타이드(KTTKS), 단분산성 mono-PEG-220-KTTKS, 단분산성 mono-PEG-572-KTTKS,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의 콜라겐 합성 활성 (* p<0.05)을 나타내는 도면
일반적으로 펩타이드의 아민 그룹(-NH2)에 페길화(PEGylation)를 하게 되면 N-말단 아민(N-terminal amine)과 라이신(Lys) 잔기의 아민(amine)에 다발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된다. 이러한 페길화(PEGylation)를 불특정위치 페길화(non-specific PEGylation)라 하며, 이 경우에는 다양한 부위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되어 펩타이드의 활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다양한 크기의 생산물이 만들어지므로 생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활성부위에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결합시키는 특정위치 페길화(site-specific PEGylation)가 이용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polydisperse PEG)을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크기의 생산물이 만들어지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게 된다.
본 발명은 페길화된 콜라겐 펩타이드를 높은 제조수율로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 (monodisperse PEG)을 콜라겐 펩타이드의 비활성부위인 N-단말 아민(N-terminal amine)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N-단말 아민(N-terminal amine)을 페길화(PEGylation) 부위로 선정한 이유는 현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되어 있는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palmitoyl-KTTKS) 연구에서 N-단말 아민(N-terminal amine)에 지방산이 결합되어도 활성에 큰 영향이 없다는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이란 단일 분자량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서 다양한 분자량의 분포를 가진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와 구별된다.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를 특정위치 페길화(site-specific mono-PEGylation) 방법으로 펩타이드에 접합하게 되면 균일한 크기의 mono-폴리에틸렌글리콜접합체(mono-PEG conjugate)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한 페길화(PEGylation) 방법을 크게 개선한 페길화된 펩타이드 제조법이 된다. 즉, 펩타이드의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성 증가 등의 페길화(PEGylation) 효과를 극대화하고, 높은 제조 수율로 얻을 수 있는 폴리에틸렌글리콜접합체(PEG conjugate)를 제조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사실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펜타펩타이드의 페길화 >
펜타펩타이드(KTTKS)의 N-말단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결합시키기 위해 알데하이드(aldehyde)기를 함유한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알데하이드(monomethoxy PEG-aldehyde, 이하 mPEG-ALD)를 사용하였다. 사용한 mPEG-ALD는 세 가지로 분자량이 2000인 다분산성 mPEG-ALD(이하, mPEG-ALD-2000), 분자량이 220인 단분산성 mPEG-ALD(이하,mPEG-ALD-220), 분자량이 572인 단분산성 mPEG-ALD(이하, mPEG-ALD-572 )를 사용하였다.
PEG 분자량 (Da) 제조사
단분산성 PEG (mPEG-ALD-220) 220 Celares GmbH (Germany)
단분산성 PEG (mPEG-ALD-572) 572 Celares GmbH (Germany)
다분산성 PEG (mPEG-ALD-2000) 2,000 NEKTAR (USA)
<실험에 사용한 mPEG-ALD>
콜라겐펩타이드(KTTKS)의 N-말단기 페길화(PEGylation) 반응은 pH 5.5의 약산성의 완충액에서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존재하에서 실행되었다(도 2 참조).
페길화(PEGylation) 반응은 여러 몰비로 반응시켜 가장 최적의 조건인 1:1.5로 반응을 시켜서 각각의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ylated KTTKS)를 얻었다. 반응조건은 펜타펩타이드(KTTKS)를 탈이온수에 10 mg/mL의 농도로 녹인 후, 0.1 M 아세테이트 완충액(acetate buffer, pH 5.5)에 각각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10 mg/mL로 녹여 각각의 몰비에 맞춰 적당량을 20 mM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존재하에 가하여 4에서 24 시간동안 반응을 시켰다. 생성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ylated KTTKS)를 HPLC를 이용하여 각각의 분리 조건에서 수집한 다음, 진공건조기(Speed Vac)을 통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ylated KTTKS)를 얻어 내었다.
<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HPLC 분리 정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분리와 정제는 HPLC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Dionex Ultimate 3000 HPLC system과 Phenomenex Gemini C-18 (4.6 x 250 mm, 5 micron particle size) 컬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으로 0.1% 트리플로로아세틱 애시드(TFA)를 함유한 물 (이동상 A)과 0.1% TFA를 함유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이동상 B)을 이용하여 등용매용출(isocratic elution) 또는 그레이디언트 용출(gradient elution)으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를 분리하였다. 검출은 UV 215 nm에서 실행하였고, 컬럼 온도는 25도를 유지시켰으며, 이동상의 유속은 1 mL/min이었다. 분자량이 220인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220-KTTKS)는 이동상 B 8%의 등용매용출(isocratic elution)으로 분리하였고, 분자량이 572인 mono-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572-KTTKS)는 이동상 B 16%의 등용매용출으로 분리하였으며, 분자량이 2000인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2000-KTTKS)는 10분간 이동상 B 20-50%의 그레이디언트 용출(gradient elution)로 분리하였다.
< LC - MS 를 이용한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확인>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분자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결합 부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C-M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C-MS)는 Agilent 6410 triple quadrupole LC-MS system과 Dionex Acclaim 120 C18 colume (2.1 x 150 mm, 3 micron particle size)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으로 0.1% 포름산(formic acid)를 함유한 물 (이동상 A)과 0.1% 포름산(formic acid)를 함유한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이동상 B)을 사용하였다. 이동상은 20분 동안 이동상 B 20-60%의 그레이디언트 용출(gradient elution)하였고, 컬럼 온도는 25도를 유지하여 주었으며, 유속은 0.2 mL/min이었다. 질량분석기는 양이온모니터링 스캔모드(scan mode with positive ion monitoring)을 이용하였고, 프레그멘터 볼티지(fragmentor voltage)는 50 V로 하였으며, 건조가스흐름(drying gas (N2) flow) 10 L/min, 건조가스온도(drying gas termperature) 350도, 네뷸라이저 압력(nebulizer pressure) 278 kPa, 커필러리 볼티지(capillary voltage) 3.5 kV의 조건을 사용하였다.
<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제조 수율과 순도 측정>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KTTKS)중 목적으로 하는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생성율을 반응 혼합물을 상기의 HPLC 조건으로 분석하여 측정하였고, 최종 수율은 HPLC를 통해 분리 정제한 모노-페길화된 펜타 펩타이드(mono-PEG-KTTKS)를 다시 HPLC로 분석하여 그 농도와 양을 측정하여 구하였다. 최종 산물의 순도는 HPLC 크로마토그램 상의 주피크와 다른 유연물질 피크를 측정하여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주피크 면적을 모든 피크들의 총 면적으로 나누어서 백분율로 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자량이 2000인 다분산성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알데하이드(monomethoxy PEG-aldehyde, mPEG-ALD-2000 )과 비교하여 분자량이 220인 단분산성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알데하이드(monomethoxy PEG-aldehyde, mPEG-ALD-220)과 분자량이 572인 단분산성 모노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알데하이드(monomethoxy PEG-aldehyde, mPEG-ALD-572)을 사용하였을 경우 목적으로 하는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의 생산성과 제조 수율을 측정하였다.
우선 목적으로 하는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를 높은 수율로 얻기 위해 최적의 펩타이드(KTTKS):PEG의 반응 몰비를 HPLC를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단분산성 mPEG-ALD-220을 가지고 반응 몰비 (KTTKS:PEG) 1:1, 1:1.5, 1:2의 조건에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생성을 관찰했을 때, 반응몰비가 높아질수록 미반응 펩타이드(KTTKS)의 양은 감소하고 페길화된 펩타이드(PEGylated KTTKS)의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1:2의 몰비에서는 대부분의 펩타이드(KTTKS)가 반응에 참가하였으나, 그에 따라 이중페길화된 펩타이드(di-PEGylated KTTKS)의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가 가장 많이 생성되는 조건으로는 1:1.5가 최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몰비 1:1.5에서 mono-PEG-220-KTTKS가 82.8%로 가장 많이 얻어졌다. 단분산성 mPEG-ALD-220은 반응몰비 1:1.5에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가 가장 많이 얻어졌으나, 단분산성 mPEG-ALD-572와 다분산성 mPEG-ALD-2000은 몰비 1:2에서 가장 많은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가 생성되었다(표 2).
몰비 (KTTKS:PEG) 1:1 1:1.5 1:2 1:3 1:4
mono-PEG-220-KTTKS 79.3% 82.8% 75.6% - -
mono-PEG-572-KTTKS 56.8% 70.2% 77.3% - -
mono-PEG-2000-KTTKS 55.1% - 64.9% 61.1% 54.0%
<반응 몰비 (KTTKS:PEG)에 따른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생성율>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를 분리하기 위한 HPLC 조건은 0.1% TFA를 함유한 탈이온수(deionized water) (이동상 A)와 0.1% TFA를 함유한 acetonitrile (이동상 B)을 이동상으로 하여 등용매용출(isocratic) 또는 그레이디언트(gradient elution) 조건으로 확립하였다. 확립한 분리 조건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를 분리하였다. 다분산성 mPEG-ALD-2000을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는 10분 동안 이동상 B 20-50%의 그레이디언트(gradient elution) 조건으로 분리하였다 (도 3 참조).
단분산성 mPEG-ALD-220을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는 이동상 B 8%의 등용매용출(isocratic elution) 조건으로 분리하였고 (도 4 참조), 단분산성 mPEG-ALD-572을 이용하여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는 이동상 B 16%의 등용매용출(isocratic elution)조건으로 분리하였다 (도 5 참조).
분리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mono-PEG-220-KTTKS, mono-PEG-572-KTTKS, mono-PEG-2000-KTTKS)를 LC-MS를 이용하여 확인 시험을 하였다. 먼저 KTTKS는 [M+H]+ = m/z 564.4로 측정되었으며, mono-PEG-220-KTTKS는 [M+H]+ = m/z 768.5, mono-PEG-572-KTTKS는 [M+2H]2+ = m/z 560.9로 실제 크기는 m/z 1121.8로 나타났다(도 6-8 참조). 단분산성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는 예상했던 대로 단일 분자량 피크를 보였다. 하지만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다분산성으로 인해 여러 질량의 피크들이 군집을 이루어 나타났다(도 9 참조).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이러한 특징은 물질의 규격 설정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폴리에틸렌글리콜(PEG)결합 반응 및 순도 등에도 영향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분산성 페길화된 펩타이드(PEG-KTTKS)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단분산성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의 폴리에틸렌글리콜(PEG)결합 위치를 트립신(trypsin) 처리 후 LC-MS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펩타이드(KTTKS)를 트립신(trypsin) 처리하게 되면 Lys1과 Lys4의 위치가 절단되어 Lys, Thr-Thr-Lys, Ser으로 세 개로 분절이 되는 데, 트립신(trypsin) 처리한 펩타이드(KTTKS) 샘플의 LC-MS에서 Lys (m/z 147.8)과 Thr-Thr-Lys (m/z 349.4)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mono-PEG-220-KTTKS 샘플에 트립신(trypsin) 처리후 LC-MS로 분석한 결과 PEG-220-Lys1에 해당하는 m/z 351.0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Lys4의 위치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이 결합하였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m/z 639.3와 Lys1 (m/z 147.8)에 해당하는 질량 피크들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mono-PEG-220-KTTKS에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N-말단(N-terminus)에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no-PEG-572-KTTKS에 트립신(trypsin) 처리한 샘플은 m/z 345.4와 516.9 두 질량 피크가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각각 PEG-572-Lys1과 PEG-572-Lys-Thr-Thr-Lys의 [M+2H]2+에 해당하는 피크이고, 여기에서도 Lys4의 위치에 PEG가 결합한 PEG-572-TTKS와 Lys1 (m/z 147.8)에 해당하는 질량 피크들이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은 N-말단(N-terminus)에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종류의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220-KTTKS, mono-PEG-572-KTTKS, mono-PEG-2000-KTTKS)를 성공적으로 분리하였고, 분리후 동결건조한 mono-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의 순도를 HPLC로 측정하였다(표 3).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제조한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는 각각 순도 100%와 97.2%로 높은 순도를 가짐을 확인하였고,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제조한 mono-PEG-2000-KTTKS는 91.7%의 순도를 보였다.
생산물 순도 (%)
mono-PEG-220-KTTKS 100.0
mono-PEG-572-KTTKS 97.2
mono-PEG-2000-KTTKS 91.7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의 순도>
각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생산물의 제조 수율을 HPLC로 정량하여 측정한 결과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제조한 mono-PEG-2000-KTTKS의 수율은 47.0%에 그친 반면,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제조한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는 각각 79.5%와 76.5%의 높은 수율로 제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표 4).
생산물 최종 수율 (%)
mono-PEG-220-KTTKS (단분산성) 79.5
mono-PEG-572-KTTKS (단분산성) 76.5
mono-PEG-2000-KTTKS (다분산성) 47.0
<분리 정제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의 최종 수율>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펩타이드(mono-PEG-KTTKS)가 높은 제조 수율을 나타내는 이유는 페길화(PEGylation) 반응에서의 생성율이 높은 것 뿐만 아니라 단분산성의 특징으로 인해 HPLC에서 부산물인 di-페길화된 폴리에틸렌글리콜 칸쥬게이트(di-PEG conjugate) 등과의 분리능이 좋아 분리과정에서의 수득률이 높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단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한 페길화(PEGylation) 방법은 기존의 다분산성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이용한 방법보다 높은 수율 (75% 이상)로 고순도 (95% 이상)의 mono-PEG-KTTKS를 제조할 수 있다.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안정성 시험>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의 안정성을 천연(native) 펩타이드(KTTKS)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펜타펩타이드 (KTTKS)와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수용액에서의 안정성 시험은 각 1 mg/mL의 농도의 물질을 4 종류의 완충액에서 제조하여 수행하였다.4가지 pH의 완충액 0.1 M 글리신 완충액(glycine buffer, pH 2.5), 0.1 M 아세테이트 완충액(acetate buffer, pH 4.0), 0.1 M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 pH 7.4), 0.1 M 붕산염 완충액(borate buffer, pH 9.0)에 각 검체를 녹이고 55도에서 7일 동안 주 피크의 변화를 HPLC로 분석하였다.
펩타이드(KTTKS)는 55도에서 7일간 안정성 실험을 한 결과, pH 2.5와 pH 4.0에서는 각각 96%, 99%가 남은 반면, pH 7.4에서는 79%, pH 9.0에서는 70%가 남아있었다. Mono-PEG-220-KTTKS의 경우는 pH 9를 제외하고는 pH 2.5, 4.0, 7.4에서 모두 99% 이상으로 안정성을 보였다. 하지만 pH 9에서는 7일에 88%정도로 약간의 불안정함을 보였으나, 천연(native) 펩타이드(KTTKS)에 비하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도 10 참조).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세포독성 시험>
단분산성 mono-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와 다분산성 mono-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 및 펜타펩타이드 (KTTKS), 그리고 현재 상품화된 기능성 화장품 소재인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palmitoyl pentapeptide, pal-KTTKS)의 세포독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CCD-986sk, human fibroblast cell)를 1×04 cell/well 분주하여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이하 FBS)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Gibco BRL)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두 번 세척(washing)을 하고 무혈청(serum free) 배지로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가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MTT 용액 (5 mg/mL) 20 를 첨가 한 후 37에서 5% CO2 incubator gSanyo, Japan)에 4시간 배양한 후, 형성된 포마잔(fomazan)을 DMSO로 녹이고,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리더기(reader) (ELX800, BioTek, USA)로 UV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 그리고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의 세포독성을 천연(native) 펩타이드(KTTKS)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도 11 참조). 펩타이드(KTTKS)는 500 μM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낸 반면,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는 1-500 μM 농도 범위에서 뚜렷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PEG 결합이 펩타이드(KTTKS)의 세포독성을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의 콜라겐합성 활성 시험>
제조한 모노-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KTTKS)의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검체를 가하여 세포내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생합성된 콜라겐 측정은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 assay)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것을 100%로 하여 계산하였다. 먼저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 (Human CCD-986sk, human fibroblast cell)를 48 well plate에 5×104 cells/well 씩 분주하여 10% FBS가 첨가된 DMEM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두 번에 걸쳐 세척(washing)을 하고 무혈청(serum free) 배지로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가한 후 다시 24시간 동안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이때 세포 배양액속의 콜라겐의 양은 프로콜라겐 타입C-펩타이드 EIA 키트(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항체-POD 칸쥬게이트 용액(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μL 를 각 웰(well)에 첨가하고, 검체나 스탠더드(standard)를 20 μL 씩 가했다. 이때 검체인 세포배양액은 5배 희석하여 사용하였고, 웰(well) 안에서 고르게 섞이게 하기 위해 흔들어(shaking)준 후 포일(foil)로 밀봉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도 난 후에 웰(well) 안의 내용물을 제거한 뒤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이하 PBS) 400 μL로 4번 세척하였다. 세척 후 기질용액 100 μL를 가하고 20~30 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 M H2SO4 100 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킨 후 흔들어(shaking)주었다. UV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농도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 그리고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의 콜라겐 합성 활성을 100 μM 농도에서 천연(native) 펜타펩타이드(KTTKS)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도 12 참조). 다분산성 mono-PEG-2000-KTTKS는 펜타펩타이드(KTTKS)에 비해 낮은 활성을 보였지만, 단분산성 mono-PEG-220-KTTKS와 mono-PEG-572-KTTKS는 뚜렷하게 펜타펩타이드(KTTKS)보다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었다.

Claims (3)

  1. 하기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화학식]
    CH3O-(CH2CH2O)m-(CH2)n-CH2-NH-Lys-Thr-Thr-Lys-Ser
    상기 식에서 m은 2 내지 48 범위의 정수이며, n은 1 내지 3 범위의 정수이며, NH는 Lys의 N-말단 아민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m이 2 내지 24 범위의 정수인 단분산성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3. pH 4.5 내지 6.0 범위에서 5 내지 50 mM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를 함유한 완충액에서 콜라겐펩타이드와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의 몰비 1:1 내지 1:5의 범위를 가지고 온도 4 내지 30도 범위에서 반응하여 제조된 모노 페길화된 펜타펩타이드(mono-PEG-펜타펩타이드) 유도체.



KR1020110074417A 2011-02-10 2011-07-27 페길화된 피부주름개선 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KR101315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1899 2011-02-10
KR1020110011899 2011-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82A true KR20120091982A (ko) 2012-08-20
KR101315056B1 KR101315056B1 (ko) 2013-10-08

Family

ID=4688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417A KR101315056B1 (ko) 2011-02-10 2011-07-27 페길화된 피부주름개선 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81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콜라겐 펩타이드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850B1 (ko) * 1999-12-06 2006-04-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합성 팔미토일펜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9381A1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콜라겐 펩타이드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85500A (ko) * 2018-01-10 2019-07-18 주식회사 지투지바이오 콜라겐 펩타이드가 함유된 폴리카프로락톤 미립구 필러 및 그 제조방법
CN111886031A (zh) * 2018-01-10 2020-11-03 G2G生物公司 含胶原蛋白肽的聚己内酯微球填充物及其制备方法
JP2021511112A (ja) * 2018-01-10 2021-05-06 ジー2ジーバイ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G2Gbio, Inc. コラーゲンペプチドを含有したポリカプロラクトン微粒球フィラ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749803C1 (ru) * 2018-01-10 2021-06-17 Джи2Джибио, Инк. Поликапролактоновый микросферный филлер, содержащий коллагеновый пепти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56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2369B1 (en) Peptide fragments for inducing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US7671009B2 (en) Dermopharmaceutically and cosmetically active oligopeptides
EP2035443B1 (en) Stabilized vitamin c derivatives having a peptide molecul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WO2024078588A1 (zh) 肽类化合物在制备用于皮肤延衰修复的组合物中的新用途
CN116829169A (zh) 一种合成肽以及它们的美容组合物或药用组合物及用途
KR101092915B1 (ko) 성장인자―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50029884A (ko) 콜라겐 합성 촉진 펩타이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15056B1 (ko) 페길화된 피부주름개선 기능성 펜타펩타이드 유도체
KR100982178B1 (ko) 모노-페길화된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변이체 및그의 용도
KR20180108974A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예방용 펜타펩타이드와 펜타펩타이드 다이머의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716510B (zh) 广东糯米酒抗氧化和ace抑制活性肽及其应用
KR101285261B1 (ko) 인간 성장호르몬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410897B1 (ko) 리포산-peg-펩티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1404A (ko)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4307A (ko) 피부투과와 효능이 개선된 화장품 소재용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 개발
EP3925626A1 (en) Lipopeptide conjugates and their salts, method of manufacture of lipopeptide conjugates and their salt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lipopeptide conjugate and its salt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wounds
KR102597794B1 (ko) 상피세포 성장인자와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45947B1 (ko) 프로토카테츄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433419B1 (ko) 하이드록시시나믹산-아미노산-하이드록시아민산 유도체
KR20180108984A (ko)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헵타펩타이드 단량체 및 이량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KR101945946B1 (ko) 겐티스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230088254A (ko) 신규 아디포넥틴 유래 펩토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78893A (ko) 열, 효소 분해 안정성이 개선된 펩타이드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AU2012216555A1 (en) Peptide fragments for inducing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