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312A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Google Patents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312A
KR20120090312A KR1020110010674A KR20110010674A KR20120090312A KR 20120090312 A KR20120090312 A KR 20120090312A KR 1020110010674 A KR1020110010674 A KR 1020110010674A KR 20110010674 A KR20110010674 A KR 20110010674A KR 20120090312 A KR20120090312 A KR 2012009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drive shaft
swash plate
roto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65921B1 (en
Inventor
윤영섭
이규호
송세영
김재엽
윤기한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21B1/en
Publication of KR2012009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75Brushes with an additional massa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26Gum massaging brush, i.e. specifically designed for massaging the gu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PURPOSE: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capacity is provided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a crank chamber from increasing while coolants containing oil flow into a suction chamber along a connecting path of a driving shaft, and circulate in a compressor. CONSTITUTION: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capacity comprises a driving shaft(100), a rotor(102), a oil connection bar(140), and an elastic member. The driving shaft comprises a connecting path(130)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tor rotates with the driving shaft. The oil connection bar penetrates the rotor, and moves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driving shaft. The oil connection bar comprises an oil separation path(143) inside. The oil separation path comprises an inlet connected to a crank chamber. The oil connection bar comprises a through hole(144), which connects the oil separation path and the connection path. The elastic member supports the oil connection bar. The inlet of the oil separation path is gradually far from the driving shaft by the elastic member in low speed rotation.

Description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속도에 따라 냉매가 유입되는 통로위치가 가변되어 오일이 섞인 냉매가 원활하게 빠져나가도록 하거나 냉매로부터 오일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nd more particularly, the passage positio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s vari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compressor so that the refrigerant containing oil smoothly escapes or the oil is separated smoothly from the refrigerant. It relates to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having a configuration.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이하 "압축기"라 칭함)(1)은,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를 구비하는 실린더블럭(10)과, 상기 실린더블럭(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하우징(30),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0)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방하우징(50)을 포함하고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pressor") 1 is coupled to a cylinder block 10 having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11 and the front of the cylinder block 10. It includes a front housing 30, and a rear housing 50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block 10.

상기 실린더블럭(10)에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다수개의 실린더보어(1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보어(11)는 원통형상으로, 실린더블럭(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실린더블럭(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1)의 내부에는 피스톤(14)이 각각 설치되어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4)은 원기둥형상이다.The cylinder block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11 for the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radially. The cylinder bores 11 are cylindrical in shap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ylinder block 10, and are substantially formed through the cylinder block 10. In addition, the pistons 14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ylinder bore 11 to linearly reciprocate and compress the refrigerant in the space therebetween. The piston 14 is cylindrical.

그리고 상기 실린더블럭(10)의 전방에는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상기 전방하우징(30)의 후방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블럭(10)과 결합하여 그 사이에서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 상기 크랭크실(31)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4)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기구들이 설치된다.And the front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block 10. The rear side of the front housing 30 is formed concave, it is combined with the cylinder block 10 to form a crank chamber 31 therebetween. Mechanisms for reciprocating the piston 14 are provided inside the crank chamber 31.

또한 상기 실린더블럭(1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50)이 결합된다. 상기 후방하우징(50)은 전면이 열린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블럭(10)과 결합하여 상기 실린더보어(11)로 냉매를 흡수하는 흡입실(51)과 토출실(53)을 형성한다. 상기 실린더블럭(10)과 후방하우징(50) 사이에는, 흡입실(51) 및 토출실(53)을 형성하면서, 실린더보어(11)와 토출실(53) 사이에서의 냉매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7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rear housing 5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block 10. The rear housing 50 is formed with the front face open, and is coupled to the cylinder block 10 to form a suction chamber 51 and a discharge chamber 53 for absorbing the refrigerant into the cylinder bore 11. Between the cylinder block 10 and the rear housing 50, while forming the suction chamber 51 and the discharge chamber 53, to regulat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between the cylinder bore 11 and the discharge chamber 53 The valve assembly 70 is installed.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보어(11)에서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14)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configuration for driving the piston 14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while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n the cylinder bore 11 will be described.

상기 피스톤(14)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원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다. 엔진에서의 구동력이 구동축(20)으로 전달되어 구동축(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20)은 상기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럭(10)의 중앙에 형성된 센터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The driving source for operating the piston 14 is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of the vehicle. The driving force from the engin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20 so that the drive shaft 20 rotates. The drive shaft 20 is coupled to the center bore 1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10 through the shaft hole 32 of the front housing 30, rotatably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Supported.

상기 크랭크실(31)의 내부에는 구동축(20)이 그 중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대략 원판형상의 로터(24)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24)는 구동축(20)의 회전을 따라서 같이 회전한다.Inside the crank chamber 31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disk-shaped rotor 24 to which the drive shaft 20 is coupled and fixed at its center. The rotor 24 rotates along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20.

또한 상기 구동축(20)에는 피스톤(14)을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사판(26)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26)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구동축(20)에 대한 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냉매의 압축을 위한 행정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사판(26)은 구동축(20)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구동축(2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변화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사판(26)은 상기 로터(24)와 힌지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In addition, the drive shaft 20 is provided with a swash plate 26 for linearly reciprocating the piston (14). The swash plate 26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installed to change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20 may change the stroke length for the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That is, the swash plate 26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20 so that the swash plate 26 can be ch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drive shaft 20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20. The swash plate 26 is hinged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or 24.

그리고 직선왕복운동을 수행하는 피스톤(14)의 일측, 즉, 전방에는 사판(26)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20)을 향하여 일부가 열려있는 상기 연결부(18)의 내부에는 한 쌍의 반구 형상의 슈(19)가 설치된다. And one side, that is, the front of the piston 14 performing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ng portion 18 for connection with the swash plate 26. A pair of hemispherical shoes 19 ar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18, which is partially opened toward the drive shaft 20.

상기 사판(26)의 가장자리부분은 상기 연결부(18)의 슈(19)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상기 사판(26)이 회전하면서 그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슈(19)를 지나게 되면, 사판(26)의 경사에 의하여 슈(19)를 구비하고 있는 연결부(18)를 통하여 피스톤(14)이 실린더보어(11)의 내부에서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The edge portion of the swash plate 26 is coupled between the shoe 19 of the connecting portion 18. Therefore, when the swash plate 26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rotates and its edge portion passes the shoe 19, the connecting portion 18 having the shoe 19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swash plate 26. The piston 14 compresses the refrigerant while linearly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bore 11.

상기 구동축(20)에는 상기 로터(24)와 상기 사판(26)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반경사스프링(S)이 설치된다. 상기 반경사스프링(S)은 상기 구동축(20)의 외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판(26)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Radial yarn springs S are installed in the drive shaft 20 to exert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rotor 24 and the swash plate 26. The radial yarn spring (S) is install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20, and exhibi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26 is reduced.

그리고 상기 구동축(20)의 내부에는 연결로(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21)는 구동축(20)의 후단부에서 로터(24)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로터(24)의 내부에는 오일분리통로(2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분리통로(25)는 상기 연결로(21)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오일분리통로(25)는 사판(26)의 가변동작 시, 크랭크실(31)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직경이 결정된다.In addition, a connection path 21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path 21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drive shaft 20 to the portion where the rotor 24 is installed. An oil separation passage 25 is formed in the rotor 24, and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21.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has a diameter determi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31 can be maintained during the variable operation of the swash plate 26.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보어(11) 내로 냉매가 전달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흡입실(51)로는 외부로부터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실(51)로 전달된 냉매는 실린더보어(11) 내부로 전달된다. Next, the refrigerant is transferred into the cylinder bore 11. The refrigerant is sucked into the suction chamber 51 from the outside, and the refrigerant delivered to the suction chamber 51 is transferred into the cylinder bore 11.

그리고, 상기 실린더보어(11)로 전달되어 피스톤(14)의 왕복운동과정에서 압축된 냉매는 상기 밸브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토출실(53)로 전달되고 압축기(1)의 외부로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refrigerant delivered to the cylinder bore 11 and compress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14 is delivered to the discharge chamber 53 through the valve assembly 70 and to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1. .

이러한 과정에서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로터(24)에 형성된 오일분리통로(25)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25)를 통과하는 냉매는 구동축(2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냉매와 같이 있던 오일은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될 것이다. 한편 냉매는 오일분리통로(25)를 통하여 연결로(21)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 In this process, the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flows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formed in the rotor 24.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20. At this time, the oil,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will be recovered to the crank chamber 31 again by centrifugal force. Meanwhile, the refrigerant flows along the connection path 21 through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and passes through the valve assembly 70 to be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51.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는, 로터(24)와 구동축(20)에 서로 연통하는 오일분리통로(25) 및 연결로(21)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오일 분리의 효과는 충분히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기의 고속 운전시, 과도하게 오일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오일의 순환율이 극히 떨어지게 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오일의 점성도 낮아지게 되므로, 압축기(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Since such a conventional compressor forms the oil separation passage 25 and the connection passage 21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on the rotor 24 and the drive shaft 20, the effect of oil separation can be said to be sufficient. However, when the oil is excessively separated during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oil circulation rate is extremely lowered,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and the viscosity of the oil is lowered. Therefore,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1 is lowered. hav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기의 냉각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mpress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로가 형성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크랭크실과 연결되는 입구를 가지는 오일분리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통로와 상기 연결로을 연결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오일연결바아; 그리고 상기 오일연결바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고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에 가까워진 상기 오일분리통로의 입구를 저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오일연결바아를 탄성지지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 shaft which is transmitted by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is rotated, the connection path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or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An oil separation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rotor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has an oil separation passage having an inle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rank chamber, and connecting the oil separation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An oil connection ba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il connecting bar; The elastic means elastically supports the oil connecting bar so that the inlet of the oil separation passage close to the drive shaft at high speed rotates away from the drive shaft at low speed rotation.

상기 오일연결바아는, 상기 로터에 걸어지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il connection bar is composed of a head that is hooked to the rotor, and a body portion that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head, the diameter of the head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오일연결바아의 입구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몸통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로터 사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ans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let of the oil connection bar to the outside, the coil spring is preferably supported between the retainer and the rotor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상기 구동축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과 연통되는 오일공급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는 오일연결바아의 몸통부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oil supply passage is formed in the driving shaf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bar installation hole, and the oil supply passage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arger tha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oil connection bar.

상기 구동축에는 상기 연결로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일통로는 상기 구동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xiliary oil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ath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and the auxiliary oil passage is preferably opened and closed by a bush slid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본 발명에서, 로터에는 구동축을 관통하여 구동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오일연결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오일연결바아에는 구동축의 연결로와 연통되는 오일분리통로가 형성되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오일분리통로의 입구가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져 오일이 함유된 냉매가 상기 오일분리통로를 통해 구동축의 연결로를 따라 흡입실로 유입되어 압축기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실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압축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oil connection bar is installed in the rotor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ive shaft through the drive shaft, and the oil connection bar is formed with an oil separat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connection path of the drive shaft, so that the oil is operated at high speed. As the inlet of the separation passage approaches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the oil-containing refrigerant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along the connection path of the drive shaft through the oil separation passage and circulates inside the compressor. Therefore, sinc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rankcase is prevented from ris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urability of the compressor is improve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swash plate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작용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판의 경사각도 조절과 관련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하다. 따라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clination angle adjustment of the swash plate constitu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related to the inclination angle control of the swash plate, except for this structure is the sam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구동축(100)은 긴 바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00)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100)은, 전방하우징(30)의 축공(3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록(10)의 센터보어(13)에 결합되어, 상기 엔진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기초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drive shaft 100 is formed in a long bar shape. The drive shaft 100 is rotated by the transmission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The drive shaft 100 is coupled to the center bore 13 of the cylinder block 10 through the shaft hole 32 of the front housing 30, is rotatably supported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상기 구동축(100)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로터(102)가 설치된다. 상기 로터(102)는 구동축(100)에 그 중심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102)는 상기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한다. 상기 로터(102)의 일측에는 힌지아암(10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The drive shaft 100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disk-shaped rotor 102. The rotor 102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drive shaft 100 is coupled. Therefore, the rotor 102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0. The hinge arm 104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rotor 102.

그리고 상기 구동축(100)에는 피스톤(14)을 직선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사판(110)이 설치된다. 상기 사판(110)은 상기 로터(10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각도가 변한다. 상기 사판(110)은 상기 로터(102)의 힌지아암(104)과 연결되는 연결아암(114)이 형성된 허브(112)와, 상기 허브(112)의 둘레에 설치되는 사판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아암(114)과 힌지아암(104)은 힌지핀(P)에 의하여 연결되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P)은 힌지아암(104)의 슬롯(104')에 연결되는데, 이는 상기 사판(110)의 각도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d the drive shaft 100 is provided with a swash plate 110 for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14). The swash plate 110 is rotated with the rotor 102 and the angle changes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00. The swash plate 110 includes a hub 112 having a connecting arm 114 connected to the hinge arm 104 of the rotor 102, and a swash plate 116 installed around the hub 112. do. The connecting arm 114 and the hinge arm 104 are connected by a hinge pin (P)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Here, the connecting pin (P) is connected to the slot 104 'of the hinge arm 104, which is to accommodate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110).

상기 구동축(100)에는 상기 사판(1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120)가 설치된다. 상기 부시(120)는 상기 구동축(100)에 대한 사판(110)의 경사각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시(120)는 상기 사판(110)이 최대경사각으로 변위될 때, 상기 로터(102)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즉, 상기 사판(110)이 최대경사각으로 변위될 때, 상기 허브(112)는 부시(12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하게 되고, 상기 부시(120)는 상기 로터(10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The drive shaft 100 is provided with a bush 120 to which the swash plate 110 is rotatably coupled. The bush 120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to accommodate the inclination angle displacement of the swash plate 110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00. The bush 120 slides toward the rotor 102 when the swash plate 110 is displac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That is, when the swash plate 110 is displaced at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the hub 112 is changed in angle with respect to the bush 120, and the bush 120 is moved toward the rotor 102.

그리고 상기 로터(102)와 상기 사판(110) 사이에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반경사스프링(S)이 설치된다. 상기 반경사스프링(S)은 상기 구동축(100)의 외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사판(110)의 경사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서 반경사스프링(S)은 코일 스프링이다.And radial yarn spring (S) is installed to exert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rotor 102 and the swash plate 110. The radial yarn spring S is install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shaft 100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110 decre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al yarn spring S is a coil spring.

상기 구동축(100)의 내부에는 연결로(1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130)는 상기 구동축(100)의 후단부로부터 로터(102)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130)는 오일이 분리된 냉매 또는 오일이 흡입실(51)로 이동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path 130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path 130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drive shaft 100 to a portion where the rotor 102 is installed. The connection path 130 serves as a passage to move the refrigerant or oil from which the oil is separated to the suction chamber 51.

상기 로터(102)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바아설치공(132)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아설치공(132)은 아래에서 설명될 오일연결바아(14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아설치공(132)의 내주면은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rotor installation hole 132 is formed in the rotor 10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e bar installation hole 132 is a portion in which the oil connection bar 140 to be described below is movab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 installation hole 132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2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상기 구동축(100)에는 오일공급통로(134)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132)과 연통된다.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오일연결바아(140)의 관통공(144)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를 통해 상기 연결로(130)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 oil supply passage 134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100. The oil supply passage 134 penetrate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bar installation hole 132. The oil supply passage 134 is formed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2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This is to allow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to smoothly flow into the connection path 130 through the oil supply passage 134.

상기 바아설치공(132)에는 오일연결바아(14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상기 로터(102)에 걸어지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41)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The bar installation hole 132 is installed so that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movable.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e oil connecting bar 140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141 is hooked to the rotor 102, and a body portion 142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head portion 141.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141 is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42.

상기 몸통부(142)의 내부에는 오일분리통로(143)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몸통부(1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크랭크실(31)과 연통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된다. An oil separation passage 143 is formed inside the body 142.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42.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communicates with the crank chamber 31.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is a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is introduced.

상기 몸통부(142)에는 상기 몸통부(142)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공(144)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44)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와 연통된다. 상기 관통공(144)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상기 연결로(130)로 유입되도록 통로 역할을 한다.The body portion 142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hole 144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42. The through hole 144 communicates with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The through hole 144 serves as a passage so that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flows into the connection passage 130.

상기 머리부(141)와 반대되는 상기 몸통부(142)의 타측에는 리테이너(150)가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150)는 상기 오일연결바아(140)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코일스프링(160)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A retainer 150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42 opposite to the head 141. The retainer 150 serves to support the coil spring 160 to be described below, while preventing the oil connecting bar 1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tor 102.

상기 몸통부(142)에는 코일스프링(160)이 설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로터(102)와 상기 리테이너(15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일단은 상기 로터(10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리테이너(150)에 지지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body spring 142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160. The coil spring 160 is located between the rotor 102 and the retainer 150. One end of the coil spring 160 is supported by the rotor 102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retainer 150. The coil spring 160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d 141 is close to the rotor 102.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된 상태에서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된 냉매가 포함된 오일은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된다.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0 in a state in which a refrigerant containing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is introduced during low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t this time, the oil containing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recovered back to the crank chamber 31 by centrifugal force.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는데,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가까워진 상태이므로, 오일이 섞인 냉매가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144)을 통해 오일공급통로(134)로 빠져나와 상기 연결로(130)로 이동한다. 상기 연결로(130)를 통해 이동한 냉매는 상기 흡입실(51)로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되면, 오일의 순환율이 높아져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And, as shown in Figure 3, during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oil connecting bar 140, the head 141 of the oil connecting bar 140,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60 by the centrifugal force )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or (102). At this time, the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is introduced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the inlet 143 'of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is Since the state clos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the oil-mixed refrigerant flows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and exits the oil supply passage 134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to the connection path ( Go to 130). The refrigerant moved through the connection path 130 exits to the suction chamber 51. In this way, the circulation rate of oil becomes high and the temperature is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100)에는 연결로(130)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200)가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는 상기 구동축(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조오일통로(140)는 부시(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oil path 200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100 to communicate with the connection path 130. The auxiliary oil passage 200 extend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The auxiliary oil passage 140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bush 120.

상기 압축기가 최대 고속 운전시 상기 사판(110)이 최소 경사각 상태가 되면,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를 통해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흡입실(51)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보다 더 가까운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를 통해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빠져나가므로, 오일의 순환율이 높아져 압축기의 최대 고속 운전 시에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When the swash plate 110 is in the minimum inclination angle state at the maximum high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through the auxiliary oil passage 200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C) shown in FIG. 4 is included.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51. As such, the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auxiliary oil passage 200 closer than the inlet 143 ′ of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The higher exchange rate prevents excessively high temperatures during maximum high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압축기에서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축(100)이 회전되면, 상기 로터(102)가 함께 회전한다. 상기 로터(102)의 회전은 상기 힌지아암(104)과 연결아암(114)으로 연결된 사판(110)의 회전을 만들어 낸다.In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when the drive shaft 100 is rotated, the rotor 102 rotates together. Rotation of the rotor 102 produces rotation of the swash plate 110 connected to the hinge arm 104 and the connecting arm 114.

이때,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 상기 크랭크실(31)의 압력인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상기 사판(110)이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최대경사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compressor operates at a low speed, when the control valve, which is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31, is relatively low, the swash plate 110 is inclined to have a maximum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00.

이와 같이 되면,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구동축(100)의 회전을 따라서 같이 회전되는데, 이때, 냉매와 같이 있던 오일은 상대적으로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된다. 한편, 냉매는 관통공(144)을 통하여 연결로(130)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 In this case, the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flows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shown in FIG. 2. do.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100. At this time, the oil, which was together with the refrigerant, is recovered to the crank chamber 31 by relatively centrifugal force. Meanwhile, the refrigerant flows along the connection path 130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and passes through the valve assembly 70 to be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51.

한편,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 상기 크랭크실(31)의 압력이 상기 제어밸브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판(110)이 상기 구동축(100)에 대해 최소경사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10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6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머리부(141)가 상기 로터(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오일분리통로(143)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during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f the pressure of the crank chamber 31 is relatively increased by the control valve, as shown in Figure 3, the swash plate 110 is the minimum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 100 Will have In this state, when the drive shaft 10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oil connecting bar 140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60 by centrifugal force, and the head of the oil connecting bar 140. 14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otor 102. In this case,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143 ′ is close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이때, 상기 크랭크실(31)에 잔류하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로 유입되어 상기 관통공(144)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144)을 통과한 오일이 섞인 냉매는 상기 연결로(130)를 따라 흐르게 되어, 밸브어셈블리(70)를 통과하여 흡입실(51)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refrigerant containing the oil remaining in the crank chamber 31 flows into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hown in FIG. 144). The refrigerant mixed with the oil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44 flows along the connection path 130, and passes through the valve assembly 70 and is discharged into the suction chamber 51.

이와 같이, 압축기의 고속 운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100)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가까워진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를 통해 크랭크실(31)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이 포함된 냉매가 상기 흡입실(51)로 배출되면서 압축기의 내부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이 방지되고, 압축기의 저속 운전 시에는 상기 구동축(100)을 중심으로 입구(143')가 멀어진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오일분리통로(143)를 통해 원심력에 의하여 다시 크랭크실(31)로 회수되므로, 크랭크실(31) 내부에 오일이 충분히 머무를 수 있게 된다.As such, during high-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inlet 143 ′ is retained in the crank chamber 31 through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of the oil connecting bar 140 near the inlet 143 ′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As the refrigerant containing oil is discharged to the suction chamber 51,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s prevented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inlet 143 ′ is formed around the drive shaft 100 during the low speed operation of the compressor. Since the oil separation path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far away is recovered back to the crank chamber 31 by centrifugal force, the oil can remain sufficiently inside the crank chamber 31.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0: 구동축 102: 로터
110: 사판 112: 허브
116: 사판플레이트 120: 부시
130: 연결로 132: 바아설치공
134: 오일공급통로 140: 오일연결바아
141: 머리부 142: 몸통부
143: 오일분리통로 144: 관통공
150: 리테이너 160: 코일스프링
100: drive shaft 102: rotor
110: Saphan 112: Hub
116: swashplate 120: bush
130: connection 132: bar installer
134: oil supply passage 140: oil connection bar
141: head 142: body
143: oil separation passage 144: through hole
150: retainer 160: coil spring

Claims (5)

엔진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로(130)가 형성되는 구동축(100)과;
상기 구동축(1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로터(102);
상기 로터(102)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축(10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크랭크실(31)과 연결되는 입구(143')를 가지는 오일분리통로(143)가 형성되며,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와 상기 연결로(130)을 연결하는 관통공(144)이 형성되는 오일연결바아(140); 그리고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수단은, 고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100)에 가까워진 상기 오일분리통로(143)의 입구(143')를 저속회전 시 상기 구동축(100)에서 멀어지도록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를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 drive shaft 100 to which the driving force transmitted from the engine is transmitted and rotates, and the connection path 13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tor (102)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100);
An oil having an inlet 143 'installed through the rotor 102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1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crank chamber 31; An oil connection bar 140 having a separation passage 143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144 for connecting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and the connection path 130 to each other; And
It comprises an elastic mean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il connecting bar 140;
The elastic means elastically supports the oil connecting bar 140 so as to move away from the drive shaft 100 at the low speed rotation the inlet 143 'of the oil separation passage 143 near the drive shaft 100 at high speed rotatio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연결바아(140)는,
상기 로터(102)에 걸어지는 머리부(141)와,
상기 머리부(141)로부터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통부(142)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141)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14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oil connection bar 140,
A head 141 which is hooked on the rotor 102,
Consists of a body portion 142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head 141,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14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142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오일연결바아(140)의 입구(143')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0)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160)은 상기 몸통부(142)에 설치되는 리테이너(150)와 상기 로터(102) 사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astic means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16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inlet 143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to the outside, the coil spring 160 is a retainer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42 Variable capacity type swash plat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between the 150 and the rotor (10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0)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바아설치공(132)과 연통되는 오일공급통로(134)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공급통로(134)는 오일연결바아(140)의 몸통부(142)의 외주면보다 더 큰 내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oil supply passage 134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100 to communicate with the bar installation hole 13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il supply passage 134 of the oil connection bar 140 is formed.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ner peripheral surface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42).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0)에는 상기 연결로(130)와 연통되는 보조오일통로(20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오일통로(200)는 상기 구동축(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시(120)에 의해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auxiliary oil passage 200 is formed in the drive shaft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ion path 130, the auxiliary oil passage 200 by the bush 1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100.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KR1020110010674A 2011-02-07 2011-02-07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765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en) 2011-02-07 2011-02-07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en) 2011-02-07 2011-02-07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312A true KR20120090312A (en) 2012-08-17
KR101765921B1 KR101765921B1 (en) 2017-08-07

Family

ID=4688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674A KR101765921B1 (en) 2011-02-07 2011-02-07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92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67A1 (en) * 2014-11-13 2016-05-19 학교법인 두원학원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60104400A (en) * 2015-02-26 2016-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essure control device of crank chamber for variable swash platecompressor
KR20190113024A (en) * 2018-03-27 2019-10-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20200021616A (en)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506B1 (en) * 2018-09-14 2019-11-26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Rotor with oil separation function and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KR102182775B1 (en) * 2019-02-15 2020-11-25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Variable swash plate type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31B1 (en) 2007-11-22 2009-03-06 학교법인 두원학원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refrigerant flowing function in driving shaft
JP4924464B2 (en) 2008-02-05 2012-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Swash plate compress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67A1 (en) * 2014-11-13 2016-05-19 학교법인 두원학원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60104400A (en) * 2015-02-26 2016-09-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essure control device of crank chamber for variable swash platecompressor
KR20190113024A (en) * 2018-03-27 2019-10-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20200021616A (en)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921B1 (en)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711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9309874B2 (en)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120090312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541998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JPH01310181A (en) Movable slant plate type compressor
KR101692562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5140402B2 (en) Swash plate compressor
KR101193268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60041128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N111656012B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10035597A (en) A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843756B1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20040582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1769420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oil separator
KR20200009555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20121482A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10040207A (en)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of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20110098215A (en) Check valve of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230071955A (en)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with variable refrigerant drain structure in response to amount of stroke of swashplate
JP2017160832A (en) Variable capacity type swash plate compressor
JP2010024892A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193403B1 (en)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US9790936B2 (en)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compressor
KR102087676B1 (en) Minimum swash plate angle holding device of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KR20240048134A (en)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