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218A -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218A
KR20120088218A KR1020110009421A KR20110009421A KR20120088218A KR 20120088218 A KR20120088218 A KR 20120088218A KR 1020110009421 A KR1020110009421 A KR 1020110009421A KR 20110009421 A KR20110009421 A KR 20110009421A KR 20120088218 A KR20120088218 A KR 2012008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ire portion
air pressure
space structure
in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110009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218A/en
Publication of KR2012008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2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 B60C5/2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having multiple separate inflatable chambers the chambers being ann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4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utilising additional non-inflatable supports which become load-supporting in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ple space structure safety tire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secure the safety though a tire is damaged while driving and fill the whole space of a tire with the air at once. CONSTITUTION: A multiple space structure safety tire for a vehicle comprises an inner tire portion(20), an outer tire portion(10), and a fluid inlet and outlet control unit(22, 24). The inner tire portion and the outer tire portion comprise inner and outer spaces respectively and the inner tire portion and the outer tire portion are separated with each other. The outer tire portion comprises an air injection port. The fluid inlet and the outlet control unit are formed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inner tire portion and the outer tire portion. The opening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control unit are controlled based on the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Description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Safety tires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타이어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obile tir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having a multi-space structure for automobiles, which can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ire damage of automobiles.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자동차의 휠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며, 엔진의 구동력 및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노면에 전달하고, 또한 노면으로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유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the tire surrounds the wheel of the vehicle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vehicle,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and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to the road surface, and also serves to mitigate the shock applied to the body from the road surface, an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car. Or to maintain the function.

이러한 4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 타이어는 도 4에 도면번호 101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고무층(103), 브레이커 또는 벨트(105), 카카스부(107), 비드부(109) 및, 튜브(110)로 이루어져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se four basic functions, the tire is largely labeled with reference numeral 101 in FIG. 4, and includes a rubber layer 103, a breaker or a belt 105, a carcass part 107, a bead part 109, and It consists of a tube (110).

여기에서 각각의 부분들은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즉, 고무층(103)은 직접 노면과 접하는 트레드부, 주행중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하도록 트레드부 측면에 형성된 숄더부, 트레드부에서 비드까지의 카카스부를 보호하기 위한 사이드 월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케이커 또는 벨트(105)는 트레드와 카카스 사이에 삽입된 코드층으로 카카스와 트레드 사이에 발생하는 박리현상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Each of these parts can be subdivided as follows: That is, the rubber layer 103 is composed of a tread portion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 shoulder por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tread portion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tire while driving, and a side wall portion for protecting the carcass portion from the tread portion to the bead, The breaker or belt 105 is a cord layer inserted between the tread and the carcass to prevent peeling occurring between the carcass and the tread and has a function of mitigating an external shock.

또한, 카카스(107)는 타이어(101)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적정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장의 고무 피복 코드를 겹쳐서 만든 것이다. 그리고 비드부(107)는 타이어(101)의 공기압에 대항하여 카카스(107)의 끝부분을 지지하며, 타이어(101)를 휠 림(11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어의 튜브(110)는 타이어(101)의 공기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arcass 107 is to maintain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101, has an appropriate strength, and is made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rubber coating cords. The bead 107 supports the end of the carcass 107 against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1, and serves to fix the tire 101 to the wheel rim 111. The tube 110 of the tire is for maintain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101.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타이어(101)는 차량 운행시 튜브(110)에 실펑크가 난 경우 타이어(101)에서 조그맣게 바람이 새게 되면 노상에서 타이어를 교체하여야 하며, 만일 스페어 타이어를 준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면 주행을 계속해서 할 수 없는 중대한 곤란에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tire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o replace the tire on the road if the tire 101 leaks a little wind when the tube 110 is punctur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f no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erious difficulty in not being able to continue driving.

또한, 주행중 튜브(110)가 완전히 터져 타이어(101)에 갑작스러운 손상이 오는 경우에는 위의 상황보다 훨씬 더 위험한 상황에 봉착하게 되며, 주행의 계속 여부는 차치하고 운전자 등이 대형사고를 당할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또한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ube 110 is completely blown while driving, sudden damage to the tire 101 comes to face a much more dangerous situation than the above situation, apart from continuing to drive the risk of large accidents such as the driver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could fall int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주행 중 타이어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회의 공기 주입 조작으로 공간적으로 구획되어 있는 부분 모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safety even if the tire damage occurs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as well as spatially partitioned by one air injection operation All the provisions are to provide a multi-space safety tire for a vehicle in which air can be injected.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내측 타이어 부분과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의 외주부에 제공되되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과 유체적으로 차단되게 제공되어 있는 외측 타이어 부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타이어로서, 상기 외측 타이어 부분에 공기 주입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외측 타이어 부분과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이 접합되어 있는 내측 타이어 부분의 외주면에 외측 타이어 부분의 공기 압력에 따라 개폐 조작되는 유체 출입 조작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를 제공한다.A tire for an automobile comprising an inner tire portion and an outer tire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tire portion and provid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tire portion, wherein the outer tire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The safety tire of the multi-spatial structure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inlet operation portion that is opened and closed to operate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ire portion to which the outer tire portion and the inner tire portion are joined. to provide.

상기 유체 출입 조작부는 내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외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구성을 갖는다.The fluid entry and closing portion is clos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ortion, and has a configuration that is open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출입 조작부는 외측 고정부와 내측 유동부를 가져서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외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공기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내측 유동부가 개방되어 내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공기 압력과 외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공기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내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압력이 외측 타이어 부분의 내부 압력보다 크거나 같아지게 되면 내측 유동부가 원위치 복원되어 폐쇄된다.More preferably, when the fluid inflow operation portion has an outer fixing portion and an inner flow portion so that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is increased by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inlet, the inner flow portion is opened to open the inner tire portion. It remains open until the air pressure and the inner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are equal, and 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ortion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the inner flow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losed.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는 외측 타이어 부분의 공기압에 따라 내측으로만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자동차의 주행 중 타이어의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내측 타이어 부분이 별도로 그 역할을 할 수 있어 안전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1회의 공기 주입 조작으로 구획된 모든 공간의 타이어 부분에도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를 가져 편리성 또한 도모한다.Since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ir is injected only inwards according to the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even if the tire is damag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inner tire part can play its role separately, thereby promoting safety. In addition, the air is also supplied to the tire parts of all the spaces partitioned by one air injection opera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의 공기 주입시 외측 타이어 부분에 공기 주입에 따른 내측 타이어 부분의 공기 주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tire of a multi-space structur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afety tire of a multi-space structur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ir injection process of the inner tire portion according to the air injection to the outer tire portion during the air injection of the safety tire of the multi-space structure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safety tire of a multi-spac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exemplary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타이어의 공기 주입시 외측 타이어 부분에 공기 주입에 따른 내측 타이어 부분의 공기 주입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ir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air injection to the outer tire portion during the air injection of the automobi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a view showing the air injection process of the inner tire portion according.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 타이어는 다중의 공간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중의 공간 구조를 갖는 타이로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의 하나의 예로서 설명된 이중의 공간 구조로부터 그 이상의 다중의 공간 구조를 갖는 타이어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1 to 3 together, the vehicle safety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ple spac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tie having a double space structure is describ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are familiar with the present disclosure may also consider tires having more than one multiple spatial structure from the dual spatial structure described as one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다중의 공간 구조를 갖는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t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multiple spatial structure as mentioned above.

이러한 다중 공간 구조의 타이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구획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부에 제공되어 있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외측 타이어 부분(10)은 공간적으로 구획되어 있을 뿐이며, 전체적으로 하나의 타이어에 일체로 구성된다.The tire having such a multi-space structure includes an inner tire portion 20 having a space partitioned therei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n outer tire portion 10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The inner tire portion 20 and the outer tire portion 10 are only spatially partitioned, and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tire as a whole.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타이어(1)의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외측 타이어 부분(10)은 평상시에는 상호 유체적으로 차단되게 구성된다.The inner tire portion 20 and the outer tire portion 10 of the tire 1 having such a structure are usually configured to be fluidly blocked with each other.

공기 주입구는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외측 타이어 부분(1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이러한 공기 주입구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에만 제공되어 있다.The air inlet may be formed in either or both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and the outer tire portion 10. Howev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air inlet is provided only in the outer tire portion 10.

외측 타이어 부분(10)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 주입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주입된 공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타이어 부분(10)과 내측 타이어 부분(20)이 접합되어 있는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를 통해 내측 타이어 부분(20)에 전달 공급된다.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inlet (not shown) provided in the outer tire portion 10 is inner tire portion 20 to which the outer tire portion 10 and the inner tire portion 20 are joined as shown. It is supplied to the inner tire part 20 via the fluid inlet / out part 22 and 24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러한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에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따라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구성을 갖는다. These fluid access control units 22 and 2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have a structure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pressure of the air injected into the outer tire portion 10. That is, the fluid in / out operation part 22 and 24 are clos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art 20, and have the structure open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10. As shown in FIG.

보다 상세하게, 이러한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즉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이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 보다 크거나 같을 때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손상이 발생하여 터지더라도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은 그대로 유지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안전을 담보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such fluid access control units 22 and 24 are normally as shown in FIG. 2, that is,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art 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10. It remains closed. In this state, even if damage occurs in the outer tire portion 10,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is maintained as it is to ensure safety to the vehicle occupant.

한편, 타이어(1)에 공기를 주입할 때에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 주입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서만 공기가 주입되어,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면에 제공되어 있는 유체 출입 조작부(22, 24)가 작동하여 개방되면서 외측 타이어 부분(10)으로부터의 주입된 공기가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njecting air into the tire 1, the air is injected only through an air inlet (not shown) provided in the outer tire part 10, so that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10 increases. do.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er tire part 1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ire part while the fluid access control units 22 and 24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ire part 20 are operated and opened. It is delivered to the inside of 20.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외측 고정부(22)와 내측 유동부(24)를 갖게 된다. 내측 고정부(22)는 공기압이 가해져도 움직임의 가능성이 거의 없는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고, 외측 고정부(24)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 상승에 따라 내측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내측 유동부(24)는 적어도 일부에 유동부를 갖는다.For such a configuration, the fluid entry and exit manipulation units 22 and 24 have an outer fixing portion 22 and an inner flow portion 24 outward as shown in FIG. 3. The inner fixing portion 22 is made of a hard material with little possibility of movement even when air pressure is applied, and the outer fixing portion 24 can operate inward as the inner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10 rises. Has Thus, the inner flow portion 24 has a flow portion at least in part.

이러한 유체 출입 조작부(22, 24)의 구성에 의해 외측 타이어 부분(10)으로의 공기의 1회 주입으로 내측 타이어 부분(20)까지 공기가 주입되게 하고,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손상에 의해서도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이 유지되어 적어도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구성에 의해 차량 탑승자는 타이어 손상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fluid entry and exit operation units 22 and 24 allows air to be injected into the inner tire portion 20 by one injection of air into the outer tire portion 10, and also by damage to the outer tire portion 10.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is maintained to serve to prevent damage to at least the inner tire portion 20. As a result, this configuration enables the vehicle occupant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from tire damag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 : 타이어
10 : 외측 타이어 부분
20 : 내측 타이어 부분
22 : 외측 고정부
24 : 내측 유동부
1: tire
10: outer tire part
20: inner tire part
22: outer fixing part
24: inner flow part

Claims (3)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부에 제공되되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20)과 유체적으로 차단되게 제공되어 있는 외측 타이어 부분(10)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타이어(1)로서,
상기 외측 타이어 부분(10)에 공기 주입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외측 타이어 부분(10)과 상기 내측 타이어 부분(20)이 접합되어 있는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외주면에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공기 압력에 따라 개폐 조작되는 유체 출입 조작부(22, 24)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
An automotive tire 1 comprising an inner tire portion 20 and an outer tire portion 10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and provided to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tire portion 20. as,
The outer tire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air inlet, and the outer tire portion 10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to which the outer tire portion 10 and the inner tire portion 20 are joined. A safety tire having a multi-space structure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by providing fluid access control units (22, 24) that open and close according to air press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폐쇄되고,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2. The fluid inlet / out part 22, 24 is clos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art 20, and has the structure opened by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10. Safety tire of multi-space structure for car to us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출입 조작부(22, 24)는 외측 고정부(22)와 내측 유동부(24)를 가져서 상기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내측 유동부(24)가 개방되어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공기 압력과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공기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내측 타이어 부분(20)의 내부 압력이 외측 타이어 부분(10)의 내부 압력보다 크거나 같아지게 되면 내측 유동부가 원위치 복원되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의 다중 공간 구조의 안전 타이어.3. The outer tire portion (10)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uid entry and exit manipulation portions (22, 24) have an outer fixing portion (22) and an inner flow portion (24) and are injected through the air inlet. When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creases, the inner flow part 24 is opened to remain open until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art 20 is equal to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art 10. And, when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tire portion 20 become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pressure of the outer tire portion 10, the inner flow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closed.
KR1020110009421A 2011-01-31 2011-01-31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KR20120088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21A KR20120088218A (en) 2011-01-31 2011-01-31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21A KR20120088218A (en) 2011-01-31 2011-01-31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18A true KR20120088218A (en) 2012-08-08

Family

ID=4687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21A KR20120088218A (en) 2011-01-31 2011-01-31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21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35B1 (en) * 2012-09-21 2014-07-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the product made therefrom
US20210339567A1 (en) * 2018-11-30 2021-11-04 Bridgestone Corporation Multi air chamber tire, ventilation member,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pressure of multi air chamber ti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35B1 (en) * 2012-09-21 2014-07-16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e having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the product made therefrom
US20210339567A1 (en) * 2018-11-30 2021-11-04 Bridgestone Corporation Multi air chamber tire, ventilation member,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al pressure of multi air chamber ti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9976A (en) Three-chamber tire
WO2017110643A1 (en) Pneumatic tire
CN105517815A (en) Tyre comprising an improved tread
KR20120088218A (en) Safe Tier with multi space structure for vehicle
KR101834926B1 (en) Tire of side wall insert
CN105829135B (en) With the tire for improving tyre surface
WO2009110649A1 (en) Vehicle wheel having inner tire and outer tire
JP6401965B2 (en) Pneumatic tire
KR102218152B1 (en) Noise reduced pneumatic tire
KR100833032B1 (en) Nonslip tire between the bead and wheel rim
JP2000313215A (en) Air housing wheel for filling up tire (air in wheel)
JP2007106259A (en) Rim
KR102658890B1 (en) Run-flat tire with fluid chamber for improving tire running performan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tire running performance
BR102013002140A2 (en) spare wheel with spare tube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1396865B1 (en) Wheel of car
KR102254474B1 (en) Pneumatic tire having reinforcing member
KR20180126417A (en) Tire structure
JP6381015B2 (en) Tire structure
KR102463569B1 (en) Tire including cave part for radiation of heat
KR20180017945A (en) Vehicle wheel having a plurality of tires
US20170297382A1 (en) Tire Having Greater Resistance To Unseating
KR100810191B1 (en) Pneumatic Tire
KR101741921B1 (en) Reinforced PCR Tire with dual innerliner
KR101141491B1 (en) Pneumatic tire with excellent anti-stress proper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