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710A - 승하선 장치 - Google Patents

승하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710A
KR20120091710A KR1020110011637A KR20110011637A KR20120091710A KR 20120091710 A KR20120091710 A KR 20120091710A KR 1020110011637 A KR1020110011637 A KR 1020110011637A KR 20110011637 A KR20110011637 A KR 20110011637A KR 20120091710 A KR20120091710 A KR 20120091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hinge
gear
shaft
st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208B1 (ko
Inventor
장민욱
임재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20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승하선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는, 선체의 선측 상부면에 설치되는 승하선 장치로서, 상기 선체의 선측과 나란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선체의 선측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플랫폼; 상기 회동축에 수직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플랫폼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계단; 및 상기 제1 힌지축에 수직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상부 계단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 계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하선 장치{BOARDING DEVICE}
본 발명은 승하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정박 시에, 선원이 육지로 내리거나 승선하는데 필요한 승하선 장치는 선박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승하선 장치는 운항 시에는 선체의 갑판에 안착되고, 정박 시에는 부두의 지면으로 내려지는 구조를 가진다.
컨테이너선과 같은 화물선의 경우, 승하선 장치는 크레인에 의해 화물이 적재 또는 하역되는 화물적재구역을 피하여 사람이 안전하게 승하선할 수 있도록 선체 측면에 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승하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계단을 선체 위로 접어 올리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승하선 장치를 바라본 모습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승하선 장치는 선체의 선측(1) 갑판(2) 위에 설치된다. 여기서, 승하차 시 사용되는 계단(3)은 일단부가 상부 플랫폼(4)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되며, 상부플랫폼(4)은 회동축(5)을 통하여 갑판(2)과 힌지결합된다. 계단(3)의 타단부는 갑판(2)에 설치된 윈치(6)에 의해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7)에 지지된다. 이를 통해, 계단(3)은 지면으로 내려지거나 갑판(2) 위로 인양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 중에는 계단(3)을 선체 내로 90도 내지 180도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하게 되며, 정박하여 선원을 승하선시킬 때에는 계단(3)을 지면을 바라보도록 펼칠 수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은 일반 화물선에 비해 선고가 높으며, 항구 내의 조수간만의 차이 또는 선박의 하중 차이에 따라 부두 지면에서 갑판까지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등 승하선 장치의 계단(3)을 접고 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따른다.
이런 높은 선고를 감안하여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 적용되는 승하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당히 긴 계단(3)을 가지고 있다. 이런 계단(3)은 선측(1) 상부의 갑판(2)에 안착 시 컨테이너가 실려 있는 구역(도 3의 점선으로 표시된 원)과의 간섭이 불가피하다.
이는 승하선 장치를 화물적재구역을 피하여 설치할 것을 권고하는 규정에도 반하는 것이며, 신축식(telescopic type) 승하선 장치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전체 길이의 1/3정도만 신축이 가능하므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선고가 높은 대형 선박에서도 지면에서 갑판까지의 높이 변화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선고가 높은 대형 선박에서도 지면에서 갑판까지의 높이 변화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선과 같은 화물선의 경우에도 화물적재구역을 피하여 선원을 안전하게 승하선시킬 수 있는 승하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설치되는 승하선 장치로서, 상기 선체의 선측과 나란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선체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플랫폼; 상기 회동축에 수직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플랫폼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계단; 및 상기 제1 힌지축에 수직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상부 계단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 계단을 포함하는 승하선 장치가 제공된다.
상부 계단 및 하부 계단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발판을 구비한 프레임(frame); 및 프레임의 폭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핸드레일(hand rail)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부 구동부; 및 제2 힌지축 및 제3 힌지축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동부는, 제1 힌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 및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동부는, 하부 계단과 결합되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계단에는 제2 힌지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제2 힌지축은 일단부가 하부 계단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부 계단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구동부는, 제2 힌지축을 하부계단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구동부는, 제2 힌지축의 타단부와 제2 모터의 모터축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벨기어부는, 제2 힌지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와; 기어축이 제2 힌지축과 수직하도록 제1 베벨기어에 치합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모터는 제2 베벨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계단 및 하부 계단을 선체의 선측 상부면으로부터 내리거나 올리는 인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양부는, 일단부가 하부 계단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 및 선체에 설치되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winch)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고가 높은 대형 선박에서도 지면에서 갑판까지의 높이 변화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선과 같은 화물선의 경우에도 화물적재구역을 피하여 선원을 안전하게 승하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승하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계단을 선체 위로 접어 올리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승하선 장치가 선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상부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하부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하부 구동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하선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는, 선체에 설치되는 승하선 장치로서,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플랫폼(14)은, 선원이 승하선할 때 갑판(2)과 상부 계단(18)을 서로 이어주는 부분으로서, 선체의 선측(1)과 나란한 회동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선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회동축(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2)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12)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축(12)은 선측(1)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선측(1)에 대해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회동축(12)의 양단이 선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단부가 회동축(12)에 결합된 상부 플랫폼(14)은, 회동축(12)이 축회전함에 따라 회동축(1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부 계단(18)은, 회동축(12)에 수직한 제1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부 플랫폼(14)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상부 계단(18)의 일단부가 상부 플랫폼(14)에 대해 제1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힌지축(16)은, 회동축(12)에 수직이 되도록 상부 플랫폼(14)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계단(18)의 일단부는, 제1 힌지축(16)에 결합됨으로써 제1 힌지축(1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부 계단(18)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발판(18b)을 구비한 프레임(frame, 18a); 및 상기 프레임(18a)의 폭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핸드레일(hand rail, 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계단(26)은, 제1 힌지축(16)에 수직한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부 계단(18)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하부 계단(26)의 일단부가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부 계단(18)의 타단부에 대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계단(26)은, 상부 계단(18)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발판(26b)을 구비한 프레임(26a); 및 상기 프레임(26a)의 폭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핸드레일(2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18b, 26b) 및 핸드레일(28)의 경우, 선체의 선측(1)에서 승하선 장치(10)가 하강하거나 인양될 때마다 선원이 안전하게 승하선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펴지거나 접힐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의 상부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의 하부 구동부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의 하부 구동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5는 상부 플랫폼(14) 및 상부 계단(18)을 선체의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6은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을 선체의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7 및 도 8은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이 서로에 대해 펼쳐진 상태를 선체의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는, 제1힌지축(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부 구동부(30)와, 제2 힌지축(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부 구동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구동부(30) 및 하부 구동부(32) 각각은,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구조체 및 모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구동부(30)는, 상부 플랫폼(14)에 대해 상부 계단(18)이 힌지 회동될 수 있도록 제1 힌지축(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1 힌지축(1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30a); 제1 기어(30a)에 치합되는 제2 기어(30b); 및 제2 기어(30b)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30a)와 제2 기어(30b)는, 한 쌍이 서로 맞물려서 두 축 사이에 운동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제1 힌지축(16)과 제1 모터(30c) 사이에 결합되어 배치된다. 즉, 제1 기어(30a)는 제1 힌지축(16)에 결합되고, 제2 기어(30b)는 제1 기어(30a)에 치합되어 제1 모터(30c)의 회전력을 제1 힌지축(16)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기어(30a) 및 제2 기어(30b) 각각은, 헬리컬(helical) 기어 또는 스퍼(spur)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구동부(32)는, 상부 계단(18)에 대해 하부 계단(26)이 힌지 회동될 수 있도록 제2 힌지축(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계단(26)과 결합되며, 제2 힌지축(2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구동부(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계단(26)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계단(26)에는 제2 힌지축(20)이 관통하는 관통홀(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힌지축(20)은 일단부가 하부 계단(26)의 관통홀(34)을 관통하여 상부 계단(18)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동부(32)의 제2 모터(50)는 하부 계단(26)에 예를 들어 볼트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모터(50)의 모터축과 연결된 제2 힌지축(20)이 하부 계단(26)의 관통홀(34)을 관통하여 상부 계단(18)의 타단부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제2 모터(50)가 구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상부 계단(18)에 대해 하부 계단(26)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는, 제2 모터(50)가 하부 계단(26)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부 구동부(32)는 하부 계단(26)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동부(32)는, 관통홀(34)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제2 힌지축(20)을 하부계단(26)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36)은, 제2 힌지축(2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하부 계단(26)의 관통홀(34)에 대해 제2 힌지축(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36)으로는 볼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롤러베어링 등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구동부(32)는, 제2 힌지축(20)과 제2 모터(50) 사이에 개재되는 감속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미도시)는, 기어비를 통해 모터의 회전속도를 낮추어 토오크(torque)를 높이는 장치로서, 제2 모터(50)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축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서 이에 따라 축적된 에너지를 토오크로 변환시켜 제2 힌지축(20)에 전달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구동부(32)는, 제2 힌지축(20)의 타단부와 제2 모터(50)의 모터축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커플링(shaft coupling)을 통해 제2 힌지축(20)의 타단부와 제2 모터(50)의 모터축을 서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으나, 제2 힌지축(20)와 제2 모터(50)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그 사이에 베벨기어부(48)를 두어 서로 축연결시킬 수 있다.
베벨기어부(48)는, 제2 힌지축(2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48a)와; 기어축이 제2 힌지축(20)과 수직하도록 제1 베벨기어(48a)에 치합하는 제2 베벨기어(4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모터(50)는 제2 베벨기어(48b)의 기어축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는,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을 선체의 선측(1) 상부면으로부터 내리거나 올리는 인양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양부(54)는, 일단부가 하부 계단(26)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 54a); 및 선체에 설치되며, 와이어(54a)를 감거나 푸는 윈치(winch, 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와이어(54a)의 일단부는 하부 계단(26)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54a)의 타단부는 윈치(54b)의 드럼에 권취(捲取)되어 윈치(54b)의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계단(26)에 연결된 와이어(54a)을 감거나 풀어서 하부 계단(26)이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의 작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 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 등을 선체 외측으로 회동시켜 펼치거나 반대로 접어서 선체 내측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 운항 시에는, 승하선 장치(10)가 차지하는 갑판(2) 위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승하선 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 등을 선측(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접어서 갑판(2) 상에 보관하게 된다.
선박이 정박하여 선원을 승하선시킬 경우에는,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 등을 회동축(1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부두의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한다.
상부 플랫폼(14),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 등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제1 힌지축(16)을 중심으로 상부 플랫폼(14)에 대해 상부 계단(18)을 기 결정된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상부 플랫폼(14)에 대해 상부 계단(18)이 상기 기 결정된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에서, 제1 힌지축(16)에 수직한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부 계단(18)에 대해 하부 계단(26)을 회동시킨다. 이때, 하부 계단(26)은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부 계단(18)에 대해 예를 들어 180도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양부(54)의 와이어(54a)가 하부 계단(26)에 연결되어 하부 계단(26)을 지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하선 장치(10)는, 갑판(2)에 적재 시에는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을 서로 접어서 보관하다가, 승하선 등 필요한 경우에는 제2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상부 계단(18) 및 하부 계단(26)을 펴서 사용함으로써, 선고가 높은 대형 선박에서도 지면에서 갑판까지의 높이 변화에 상관없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하선 장치(10)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락 앤 릴리즈(Lock & Release) 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원격으로 승하선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제어부가 설치되어 거주구의 조타실 등에서 승하선 장치의 운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선측 2 : 갑판
10 : 승하선 장치 12 : 회동축
14 : 상부 플랫폼 16 : 제1 힌지축
18 : 상부 계단 20 : 제2 힌지축
26 : 하부 계단 28 : 핸드레일
30 : 상부 구동부 32 : 하부 구동부
34 : 관통홀 36 : 베어링
48 : 베벨기어부 48a : 제1 베벨기어
48b : 제2 베벨기어 50 : 제2 모터
54 : 인양부 54a : 와이어
54b : 윈치

Claims (9)

  1. 선체에 설치되는 승하선 장치로서,
    상기 선체의 선측과 나란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선체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플랫폼;
    상기 회동축에 수직한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상부 플랫폼에 힌지결합되는 상부 계단; 및
    상기 제1 힌지축에 수직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상부 계단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 계단을 포함하는 승하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계단 및 상기 하부 계단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발판을 구비한 프레임(frame); 및
    상기 프레임의 폭방향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핸드레일(hand rai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부 구동부; 및
    상기 제2 힌지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부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승하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동부는,
    상기 제1 힌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계단에는, 상기 제2 힌지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축은, 일단부가 상기 하부 계단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계단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구동부는,
    상기 하부 계단과 결합되며, 상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동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을 상기 하부계단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동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모터의 모터축 사이에 개재되는 베벨기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벨기어부는,
    상기 제2 힌지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베벨기어와;
    기어축이 상기 제2 힌지축과 수직하도록 상기 제1 베벨기어에 치합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2 베벨기어의 기어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계단 및 상기 하부 계단을 상기 선체의 선측 상부면으로부터 내리거나 올리는 인양부를 더 포함하는 승하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부는,
    일단부가 상기 하부 계단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 및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윈치(win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선 장치.
KR1020110011637A 2011-02-09 2011-02-09 승하선 장치 KR101271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37A KR101271208B1 (ko) 2011-02-09 2011-02-09 승하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637A KR101271208B1 (ko) 2011-02-09 2011-02-09 승하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10A true KR20120091710A (ko) 2012-08-20
KR101271208B1 KR101271208B1 (ko) 2013-06-07

Family

ID=4688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637A KR101271208B1 (ko) 2011-02-09 2011-02-09 승하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2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326B1 (ko) * 2013-05-29 2015-02-24 주식회사 대불조선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CN108331370A (zh) * 2018-01-03 2018-07-27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可翻转的楼梯施工栈道
CN115258062A (zh) * 2022-09-13 2022-11-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梯道结构及船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951B1 (ko) 2023-06-01 2023-10-11 주식회사한결이엔지 유조차용 폴딩 스테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805Y1 (ko) * 1998-05-18 2000-08-01 정해룡 선박용사다리의격납장치
KR100347383B1 (ko) * 2000-08-21 2002-08-07 주식회사 호룡 선박의 승하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326B1 (ko) * 2013-05-29 2015-02-24 주식회사 대불조선 교통약자용 탑승 시설이 구비된 페리 보트
CN108331370A (zh) * 2018-01-03 2018-07-27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可翻转的楼梯施工栈道
CN108331370B (zh) * 2018-01-03 2024-02-06 广西建工集团第三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可翻转的楼梯施工栈道
CN115258062A (zh) * 2022-09-13 2022-11-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梯道结构及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1208B1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726B1 (en) Gangway system
EP2488410B1 (en) Aircraft elevator system and method
AU2006274748B2 (en) Gangway apparatus
KR101271208B1 (ko) 승하선 장치
CN210912787U (zh) 一种移动式登船装置
KR20120132168A (ko) 선박용 현측 사다리
KR20110126996A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JP2014131884A (ja) 乗下船装置
KR101271685B1 (ko) 승하선 장치
CN206734563U (zh) 一种挡墙直立式码头移动式登船梯
WO2014182173A1 (en) Device for a transport ramp, and a method to operate same
WO2011019289A1 (en) A transport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JP6526595B2 (ja) 船舶搭載型乗下船装置
JP2014136469A (ja) 乗下船兼用船内エレベータ装置
CN115092723B (zh)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JP2005161952A (ja) 車椅子等乗下船装置
KR101884848B1 (ko) 헬리 데크 안전망의 유지보수 장치
CN102858626B (zh) 用于折叠船跳板的设备
KR101716331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CN212047797U (zh) 一种码头登乘装置
JPH05294281A (ja) 船側梯子装置
JPH0233635B2 (ja) Senkaideritsuku
CN220786068U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登乘装置
CN215971992U (zh) 一种码头梯与舷墙梯的连接组件
US2757847A (en) Lowering and raising gear for ships' accommodation lad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