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426A -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 Google Patents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426A
KR20120090426A KR1020110010847A KR20110010847A KR20120090426A KR 20120090426 A KR20120090426 A KR 20120090426A KR 1020110010847 A KR1020110010847 A KR 1020110010847A KR 20110010847 A KR20110010847 A KR 20110010847A KR 20120090426 A KR20120090426 A KR 2012009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article
article holder
faucet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일묵
Original Assignee
오일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묵 filed Critical 오일묵
Priority to KR102011001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0426A/ko
Publication of KR2012009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에서 수전구(4)의 인근에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한 수전구(4)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17)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연결되는 수전구본체(5)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전구(4)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의 인근에 배치되어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한 본체(18),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수전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구와 고정되는 설치 공(19)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는 상기 물품을 부착 내지는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20)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벽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수전구의 인근에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A goods-fixing bar fixed on a faucet}
본 발명은 욕실에서 벽체로 매설되어 온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는 수전구의 바로 인근에다 물품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욕실에서 벽체로 매설되어 온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는 수전구의 바로 인근에 물품을 견고하게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었다.
상기 수전구의 바로 인근에 물품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흡착하는 흡착판이 구성된 물품 고정대나, 벽체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으로 부착되는 물품 고정대나, 또는 물품을 벽체에 단단이 고정하기 위하여 벽체에 콘크리트 못을 박거나, 드릴링머신으로 벽체를 뚫어 물품 고정대를 설치하는 방법들이 있었다.
그러나, 흡착판이 구성된 물품 고정대는 시간이 지나거나 일정 이상의 힘을 받으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접착력으로 부착되는 물품 고정대는 강한 힘을 받거나 지속적으로 힘을 받으면 결국은 떨어지게 되며, 또한 강력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나중에 물품 고정대의 제거 시에, 벽에 접착된 강력접착제를 힘들게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에 구멍을 뚫어 부착하는 물품 고정대는, 부착된 물품 고정대를 제거 시에 벽체에 뚫은 구멍이 남으므로 벽체에 영구 손상이 남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 자동 목욕을 하기 위하여, 회전운동을 생성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내장하는 모터박스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케이블과, 세정구가 포함되고 상기 동력전달 케이블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세정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 목욕장치가 개발되어, 특허출원 내지 등록된 것들에는 특허 제 10-0960707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6777과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10220 등이 있었다.
하지만, 상기 모터박스를 상기 수전구의 인근에 고정되게 배치하려면, 벽체에 구멍을 뚫어 상기 구멍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박스를 고정해야만 했다.
그러므로 벽체에 구멍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 되고, 나중에 고정된 모터박스를 제거할 경우에도 구멍은 그대로 남아 보기에 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욕실에서 냉온수를 전달하는 수전구의 바로 인근에 물품을 확고하게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를 설치하되, 물품 고정대의 설치를 위하여 벽체에 구멍을 내는 등의 손상을 주지도 않으면서도 물품 고정대를 견고하게 설치 부착할 수 있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설치된 물품 고정대를 다시 제거하더라도 인근 벽체나 수전구에 일체의 손상이나 흔적을 남기지 않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는, 욕실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연결되는 수전구본체(5)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전구(4)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의 인근에 배치되어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한 본체(18),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수전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구와 고정되는 수전구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는 상기 물품을 부착 내지는 고정하기 위한 물품 고정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설치 공(1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과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사이 또는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상기 수전구본체의 사이에는,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과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상기 수전구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수단이 더 구성되고, 상기 설치 공이 상기 연결관수단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설치 공의 일 측 내지는 다 측에는 개구부(48)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단은 상기 설치 공을 포함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나누어진 두 부분은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누어진 두 부분의 각 각에는 상호 체결이 되는 체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물품 고정수단은, 상기 물품을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 공(20)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수납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7) 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삽입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재(58) 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걸기부재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재(59)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수단(6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는, 욕실에서 수전구의 인근에 물품을 설치 고정하더라도, 물품을 설치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를 벽체에 설치하지 않고 수전구에 설치하므로서, 욕실의 벽체를 손상 시키지도 않으면서 물품을 견고하게 설치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물품 고정대의 제거 시에도 수전구에는 손상이나 흔적이 남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연결된 수전구(4)의 사시도.
도 2는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연결되는 수전구(4)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수전구(4)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수전구(4)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되는 수전구(4)의 상면 분해도.
도 7은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에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가 더 구성되고,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의 둘레에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
도 8은 도 7의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와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수전구본체(5)의 사이에 연결관2a(40) 및연결관2b(41)가 더 구성되고,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둘레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
도 10은 도 9의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둘레에 설치되는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일 측에 개구부(4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2는 복수의 설치 공(19)이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3은 복수의 설치 공(19)이 형성되고, 각각의 설치 공(19)에는 복수의 개구부(4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4는 본체(18)의 일단이 설치 공(19)을 포함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두 부분의 각 각에는 상호 체결이 되는 버클(5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버클(50)이 체결된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6은 삽입부재(57)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7은 수납부재(5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8은 걸림부(59)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19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부재(61)를 구성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파지부재(61)를 구성한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연결된 수전구(4)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연결되는 수전구(4)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구(4)는,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연결되는 수전구본체(5)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각 일단을 덮는 커버1(8) 및 커버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양 아답터(6, 7)는 조절암 또는 편심 유니온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아답터1(6) 및 아답터2(7)는, 냉수관(2) 및 온수관(3) 사이의 넓은 폭(101)과 좁은 폭(102)의 수전구본체(5)의 양단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각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는 복수의 굴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양쪽 말단에는 체결을 위한 수나사부(13, 14, 15, 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전구본체(5)의 양단에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수나사부(15, 16)와 체결되는 체결너트(10a, 10b)가 구성되고, 또한 수전구본체(5)에는 물을 제어하는 레버(11)와 토수구(12)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수전구(4)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수전구(4)의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되는 수전구(4)의 상면 분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는, 본체(18)와, 본체(18)의 일단에는 상기 수전구(4)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구(4)와 고정되는 설치 공(19)과, 본체(18)의 타단에는 물품(22)을 부착 내지는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공(20)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
본체(18)는 수평으로 세워진 막대 자의 형상이다.
본체(18)의 일단에 형성된 설치 공(19)은 좌우로 긴 장공의 형상이다.
본체(18)의 타단에는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23)가 지나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구성된 체결공(20)이 있다.
또한 본체(18)에서, 일단의 설치 공(19)과 타단의 체결공(20) 사이에는 굴곡부(21)가 형성되어서, 본체(18)의 타단이 벽체(1)와의 사이에 유격을 갖도록 하며, 유격은 체결공(20)을 관통하는 나사(23)와 체결되는 너트(24)의 체공 공간을 제공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은 냉수관(2)과 온수관(3)에 연결된 아답터1(6)과 아답터2(7)의 둘레에 배치된다.
또한, 설치된 물품 고정대(17)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답터1(6)과 아답터2(7)의 수나사부(13, 14)와 체결되며, 설치 공(19)의 상하부 본체(18)를 벽체(1)로 밀어서 고정되게 하는 너트1(25)과 너트2(26)가 더 구성된다.
상기 설치 공(19)의 상하 폭은 아답터1(6)과 아답터2(7)의 외경보다 근소하게 크며, 너트1(25) 및 너트2(26)는 설치 공(19) 둘레의 본체(18)를 벽체(1)로 충실히 밀어 고정되도록 충분히 큰 사이즈의 너트여야 한다.
또한, 너트1(25) 및 너트2(26)와 본체(18)의 사이에는 와셔(27, 28)가 더 구성된다.
또한, 냉수관(2)과 온수관(3) 사이의 설치 간격(도 2의 101)은 수전구(4) 제조회사의 권장 간격이 150mm~250mm이므로, 설치 공(19)의 좌우 폭(도 3의 103)은 모든 욕실 수전구의 양 아답터가 내재되어 설치 가능하도록, 상기 250mm보다 더 길게 하여, 모든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수전구(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물품 고정대(17)는 수전구(4)와 벽체(1)의 사이에 설치 및 고정이 된다.
그리고, 물품 고정대(17) 타단의 체결공(20)의 앞쪽에는 고정하고자 하는 물품(22)을 배치하고, 나사(23)로 물품(22)과 체결공(20)을 결속하고, 체결공(20)의 후방에서 너트(24)로 나사(23)와 체결하여, 물품(22)이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 고정이 된다.
상기와 같이, 물품 고정대(17)는 벽체(1)의 손상 없이도 물품(22)을 수전구(4)의 인근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외부의 비교적 강한 힘을 받더라도 고정된 물품(22)이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수전구(4)에서 물품 고정대(17)를 다시 제거하더라도 수전구(4)에는 손상이나 흔적이 남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에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가 더 구성되고,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의 둘레에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와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에는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하기 위한 동일한 형태의 연결관1a(31)와 연결관1b(32)를 별도로 더 설치하고, 연결관1a(31)와 연결관1b(32)의 양단의 둘레에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을 배치하며,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와 물품 고정대(17) 사이에는 와셔(27, 28)가 배치된다.
그리고,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3, 34)이 형성되어,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체결가능하게 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암나사산(35, 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산(35, 36)부의 외주면에는 렌치를 걸어 돌릴 수 있게 하는 다각형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의 각각의 중간 단에는 턱(45, 46)을 형성하여, 턱(45, 46)이 와셔(27, 28)에 걸리고, 와셔(27, 28)는 설치 공(19)의 둘레의 본체(18)에 맞닿게 되며,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를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체결함으로써, 물품 고정대(17)가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와 함께 벽체(1)에 고정된다.
그리고, 수전구(4)의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와 연결하고,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를 연결 조립하면, 물품 고정대(17)가 별도로 설치된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의 둘레에 설치 및 고정이 되는 것이다.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는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가 사용되지 않은 도 4 내지 도 6의 물품 고정대(17) 보다 더 용이하게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매립된 냉수관(2) 및 온수관(3)은 벽체(1) 표면의 타일 등의 마감 작업에 따라서, 벽체(1) 표면과 냉수관(2) 및 온수관(3)의 말단부의 매립 깊이가 다르게 되어, 냉수관(2) 및 온수관(3)의 말단부가 벽체(1) 표면의 안쪽에 구성되는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벽체(1) 안쪽의 냉수관(2) 및 온수관(3)에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직접 체결할 경우, 체결한 후에,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각 수나사(13, 14)부의 남는 부분이 짧아지게 되므로, 물품 고정대(17)와 너트(도 4 내지 도 7 참조)의 배치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물품 고정대(17)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그러므로, 연결관1a(31) 및 연결관1b(32)를 사용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냉수관(2) 및 온수관(3)이 벽체(1) 표면의 안쪽에 구성되는 경우나, 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냉수관(2) 및 온수관(3)이 벽체(1) 표면에 구성되는 경우에 관계없이, 모든 욕실의 냉수관(2) 및 온수관(3)과 수전구(4)에 물품 고정대(17)의 설치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된다.
도 9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수전구본체(5)의 사이에 연결관2a(40) 및연결관2b(41)가 더 구성되고,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가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둘레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둘레에 설치되는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구(4)에서 수전구본체(5)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를 분리하고, 그 사이에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를 더 구성하여 수전구본체(5)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를 연결하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일단의 둘레에는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이 배치되며, 설치 공(19)의 앞 뒤쪽에는 다수의 와셔(27, 28, 29, 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각 일단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각 일단과 연통되게 체결되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각각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에 체결되도록 수나사산(43, 44)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각각의 중간 단에는 턱(45, 46)을 형성하고, 턱(45, 46)에는 두 와셔(29, 30)가 끼워져 걸리고, 두 와셔(29, 30)는 설치 공(19)의 후부 둘레의 본체(18) 면에 맞닿게 되며,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수전구본체(5)의 두 체결너트(10a, 10b)를 체결함으로써, 물품 고정대(17)가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수전구본체(5)의 사이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과, 도 7은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 설치할 경우에, 수전구본체(5)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모두 분해하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해야 했다.
하지만, 도 9와 도 10과 같이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를 사용하여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할 경우에는, 단지 수전구본체(5)만 분리하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하므로,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작업이 보다 간단해 지고 빠르게 끝내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1은 일측에 개구부(4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복수의 설치 공(19)이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복수의 설치 공(19)이 형성되고, 각각의 설치 공(19)에는 복수의 개구부(4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에는 일측에 개구부(48)를 형성하거나, 아답터1(6) 및 아답터2(7)가 각각 설치되도록 설치 공(19)을 복수개로 구성하거나, 또는 복수의 설치 공(19) 각각에 개구부(48)를 구성하여 또 다른 형태의 물품 고정대(1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제시된 물품 고정대(17)의 기능과 역할은 도 3 내지 도 7의 물품 고정대(17)와 동일하므로 도 11 내지 도 13의 물품 고정대(17)의 설명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7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생략한다.
도 14는 본체(18)의 일단이 설치 공(19)을 포함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두 부분의 각 각에는 상호 체결이 되는 버클(50,원안)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버클(50)이 체결된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공(19)을 포함한 본체(18)의 일단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나누어진 양 측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버클(50)이 형성되어 있다.
버클(50)의 일측은 체결돌기(51)를 형성한 복수의 숫체결부(52)가 본체(18)와 일체로 형성되고, 버클(50)의 타측은 숫체결부(52)가 결속되는 다수개의 홈(53)을 형성한 복수의 암체결부(54)가 본체(1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돌기(51)가 체결되는 홈(53)은, 욕실마다 각각의 사이즈가 다른 수전구(4)의 양단의 폭에 맞춰서 체결이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다수개의 홈(53)이 상부와 하부로 나열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의 장점을 설명하면, 도 3과 도 4의 물품 고정대(17)와 다르게 수전구(4)의 어떠한 부분도 분해하지 않으면서, 본 물품 고정대(4)를 수전구(4)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버클(50)이 형성된 분리된 물품 고정대(17)의 양단을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양측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밀어 버클(50)이 체결되게 함으로서,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가 수전구(4)에 설치 및 고정이 되는 것이다.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설치되되, 커버(8, 9)의 앞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는 수전구(4)를 분해할 필요없이, 또한 도구없이 직접 손으로 수전구(4)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물품 고정대(17) 및 버클(50)은 탄성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수전구(4)에서 본 물품 고정대(17)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22)을 제거한 체결공(20) 부분을 강하게 쥐고 세게 잡아 당기면, 탄성재의 버클(50)이 다시 풀리며, 물품 고정대(17)가 처음과 같이 설치 공(19)을 포함하여 다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수전구(4)에서 분리가 된다.
도 16은 삽입부재(57)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로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는 돌출된 삽입부재(57)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재(57)에다 물품(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수납부재(도면 미도시)를 상기 삽입부재(57)에 삽입 고정하여서, 물품이 수전구(4)에 설치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 설치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도 17은 수납부재(58)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로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는 음각으로 형성된 수납부재(58)를 구성하고, 상기 수납부재(58)에다 물품(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삽입부재(도면 미도시)를 상기 수납부재(58)에 내삽 고정하여서, 물품이 수전구(4)에 설치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 설치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도 18은 걸림부(59)가 형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로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 물품(도면 미도시)의 일단에 걸리는 걸림부(59)를 형성하여, 물품을 걸림부(59)에 걸므로서, 물품이 물품 고정대(17)에 설치가 되는 것이다.
도 19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부재(61)를 구성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물품 고정대(17)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파지부재(61)를 구성한 물품 고정대(1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구(4)의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함께 파지하는 파지부재(61)가 구성되는데, 파지부재(61)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후방에 구성되는 후면 막대(62)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전방에 구성되는 전면 막대(63)로 구성된다.
후면 막대(62)의 양단에는 복수의 나사(64)가 지나는 복수의 통공(66)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물품(도면 미도시)이 함께 체결 고정되는 체결공(20)을 구성한 물품 고정대(17)의 연장부가 구성되어 있다.
전면 막대(63)의 양단에는 복수의 나사(64)가 지나는 복수의 통공(65)이 형성되고, 전면 막대(63)와 후면 막대(62)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사이에 두고, 통공(65, 66)을 통하여 나사(64)와 너트(67)에 의해 체결되어,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설치 및 고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의 체결공(20)에 물품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전구(4)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17)의 일 실시예에 관한 설치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전구(4)의 인근에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벽체(1)에서 수전구(4)를 분리한다.
벽체(1)에서 수전구(4)를 분리하려면, 먼저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를 열어 수전구본체(5)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서 분리한다.
그 다음, 아답터1(6) 및 아답터2(7)를 벽체(1)의 냉수관(2)과 온수관(3)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냉수관(2) 및 온수관(3)의 말단부에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을 맞춘다.
그리고,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일단의 수나사부(13, 14)에 체결너트(25, 26)와 와셔(27, 28)를 끼우고,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일단의 수나사부(13, 14)를 설치 공(19)을 통하여 냉수관(2) 및 온수관(3)의 말단부에 체결한 후, 체결너트(25, 26)를 벽체(1) 측으로 체결하여 물품 고정대(17)가 벽체(1)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때, 본래에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각각의 둘레에 구성되었던 커버(8, 9)는, 상기 체결너트(25, 26)에 의해 공간이 좁을 경우 제거하거나 또는 공간이 충분할 경우 원래의 위치에 다시 끼워도 된다.
이어서, 물품 고정대(17)의 타단에는 물품(22)을 고정하되, 나사(23)로 물품(22)과 체결공(20)을 함께 체결하고 너트(24)로 조여 물품(22)이 물품 고정대(17)에 확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한편, 상기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 설치하고 사용하다가, 물품 고정대(17)의 불 필요 시에는, 다시 설치된 물품 고정대(17)를 제거하면 된다.
물품 고정대(17)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설치 시의 역순으로 하여 물품 고정대(17)를 제거하고, 수전구(4)를 처음 상태로 다시 조립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수전구(4)의 인근에 물품(22)을 고정하고자 할 경우,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 설치하고 물품 고정대(17)에 물품(22)을 부착 고정하면, 물품(22)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인근의 벽체(1)에 구멍을 내는 등의 아무런 손상도 입히지 않고 원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서 다시 제거 할 경우에도 수전구(4)에는 일체의 손상이나 흔적을 남기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전구(4)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17)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설치 및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전구(4)의 인근에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전구본체(5)를 분리한다.
수전구(4)에서 수전구본체(5)를 분리하려면, 먼저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를 풀어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서 수전구본체(5)를 분리한다.
그 다음,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를 체결한다.
그리고,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의 턱(45, 46)에 두 와셔(29, 30)를 끼우고, 또 물품 고정대(17)의 설치 공(19)을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에 삽입한다.
이어, 나머지 두 와셔(27, 28)를 설치 공(19) 앞의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에 끼운다.
그 다음,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를 설치 공(19) 앞의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에 체결하면, 체결너트(10a, 10b)가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체결되면서 두 와셔(27, 28)를 물품 고정대(17) 측으로 밀착시키고, 동시에 물품 고정대(17)가 연결관2a(40) 및 연결관2b(41)와 상호 고정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이 된 물품 고정대(17) 타단의 체결공(20)에 물품을 고정하면 물품의 설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 2는 물품 고정대(17)를 설치하기 위하여, 수전구본체(5)의 체결너트(10a, 10b)만 풀어 수전구본체(5)만 분리하므로, 실시예 1의 경우보다, 더 간단하고 수월하게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수전구(4)의 인근에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양분된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를 각각 양손에 쥐고, 수전구(4)의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양 측에서 안쪽을 향하여 양측의 버클(50)이 체결되게 한다.
이때, 설치 공(19)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구성되고 커버의 앞에 위치한다.
또한, 물품 고정대(17)가 아답터1(6) 및 아답터2(7)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양분된 물품 고정대(17)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안 쪽으로 최대한 밀어서, 체결돌기(51)가 홈(53) 중의 하나에 걸리게 하므로서, 버클(50)의 체결시 설치 공(19)과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사이의 유격이 최대한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물품 고정대(17)를 직접 손으로만 수전구(4)에 고정하고, 물품 고정대(17) 타단의 체결공(20)에 물품을 고정한다.
또한, 수전구(4)에서 본 물품 고정대(17)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물품을 제거한 체결공(20) 부분을 강하게 쥐고 세게 잡아 당기면, 탄성재의 버클(50)이 다시 풀리며, 물품 고정대(17)가 처음과 같이 설치 공(19)을 포함하여 다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물품 고정대(17)가 수전구(4)에서 분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버클(50)이 형성된 물품 고정대(17)는 도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손으로 직접 수전구(4)의 아답터1(6) 및 아답터2(7)의 둘레에 설치되므로, 전술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보다 훨씬 수월하게 물품 고정대(17)를 수전구(4)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수전구(4)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17)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 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벽체 2:냉수관 3:온수관 4:수전구
5:수전구본체 6:아답터1 7:아답터2 8:커버1
9:커버2 10a:체결너트 10b:체결너트 11:레버
12:토수구 13:수나사부 14:수나사부 15:수나사부
16:수나사부 17:물품 고정대 18:본체 19:설치공
20:체결공 21:굴곡부 22:물품 23:나사
24:너트 25:너트1 26:너트2 27:와셔
28:와셔 29:와셔 30:와셔 31:연결관1a
32:연결관1b 33:수나사산 34:수나사산 35:암나사산
36:암나사산 40:연결관2a 41:연결관2b 43:수나사산
44:수나사산 45:턱 46:턱 48:개구부
50:버클 51:체결돌기 52:숫체결부 53:홈
54:암체결부 57:삽입부재 58:수납부재 59:걸림부
61:파지부재 62:후면막대 63:전면막대 64:나사
65:통공 66:통공 67:너트

Claims (9)

  1. 욕실 벽체(1)에 매설된 냉수관(2) 및 온수관(3),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에 연결되어 물을 전달하는 아답터1(6) 및 아답터2(7)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연결되는 수전구본체(5)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전구(4)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와 상기 수전구의 인근에 배치되어 물품(22)을 고정하기 위한 본체(18),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상기 수전구에 설치되어 상기 수전구와 고정되는 수전구 고정수단과,
    상기 본체의 타단에는 상기 물품을 부착 내지는 고정하기 위한 물품 고정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설치 공(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과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사이 또는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상기 수전구본체의 사이에는,
    상기 냉수관 및 온수관과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와 상기 수전구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관수단이 더 구성되고,
    상기 설치 공이 상기 연결관수단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공의 일측 내지는 다측에는 개구부(48)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은 상기 설치 공을 포함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누어진 두 부분은 상호 체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나누어진 두 부분의 각각에는 상호 체결이 되는 체결수단(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고정수단은,
    상기 물품을 체결수단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체결 공(20) 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수납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재(57) 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삽입부재를 수납하는 수납부재(58) 이거나,
    또는 상기 물품에 형성된 걸기부재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재(59)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구 고정수단은 상기 아답터1 및 아답터2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수단(6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KR1020110010847A 2011-02-08 2011-02-08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KR2012009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47A KR20120090426A (ko) 2011-02-08 2011-02-08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847A KR20120090426A (ko) 2011-02-08 2011-02-08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426A true KR20120090426A (ko) 2012-08-17

Family

ID=4688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847A KR20120090426A (ko) 2011-02-08 2011-02-08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04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9666A (zh) * 2015-04-07 2015-07-2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用手套悬挂及快干装置
EP3792411A4 (en) * 2018-05-07 2022-01-05 ALONSO ALBA, Ivan ADAPTER DEVICE FOR SHOWERS
KR102606169B1 (ko) * 2023-01-07 2023-11-23 최순자 블록적재지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9666A (zh) * 2015-04-07 2015-07-29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用手套悬挂及快干装置
CN104799666B (zh) * 2015-04-07 2016-08-17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厨用手套悬挂及快干装置
EP3792411A4 (en) * 2018-05-07 2022-01-05 ALONSO ALBA, Ivan ADAPTER DEVICE FOR SHOWERS
KR102606169B1 (ko) * 2023-01-07 2023-11-23 최순자 블록적재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00241T3 (es) Sistema de soporte de accesorios para piscina sobre suelo
KR101603863B1 (ko) 스프링클러의 고정브래킷
CN103841869B (zh) 安装系统
US10188006B2 (en) Bracket mount assembly for light fixtures
KR20120090426A (ko) 수전구에 고정하는 물품 고정대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US9938707B2 (en) Mounting plate for a lavatory body
KR20140103094A (ko) 정수기 필터 탈착 장치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0482672Y1 (ko) 샤워기 호스 연결장치
WO2014054000A1 (en) A mount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n accessory to a surface
KR200433215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0360643Y1 (ko) 전기배선박스에 결합이 용이한 배선관 커넥터
CN210060976U (zh) 一种水塞插拔工装
KR20080097270A (ko) 멀티탭 및 멀티탭 케이스
JP3165037U (ja) 磁力による取り外し防止ねじユニット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101311070B1 (ko) 콘크리트용 거푸집의 체결장치
KR200445089Y1 (ko) 절전형 플러그 어댑터 장치
JP5061684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US11813724B2 (en) Valve seat removal impact driver attachment device
KR20200073405A (ko) 호스 연결구
KR200351804Y1 (ko) 벽걸이 고정구
KR200448435Y1 (ko) 배관 고정 장치
RU2734797C1 (ru) Настенное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е трубопровод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встроенным клапан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