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847A -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847A
KR20120090847A KR1020120012104A KR20120012104A KR20120090847A KR 20120090847 A KR20120090847 A KR 20120090847A KR 1020120012104 A KR1020120012104 A KR 1020120012104A KR 20120012104 A KR20120012104 A KR 20120012104A KR 20120090847 A KR20120090847 A KR 2012009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display frame
size
related information
progra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579B1 (ko
Inventor
마사아키 마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브이씨 켄우드
Publication of KR2012009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additional data, e.g. HTML pages on a televisi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1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grid, e.g. sorted out by channel and broadcast time

Abstract

(과제) 프로그램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시인성이 높고 콤팩트한 편성표를 작성한다.
(해결 수단)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는,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산출한다. 편성표 작성부는,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시 갱신부는,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한다.

Description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OGRAM SCHEDU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FOR PRODUCING PROGRAM SCHEDULE}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broadcasting porgram)에 관련되는 정보인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기초로, 전자 편성표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송 프로그램이나, 레코더 등에 기록된 영상 콘텐츠를 찾는 경우에, 전자 편성표를 텔레비전 화면에 표시하여, 소망하는 영상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특개 2006-210965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편성표의 레이아웃에는, 세로 방향에 시각, 가로 방향에 방송국을 배치하고, 시각과 방송국이 일치하는 위치에, 그 방송국에 따라 그 시각에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정보를 배치하는, 그리드 레이아웃(grid layout)에 따라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레이아웃은, 전자 편성표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신문이나 잡지 등의 종이 매체의 편성표에서 자주 이용되는 라디오ㆍ텔레비전란(欄)이라고 불리는 형식을 모방한 것이기 때문에, 유저에게 친숙해지기 쉽고, 조작이 이해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6-210965
그런데, 이 라디오ㆍ텔레비전란 형식의 편성표에서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표시하는 셀의 위치를, 그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일치하는 시각의 그리드에 맞출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0시부터 1시까지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경우, 편성표의 시간축 상의 0시를 나타내는 위치에 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의 상변을 맞추고, 편성표의 시간축 상의 1시를 나타내는 위치에 프로그램 정보의 셀의 하변을 맞춘다. 이 0시부터 1시까지의 셀 사이즈의 안에, 그 프로그램의 정보를 기술하지만, 셀의 사이즈나 프로그램 정보의 양에 따라서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모두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자 편성표는, 기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의 손으로 작성되는 종이 매체에서의 편성표와 같이, 유연한 레이아웃으로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전자 편성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하기의 (1) 및 (2)와 같은 레이아웃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1) 셀의 사이즈를 방송 시간으로부터 결정되는 길이로 고정하고, 프로그램의 정보는 표시할 수 있는 분만큼 표시하는 레이아웃
(2) 셀의 사이즈를 프로그램의 정보에 맞추어 확장하는 레이아웃
전술한 (1) 및 (2)의 레이아웃은, 각각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1)의 레이아웃에서는, 프로그램 수의 다과(多寡)나, 프로그램 정보의 양에 관계없이, 시간축 방향의 사이즈가 일정해지기 때문에,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수는, (2)의 레이아웃과 비교하여 많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편성표 하부의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에 요하는 화면 이동 조작의 수고도, 최소한도로 그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 시간이 짧은 프로그램의 경우, 정보를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한 글자도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셀 사이즈가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2)의 레이아웃에서는, 프로그램의 정보에 맞추어 셀의 사이즈를 확대하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편성표의 시간축 방항의 사이즈가 늘어나버리기 때문에, 한 화면에 표시되는 프로그램 수가 적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간축 방향의 사이즈가 커짐으로써, 편성표 하부의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에, 화면 이동 조작을 몇 번이나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1)의 레이아웃의 응용예로서, 프로그램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을 편성표 이외의 영역에 형성하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지만, 그 영역은, 항상 화면에 표시하고 있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편성표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필연적으로 작아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1)의 커스텀 레이아웃(custom layout)으로서, 셀 사이즈의 최소값을 정해 놓는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프로그램의 정보를 일부분밖에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소값을 크게 취하면, (2)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프로그램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시인성이 높고 콤팩트한 편성표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와,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와,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부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스텝과,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에,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스텝과,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 스텝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에 의하면, 프로그램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시인성이 높고 콤팩트한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편성표 작성 장치가 작성하는 전자 편성표 레이아웃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편성표 작성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방송국 정보 격납부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로그램 표시 틀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편성표 일시 설정부가 제시하는 G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시간 기준 높이와 내부 콘텐츠 높이를 격납하는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편성표 작성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편성표 조작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포커스의 상태를 격납하는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포커스 전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갱신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6은 포커스 전이에 의해 발생하는 편성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선택 틀에 의한 포커스 전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포커스 전이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갱신부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정보를 기호나 문자 화상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단순히, 정보를 표시한다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입력 장치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프로그램 표시 틀)이 지정되는 것을 포커스된다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1)는, 중앙 제어부(11)와, ROM(12)과, 주기억부(13)와, 보조 기억부(20)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와, 편성표 일시 설정부(40)와,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와, 편성표 작성부(60)와, 편성표 조작부(70)와, 표시 갱신부(80)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버스(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편성표 작성 장치(1)는, 표시 장치(110)와, 입력 장치(120)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 장치(110)는, CRT나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유저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입력 장치(120)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입력 디바이스인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 패널,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성표 작성 장치(1)를 기능 블록도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편성표 작성 장치(1) 전체 또는 일부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와, 편성표 일시 설정부(40)와,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와, 편성표 작성부(60)와, 편성표 조작부(70)와, 표시 갱신부(80) 중의 일부를, 메모리나 CPU를 구비하는 PC상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편성표 작성 장치(1)가 표시하는 전자 편성표는, 1열째에 시각을 나타내는 셀의 집합인 시각 틀(200)(도 2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냄)을 표시하고, 2열째 이후에, 방송국별로 구분하여 방송 내용을 표시하는 셀의 집합인 방송국 틀(210)(도 2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냄)을 표시하는 그리드 레이아웃에 의해 구성된다. 편성표 작성 장치(1)가 표시하는 그리드 레이아웃의 전자 편성표의 일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의 시각 틀(200)은, 시각을 나타내는 셀의 집합으로, 도 2에 있어서는, 0시와 1시가 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방송국 틀(210)의 일 예로서, 방송국 「AAA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셀과, 방송국 「BBB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셀이 나타나 있다. 프로그램 정보 표시 영역(220)(도 2 중, 파선으로 나타냄)에는, 각각의 방송국에 따라,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각과, 그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이 일치하는 위치에 프로그램 표시 틀을 배치한다. 또한, 이해 용이를 위해, 도 2 중에 x축, y축(시간축)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 시간축은 실제로는 표시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도 14, 16, 17, 18에 있어서는, 이 x축, y축(시간축)의 도시를 생략한다.
계속해서, 편성표 작성 장치(1)가, 전자 편성표를 작성하는 처리의 대충의 흐름을, 도 3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는, 안테나(100)을 통하여, 방송국(1000)으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격납한다(스텝 S10).
다음으로, 중앙 제어부(11)는, 편성표의 표시를 개시하기 위한 유저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20). 유저로부터의 입력은, 입력 장치(120)를 통하여 행해진다.
다음으로, 편성표 일시(日時) 설정부(40)는, 편성표를 표시하는 일시의 범위를, 유저에게 입력시킨다(스텝 S30).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마다의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산출한다(스텝 S4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스텝 S40에서 산출한 프로그램 표시 틀마다의 높이에 기초하여, 편성표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스텝 S50).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편성표의 표시 데이터를 표시 장치(110)에 표시하고,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수취함과 함께, 포커스되고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입력 장치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이 변경될 때마다, 표시 갱신부(80)에 편성표 레이아웃을 갱신시킨다(스텝 S60).
이상이, 편성표 작성 장치(1)가 전자 편성표를 표시하는 처리 흐름의 설명이다.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 장치(1)의 각부의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중앙 제어부(11)는, 편성표 작성 장치(1)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유닛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등으로 구성된다. ROM(12)은, 읽기 전용의 기억 매체로, 편성표 작성 장치(1)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주기억부(13)는, 중앙 제어부(11)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워크 에어리어로, RAM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보조 기억부(20)는, HDD(Hard Disk Drive)나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대용량 기억 매체로, 내부에, 방송국 정보 격납부(21)와,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와,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를 구비한다.
방송국 정보 격납부(21)는, 방송국을 일의(一意)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방송국 ID와, 방송국명을 격납한다. 방송국 정보 격납부(21)의 포맷의 일 예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서는, 방송국 ID가 「방송국 1」인 방송국의 방송국명은 「AAA 텔레비전」이고, 방송국 ID가 「방송국 2」인 방송국의 방송국명은 「BBB 텔레비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는, 방송국의 방송국 ID와,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과, 방송 시간과, 프로그램의 타이틀과, 프로그램의 개요와, 프로그램의 장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일의로 식별하는 식별자인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에 대응시켜 격납한다. 또한, 방송국 ID나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같은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구성하는 개별의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이라고 칭한다. 도 5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가 격납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프로그램 1인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방송국의 방송국 ID는 방송국 1이고, 개시 시각은 「2011-01-31 17:25:00」 종료 시각은 「2011-01-31 17:30:00」, 방송 시간은 「5분」, 프로그램 타이틀은 「5분 뉴스 1725」, 프로그램 개요는 「오늘의 뉴스와 날씨 정보 알림」이며, 장르는「뉴스」이다. 이들 정보가 의미하는 것은, 프로그램 1로 나타나는 프로그램은 방송국 ID 「방송국 1」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이고, 방송 시각은 2011년 1월 31일 17시 25분에서 17시 30분까지의 5분간이고, 프로그램 타이틀은 「5분 뉴스 1725」이고, 그 내용을 나타내는 개요는 「오늘의 뉴스와 날씨 정보를 알림」이고, 장르가 「뉴스」로 분류되는 프로그램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는,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 어느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을 표시하고, 어떠한 레이아웃에 의해 묘화할 것인지의 설정을 격납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의 종류, 묘화 위치, 폰트 사이즈나 행간 사이즈, 내부 패딩의 설정을 격납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에 격납되는 레이아웃 정보의 일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서는,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은, 개시 시각과, 프로그램 타이틀과, 프로그램 개요이고, 프로그램 표시 틀의 내부 패딩은 5px(Pixel), 개시 시각의 폰트 사이즈는 11px, 개시 시각의 표시 위치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왼쪽 위를 기점으로 (0, 0)의 위치, 프로그램 타이틀의 폰트 사이즈는 14px, 프로그램 타이틀의 표시 위치는 개시 시각의 바로 아래, 프로그램 개요의 폰트 사이즈는 12px, 프로그램 개요의 표시 위치는 프로그램 타이틀의 바로 아래, 행간 사이즈는 20px로 설정되어 있다.
도 6의 레이아웃 설정을 기초로,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1을 실제로 묘화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일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는, 프로그램 표시 틀(300)의 내부에, 개시 시각(320)과, 프로그램 타이틀(330)과, 프로그램 개요(340)가 묘화되어 있다. 프로그램 표시 틀(300)의 내부 패딩인 프로그램 표시 틀 패딩(310)은 레이아웃 설정에 의해 5px이고, 도 7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하 좌우의 5px분의 영역이 프로그램 표시 틀(300)의 내부 패딩으로 되어 있다.
개시 시각(320)의 내용은 「17:30」이고, 도 7의 레이아웃 설정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의 왼쪽 위 (0, 0)의 좌표점(패딩이 가미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6, 6)의 좌표점)을 기점으로, 11px로 묘화되어 있다. 프로그램 타이틀(330)의 내용은 「소년 에이프릴」이고, 개시 시각(320)의 바로 아래에 14px로 묘화되어 있다. 프로그램 개요(340)의 내용은, 「야구 소년이 운명을 거슬러 고시엔(甲子園)을 목표로 하는 사랑과 우정의 이야기. 출연: Y타로」이고, 프로그램 타이틀(330)의 바로 아래에 12px로 묘화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행간은 20px로 묘화되어 있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는, 안테나(100)을 통하여, 방송국(1000)에 의해 보내지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에 격납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가 수신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은, 프로그램의 타이틀과,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과, 프로그램의 종료 시각과, 프로그램의 길이인 방송 시간과, 방송국과, 프로그램의 개요와, 뉴스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프로그램의 장르 등이다. 또한, 방송 시간은,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과의 차분을 계산함으로써 구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30)는, 안테나(100)가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 회선을 통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방송국(1000)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아니라, 제3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 등으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좋다.
편성표 일시 설정부(40)는, 전자 편성표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의 일시 범위(편성표 일시)를, 유저에게 설정시킨다. 편성표 일시에는, 개시 일시 및, 종료 일시의 년, 월, 일, 시의 데이터를 설정한다. 또한, 편성표 일시 설정부(40)는, 유저의 입력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GUI(그래피컬ㆍ유저ㆍ인터페이스)를 표시 장치(110)에 표시시킨다.
도 8은, 편성표 일시 설정부(40)가 제시하는 GUI의 일 예이다. 도 8에서는, 개시 일시와 종료 일시를 설정하기 위한 GUI를 표시 장치(110)에 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시년(400)에 편성표의 개시년을, 개시월(410)에 편성표의 개시월을, 개시일(420)에 편성표의 개시일을, 개시시(430)에 편성표의 개시 시각을, 유저에게 각각 직접 입력시킴으로써, 개시 일시를 설정한다. 도 8의 상태라면, 개시 일시는 2011년 1월 31일 12시로 설정된다. 또한, 종료년(440)에 편성표의 종료년을, 종료월(450)에 편성표의 종료월을, 종료일(460)에 편성표의 종료일을, 종료시(470)에 편성표의 종료 시각을, 유저에 각각 직접 입력시킴으로써, 종료 일시를 설정한다. 도 8의 상태라면, 종료 일시는 2011년 2월 1일 10시로 설정된다. 또한, 편성표 일시 설정부(40)는, 현재 시각 등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전자 편성표에 표시하는 프로그램의 일시 범위(편성표 일시)를,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현재 시각에서 소정 시간까지의 일시 범위(편성표 일시)를, 자동적으로 설정해도 좋다.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에 격납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마다, 프로그램 표시 틀을 위한 높이를 산출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가 작성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시간 기준 높이와,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에 설정되어 있는 레이아웃에 따라 프로그램 표시 틀을 묘화한 경우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표시 내용을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높이인 내부 콘텐츠 높이의 2종류를 산출한다. 또한, 시간 기준 높이는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에 따라서 결정되고, 내부 콘텐츠 높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개시 시각, 종료 시각, 프로그램 타이틀, 프로그램 개요 등)의 정보량(문자 수 등)에 따라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타이틀의 문자 수가 많아질수록, 내부 콘텐츠 높이는 큰 값이 된다.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에 의한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산출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9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우선,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편성표의 시간축에 있어서의 1시간당의 높이와, 방송국 틀의 폭을 설정한다(스텝 S100). 이들의 수치는, 설계자가 미리 설정해 둔 것으로 하지만, 유저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 설정되는 1시간당의 높이를 H, 방송국 틀의 폭을 W로 한다. 방송국 틀의 폭(W)은, 모든 방송국에 있어서 모두 동일한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방송국마다 값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1시간당의 높이(H)에 대해서도, 시각에 따라서 값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19시?23시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자주 시청하는 시간대의 높이(H)를 큰 값으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에 격납된 콘텐츠수(프로그램 수)를 N으로 하고, 루프 식별자 「루프 A」에 대해서, 초기값 1, 증분 1의 루프 카운터 n이, 종료값 N이 될 때까지 루프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0).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에 격납된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 n번째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이하,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이라고 함)를 취득한다(스텝 S120).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의 방송 시간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의 프로그램 표시 틀의 시간 기준 높이를 산출한다(스텝 S130). 단위를 시(hour)로 했을 때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의 방송 시간을 Th, 스텝 S100에서 설정되는 1시간당의 높이를 H로 하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의 프로그램 표시 틀의 시간 기준 높이 Ht(n)는, 다음의 수학식 1로 구해진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시간 기준 높이를 산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스텝 S100에서 설정되는 1시간당의 높이 H를, H=300px(px은 픽셀)로 하면, 도 5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프로그램 1인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방송 시간은 5분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1의 시간 기준 높이는, Ht(1)=300×5/60=25px로 구해진다. 또한, 프로그램 2의 방송 시간은 30분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2의 시간 기준 높이는, Ht(2)=300×30/60=150px로 구해진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n의 표시 내용을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인, 내부 콘텐츠 높이를 산출한다(스텝 S140). 내부 콘텐츠 높이는,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에 격납되어 있는 레이아웃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의 레이아웃의 예로부터 내부 콘텐츠 높이를 산출하는 경우, 내부 콘텐츠 높이는, 상하 패딩 사이즈+행간 사이즈×행수에 의해 산출된다. 도 7에 나타내는 프로그램 2의 표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산출하면, 상부의 프로그램 표시 틀 패딩과 하부의 프로그램 표시 틀 패딩과의 합계는 10px, 행간 사이즈는 20px, 행수는 7행이기 때문에, 10+20×7=150px로 산출된다.
다음의 스텝 S150에 나타내는 기호는, 루프 A의 루프 종단(終端) 기호로, 루프 A가 종료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모든 콘텐츠의 내부 콘텐츠 높이를 산출 종료한 경우)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산출하는 처리를 종료하고, 종료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10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는, 산출한 시간 기준 높이와, 내부 콘텐츠 높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에 대응시켜 주기억부(13)에 격납한다. 주기억부(13)에 격납되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 정보를 격납하는 포맷의 일 예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서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프로그램 1인 프로그램 표시 틀의 시간 기준 높이는 25px이고, 내부 콘텐츠 높이는 130px이며,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프로그램 2인 프로그램 표시 틀의 시간 기준 높이는 150px이고, 내부 콘텐츠 높이는 150px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이,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의 설명이다.
편성표 작성부(60)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50)에서 산출된 시간 기준 높이를 이용하여 전자 편성표 전체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한다. 편성표 작성부(60)가 전자 편성표 전체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의 흐름을, 도 11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편성표 작성부(60)는, 편성표 일시 설정부(40)에서 설정된 편성표 일시에 기초하여, 폭(W0), 높이(H)인 동(同) 사이즈의 직사각형을 y축 방향으로 나열하여 묘화하고, 각각의 직사각형의 중앙에는, 시각을 나타내는 수치를 묘화함으로써, 시각 틀을 묘화한다(스텝 S200). 구체예를 나타내면, 편성표 일시로서, 개시 일시의 시각이 0시이고, 종료 일시의 시각이 12시로 설정되어 있다면, 0시?11시까지의 12개의 직사각형을 세로로 나열하여 묘화한다. 이 시각 틀을 1시간 단위로 묘화하는 경우, 시각 틀의 높이는, 1시간당의 높이(H)와 동일한 높이로 묘화한다. 시각 틀의 폭(W0)의 구체적인 수치에 관해서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지만, 10?20px 정도의 폭이라면 좋다.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방송국 정보 격납부(21)에 격납된 방송국 ID의 수를 B로 하고, 루프 식별자 「루프 B」에 대해서, 초기값 1, 증분 1의 루프 카운터 b가, 종료값 B가 될 때까지 루프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1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방송국 b의 방송국 틀의 x좌표값인 xb를 산출한다(스텝 S220). 방송국 틀의 폭을 W, 시각 틀의 폭을 W0으로 하면, 방송국 b의 방송국 틀의 x좌표값 xb는,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된다.
Figure pat00002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방송국명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틀을 좌표 (xb, 0)의 위치에, 폭(W0), 높이(H0)로 묘화하고, 그 틀 내부에, 방송국 정보 격납부(21)에 격납된 방송국 중, b번째 방송국 ID(이하, 방송국 b라고 함)에 대응하는 방송국명을 묘화한다(스텝 S230). 높이(H0)는 임의로, 방송국명이 표시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라면 좋다.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방송국 ID가 방송국 b인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22)로부터 모두 취득한다(스텝 S24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스텝 S240에서 취득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개시 시각의 승순으로 바꾸어 나열한다(스텝 S25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y좌표값을 정하기 위한 변수인 변수 y를 방송국명의 표시 틀의 높이인 H0로 초기화시킨다(스텝 S26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스텝 S240에서 취득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의 수를 C로 하고, 루프 식별자 「루프 C」에 대해서, 초기값 1, 증분 1의 루프 카운터 c가, 종료값 C가 될 때까지 루프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270).
다음으로, 편성표 작성부(60)는, 스텝 S240에서 취득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 c번째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이하, 프로그램 관련 정보 c라고 함)의 개시 시각, 또는 종료 시각이, 편성표 일시 설정부(40)에서 설정된 편성표 일시에 포함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280). 개시 시각과 종료 시각의 어느 한쪽이, 편성표 일시 설정부(40)에서 설정된 편성표 일시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다면 스텝 S29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텝 S320으로 진행한다.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개시 시각, 또는 종료 시각이 편성표 일시에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80 Yes), 편성표 작성부(60)는, 프로그램 표시 틀을 묘화한다(스텝 S290). 구체적으로는, 좌표값 (xb, yc)의 위치에, 폭이 W이고, 높이가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방송 시간으로부터 구해지는 시간 기준 높이 Ht(c)인 직사각형을 묘화한다.
만약,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개시 시각이 편성표 일시의 개시 시각보다도 오래된 시각인 경우, 편성표 일시의 개시 시각과,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종료 시각과의 차분으로부터 시간 길이를 구하고,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지는 시간 기준 높이를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로서 이용한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관련 정보 c가 나타내는 프로그램이 2011년 1월 31일 23:55(개시 시각)?다음날 0:40(종료 시각)이고, 편성표 일시의 개시 시각이 2011년 2월 1일 0:00인 경우는, 2011년 2월 1일 0:00?0:40의 시간 길이인 40분으로부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시간 기준 높이를 구한다.
또한,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종료 시각이 편성표 일시의 종료 시각보다도 오래된 시각인 경우에 있어서도,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개시 시각과, 편성표 일시의 종료 시각과의 차분으로부터 시간 길이를 구하여,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지는 시간 기준 높이를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로서 이용한다.
다음으로, 스텝 S290에서 묘화한 프로그램 표시 틀 내에,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내용을,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에 격납된 설정에 따라 묘화한다(스텝 S300). 또한, 묘화할 때에,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프로그램 개요 등의 텍스트 정보가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서 1행에 다 넣을 수 없는 경우는, 개행하여 표시한다. 또한, 모든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을 묘화하기 위한 높이가 부족하여, 프로그램 표시 틀에 다 넣을 수 없는 경우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을 프로그램 표시 틀에서 클리핑하여, y축 방향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삭제한다
다음으로, 좌표값 y를 변경한다(스텝 S310). 현재의 y좌표값을 yc, 프로그램 관련 정보 c의 방송 시간으로부터 구해지는 시간 기준 높이를 Ht(c)로 하면, 갱신 후의 y좌표값을 yc +1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구해진다.
Figure pat00003
다음의 스텝 S320에 나타내는 기호는, 루프 C의 루프 종단 기호로, 루프 C가 종료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는 스텝 S330으로 진행하고,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스텝 S270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의 스텝 S330에 나타내는 기호는, 루프 B의 루프 종단 기호로, 루프 B가 종료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는 표시 처리를 종료하고,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이, 편성표 작성부(60)의 설명이다. 이상의 편성표 작성부(60)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그리드 레이아웃 형식의 전자 편성표(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편성표 전체의 레이아웃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중앙 제어부(11)는, 이 전자 편성표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 장치(110)에 표시시킨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가서, 편성표 조작부(70)는, 레이아웃 데이터에 따라 전자 편성표를 표시함과 함께, 입력 장치(120)에 의해 입력되는 유저 조작에 의해 포커스가 이동했는지 안했는지(입력 장치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이, 다른 프로그램 표시 틀로 바뀌었는지 안바뀌었는지)를 판단하고, 포커스의 이동이 발생할 때마다, 표시 갱신부(80)에 전자 편성표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갱신시키고, 갱신된 레이아웃 데이터를 표시 장치(110)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 편성표 조작부(70)의 처리의 흐름을, 도 12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우선, 편성표 조작부(70)는, 현재 포커스되고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와, 그 바로 전에 포커스되고 있던 프로그램 표시 틀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를 기억하는 테이블(이하, 포커스 테이블이라고 칭함)을 주기억부(13)에 작성한다(스텝 S400). 현재 포커스되고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을 현(現)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 그 바로 전에 포커스 되고 있던 프로그램 표시 틀을 전(前)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라고 칭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와,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의 어느 쪽도 공값(空値)으로 설정한다. 도 13은, 포커스 상태를 격납하는 포커스 테이블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도 13에서는,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로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 「프로그램 1」을 격납하고,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로서,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 「프로그램 2」를 격납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전자 편성표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 출력하여, 표시 장치(110)에 표시시킨다(스텝 S410).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스텝 S420). 또한, 유저는, 입력 장치(120)를 통하여 입력을 행한다.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편성표의 조작을 종료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430).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10) 상에 편성표 조작을 종료하기 위한 버튼을 배치하고, 그 버튼이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나, 입력 장치(120)에 구비하는 전원 버튼이나, 종료 버튼이 눌린 등의 경우에, 편성표의 조작을 종료한다. 편성표의 조작을 종료하는 입력이 행해진 경우는, 편성표의 조작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텝 S44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편성표의 조작을 종료하는 입력이 아니었던 경우(스텝 S430 No), 유저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의 포커스가,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 이외로 이동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440). 여기에서, 포커스 상태의 판단에 대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전자 편성표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4에서는, 전자 편성표(500)와, 커서 포인터(510)가 표시되어 있고, 커서 포인터(510)는, 마우스나 십자키와 같은 입력 장치(120)를 통하여 조작 입력에 따라서 이동된다. 도 14의 (a)에서는, 프로그램 표시 틀(520)의 위치에 커서 포인터(510)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라면, 편성표 조작부(70)는, 프로그램 표시 틀(520)이 포커스되어 있다. 즉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은 프로그램 표시 틀(520)이다. 이 상태에서, 도 14(b)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커서 포인터(510)가 이동한 경우, 프로그램 표시 틀(530)의 위치에 커서 포인터(510)가 표시되어 있다. 즉,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표시 틀(530)이 포커스되어 있기 때문에, 도 14(a)의 상태에 있어서의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인 프로그램 표시 틀(520) 이외로 포커스가 이동했다고 판단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의 포커스가 이동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440 Yes), 편성표 조작부(70)는, 포커스 설정을 갱신한다(스텝 S450). 구체적으로는, 포커스 테이블에 격납되어 있는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를,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로 설정하고, 새롭게 포커스를 획득한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를,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로서 설정한다. 또한, 편성표의 외측 등, 어느 프로그램 표시 틀도 아닌 위치에 포커스가 이동한 경우는,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를 공값으로 갱신한다.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의 표시를 갱신하기 위해,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에 대응하는 방송국 ID를 표시 갱신부(80)에 넘겨(출력하여), 표시를 갱신시킨다(스텝 S460). 표시 갱신부(80)가 행하는 표시 갱신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의 표시를 갱신하기 위해,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에 대응하는 방송국 ID를 표시 갱신부(80)에 넘겨, 표시를 갱신시킨다(스텝 S470). 표시 갱신부(80)가 행하는 표시 갱신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편성표 조작부(70)는, 스텝 S410으로 되돌아가, 새로운 전자 편성표의 레이아웃을 표시 장치(110)에 표시시킨다.
이상이, 편성표 조작부(70)의 설명이다. 또한,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과,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을 갖는 방송국 틀이 동일하다면, 스텝 S460을 생략해도 좋다.
표시 갱신부(80)는, 편성표 조작부(70)로부터 넘겨진 방송국 ID의 표시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 처리를 행한다. 표시 갱신부(80)의 처리의 흐름을, 도 15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표시 갱신부(80)는, 우선, 처리를 위해 넘겨진 방송국 ID에 대응하는 방송국 틀에 속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와, 대응지어진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를 모두 취득한다(스텝 S500).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는, y좌표값을 나타내는 변수의 초기값을, 방송국명의 표시 틀의 높이(H0)로 초기화한다(스텝 S510).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는, 스텝 S500에서 취득한 프로그램 표시 틀의 개수를 D로 하고, 루프 식별자「루프 D」에 대해서, 초기값 1, 증분 1의 루프 카운터 d가, 종료값 D가 될 때까지 루프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520).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는, 방송국 틀에 속하는 d번째의 프로그램 표시 틀(이하, 프로그램 표시 틀 d라고 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와,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동일한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530). 만약 동일하다면 스텝 S540으로 진행하고, 상이하다면, 스텝 S57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는, 프로그램 표시 틀 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와, 현 포커스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동일하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530 Yes), 프로그램 표시 틀 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부터 구해진 내부 콘텐츠 높이 Hin(d)가, 시간 기준 높이 Ht(d)보다도 큰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 S540). 만약, Hin(d)>Ht(d)라면, 스텝 S55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텝 S5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40에 있어서, Hin(d)>Ht(d)라고 판단되었다면(스텝 S540 Yes),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높이를 Hin(d)로 변경하여, y좌표가 yd의 위치에, 프로그램 표시 틀 d를 재묘화한다(스텝 S550).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가 Hin(d)가 되기 때문에, 내부에 묘화되는 각각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아이템은, 클리핑되지 않고 모두 표시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 묘화되는 내용은, 도 11의 스텝 S300과 동일하게, 편성표 레이아웃 격납부(23)의 레이아웃 설정에 따라 묘화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표시 틀의 y좌표의 묘화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yd를 갱신한다(스텝 S560). 현재의 y좌표값을 yd,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내부 콘텐츠 높이를 Hin(d)로 하면, 새로운 y좌표값을 나타내는 yd+1은,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4
y좌표의 갱신 처리를 끝내면, 스텝 S590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스텝 S530에 있어서, 프로그램 표시 틀 d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와, 현 포커스의 프로그램 관련 정보 ID가 상이하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530 No), 또는, 스텝 S540에 있어서, Hin(d)≤Ht(d)라고 판단된 경우(스텝 S540 No),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높이를 시간 기준 높이 Ht(d)로 하여, y좌표를 yd가 나타내는 위치에 묘화한다(스텝 S570).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 묘화되는 내용은, 도 11의 스텝 S300과 동일하게, 편성표 레이아웃 격납부(23)의 레이아웃 설정에 따라 묘화한다.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는, 프로그램 표시 틀의 y좌표의 묘화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변수 yd를 갱신한다(스텝 S580). 현재의 y좌표값을 yd,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시간 기준 높이를 Ht(d)로 하면, 새로운 y좌표값을 나타내는 변수 yd+1은, 다음의 수학식 5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at00005
y좌표의 갱신 처리를 끝내면, 스텝 S59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90에 나타내는 기호는, 루프 D의 루프 종단 기호로, 루프 D가 종료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는 표시 처리를 종료하고,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스텝 S520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이, 표시 갱신부(80)에 의한 표시 갱신 처리의 설명이다.
여기에서, 도 16에, 포커스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 편성표의 레이아웃 변경의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16(a)의 프로그램 표시 틀(540)에는, 개시 시각인 「17:25」만이 표시되어 있다. 이는, 계산된 시간 기준 높이가 작기 때문에,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프로그램 개요가, 프로그램 표시 틀에 들어가지 않고 클리핑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커서 포인터(510)는, 어느 프로그램 표시 틀 상에도 없기 때문에,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은 공값이다. 이 상태에서, 도 16(b)와 같이 커서 포인터(510)가 프로그램 표시 틀(540) 상에 이동함으로써,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프로그램 표시 틀(540)에 설정되었다고 하면, 프로그램 표시 틀(540)의 높이를 내부 콘텐츠 높이로 변경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540)의 높이를 내부 콘텐츠 높이로 변경함으로써, 프로그램 표시 틀(540)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이, 클리핑되지 않고 모두 표시된다. 또한, 이 도 16(b)의 상태에서, 프로그램 표시 틀(540)이 포커스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은 프로그램 표시 틀(540)에 설정되고, 프로그램 표시 틀(540)이 속하는 방송국 틀이 재묘화된다. 이 재묘화시, 프로그램 표시 틀(540)은, 재차 시간 기준 높이로 변경된다.
이상의 편성표 작성 장치(1)에 의하면, 유저의 시선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부분만의 프로그램 표시 틀을, 필요에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 표시함으로써, 편성표의 시간축 방향을 콤팩트하게 유지하면서, 편성표의 표시 영역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그 프로그램의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편성표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편성표 조작부(70)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저는, 입력 장치(120)을 통하여 커서 포인터(510)를 조작함으로써, 포커스의 변경을 행한다고 했지만, 커서 포인터(510)가 아니라, 포커스 상태를 나타내는 선택 틀을, 십자키의 입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선택 틀 방식으로 전자 편성표의 포커스를 전환하는 방법을,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전자 편성표(500) 상의 프로그램 표시 틀(520)에, 포커스를 나타내는 선택 틀(550)이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도 17(a)의 상태에서는, 프로그램 표시 틀(520)이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로서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입력 장치(120)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입력(예를 들면, 십자키의 아래 버튼을 누름)을 행한 경우,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 표시 틀(52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표시 틀(530)에 선택 틀(550)을 이동시킨다. 즉, 프로그램 표시 틀(530)이,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로서 설정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이 시간 기준 높이로부터 내부 콘텐츠 높이로 확대된 경우나, 내부 콘텐츠 높이로부터 시간 기준 높이로 축소된 경우에, 확대 애니메이션이나 축소 애니메이션 표시를 행해도 좋다.
또한, 작성하는 편성표는, 세로 방향에 시각 틀, 가로 방향에 방송국 틀을 배치했지만, 반대로, 가로 방향에 시각 틀을, 세로 방향에 방송국 틀을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 「높이」로 표현한 수치를 「폭」으로 하고, 반대로 「폭」으로 표현한 수치를 「높이」로 함으로써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에 의하면, 프로그램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시인성이 높고 콤팩트한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1)에서는, 포커스가 이동함으로써,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시간 기준 높이와 내부 콘텐츠 높이로 변경함으로써, 콤팩트하게 프로그램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2)에서는, 보다 시인성이 높은 편성표를 작성할 수 있다. 최초로 본 실시 형태의 편성표 작성 장치(2)가 발휘하는 효과에 대해서,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8에서는,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바로 위의 요소가 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8(A)에서는, 커서 포인터(510)가, 프로그램 표시 틀(600) 상에 있다. 즉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은, 프로그램 표시 틀(600)이다. 이 상태에서, 커서 포인터(510)의 위치를, 프로그램 표시 틀(610)로 이동하여, 포커스를 변경하는 조작을 유저가 행했다고 한다. 그때, 프로그램 표시 틀(600)의 높이는, 포커스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 것에 수반하여, 시간 기준 높이로 변경됨과 함께, 프로그램 표시 틀(610)이 포커스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프로그램 표시 틀(610)의 높이가 내부 콘텐츠 높이로 변경된다. 그때, 프로그램 표시 틀(610)의 내부 콘텐츠 높이가, 프로그램 표시 틀(600)의 내부 콘텐츠 높이보다도 작은 경우, 커서 포인터(510)가, 프로그램 표시 틀(610) 상에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 도 18(B)로, 도 18(B)에 나타내는 커서 포인터(510)는, 프로그램 표시 틀(610) 상이 아닌, 프로그램 표시 틀(620) 상에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가 되면, 재차 포커스의 이동이 발생하여, 프로그램 표시 틀(610)의 높이는 시간 기준 높이로 변경되고, 프로그램 표시 틀(620)의 높이는 내부 콘텐츠 높이로 변경된다. 도 18(C)는, 최종적인 포커스 이동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저는, 프로그램 표시 틀(610)에 포커스를 맞추고 싶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표시 틀(620)에 포커스가 맞아 버린다는, 유저의 의도와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편성표 작성 장치(2)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그와 같은 편성표 작성 장치(2)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편성표 작성 장치(2)의 블록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표 작성 장치(1)의 블록 구성과 동일하지만, 편성표 작성 장치(1)의 표시 갱신부(80)의 동작이, 편성표 작성 장치(2)에 있어서 상이하다. 그래서, 편성표 작성 장치(2)에서는 표시 갱신부(80A)로서 설명을 행한다. 다른 부에 대해서는, 편성표 작성 장치(1)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갱신부(80A)는, 편성표 조작부(70)로부터 넘겨진 방송국 ID의 표시를 갱신하는, 표시 갱신 처리를 행한다. 표시 갱신부(80A)의 처리의 흐름을, 도 20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편성표 작성 장치(1)에 있어서의 표시 갱신부(80)와 동일한 처리인 경우, 스텝 번호도 동일 표기로 하고 있다.
우선, 지정된 방송국 ID의 방송국 틀에 속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을 모두 취득하는 처리인 스텝 S500에서, 스텝 S540의 판정 처리까지는, 편성표 작성 장치(1)의 표시 갱신부(80)와 처리 내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갱신부(80A)는, 내부 콘텐츠 높이 Hin(d)가, 시간 기준 높이 Ht(d)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스텝 S540 Yes), 표시 갱신부(80A)는,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현재의 프로그램 표시 틀 d보다 1개 위의 프로그램 표시 틀인 프로그램 표시 틀 d-1과 동일한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그리고, 프로그램 표시 틀 d-1의 내부 콘텐츠 높이 Hin(d-1)과 프로그램 표시 틀 d-1의 시간 기준 높이 Ht(d-1)과의 차이가,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내부 콘텐츠 높이 Hin(d)보다도 큰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2개의 판단이 어느쪽도 참이라면, 스텝 S54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스텝 S550으로 진행한다.
프로그램 표시 틀 d-1이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고, 그리고, Hin(d-1)-Ht(d-1)>Hin(d)라고 판단되었다면(스텝 S541 Yes),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높이를 Hin(d-1)-Ht(d-1)+α로 변경하여, y좌표가 yd의 위치에, 프로그램 표시 틀 d를 재묘화한다(스텝 S542). α는, 프로그램 표시 틀 d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소정값으로, 5?50px 정도를 설정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 내부에 묘화되는 내용은, 도 11에 나타내는 스텝 S300과 동일하게,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23)의 레이아웃 설정에 따라 묘화한다.
또한, 프로그램 표시 틀 d-1의 내부 콘텐츠 높이와 시간 기준 높이의 차분값 Hin(d-1)-Ht(d-1)이지만, 이는,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가, 내부 콘텐츠 높이로부터 시간 기준 높이로 축소하는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차분값보다도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크게 취함으로써, 커서 포인터가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 밖으로 나가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갱신부(80A)는, 좌표값 y를 갱신한다(스텝 S543). 현재의 y좌표값을 yd, 프로그램 표시 틀 d-1의 내부 콘텐츠 높이를 Hin(d-1), 프로그램 표시 틀 d-1의 시간 기준 높이를 Ht(d-1)로 하면, 갱신 후의 y좌표값 yd +1은, 다음의 수학식 6으로 구해진다.
Figure pat00006
좌표값 y를 갱신하면, 스텝 S59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50, 스텝 S560, 스텝 S570, 스텝 S580, 스텝 S590은, 편성표 작성 장치(1)에 있어서의 표시 갱신부(80)의 작동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편성표 작성 장치(2)에 의하면,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바로 위의 셀이었던 경우에,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바로 포커스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있었지만, 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의 높이를, 전 포커스 프로그램 표시 틀이 줄어드는 사이즈보다도 크게 취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온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에 의하면, 유저의 눈높이의 중심이 되는 포커스 부분만의 프로그램 표시 틀을, 필요에 따라서 시간축 방향으로 연장 표시함으로써, 편성표의 시간축 방향을 콤팩트하게 유지하면서, 편성표의 표시 영역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그 프로그램의 정보를 생략하는 일 없이 편성표를 유저에게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실시 형태의 편성표 작성 장치의 기능을 컴퓨터에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어 컴퓨터에 취입되어도 좋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어 컴퓨터에 취입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표시 틀은 직사각형이 아니라도 좋고,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이라도 좋다.
1, 2 : 편성표 작성 장치
10 : 버스
11 : 중앙 제어 장치
12 : ROM
13 : 주기억부
20 : 보조 기억부
21 : 방송국 정보 격납부
22 : 프로그램 관련 정보 격납부
23 : 프로그램 표시 틀 레이아웃 격납부
30 :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
40 : 편성표 일시 설정부
50 :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
60 : 편성표 작성부
70 : 편성표 조작부
80, 80A : 표시 갱신부
100 : 안테나
110 : 표시 장치
120 : 입력 장치
200 : 시각 틀
210 : 방송국
220 : 프로그램 정보 표시 영역
300, 520, 530, 540, 600, 610, 620 : 프로그램 표시 틀
310 : 프로그램 표시 패딩
320 : 개시 시각
330 : 프로그램 타이틀
340 : 프로그램 개요
400 : 개시년
410 : 개시월
420 : 개시일
430 : 개시시
440 : 종료년
450 : 종료월
460 : 종료일
470 : 종료시
500 : 전자 편성표
510 : 커서 포인터
550 : 선택 틀
1000 : 방송국

Claims (6)

  1.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부와,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와,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부와,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갱신부는,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변경되면, 그 조작 입력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변경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갱신부는,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와,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를 비교하여,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 쪽이 큰 경우에, 선택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편성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편성표 조작부는,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2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 함과 함께, 직전에 포커스 상태였던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3 프로그램 관련 정보로 하며,
    상기 표시 갱신부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1 내부 콘텐츠 사이즈와,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2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비교하여, 현재 선택되어 있는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제1 내부 콘텐츠 사이즈 및 제2 내부 콘텐츠 사이즈 중의 큰 쪽의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장치.
  5.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스텝과,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방법.
  6. 컴퓨터에,
    방송 프로그램마다의, 방송 프로그램의 개시 시각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의 길이인 방송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의 서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프로그램 관련 정보 취득 스텝과,
    상기 방송 시간 길이로부터 요구되는 시간 기준 사이즈를 산출함과 함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 중의, 상기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셀인 프로그램 표시 틀에 표시하는 정보인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인 내부 콘텐츠 사이즈를, 상기 제1 프로그램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 스텝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 사이즈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상기 시간 기준 사이즈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 표시 틀의 레이아웃 데이터를 작성하는 편성표 작성 스텝과,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조작 입력에 의해, 프로그램 표시 틀이 선택되면, 그 선택된 프로그램 표시 틀의 사이즈를, 상기 내부 콘텐츠 사이즈로 변경하는 표시 갱신 스텝
    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0012104A 2011-02-07 2012-02-07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329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4396 2011-02-07
JP2011024396 201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847A true KR20120090847A (ko) 2012-08-17
KR101329579B1 KR101329579B1 (ko) 2013-11-15

Family

ID=4658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104A KR101329579B1 (ko) 2011-02-07 2012-02-07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9296B2 (ko)
JP (1) JP5831265B2 (ko)
KR (1) KR101329579B1 (ko)
CN (1) CN102630063B (ko)
TW (1) TWI5260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497B2 (ja) * 2011-03-31 2015-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番組表表示装置および番組表表示方法
FR3035989B1 (fr) * 2015-05-05 2018-09-07 Viaccess Procede de reglage du niveau de definition des images d'un programme multimedia
CN111064983B (zh) * 2019-12-19 2021-05-28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1468B2 (en) * 1994-05-20 2003-12-09 United Video Properties, Inc.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JP3502507B2 (ja) * 1996-07-12 2004-03-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H11313291A (ja)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番組案内表示装置及び方法
US6732370B1 (en) * 1998-11-30 2004-05-04 Diva Systems Corporation Service provider side interactive program guide encoder
US7340677B2 (en) * 2002-03-26 2008-03-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of presenting categorical programs in progressive levels of content details
US7076733B2 (en) * 2002-07-12 2006-07-11 Pace Micro Technology Plc Electronic program guide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editing items therein
JP2006210965A (ja) 2005-01-24 2006-08-10 Sharp Corp 番組情報表示装置
JP2007019707A (ja) * 2005-07-06 2007-01-25 Seiko Epson Corp 電子番組表受信装置
US20070300256A1 (en) 2006-06-26 2007-12-27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20090133063A1 (en) * 2007-11-20 2009-05-2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reference Bas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8381245B2 (en) * 2007-12-19 2013-02-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gram guide image objects for media cont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JP2011009954A (ja) * 2009-06-24 2011-01-13 Sharp Corp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番組情報表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30063B (zh) 2015-02-25
US20120204211A1 (en) 2012-08-09
JP2012182789A (ja) 2012-09-20
JP5831265B2 (ja) 2015-12-09
CN102630063A (zh) 2012-08-08
KR101329579B1 (ko) 2013-11-15
TW201251465A (en) 2012-12-16
US8839296B2 (en) 2014-09-16
TWI526082B (zh)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063B1 (ko)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를 컴퓨터에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9448699B2 (en) Techniques for use with a calendar and messaging component
JP4123382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およ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6469719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pparatus with improved layout of menu items
US10671233B2 (en) File management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276502B1 (ko)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장치
WO2019228269A1 (zh) 电视中的应用排序设置方法和装置
JP5306506B1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9189532B (zh) 电子白板的控件栏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977730B2 (en) Non-linear navigation of data representation
US8032908B2 (en) Graphical indicator within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KR101329579B1 (ko) 편성표 작성 장치, 편성표 작성 방법 및, 편성표 작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07074603A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KR101396745B1 (ko) 프로그램표 생성 장치 및 프로그램표 생성 방법
WO2012014625A1 (ja) 情報処理装置
JP5541998B2 (ja) 情報処理装置
WO201802982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4556199B1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3981046B2 (ja) 情報表示装置
JP2013222468A (ja) 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検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hen et al. Smart TV Terminal Interface Design for the Elderly Based on User Experience
WO20231615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80188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TELEVISION OPERATION AND CONTROL INTERFACE PRESENTATION - Search
JP2006238473A (ja) 情報表示装置
CN112637528A (zh) 画面处理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