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367A -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367A
KR20120091367A KR1020127015398A KR20127015398A KR20120091367A KR 20120091367 A KR20120091367 A KR 20120091367A KR 1020127015398 A KR1020127015398 A KR 1020127015398A KR 20127015398 A KR20127015398 A KR 20127015398A KR 20120091367 A KR20120091367 A KR 2012009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rotocol
wireless protocol
data flow
parame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239B1 (ko
Inventor
모하메드 호세인 타그하비 나스라바디
산토쉬 폴 아브라함
히맨쓰 샘패쓰
아비나시 제인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9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 H04L12/5692Selection among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상이한 무선 포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단계;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S OVER MULTIPLE RADIO PROTOCOL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특허출원은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S OVER MULTIPLE RADIO PROTOCOLS"라는 명칭으로, 2009년 11월 19일에 출원된 가출원번호 제61/262,835호(대리인 도켓 번호 100309P1) 및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S OVER MULTIPLE RADIO PROTOCOLS"라는 명칭으로 2010년 2월 1일에 출원된 가출원 번호 제61/300,213호(대리인 도켓 번호 100309P2)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 가출원들의 내용들은 여기에 참조로 명백히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 더 상세하게는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상에서의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seamlessly) 지원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하여 요구되는 대역폭 요건들을 증가시키기 위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하여, 높은 데이터 스루풋들을 달성하면서 채널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통신하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중 입력 또는 다중 출력(MIMO) 기술은 다음 세대의 통신 시스템들에 대한 인기 있는 기술로서 최근에 생겨난 그러한 하나의 접근방법을 나타낸다. MIMO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802. 11 표준과 같은 여러가지의 신흥 무선 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었다. IEEE 802.11는 단거리(short-range) 통신들(예컨대, 수십 미터 내지 수백미터의 통신들)을 위하여 IEEE 802.11 위원회에 의해 개발된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의 세트를 표시한다. 예컨대, 802.11 ad/ac/a/b/g/n.
일반적으로, IEEE 802.11 표준에 의해 특정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또한 스테이션(STA)들로도 불리는 상이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들을 관리하는 액세스 포인트(AP)/포인트 조정 기능부(PCF)와 같은 중앙 엔티티를 가진다. 중앙 엔티티를 가지는 것은 통신 프로토콜들의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비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가 AP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라도, 네트워크의 모든 STA들에 양호한 링크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AP에 대해 효과적일 수 있다. 신호 감쇄가 비교적 심각할 수 있는 높은 주파수들에서, 통신들은 본래 지향적일 수 있으며 빔포밍(beamforming)(예컨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을 사용하여 이득들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AP는 이하의 책임들을 충족시킬 수 있어 효율적이다. AP는 큰 섹터 바운드(bound)(예컨대, 넓은 스티어링 능력)를 가질 수 있다. AP는 큰 빔포밍 이득(예컨대, 다중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AP는 시선(line of sight) 경로가 네트워크내의 대부분의 지역들, 예컨대 천장 상에서 존재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AP는 주기적 비컨 전송들 및 다른 관리 기능들에 대한 대기 전원(power supply)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통신 디바이스(WCD)들(예컨대, 랩탑들, 스마트폰들 등)은 비용, 전력, 폼 인자(form factor) 등과 같은 인자들로 인해 통상적인 AP의 능력에 비하여 비교적 저하된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 스티어링 능력이 작은 섹터 바운드에 제한될 수 있고, 이용가능한 전력이 제한될 수 있고, 위치가 변화할 수 있는 등등이다. 이들 제한들에서 조차, WCD들은 사이드-로딩(side-loading), 파일 공유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들 때문에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AP들로서 수행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WCD들은 상이한 주파수 트랜시버들, 예컨대 60 GHz 트랜시버, 2.4 GHz 트랜시버, 5 GHz 트랜시버 등을 가진 멀티-모드 라디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멀티-모드 라디오들을 가진 WCD는 이들 모드들을 사용하고 다수의 모드들 간의 통신 세션을 전달할 수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멀티-모드 라디오들을 가진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사이에서 세션 전달을 가능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양상들의 간략화된 요약을 제시한다. 본 요약은 모든 고려된 양상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적이거나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그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 및 이의 대응하는 개시내용에 따라,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 지원하는 것과 관련한 다양한 양상들이 기술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도록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도록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션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은 안테나에 연결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며,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양상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싱 시스템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며,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는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이 아래에서 완전하게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언급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하기 설명 및 관련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징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만을 나타내며, 이러한 설명은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이러한 양상들의 균등물들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샘플 양상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2는 전방향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지향성 통신 네트워크의 발견을 지원하는 것을 도시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일 양상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MAC 계층 및 PHY 계층을 포함하는 다수의 계층들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5는 무선 노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에 대한 다른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6은 무선 노드에서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예시하는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일반적인 실무에 따르면, 도면들중 일부는 명확화를 위하여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들은 주어진 장치(예컨대, 디바이스) 또는 방법의 컴포넌트들 모두를 도시하지 않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명세서 및 도면들 전반에 결쳐 유사한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방법들 및 장치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더 완전하게 기술된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 및 장치는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양상들은 이러한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제공되며, 이들 방법들 및 장치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할 것이다.
여기의 설명들 및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양상들에 독립적으로 구현되던지 또는 이들 다른 양상들과 결합되어 구현되던지 간에,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 및 장치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여기에 기술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되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여기에 기술된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거나 또는 이들 다양한 양상들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의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여러 양상들이 도 1를 참조로 하여 지금 제시될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단말들(110, 130)로서 일반적으로 지정된 여러 무선 액세스 단말들, 무선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일반적으로 WLAN 디바이스), 기지국 등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여러 액세스 단말들(110, 130)은 다수의 네트워크들(112, 122)과 연관된 다수의 프로토콜들(118, 124)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노드(110, 130)는 WCD, 사용자 장비(UE), 랩탑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노드는 수신 및/또는 전송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액세스 포인트"는 전송 노드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용어 "액세스 단말"은 다운링크 통신들을 위한 수신 노드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반면에, 용어 "액세스 포인트"는 수신 노드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용어 "액세스 단말"은 업링크 통신들을 위한 전송 노드를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른 용어 또는 명칭이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액세스 단말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예로서,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스테이션, 단말, 노드, 액세스 포인트로서 작용하는 액세스 단말, WLAN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사용자 단말, 이동국, 가입자국, 스테이션, 무선 디바이스, 단말, 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개념들은 이들의 특정 명칭과 관계 없이 모든 적절한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적용하도록 의도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지리적 지역 전반에 걸쳐 분산된 액세스 단말들을 지원할 수 있다. 접속 지원 시스템(120)은 액세스 단말들의 조정 및 제어 뿐만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들(예컨대, 인터넷)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정지해 있거나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액세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의 백홀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액세스 단말들과의 피어-투-피어 통신들에 참여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들의 예들은 전화(예컨대, 셀룰라 전화),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PDA),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컨대,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노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설정된 데이터 플로우는 제 1 프로토콜(124)을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10)과 액세스 단말(130) 사이에서 지원될 수 있으며, 이 제 1 프로토콜(124)은 전방향성(122)일 수 있으며 통신들을 위한 비교적 낮은 주파수(예컨대, 2.4 GHz, 5 GHz 등)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플로우는 연관(association) 및/또는 인증 프로세스 이후에 셋업될 수 있는 머신 액세스 제어(MAC) 또는 상위계층 데이터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는 것은, 재-연관 및/또는 재-인증을 야기할 수도 있는 충분히 큰 시간 갭 없이도 데이터 교환을 계속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들(110, 130)은 멀티-모드 라디오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적어도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 1의 더 낮은 주파수에 그리고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제 2의 더 높은 주파수(예컨대, 60 GHz)에 액세스 가능하다. WCD(110)의 일 양상에서,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114)은 지원되는 통신 세션이 하나 또는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을 통해 통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 파라미터들(116)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 2의 더 높은 주파수는 제 1의 더 낮은 주파수보다 비교적 더 짧은 범위 그러나 더 높은 최대 스루풋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제 2의 더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 세션에 대한 전달은, 링크 조건들이 제 2의 더 높은 주파수에 대해 만족할 때 바람직할 수 있다. 역으로, 조건들이 높은 스루풋 통신에 대해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의 더 높은 주파수로부터 제 1의 더 낮은 주파수로 세션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주파수들 모두에 대해 조건들이 만족되는 경우에, 양(both)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세션을 지원하여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프로토콜 파라미터들(116)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라운드 트립 지연값,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하여 지원되는 네트워크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서비스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양상에서, 서비스 메트릭의 품질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에러 레이트 값 등과 같은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송 요청(RTS: request to send) 및 전송 준비 완료(CTS: clear to send) 메시지들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양상에서, 라운드 트립 지연 값은 RTS 메시지의 출발 시간 및 CTS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브 메시지 및 확인응답(ACK) 메시지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양상에서, 라운드 트립 지연 값은 프로브 메시지의 출발 시간 및 ACK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같이,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114)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116)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의 통신을 위하여 다수의 프로토콜들 중 어느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들은 예컨대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결정은 예컨대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이러한 결정은 예컨대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제 1 프로토콜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프로토콜,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블루투스 기반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60 GHz 및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IEEE 802.11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MIMO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MIMO 기술 사용으로, 다수의 액세스 단말들(110)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를 사용하여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SDMA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결과적으로 더 높은 사용자 용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트림들이 상이한 수신기들에 동시에 전송되는 것을 가능케하는 다중 액세스 방식이다. 이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로코딩 한 후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상이한 전송 안테나를 통해 다운링크상으로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가지고 액세스 단말들에 도달하며, 이는 각각의 액세스 단말(110, 130)이 그 액세스 단말(110, 130)로 향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하도록 한다. 업링크상에서, 각각의 액세스 단말(110, 130)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의 아이덴티티가 알려지는 것을 가능케하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단말들(110)은 특정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10)의 다수의 안테나들은 추가 대역폭 또는 전송 전력 없이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도록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송신기의 높은 데이터 레이트 신호를 상이한 공간 서명들을 가진 다수의 더 낮은 레이트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어, 따라서 수신기로 하여금 이들 스트림들을 다수의 채널들로 분리하고 스트림들을 적절히 결합하여 높은 레이트 데이터 신호를 복원하게 한다.
이하의 개시내용의 부분들이 MIMO 기술을 또한 지원하는 액세스 단말들을 기술하지만, 액세스 단말(110)은 또한 MIMO 기술을 지원하지 않는 액세스 단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액세스 단말들(즉, "레가시" 단말들)의 구(older) 버전들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새로운 MIMO 액세스 단말이 적절하게 도입되도록 하면서 액세스 단말들의 유효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무선 기술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술될 것이다. OFDM은 정밀한 주파수들로 이격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에 걸쳐 데이터를 분배하는 스펙트럼 확산 기술이다. 스페이싱(spacing)은 수신기로 하여금 서브캐리어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복원하도록 하는 "직교성(orthogonality)"을 제공한다. OFDM 시스템은 IEEE 802.11 또는 일부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무선 기술들은 예로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무선 기술 또는 적절한 무선 기술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CDMA 시스템은 IS-2000, IS-95, IS-856, 광대역-CDMA(WCDMA)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구현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ons) 또는 일부 다른 적절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임의의 특정 무선 기술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노드(예컨대, 110, 130)는, 액세스 포인트인지 또는 액세스 단말인지간에, 계층화된 구조를 활용하는 프로토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계층화된 구조는 공유된 무선 채널에 무선 노드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모든 물리적 그리고 전기적 규격들을 구현하는 물리(PHY) 계층, 공유된 무선 채널에 대한 액세스를 조정하는 MAC 계층, 및 예로서 음성 및 멀티미디어 코덱들 및 그래픽 프로세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MAC 및 PHY 계층들의 추가 논의는 도 3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추가 프로토콜 계층들(예컨대, 네트워크 계층, 전달 계층)은 임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와 액세스 단말 사이 또는 2개의 액세스 단말들 사이의 중계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무선 노드를 위한 적절한 프로토콜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청구된 요지에 따른 다양한 방법들을 예시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 도시되고 기술되었으나, 청구되는 요지는 일부 동작들이 여기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들로 발생하거나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예컨대, 당업자는 방법이 상태도에서와 같은 일련의 상호 관련된 상태들 또는 이벤트들로서 대안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인식할 것이다. 또한, 청구된 요지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모든 기술된 동작들이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후에 개시되고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개시된 방법들이 이러한 방법들을 컴퓨터들로 전달하고 전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물품 상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인식해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제조물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노드는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 지원할 수 있다. 도면부호 202에서, 데이터 플로우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지원된다. 일 양상에서, 이러한 제 1 무선 프로토콜은 전방향성일 수 있으며, 비교적 더 낮은 주파수들(예컨대, 2.4 GHz, 5 GHz 등)로 통신할 수 있으며, 비교적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 무선 프로토콜 보다 비교적 더 낮은 전송 레이트로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멀티-모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모드들을 사용하여 설정된 통신 세션을 지원하려 할 수 있다. 도면부호 204에서는 멀티-모드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 1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이 결정된다. 일 양상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의 연관된 서비스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양상에서, 서비스 품질 메트릭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에러 레이트 값 등과 같은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경로 손실 모델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을 사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도면부호들 206, 207 및 208은 현재의 데이터 플로우가 지원되고 있는 전송 모드를 수정하기 위하여 멀티-모드 디바이스를 프롬프트(prompt)할 수 있는 예시적인 트리거링 이벤트들을 제공한다. 도면부호 206에서는 제 2 무선 프로토콜과 연관된 파라미터와 제 1 무선 프로토콜과 연관된 대응 파라미터 간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일 양상에서, 전송 모드 수정들의 주파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비교에 임계값이 포함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면부호 208에서는, 제 2 무선 프로토콜과 연관된 파라미터와 임계값 간의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면부호 210에서는, 제 1 무선 프로토콜과 연관된 파라미터와 임계값 간의 비교가 이루어진다. 도면부호들 206, 208 및/또는 20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용가능한 비교로부터의 부정적인 결정시에, 도면부호 212에서는 설정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추가 모드들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면부호들 206, 208 및/또는 20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용가능한 비교로부터 긍정적인 결정시에, 도면부호 214에서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가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설정된 통신 세션은 제 2 무선 프로토콜의 인에이블에 의해 인터럽트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은 빔 트레이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양상에서, 빔 트레이닝은 하나 이상의 빔 방향들을 통한 각각의 디바이스에 의한 트레이닝 파일럿의 전송,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된 트레이닝 빔의 수신, 하나 이상의 수신된 트레이닝 빔들로부터의 신호 세기 값들에 기초하는 바람직한 통신 빔 방향 결정, 및 예컨대 피드백, 확인응답 메시지들을 통한, 디바이스들 간의 바람직한 통신 빔 방향 교환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부호 216에서, 제 1 무선 프로토콜 및/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는 데이터 플로우를 인터럽트하지 않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지원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통신 세션을 통해 통신되는 데이터 플로우들은 그들이 통신되는 무선 프로토콜에 대하여 블라인드(blind)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프로세스와 연관된 계층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은 도 3과 관련하여 제공된다. 일 양상에서, 더 높은 주파수 더 큰 스루풋의, 단지 제 2 무선 프로토콜들만이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제 1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들 모두가 선택되어, 이로 인해 스루풋 능력들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는, 더 낮은 주파수 더 큰, 단지 제 1 무선 프로토콜만이 선택될 수 있다. 도면부호 218에서는, 하나 이상의 선택된 무선 프로토콜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이 통신될 수 있다. 세션 전달 커맨드는 설정된 통신 세션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들 중 어느 프로토콜을 사용할지를 디바이스에 프롬프트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통신들은 단일 통신 세션의 부분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는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을 통해 다수의 통신 세션들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계층들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300)이 도시된다. 다수의 계층들(300)은 801.11 MAC 계층에 연결되는 MAC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AP)(30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MAC 계층은 802.11 상위 MAC(304) 및 802.11 하위 MAC(306)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전송 버퍼(308)는 802.11 상위 MAC(304) 및 레이트 적응 모듈(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레이트 적응 모듈(310)은 어느 무선 프로토콜 PHY 계층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와 관련하여 앞서 논의된 바와같이, 이러한 결정을 수행할때 다수의 파라미터들이 평가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파라미터들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양상에서, 서비스 품질 메트릭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에러 레이트 값 등과 같은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이러한 양상에서, 무선 링크 품질은 경로 손실 모델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양상에서, 제 1 프로토콜은 전방향성(122)일 수 있으며 통신들을 위하여 비교적 낮은 주파수(예컨대, 2.4 GHz, 5 GHz 등)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지향성 기반일 수 있으며, 통신들을 위해 비교적 높은 주파수(예컨대, 60 GHz)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60 GHz 및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IEEE 802.11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레이트 적응 모듈(310)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PHY 계층(312)을 사용하여 데이터 플로우들을 통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레이트 적응 모듈(310)은 제 2 무선 프로토콜 PHY 계층(316)을 사용하여 데이터 플로우들을 통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에서, 추가 캡슐화(314) 및/또는 프로세싱은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통한 데이터 플로우들을 허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MAC SAP(302)에서 또는 MAC SAP(302) 위에서 유지되는 통신들은 임의의 PHY 계층 및/또는 MAC 계층 프로세스들을 알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 간의 전환(transition)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위한 일관된 무선 링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서 또한 도 4를 지금 참조하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의 예시적인 아키텍처가 예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예컨대 수신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통상적인 동작들을 수행하며(예컨대, 필터링하고, 증폭하며, 하향변환하는 등), 그리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402)를 포함한다. 수신기(402)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이들을 채널 추정을 위해 프로세서(406)에 제공하는 복조기(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402)는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수신기(402)는 CDMA, WCDMA, TDMA, TD-SCDMA, UMTS, IP, GSM, LTE, WiMax, UMB, EV-DO, 802.11, BLUETOOTH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06)는 수신기(402)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송신기(420)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에 전용된 프로세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4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할 뿐 아니라 송신기(420)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며 그리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06)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며 그리고/또는 프로세서(406)내에 위치하는 메모리(4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408)는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가능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간섭 세기 및/또는 분석된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08)는 (예컨대,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의) 채널을 추정 및/또는 활용하는 것과 연관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된 데이터 저장부(예컨대, 메모리(408))가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하나 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동기식 RAM(SRAM), 동적 RAM(DRAM), 동기식 DRAM(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SDRAM(DDR SDRAM), 강화된 SDRAM(E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408)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상이한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끊김없이 지원하기 위하여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4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430)은 무선 프로토콜 파라미터들(4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프로토콜 파라미터들(432)은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양상에서, 서비스 품질 메트릭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에러 레이트 값 등과 같은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논의된 바와같이, 무선 프로토콜 선택 모듈(430)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432)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의 통신들을 위하여 다수의 프로토콜들 중 어느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들은 예컨대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예컨대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예컨대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제 1 프로토콜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프로토콜,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블루투스 기반 프로토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60 GHz 및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IEEE 802.11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40)는 통신 디바이스(400)로의 입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 메커니즘들(442), 및 통신 디바이스(400)의 사용자에 의해 소비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출력 메커니즘(4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메커니즘(442)은 키 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출력 메커니즘(444)은 디스플레이, 오디오 스피커,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양상들에서, 출력 메커니즘(444)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 포맷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하도록 동작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포맷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시하기 위한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전송 모드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502)는 MAC 계층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노드에서의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인코딩(예컨대, 터보 코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인코딩 프로세스는 변조 심볼들의 시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TX 데이터 프로세서(502)에 의하여 함께 블록화되어 신호 성상도로 매핑될 수 있는 코드 심볼들의 시퀀스를 야기한다.
OFDM을 구현하는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502)로부터의 변조 심볼들은 OFDM 변조기(504)에 제공될 수 있다. OFDM 변조기는 변조 심볼들을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한다. 이후 각각의 스트림이 OFDM 서브캐리어에 매핑되고, 그 후 시간 도메인 OFDM 스트림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된다.
TX 공간 프로세서(505)는 OFDM 스트림에 대하여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는 각각의 OFDM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한 후에 트랜시버(506)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508)에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기(506)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개별 프로코딩된 스트림에 의해 RF 캐리어를 변조시킨다.
수신 모드에서, 각각의 트랜시버(506)는 자신의 개별 안테나(508)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트랜시버(506)는 RF 캐리어로 변조되는 정보를 복원하고 RX 공간 프로세서(510)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RX 공간 프로세서(510)는 무선 노드(500)로 향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하여 정보에 대하여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공간 프로세싱은 채널 정정 매트릭스 인버전(CCMI),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소프트웨어 간섭 제거(SIC)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만일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무선 노드(500)를 향하면, 공간 스트림들은 RX 공간 프로세서(51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OFDM을 구현하는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서, RX 공간 프로세서(510)로부터의 스트림(또는 결합된 스트림)은 OFDM 복조기(512)에 제공된다. OFDM 복조기(512)는 고속 푸리에 변환(FFT)를 사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스트림(또는 결합된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한 개별 스트림을 포함한다. OFDM 복조기(512)는 각각의 서브캐리어상에서 반송되는 데이터(즉, 변조된 심볼들)를 복원하고, 데이터를 변조 심볼들의 스트림으로 멀티플렉싱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514)는 신호 성상도의 정확한 점에 변조 심볼들을 다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채널에서의 잡음 및 다른 장애들 때문에, 변조 심볼들은 원래의 신호 성상도의 점의 정확한 위치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514)는 신호 성상도에서 유효 심볼의 위치와 수신된 점 사이의 가장 작은 거리를 발견함으로써, 어느 변조 심볼이 전송될 가능성이 가장 높았었는지를 검출한다. 이들 소프트한 결정들은 터보 코드들의 경우에 예컨대 주어진 변조 심볼들과 연관된 코드 심볼들의 로그-우도비(LLR)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RX 데이터 프로세서(514)는 MAC 계층에 데이터를 제공하기 전에 원래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하여 코드 심볼 LLR들의 시퀀스를 사용한다.
도 6은 무선 노드에서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예시하는 개념 다이어그램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600)은 버스(602)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602)는 프로세싱 시스템(600)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604), 컴퓨터-판독가능 매체(606) 및 버스 인터페이스(608)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 인터페이스(608)는 무엇보다도 버스(602)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600)에 네트워크 적응기(610)를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10)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단말(110)(도 1 참조)의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612)(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는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608)를 통해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버스(602)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절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시킬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더이상 추가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프로세서(604)는 버스 관리를 담당하며,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608)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 프로세싱을 담당한다. 프로세서(608)는 하나 이상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들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기술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다른 것으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가능한 것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기능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컨대,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컨대,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 가능 ROM(PROM), 소거가능 P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EEPROM), 레지스터, 제거가능 디스크, 캐리어 파, 전송 라인 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내에 상주하거나,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상주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내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하드웨어 구현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606)는 프로세서(604)로부터 분리된 프로세싱 시스템(600)의 부분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하는 바와같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606) 또는 이의 임의의 부분은 프로세싱 시스템(600)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606)는 전송 라인, 데이터에 의하여 변조되는 캐리어파, 및/또는 무선 노드로부터 분리된 컴퓨터 물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608)를 통해 프로세서(604)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604) 또는 이의 임의의 부분은 프로세서(604)내에 통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캐시 및/또는 범용 레지스터 파일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임의의 부분은 여기에서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코드를 실행하는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무선 링크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상의 코드는 여기에서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장치(600)의 기능을 예시하는 개념적인 블록 다이어그램(700)이다. 장치(600)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702),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모듈(704), 무선 링크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듈(706) 및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모듈(708)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예컨대, 406, 6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예컨대, 406, 6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프로세서(예컨대, 406 및 6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트랜시버(예컨대, 50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1 무선 프로토콜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 만큼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600)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하여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600)이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프로세싱 시스템(600)은 TX 프로세서(502), RX 프로세서(514) 및 프로세서들(505, 510)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 구성에서, 전술한 수단은 TX 프로세서(502), RX 프로세서(514) 및 전술한 수단에 의해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들(505 및 510)일 수 있다.
당업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가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기술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듈과 관련하여 기술된 단계들의 임의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무선 노드의 예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시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유지되면서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이전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개시내용의 전체 범위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구성들에 대한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여기에서 제시된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언어와 일치하는 최대(full) 범위를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단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그렇게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한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이상(one or more)"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달리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한, 용어 "일부(some)"는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엘리먼트들의 조합의 적어도 하나(예컨대, "A, 또는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인용하는 청구항은 인용된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이상(예컨대, A, 또는 B, 또는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거나 또는 이후에 공지될,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들은 여기에 참조로 명백하게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어떠한 개시내용도 이러한 개시내용이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공중에 부여된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위한 수단"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엘리먼트가 언급되거나, 방법 청구항의 경우에, "~위한 단계" 문구를 이용하여 명시적으로 엘리먼트가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 §112, 6번째 문단의 조문에 따라 해석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상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ROM,EEPROM,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임의의 연결 수단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간주될 수 있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또는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7)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단계;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또는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또는 에러 레이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전송 요청(RTS: request to send) 메시지의 출발 시간 및 전송 준비 완료(CTS: clear to send)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프로브 메시지의 출발 및 확인응답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것;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 만큼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 및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60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프로토콜;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6.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코드는,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한 수단;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또는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또는 에러 레이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출발 시간 및 전송 준비 완료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프로브 메시지의 출발 및 확인응답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 만큼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60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프로토콜;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스테이션으로서,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스테이션.
  33.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 1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링크를 통한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플로우에 대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며,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한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및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무선 링크 품질;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로딩;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 또는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한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은 레이턴시 값, 데이터 레이트 값 또는 에러 레이트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전송 요청 메시지의 출발 시간 및 전송 준비 완료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9.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트립 지연 시간은 프로브 메시지의 출발 및 확인응답 메시지의 도달 시간을 사용하여 측정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값 만큼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대응 파라미터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2.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며; 그리고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임계값과 비교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에 대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인에이블된 제 2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플로우를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은 상기 제 1 무선 프로토콜 보다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로토콜 또는 상기 제 2 무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60 GHz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프로토콜;
    무선 근거리 통신망 기반 프로토콜;
    셀룰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KR1020127015398A 2009-11-19 2010-11-17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420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283509P 2009-11-19 2009-11-19
US61/262,835 2009-11-19
US30021310P 2010-02-01 2010-02-01
US61/300,213 2010-02-01
US12/885,288 US20110228749A1 (en) 2009-11-19 2010-09-17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s over multiple radio protocols
US12/885,288 2010-09-17
PCT/US2010/057075 WO2011063019A1 (en) 2009-11-19 2010-11-17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ata flows over multiple radio protoc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367A true KR20120091367A (ko) 2012-08-17
KR101420239B1 KR101420239B1 (ko) 2014-07-17

Family

ID=4346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398A KR101420239B1 (ko) 2009-11-19 2010-11-17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228749A1 (ko)
EP (1) EP2502444A1 (ko)
JP (1) JP2013511901A (ko)
KR (1) KR101420239B1 (ko)
CN (1) CN102687559A (ko)
TW (1) TW201134164A (ko)
WO (1) WO20110630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7A3 (ko) * 2016-10-04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17820B2 (en) 2016-10-04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36957A (ko) * 2018-08-02 2021-04-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전환 방법, 전자 장치 및 시스템 온 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4949B2 (en) 2010-07-30 2017-10-17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istributed rate allocation and collision detection in wireless networks
WO2012122508A2 (en) * 2011-03-09 2012-09-13 Board Of Regents Network rou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392545B2 (en) 2011-12-28 2016-07-12 Intel Corporation Power-efficient wireless data transfer
US10051406B2 (en) * 2012-02-15 2018-08-14 Maxlinear, Inc. Method and system for broadband near-field communication (BNC) utilizing full spectrum capture (FSC) supporting concurrent charging and communication
US9762634B2 (en) 2012-04-06 2017-09-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transmit digital broadcast grade video via a cellular data network
US20140295825A1 (en) * 2013-03-29 2014-10-02 Acer Incorporated Network diversity based error reporting method and user equipment using the same
US10098181B2 (en) * 2014-03-19 2018-10-09 Apple Inc.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mode based on current conditions
JP6529186B2 (ja) * 2014-04-29 2019-06-12 ▲華▼▲為▼▲終▼端(深セン)有限公司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端末
US9344914B2 (en) 2014-05-21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Modem assisted contention handling of multiple active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102015200428B3 (de) * 2015-01-14 2016-03-17 Kuka Roboter Gmbh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mehrachsigen Manipulators mit einem Eingabegerät
CN107615806A (zh) * 2015-04-07 2018-01-19 奈达科技瑞典有限公司 改进的到达时间定位系统
US9716541B2 (en) * 2015-09-15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interference using polarization diversity
US9461696B1 (en) 2015-10-05 2016-10-04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converged communication device for enhancing broadband and narrowband communication
CN107786508B (zh) * 2016-08-26 2021-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协议层划分指示方法及装置
RU2769950C2 (ru) * 2016-11-02 2022-04-11 Панасоник Интеллекчуал Проперти Корпорэйшн оф Америка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и способ связи
US10659540B2 (en) * 2017-03-27 2020-05-19 Intel IP Corporation [5G next generation Wi-Fi] on the fly traffic steering for collocated multi-band aggregation
US10819409B2 (en) * 2018-05-03 2020-10-27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dynamic blockage in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systems
US11082265B2 (en) * 2019-07-31 2021-08-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ime synchronization of mobile channel sounding system
US11477626B2 (en) 2020-12-22 2022-10-18 Google Llc Method and system for segmenting and transmiting data between computing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US11706682B2 (en) * 2020-12-22 2023-07-18 Google Llc Switchable communication transport for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devices and vehicle head unit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9231B2 (ja) * 2000-08-18 2004-08-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複数ビーム制御適応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方法
US7016322B1 (en) * 2000-09-25 2006-03-21 Cisco Technology, Inc. Generating graded packets for packet vo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6771933B1 (en) * 2001-03-26 2004-08-03 Lgc Wireless, Inc. Wireless deployment of bluetooth access points using a distributed antenna architecture
US7107498B1 (en) * 2002-04-16 2006-09-12 Met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maintaining reliable infrastructure links using bit error rate data in an ad-hoc communication network
US7408900B2 (en) * 2002-06-28 2008-08-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etermination of inter-system border thresholds
JP2004146980A (ja) * 2002-10-23 2004-05-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
JP2004350088A (ja) * 2003-05-23 2004-12-09 Nec Corp 無線局の位置推定システム
US7653350B2 (en) * 2003-07-24 2010-01-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terminal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over cellular and enhanced mode bluetooth communication links
US7324831B2 (en) * 2003-10-17 2008-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 dual-mode radio communications
US7904090B2 (en) * 2003-12-01 2011-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raffic control method
JP4113160B2 (ja) * 2004-06-24 2008-07-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7260399B1 (en) * 2004-08-30 2007-08-2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symmetric handoff of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s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20060116123A1 (en) * 2004-11-29 2006-06-0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paging in a flexible multi-carrier system
JP2005168041A (ja) * 2004-12-28 2005-06-23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7411911B2 (en) * 2005-04-08 2008-08-12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availability status detection device and method
JP2007005897A (ja) * 2005-06-21 2007-01-11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80080455A1 (en) * 2006-09-29 2008-04-03 Ahmadreza Rofougara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polarized antennas in coexistence systems
JP4413934B2 (ja) * 2007-02-08 2010-02-10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8244989A (ja) * 2007-03-28 2008-10-09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パケット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598549A1 (en) * 2007-08-24 2009-02-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communication
JP2009124505A (ja) * 2007-11-15 2009-06-04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データ送信方法、通信装置及びデータ受信方法
JP5188784B2 (ja) * 2007-11-15 2013-04-24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それらを利用した制御装置、端末装置、基地局装置
JP5048539B2 (ja) * 2008-01-30 2012-10-1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4672029B2 (ja) * 2008-01-28 2011-04-2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手段変更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端末装置
JP5093671B2 (ja) * 2008-03-31 2012-12-12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通信管理装置
JP5082986B2 (ja) * 2008-03-31 2012-11-28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ノード、並びに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190676B2 (ja) * 2008-03-31 2013-04-24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7A3 (ko) * 2016-10-04 2018-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917820B2 (en) 2016-10-04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36957A (ko) * 2018-08-02 2021-04-05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네트워크 전환 방법, 전자 장치 및 시스템 온 칩
US11425785B2 (en) 2018-08-02 2022-08-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switc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on chip
US11910489B2 (en) 2018-08-02 2024-02-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switch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on c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7559A (zh) 2012-09-19
TW201134164A (en) 2011-10-01
US20110228749A1 (en) 2011-09-22
EP2502444A1 (en) 2012-09-26
JP2013511901A (ja) 2013-04-04
KR101420239B1 (ko) 2014-07-17
WO2011063019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239B1 (ko) 다중 무선 프로토콜들 통해 데이터 플로우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EP250243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network discovery
US86119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channel access protocol for directional MAC
US83853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distributed beacon transmissions
US10833738B2 (en) Detection scheme utilizing transmitter-supplied non-linearity data in the presence of transmitter non-linearity
WO2021041862A1 (en) Deep learning aided mmwave mimo blind detection schemes
US20220330077A1 (en) Generation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dvanced networks
CN112771789A (zh) 广义波束管理框架
KR20120096520A (ko) 지향성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침묵 기간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78811A1 (en) Determin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5g or other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points
US20220191853A1 (en) Identifying a beam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220132499A1 (en) Resource coordination including for full-duplex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US20230188397A1 (en) Facilitating selection of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orts in advanced networks
US20230086079A1 (en) Multiplexing capability indication for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US11582642B2 (en) Scaling network capability using baseband unit pooling in fifth generation networks and beyond
US20240089745A1 (en) System information delivery via beam sweeping in advanced networks
US20230354150A1 (en) Multifrequency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for new radio-based smart repeaters
US20230021592A1 (en) Dual connectivity cell selection with dynamic spectrum sharing
EP3602811A1 (en) A low complexity high performance single codeword mimo for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