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723A - 건조 시럽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조 시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723A
KR20120087723A KR1020110009091A KR20110009091A KR20120087723A KR 20120087723 A KR20120087723 A KR 20120087723A KR 1020110009091 A KR1020110009091 A KR 1020110009091A KR 20110009091 A KR20110009091 A KR 20110009091A KR 20120087723 A KR20120087723 A KR 2012008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dry syrup
viscosity
composition
syru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진광미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중외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723A/ko
Priority to TW101102633A priority patent/TW201306876A/zh
Priority to PCT/KR2012/000565 priority patent/WO2012102538A2/ko
Publication of KR2012008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약리 활성 물질,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 포함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은 물과 접촉시 빠르게 수화되어 적정 점도 범위로 변하므로, 계량 및/또는 복용 편의성이 증진되고 호화전분이 입 속에서 분해되어 점도가 감소하여 연하가 용이한 처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조 시럽 조성물{DRY SYRUP COMPOSITION}
본 발명은 약리 활성 물질,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는 대부분 정제 및 캅셀제를 포함하는 고형제와 시럽, 엘릭실제, 현탁액 등을 포함하는 액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고형제의 경우에는 어린이, 노인 및 연하(swallow)가 곤란한 사람들이 복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아울러 약물의 체내 흡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경구용 액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경구용 액제는 약제학 및 약물학적으로 제제의 안정성 및 투여 편의성에 있어서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현탁액의 경우 보관 중 층분리(caking, sedimentation) 등 제제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시럽제의 경우 낮은 점도와 계량 기구(스푼 등)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으로 인해, 계량 및 경구 투여시, 계량 기구로부터 약물이 유출될 위험이 있어서, 정확한 투여량 계량 및/또는 복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운동성 장애(사지 떨림에 기인한 손 떨림, 수전증, 미세동작 조절력 부족)를 갖는 환자 또는 약물 복용에 대해 두려움을 가진 소아 환자인 경우, 계량 기구를 이용한 정확한 투여량의 계량 및/또는 복용이 매우 어려웠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겔을 이용한 고점도의 반고형 제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대부분의 제제들은 점도가 높아서 제조 공정 중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주약을 기제에 균일하게 분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이 가능한 점도 범위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용기를 압착하여 투여량을 유출시키는 경우 물리적인 외부의 힘이 많이 필요하거나, 또는 정확한 양을 계량할 수 있는 특수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고점도 특성으로 인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제와 같은 저점도 제제의 제제 불안정성 및 복용 및/또는 정량시 기구에서 유출되는 문제점과, 반고형 제제와 같은 고점도 제제의 정확한 계량 곤란, 활성 물질의 불균일한 분포, 및 연하의 곤란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는 대부분 정제 및 캅셀제를 포함하는 고형제와 시럽, 엘릭실제, 현탁액 등을 포함하는 액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고형제의 경우에는 어린이, 노인 및 연하(swallow)가 곤란한 사람들이 복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이고 아울러 약물의 체내 흡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경구용 액제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경구용 액제는 약제학 및 약물학적으로 제제의 안정성 및 투여 편의성에 있어서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현탁액의 경우 보관 중 층분리(caking, sedimentation) 등 제제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시럽제의 경우 낮은 점도와 계량 기구(스푼 등)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으로 인해, 계량 및 경구 투여시, 계량 기구로부터 약물이 유출될 위험이 있어서, 정확한 투여량 계량 및/또는 복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운동성 장애(사지 떨림에 기인한 손 떨림, 수전증, 미세동작 조절력 부족)를 갖는 환자 또는 약물 복용에 대해 두려움을 가진 소아 환자인 경우, 계량 기구를 이용한 정확한 투여량의 계량 및/또는 복용이 매우 어려웠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겔을 이용한 고점도의 반고형 제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대부분의 제제들은 점도가 높아서 제조 공정 중 고에너지를 사용하여 주약을 기제에 균일하게 분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이 가능한 점도 범위의 한계성으로 인하여 용기를 압착하여 투여량을 유출시키는 경우 물리적인 외부의 힘이 많이 필요하거나, 또는 정확한 양을 계량할 수 있는 특수한 용기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반고형 조성물은 고점도 특성으로 인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액제와 같은 저점도 제제의 제제 불안정성 및 복용 및/또는 정량시 기구에서 유출되는 문제점과, 반고형 제제와 같은 고점도 제제의 정확한 계량 곤란, 활성 물질의 불균일한 분포, 및 연하의 곤란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례는 약리 활성 물질,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은 사용시에 물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 시럽'은 건조 분말 또는 건조 과립 형태로 제제화된 것으로, 복용 시 물과 혼합하여 복용하는 형태의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건조 시럽 조성물'은 약리 활성 물질,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건조 시럽 형태의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건조 시럽 수화 조성물'은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의 사용시에 건조 시럽 조성물에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수화'는 물과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건조 시럽 조성물은 건조 시럽 형태로 제조, 포장, 보관, 및 유통되고, 개개의 사용자가 복용시에 물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기존의 물과 혼합되어 수화된 형태로 포장, 보관 및 유통되는 제제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부피가 작아서 포장, 보관 및 운반에 용이하며, 건조된 형태로 보관 및 유통되므로 성분의 변성 위험이 낮다는 이점이 있다
이 때 복용시에 혼합되는 물의 양은, 포함된 약리 활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의 40%(w/v) 내지 99%(w/v), 바람직하게는 60%(w/v) 내지 95%(w/v)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활성 물질 및 결합제 등의 첨가제 사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럽 조성물은 물과 혼합 시 수화되어 점도가 상승하여, 복용에 용이한 범위로 신속하게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제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복용 준비 시 투약 기구에서 유출되어 복용이 곤란한 반면, 점도가 너무 높으면 충분한 수화가 일어나지 못하며 연하가 곤란하고 활성성분의 용출률이 감소할 수 있고, 제조 시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 시럽 내 함유된 요변성 점증제로서 전분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도록 하고, 그 함량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건조 시럽 조성물이 물과 혼합 시 상기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점도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수화속도(수화력)을 증진시켜 복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구강 내에서는 타액의 작용에 의하여 분해되어 점도가 낮아져서 연하가 용이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요변성 점증제로서 전분을 필수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물과 혼합시 수화력이 우수하고, 복용이 용이하도록 충분히 높은 점도로 신속하게 변함과 동시에, 경구 투여시 타액의 아밀라아제 작용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점도가 낮아져 연하에 용이하도록 충분히 낮은 점도로 변하므로, 복용 편의성과 연하 용이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수화 1분 후의 점도가 60분 후의 점도의 약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에 도달하는 우수한 수화속도 및 수화력을 가짐으로써, 복용 준비 시간이 줄어들어 복용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전분 사용에 의한 효과는 건조 시럽 조성물을 사용시 물과 혼합하여 수화시킬 때 얻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효과 달성을 위하여, 사용시 물과 혼합된 상태의 건조 시럽 조성물 내의 전분 함량 범위가 중요하다. 따라서, 전분을 비롯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성분의 함량 범위는 사용시 물이 혼합된 상태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표현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갈근(칡 뿌리) 전분, 토란 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일반 전분; 상기 일반전분을 산화, 그라프트 또는 효소 처리하여 얻어진 변성전분; 및 상기 일반전분의 호화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으며, 특히 호화전분인 것이 좋다.
호화전분(Pregelatinized starch, P-starch)은 알파화전분이라고도 하며, 상기 열거된 일반전분을 물과 함께 가열처리 하거나 (예컨대, 80℃ 내지 100℃에서 수분함량이 처음의 15 % 이하로 될 때까지 가열), 질산칼슘 또는 수산화나트륨와 같은 팽윤제를 처리하거나, 예컨대, POCl3를 처리하여, 에스테르화시키거나 에테르화시킨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호화전분은 수분함량이 5 내지 15 중량%이고, 입자 크기가 150 μm 이하, 예컨대, 0.1 내지 150 μm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분 함유에 의한 유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물과 혼합된 상태의 건조 시럽 조성물 내의 전분 함량 범위가 특정 범위로 조절되어야 한다.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하여, 건조 시럽 조성물 내의 전분 함량은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성물이 물과 접촉 시 점도가 복용에 편리한 범위로 신속하게 상승하고, 입안에서 분해되어 연하에 적정한 범위로 감소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분의 함량이 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인 것이 좋다. 또한, 전분 함량이 너무 많으면 제제 자체의 점도가 높아져서 물과 접촉 시 오히려 수화가 잘 안 일어나고, 활성성분의 용출률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전분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분 이외의 요변성 점증제를 포함한다. 요변성 점증제는 요변성을 갖는 것으로서 생체에 적합하며 점증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한천, 카라기난(Carrageenan), 로스트빈검(Lostbe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잔탄검(Xanthan gum), 젤란검(Gellan gum), 덱스트린(dextrin), 젤라틴(gelatin), 구아검(guar gum),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Magnesium Aluminum Silic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복시폴리메틸렌, 포비돈, 비굼, 트라가칸트, 벤토나이트,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즉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 이외의 요변성 점증제의 함량은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분 이외의 요변성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조성물이 물과 접촉 시 적절한 범위의 점도 및 높은 수화력을 나타내어 계량 기구로부터의 유출 방지 효과 및 복용 편의성에 보다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물과 접촉 시 적절한 요변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요변성 점증제는 약산성, 중성 및 약염기성을 포함하는 예컨대, pH 3 내지 8 범위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물질은 약리적 또는 치료적으로 활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구 투여에 의해 질병 치료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목적하는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당업계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활성 물질로는 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항히스타민제, 기침 완화제(cough suppressant), 거담제(expectorant), 기관지 확장제(bronchodilator), 항감염제, 중추신경계 활성 약물(CNS active drugs), 심장혈관 약물(cardiovascular drugs), 항종양제, 콜레스테롤 저하제(cholesterol-lowering drugs), 진토제(anti-emetics), 비타민, 미네랄 보충제, 연변하제(fecal softner), 고혈압 치료제, 항진균제(antifungal), 당뇨병 치료제(antidiabetes), 아미노산제, 심부전치료제, 빈혈치료제, 비타민제, 생균제, 생약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이부프로펜(ibuprofen), 덱시부프로펜(dexibuprofen), 아스피린(aspirin), 디펜하이드라민(diphenhydramine), 발사르탄(valsartan), 몬테루카스트(monteleukast), 스코폴라민(scopolamine) 잘토프로펜(zaltoprofen), 트라마돌(tramadol), 디클로페낙(diclofenac), 아세클로페낙(aceclofenac), 에토돌락(etodolac), 피록시캄(piroxicam), 니메술리드(Nimesulide), 셀레콕시브(celecoxib), 글루코사민(glucosamine), 졸미트립탄(zolmitriptan), 알렌드론산(alendronic acid), 리지드론산(risedreonic acid), 에스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S-carboxymethylcysteine), 덱스트로메토르판(dextromethorphan), 구아이페네신(guaifenesin), 수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페닐에프린 (phenylephrine), 로라타딘(loratadine), 에페드린(ephedrine), 세티리진(cetirizine), 미졸라스틴(mizolastine), 올로파다딘(olopatadine), 에피나스틴(epinastine), 프로카테롤 (procaterol), 아세틸시스테인(acetylcystein), 에르도스테인(erdostein), 테오필린(theophylline), 포르모테롤(formoterol), 지페프롤(zipeprol), 디페메린(difemerine), 티자니딘(tizanidine), 티로프라미드(tiropramide), 디아제팜(di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부스피론(buspirone), 에티졸람(etizolam), 리스페리돈(risperidone), 올란자핀(olanzapine), 아미설피리드(amisulfiride),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 클로르프라마진(chlorpromaz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도네페질(donepezil), 갈란타민(galantamine), 엔타카폰(entacapone), 메만틴(memantine), 로피니롤(ropinirole), 셀레길린(selegiline), 카르비도파(carbidopa), 레보도파(levodopa), 테르페나딘(terfenadine), 라니티딘(ranitidine),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 트리아졸람(triazolam), 터비나핀(terbinafine) 플루코나졸(flu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보리코나졸(voriconazole), 프로프라노롤(propranolol), 로바스타틴(lova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 에제티미브(ezetimibe), 플루오크세틴(fluoxetine), 에나라프릴(enalapril), 이르베사르탄(irbesartan), 로사르탄(losartan), 라미프릴(Ramipril), 니코란딜(nicorandil), 독사조신(doxazosin), 카르베딜올(carvedilol), 딜티아젬(diltiazem), 트로피세트론(tropisetron), 온단세트론(ondansetron), 메클리진(meclizine), 아자세트론(azasetron), 돌라세트론(dolasetron), 그라니세트론(granisetron), 메트포민(metformin), 글리메피리드(glimepiride),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미티글리니드(mitiglinide),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 레파글리니드(repaglinide), DL-메티오닌, I-발린, L-이소류신, I-트레오닌, I-트립토판, 유비데카레논(ubidecarenone), 토코페롤(tocopherol), 수산화제이철 폴리말토오스 복염(Ferric hydroxide-polymaltose complex), 푸마르산철(Ferrous Fumarate), 엽산(folic acid),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pyridoxine hydrochloride), 인삼엑기스, 홍삼엑기스, 아스코르브산, 이보플라빈, 타아민, 시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e), 덱스판테놀(dexpanthenol), 유산균(Bacillus coagulans, Clostridium butyricum 등),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리 활성 물질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가 목적하는 질병, 증세, 및 사용되는 결합제, 점증제 등의 구체적인 종류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활성 물질 및 점증제의 구체적인 종류 등을 고려하여 상기 물질들을 적절히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킬 수 있는 용매 또는 불용성 용매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제는 정제수, 글리세린,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폴리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에서는 상기와 같은 결합제 중 정제수, 알코올 등의 액체 성분(결합용매)은 건조 시 제거되므로, 최종 제제에 포함된 결합제는 글리세린,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소르비톨, 말티톨 등의 폴리올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결합제의 함량은 물과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은 약리 활성 물질 0.001 내지 20 중량부; 전분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 요변성 점증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 및 결합제 0.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부를 함유하고, 사용시에 물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혼합되는 물의 양은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의 40%(w/v) 내지 99%(w/v), 바람직하게는 60%(w/v) 내지 95%(w/v)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은 사용시 혼합되는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수화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건조 시럽 수화 조성물은 약리 활성 물질 0.001 내지 20 %(w/v); 전분 0.1 내지 10 %(w/v),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w/v),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w/v); 요변성 점증제 0.01 내지 10 %(w/v),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w/v); 결합제 0.001 내지 10 %(w/v),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w/v),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w/v); 및 물 40 내지 99%(w/v),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w/v)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럽 조성물은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감미제, 방향제, 유기산, 방부제, 부형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통상적인 함량범위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럽 조성물은 약리 활성 물질의 쓴 맛을 차폐하기 위하여, 감미제 및/또는 방향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미제 및 어린이의 기호도가 높은 과일 향의 적절한 방향제를 첨가하게 되면, 약리 활성 물질의 쓴 맛을 완전히 차폐하여 소아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소정의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 조성물의 복용 시 치아우식을 방지하고 혈중 글루코스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당뇨병 환자에게도 안심하고 투여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충치를 유발하지 않는 만니톨, 말티톨, 소르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이소말트(Isomalt) 등을 포함하는 당알코올류, 스테비텐, 아스파탐(Aspartame)류, 아세설팜(Acesulfame)류, 삭카린(Saccharin), 삭카린칼슘, 삭카린나트륨, 슈크랄로스(Sucralose), 슈크로오스,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초콜릿 향, 딸기 향, 레몬 향, 오렌지 향, 포도 향, 바닐라 향, 체리 향 및 사과 향 방향제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감미제 및 방향제는 사용시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되는 약리 활성 물질의 쓴 맛을 차폐하기 위하여, 상기 약리 활성 물질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 차폐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리 활성 물질을 생분성 고분자로 코팅하거나, 고체 분산체로 만들거나, 또는 캡슐화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생분성 고분자 코팅, 고체 분산체 제조, 캡슐화 등은 종래 당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pH를 조절하고,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기산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유기산류가 첨가되면 경구 투여 후 환자의 타액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조성물 자체의 점도를 더욱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복용 시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유기산류로는 예를 들어, 구연산(Citric acid),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기산류는 사용시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도 용도 및 경우에 따라 방부제, 및/또는 현탁화제, 가용화제, 완충제 등의 기타의 부형제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으며, 그 종류 및 첨가량은 제제의 용도 및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시럽 조성물은 스푼 등의 계량 기구에 옮겨 담을 수 있는 보관 용기에 저장될 수 있으며, 1회 복용량으로 개별 포장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관 용기로는 약학 조성물의 보관 또는 포장에 통상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사용시에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혼합되는 물의 양은 상기한 바와 같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건조 시럽 조성물이 포함된 보관 용기에 물의 첨가량 부위를 표시하여, 표시된 부위까지 물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이 혼합된 건조 시럽 조성물은 수화되어 점도를 갖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용기를 흔드는 정도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면 평형점도에 이르면서 점도가 낮아지게 되어 용기로부터의 유출 및 스푼 등의 계량 용기로의 전달이 용이하고, 스푼 등의 계량 용기에서의 충분한 퍼짐성에 의하여 정확한 칭량이 가능하다. 또한 스푼 등의 계량 용기 위에 칭량되고 난 후에는 방치상태가 되면 다시 초기점도에 이르면서 점도가 상승하게 되어 계량 용기에서 떨어지지 않는 유출저항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사용시 물과 혼합하는 경우 수화 60분 후의 점도 대비 수화 1분 후의 점도로 표현되는 수화력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으로 매우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혼합, 연합, 건조 및 정립의 간단한 과정으로 제조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활성성분,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건조시키고 정립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활성성분,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결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의 종류 및 함량은 상기한 바와 같다. 예컨대, 약리 활성 물질 0.01 내지 20 중량부; 전분 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9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부; 요변성 점증제 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 및, 결합제가 사용되는 경우, 결합제 0.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단계는 조성물 내 용매(예컨대, 결합용매)의 함량이 0.5 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건조 시럽 조성물에 감미제, 방향제, 유기산, 및 방부제, 현탁화제, 가용화제, 완충제 등의 기타의 부형제를 첨가하는 경우, 상기 활성성분,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모두 넣고 혼합할 수 있다.
기존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건조 시럽제 제조에 있어서, 많은 경우에 수화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점증제를 분쇄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요변성 점증제로서 전분을 필수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점증제의 분쇄 과정 없이도 높은 수화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 제조 방법은 점증제의 분쇄 과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건조 시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전분과 1종 이상의 요변성 점증제를 적정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물과 접촉 시 빠르게 수화되어 적정 점도 범위로 변하므로, 계량 및/또는 복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전분이 입 속에서 분해되어 점도가 감소하여 연하가 용이한 처방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시럽 조성물은 건조 전 과립의 점도가 적정하여 간편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I 및 수화력 측정
1.1.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에 이부프로펜 (BASF), 젤란검(Gellan gum, CPkelco), 잔탄검(Xanthan gum, DANISCO), 호화전분(p-starch, (potato starch, DMV), 방부제(메틸파라벤(E.Merck, 부틸파라벤 E.Merck), 구연산 (citric acid anhydrate,YAKURI), 구연산나트륨(Sodium citrate 2H20, YAKURI), 방향제(딸기 CT3501, COSIS 및 레몬 L20056, COSIS), 및 감미제 (자일리톨,(RQUETTE), 슈크랄로오스(Tate & lyle), 스테비텐(대평), 및 아스파탐(ANHUI WANHE)를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양으로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은 Double cone mixer(AR402, Erweka)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수행하였다(A). Planetary mixer(AR402, Erweka)를 사용하여, 상기 얻어진 혼합물에 에탄올과 폴록사머 407 (BASF)을 아래의 표 1의 양으로 넣고 혼합하였다(B). 혼합물은 oscillator (16 mesh, 대신기계)를 이용하여 제립하였다.
Tray dryer(LT-100, Freund)를 사용하여, 상기 얻어진 제립물을 건조시켰다 (50℃, 3시간). 상기 건조물은 oscillator 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얻어진 정립물과 이부프로펜 제피 과립에 물을 double cone mixer에 넣고 10분간 혼합하여 건조 분말 형태의 이부프로펜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1-1 내지 1-5)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건조과립은 사용 전 정제수를 넣어 100 ml로 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p-starch)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을 제조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상기 제제의 조성을 아래의 표 1에 정리하였다.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비교예1
이부프로펜 2.00 2.00 2.00 2.00 2.00 2.00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10.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단위: g)
1.2.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수화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수화 속도 측정을 위하여, 수화 1 분 후, 5분 후 및 60분 후의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수화 60분 후 점도 대비 수화 1분 후 점도를 측정하여 수화력을 측정하였다 (수화력(%)= (수화 1분 후 점도/수화 60분 후 점도)*100). 상기 수화는 각각 이부프로펜 2.0 g 해당량의 건조 시럽 조성물에 물을 넣어서 총 부피가 100 mL가 되도록 하여 수화하고, 점도는 Brookfield visosmeter(DV-II)의 No. 64 spind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점도 측정 조건은 회전속도 50 rpm, 실온, 및 측정 시작 후 10초 후의 값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점도 단위: cps, 수화력 단위: %)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비교예1
수화 1분 후 점도 2,300 2,800 3,750 4,400 4,600 1,700
수화 60분 후 점도 (*평형점도) 2,500 3,000 4,000 4,800 5,500 2,3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2.00 93.33 93.75 91.67 83.64 73.91
*평형점도: 용기를 20회 세게 흔든 후 측정
**초기점도: 용기를 방치 상태로 측정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화전분(P-starch)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수화 후 시간에 다른 점도 증가가 더디며, 이는 과립의 수화가 늦어지거나 일부 수화가 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복용시 과립이 용기벽에 달라붙거나, 고르게 현탁되지 않기 때문에, 약물의 함량 균일성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예 1-1 내지 1-5와 같이 호화전분을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였으며, 다른 요변성 점증제(젤란검, 잔탄검 등)와의 상승효과로, 물을 넣었을 때 1분 후의 점도가 60분 후 점도의 80% 이상, 특히 호화전분 함량이 0.5 내지 8 중량%인 경우에는 1분 후의 점도가 60분 후 점도의 90% 이상을 나타내는, 매우 빠른 수화속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II 및 용출률 측정
2.1.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의 표 3의 조성을 사용하여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2-1 내지 2-5)를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비교예2
이부프로펜 2.00 2.00 2.00 2.00 2.00 2.00
카라기난 0.4 0.4 0.4 0.4 0.4 0.4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만니톨 10.0 10.0 10.0 10.0 10.0 10.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단위: g)
2.2.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용출률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에 대하여, 패들법(50 rpm, 60분, pH 7.2 용출액)에 의한 용출률을 측정하였으며, 수화 의 수화 속도 측정을 위하여, 수화 1 분 후, 5분 후 및 60분 후의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수화 60분 후의 평형점도 및 초기점도를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실시예2-5 비교예2
pH 7.2 용출률
(60분)
92% 96% 98% 90% 77% 64%
수화 60 분후 점도(cps)(평형점도) 2,700 3,100 4,200 4,900 5,400 2,500
수화 60분후 점도(cps)(초기점도) 6,300 6,400 7,100 7,900 8,400 5,900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는 높은 점도로 인해 용출시 수분침투가 원활치 않기 때문에 용출률이 64%에 지나지 않아서 충분한 용출률을 보이지 못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2-1 내지 2-5의 제제의 경우 모두 75% 이상의 높은 용출률을 보였으며, 특히 호화전분 함량이 전체 중량 대비 0.5 내지 8 중량% (실시예 2-1 내지 2-4)인 경우에는 USP 기준에서 정하는 80% 이상의 용출률 기준을 충족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III 잔류감 측정
3.1.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의 표 5의 조성을 사용하여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3-1 내지 3-5)를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실시예3-4 실시예3-5 비교예3
이부프로펜 2.00 2.00 2.00 2.00 2.00 2.00
로스트빈검 0.8 0.8 0.8 0.8 0.8 0.8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슈크로오스 10.0 10.0 10.0 10.0 10.0 10.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단위: g)
3.2.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의 잔류감 측정
상기 실시예 3-1 내지 3-5 및 비교예 3에서 제조된 이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 복용시 입안의 잔류감 측정을 위하여, 수화 60분 후의 점도(평형 점도)와 5회 저작 후의 점도를 측정하여 이들 간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화 60분 후의 점도는 상기 실시예 1.2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5회 저작 후의 점도 또한 실시예 1.2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실시예3-4 실시예3-5 비교예3
수화 60 분후 점도(cps)(평형점도) 2,500 3,000 4,000 4,800 5,600 2,200
5회 저작후의 점도(cps) 1,900 1,800 1,900 2,500 2,900 2,000
점도 변화율(%) 24.00 40.00 52.50 47.92 48.21 9.09
점도 변화율(%)={(수화 60분 후 점도-5회 저작후의 점도)/수화 60분 후 점도)*100}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저작 전과 5회 저작 후 점도 감소 정도가 10% 이하로 점도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점도로 인해 입안에서의 잔류감이 남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 호화전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3-1 내지 3-5의 제제는 함유된 호화전분이 점증제로서의 역할 뿐 아니라 복용시 입안의 아밀라아제에 의해 아밀로펙틴이 가수분해되면서 점도를 급격히 낮추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5회 저작 후 점도 감소 정도가 현저하며, 이와 같이 입안에서 낮아진 점도는 제제의 목넘김을 용이하게 하여 복용 편이성을 증진시킨다. 비교예 3와와 비교하여 실시예 3-1 내지 3-5의 제제의 5회 저작 후 점도의 변화율이 약 2~6배 증가하였다. 단, 호화전분을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1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실시예 3-5의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충분히 수화가 되지 않는 경향이 다소 있었다.
실시예 4: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및 퍼짐성 ( Spreadability ) 측정
4.1.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주성분으로 글루코사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의 표 7의 조성을 사용하여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4-1 내지 4-5)를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실시예4-5 비교예4
글루코사민 2.5 2.5 2.5 2.5 2.5 2.5
한천 0.7 0.7 0.7 0.7 0.7 0.7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소르비톨 6.0 6.0 6.0 6.0 6.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단위: g)
4.2.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의 퍼짐성( Spreadability ) 측정
퍼짐성은 용기에서 스푼으로 칭량시 빠른 수화력과 더불어 약물의 정량복용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상기 실시예 4-1 내지 4-5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의 퍼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스푼에서의 질량편차(RSD, %)를 측정하였다. 질량 편차는 해당 제제를 스푼에 칭량 시 질량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Inversion time은 스푼에 해당 제제를 spreading 한 후, 10초 이내에 스푼을 뒤집어서 제제가 바닥에 떨어지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8에 나타내었다.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실시예4-5 비교예4
질량편차(RSD,%) 2.65 2.11 2.08 2.96 5.52 8.06
수화 60분후 점도(cps)(평형점도) 2,400 2,900 3,800 4,500 5,400 2,000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화전분을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 4-1 내지 4-5의 제제는 비교예 4의 제제에 비하여 스푼에서의 질량편차가 약 4배 감소하여, 정량 복용에 보다 유리함을 알 수 있다. 단, 10중량%의 호화전분을 포함하는 실시예 4-5의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충분히 수화가 되지 않은 경향이 다소 있었다.
실시예 5 내지 12: 다양한 약물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및 요변성 측정
다양한 약물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주성분으로 이트라코나졸, 온단세트론, 메트포민, 덱시부프로펜, 글루코사민, 글리메피리드, 또는 세티리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의 표 9 내지 16의 조성을 사용하여, 이트라코나졸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5-1 내지 5-5, 표 9), 라니티딘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6-1 내지 6-5, 표 10), 온단세트론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7-1 내지 7-5, 표 11), 메트포민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8-1 내지 8-5, 표 12), 덱시부프로펜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9-1 내지 9-5, 표 13), 글루코사민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10-1 내지 10-5, 표 14), 글리메피리드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11-1 내지 11-5, 표 15), 및 세티리진 건조 시럽 조성물 (실시예 12-1 내지 12-5, 표 16)를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 내지 12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트라코나졸 제제 (단위: g)
실시예5-1 실시예5-2 실시예5-3 실시예5-4 실시예5-5 비교예5
이트라코나졸 0.5 0.5 0.5 0.5 0.5 0.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라니티딘 제제 (단위: g)
실시예6-1 실시예6-2 실시예6-3 실시예6-4 실시예6-5 비교예6
라니티딘 0.15 0.15 0.15 0.15 0.15 0.1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온단세트론 제제 (단위: g)
실시예7-1 실시예7-2 실시예7-3 실시예7-4 실시예7-5 비교예7
온단세트론 0.04 0.04 0.04 0.04 0.04 0.04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메트포민 제제 (단위: g)
실시예8-1 실시예8-2 실시예8-3 실시예8-4 실시예8-5 비교예8
메트포민 5.0 5.0 5.0 5.0 5.0 5.0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덱시부프로펜 제제 (단위: g)
실시예9-1 실시예9-2 실시예9-3 실시예9-4 실시예9-5 비교예9
덱시부프로펜 1.2 1.2 1.2 1.2 1.2 1.2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글루코사민 제제 (단위: g)
실시예
10-1
실시예
10-2
실시예
10-3
실시예
10-4
실시예
10-5
비교예10
글루코사민 2.5 2.5 2.5 2.5 2.5 2.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글리메피리드 제제 (단위: g)
실시예
11-1
실시예
11-2
실시예
11-3
실시예
11-4
실시예
11-5
비교예11
글리메피리드 0.02 0.02 0.02 0.02 0.02 0.02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세티리진 제제 (단위: g)
실시예
12-1
실시예
12-2
실시예
12-3
실시예
12-4
실시예
12-5
비교예12
세티리진 0.1 0.1 0.1 0.1 0.1 0.1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다양한 약물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요변성 측정
상기 실시예 5-1 내지 12-5에서 제조된 다양한 약물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요변성을 측정하여 각각의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화 1 분 후, 5분 후 및 60분 후의 점도(평형점도 및 초기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수화 60분 후 점도 대비 수화 1분 후 점도를 측정하여 수화력을 측정하였다 (수화력(%)= (수화 1분 후 점도/수화 60분 후 점도)*100). 또한, 상기 각각의 제제의 용출률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약물의 용출률 측정 조건은 아래의 결과 (표 17-24)에 각각 표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4.1에 기재된 방법으로, 스푼에서의 질량편차 및 역전시간 (inversion time)을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17 내지 24에 나타내었다.
이트라코나졸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5-1 실시예5-2 실시예5-3 실시예5-4 실시예5-5 비교예5
수화 1분 후 점도(cps) 2,200 2,850 3,650 4,300 4,600 1,750
수화 5분 후 점도(cps) 2,350 2,950 3,800 4,600 4,75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550 3,050 4,100 4,7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900 6,000 6,800 7,800 8,600 5,65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1.67 % 93.44 % 91.25 % 91.49 % 85.19 % 76.09 %
용출률* 94.54 % 96.33 % 95.27 % 94.36 % 87.22 % 77.94 %
질량편차 2.16 2.01 2.10 2.66 4.89 3.45 %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pH 6.8 phosphate buffer, 900 ml, 50 rpm 패들법
라니티딘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6-1 실시예6-2 실시예6-3 실시예6-4 실시예6-5 비교예6
수화 1분 후 점도(cps) 2,200 2,750 3,700 4,450 4,550 1,7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300 2,900 3,800 4,500 4,700 2,0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00 4,000 4,600 5,300 2,2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900 6,000 6,700 7,600 8,500 5,55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1.67 91.66 92.50 96.74 85.85 75.56
용출률* 95.33 % 96.74 % 95.02 % 95.16 % 84.99 % 78.33 %
질량편차 2.99 1.92 1.67 2.77 5.98 5.25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0.1N HCl, 900 ml, 50 rpm 패들법
온단세트론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7-1 실시예7-2 실시예7-3 실시예7-4 실시예7-5 비교예7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00 3,700 4,500 4,50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00 3,850 4,550 4,7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00 4,000 4,600 5,3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00 6,000 6,600 7,700 8,5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88 93.33 92.50 97.83 84.91 78.26
용출률* 98.11 98.99 99.46 97.12 80.07 88.45
질량편차 2.10 2.63 2.37 2.44 4.55 6.97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water, 500 ml, 50 rpm 패들법
메트포민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8-1 실시예8-2 실시예8-3 실시예8-4 실시예8-5 비교예8
수화 1분 후 점도(cps) 2,350 2,750 3,750 4,450 4,700 1,9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800 3,800 4,500 4,800 2,1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50 3,900 4,6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50 6,000 6,500 7,700 8,60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5.92 90.16 96.15 96.74 87.04 82.61
용출률* 98.68 99.05 98.43 96.00 84.21 85.78
질량편차 2.46 2.10 2.22 2.98 5.79 6.01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pH 6.8 phosphate buffer, 900 ml, 50 rpm 패들법
덱시부프로펜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9-1 실시예9-2 실시예9-3 실시예9-4 실시예9-5 비교예9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00 3,700 4,450 4,65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00 3,800 4,550 4,800 2,0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00 3,900 4,6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00 6,000 6,500 7,500 8,6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5.83 93.33 94.87 96.74 86.11 78.26
용출률* 95.23 94.22 96.06 92.33 87.36 85.50
질량편차 2.60 2.77 2.44 2.96 6.20 5.33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pH 7.2 phosphate buffer, 900 ml, 50 rpm 패들법
글루코사민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0-1
실시예
10-2
실시예
10-3
실시예
10-4
실시예
10-5
비교예10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750 3,700 4,400 4,600 1,85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800 3,800 4,550 4,800 2,0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50 3,900 4,600 5,5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00 6,100 6,500 7,500 8,50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5.83 96.36 94.87 95.65 83.64 80.43
용출률* 94.05 98.16 96.97 95.33 80.06 87.75
질량편차 2.31 1.90 2.94 1.77 5.06 6.08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water, 900 ml, 50 rpm 패들법
글리메피리드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1-1
실시예
11-2
실시예
11-3
실시예
11-4
실시예
11-5
비교예11
수화 1분 후 점도(cps) 2,350 2,800 3,700 4,300 4,70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00 3,800 4,550 4,800 2,0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00 3,850 4,600 5,5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00 6,100 6,500 7,400 8,60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5.92 93.33 96.10 93.48 85.45 78.26
용출률* 96.52 95.10 96.24 93.46 88.13 84.94
질량편차 2.77 1.20 2.36 2.55 5.88 6.65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water, 900 ml, 50 rpm 패들법
세티리진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2-1
실시예
12-2
실시예
12-3
실시예
12-4
실시예
12-5
비교예12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50 3,700 4,400 4,65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50 3,750 4,550 4,7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50 3,800 4,600 5,400 2,3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00 6,000 6,400 7,400 8,6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5.83 93.44 97.37 95.65 86.11 76.60
용출률* 98.00 97.16 96.08 95.12 86.22 87.50
질량편차 1.98 2.69 2.77 2.98 5.01 7.33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용출률: pH 1.2 용출액, 900 ml, 50 rpm 패들법
상기 표 17 내지 2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약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호화전분을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5-1 내지 12-5의 제제는 호화전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5 내지 12와 비교하여 빠른 속도로 수화되고 요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호화전분의 함량이 10중량%인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충분히 수화가 되지 않은 경향이 다소 있었다.
실시예 13 내지 20: 2 가지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의 제조 및 요변성 측정
다양한 2 가지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는 시럽 제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방법에 따라서 아래의 표 25 내지 32에 기재된 조성으로 2가지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건조 시럽 조성물(실시예 13-1 내지 20-5)를 제조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호화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3 내지 20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유비데카레논(Ubidecarenone)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3-1
실시예
13-2
실시예
13-3
실시예
13-4
실시예
13-5
비교예
13
유비데카레논 0.1 0.1 0.1 0.1 0.1 0.1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3 0.3 0.3 0.3 0.3 0.3
리보플라빈 소듐 포스페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 0.5 0.5 0.5 0.5 0.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수산화제이철 폴리말토오스 복염(Ferric hydroxide-polymaltose complex)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4-1
실시예
14-2
실시예
14-3
실시예
14-4
실시예
14-5
비교예
14
수산화제이철 폴리말토오스 복염 1.78 1.78 1.78 1.78 1.78 1.78
엽산 1.75 1.75 1.75 1.75 1.75 1.75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1 0.01 0.01 0.01 0.01 0.01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홍삼 에탄올 추출물(Red Ginseng fluid ethanol ext.)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5-1
실시예
15-2
실시예
15-3
실시예
15-4
실시예
15-5
비교예
15
홍삼 에탄올 추출물 0.7 0.7 0.7 0.7 0.7 0.7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아스코르브산 0.75 0.75 0.75 0.75 0.75 0.75
티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5 0.05 0.05 0.05 0.05 0.05
리보플라빈산 아마이드 0.05 0.05 0.05 0.05 0.05 0.05
피리독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15 0.015 0.015 0.015 0.015 0.015
시아노코발아민 0.003 0.003 0.003 0.003 0.003 0.003
덱스판테놀 0.3 0.3 0.3 0.3 0.3 0.3
소르빈산 0.15 0.15 0.15 0.15 0.15 0.1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DL-메티오닌(DL-methionine)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6-1
실시예
16-2
실시예
16-3
실시예
16-4
실시예
16-5
비교예
16
DL-메티오닌 0.09 0.09 0.09 0.09 0.09 0.09
I-발린 0.05 0.05 0.05 0.05 0.05 0.05
L-이소류신 0.05 0.05 0.05 0.05 0.05 0.05
I-트레오닌 0.05 0.05 0.05 0.05 0.05 0.05
I-트립토판 0.05 0.05 0.05 0.05 0.05 0.0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발사르탄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7-1
실시예
17-2
실시예
17-3
실시예
17-4
실시예
17-5
비교예
17
발사르탄 0.4 0.4 0.4 0.4 0.4 0.4
피타바스타틴 0.02 0.02 0.02 0.02 0.02 0.02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Bacillus coagulans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8-1
실시예
18-2
실시예
18-3
실시예
18-4
실시예
18-5
비교예
18
Bacillus coagulans 2.5 2.5 2.5 2.5 2.5 2.5
Clostridium butyricum 0.3 0.3 0.3 0.3 0.3 0.3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메트포민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19-1
실시예
19-2
실시예
19-3
실시예
19-4
실시예
19-5
비교예
19
메트포민 5.0 5.0 5.0 5.0 5.0 5.0
글리메피리드 0.02 0.02 0.02 0.02 0.02 0.02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푸마르산철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단위: g)
실시예
20-1
실시예
20-2
실시예
20-3
실시예
20-4
실시예
20-5
비교예
20
푸마르산철 0.54 0.54 0.54 0.54 0.54 0.54
산화마그네슘 0.03 0.03 0.03 0.03 0.03 0.03
염화크롬 0.01 0.01 0.01 0.01 0.01 0.01
몰리브덴산나트륨 0.002 0.002 0.002 0.002 0.002 0.002
황산망간 0.09 0.09 0.09 0.09 0.09 0.09
염화칼륨 0.13 0.13 0.13 0.13 0.13 0.13
산화아연 0.37 0.37 0.37 0.37 0.37 0.37
제삼인산칼슘 1.25 1.25 1.25 1.25 1.25 1.25
젤란검 0.5 0.5 0.5 0.5 0.5 0.5
잔탄검 0.8 0.8 0.8 0.8 0.8 0.8
호화전분 0.5 2.0 5.0 8.0 10.0 -
메틸파라벤 0.08 0.08 0.08 0.08 0.08 0.08
부틸파라벤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25 0.25 0.25 0.25 0.25 0.25
구연산나트륨 0.15 0.15 0.15 0.15 0.15 0.15
딸기 CT3501 0.4 0.4 0.4 0.4 0.4 0.4
레몬 L20056 0.2 0.2 0.2 0.2 0.2 0.2
자일리톨 10.0 10.0 10.0 10.0 10.0 6.0
슈크랄로오스 0.1 0.1 0.1 0.1 0.1 0.1
스테비텐 0.07 0.07 0.07 0.07 0.07 0.07
아스파탐 0.07 0.07 0.07 0.07 0.07 0.07
에탄올 0.5 0.5 0.5 0.5 0.5 0.5
폴록사머407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To 100mL
다양한 약물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요변성 측정
상기 실시예 13-1 내지 20-5에서 제조된 다양한 복합 제제의 건조 시럽 조성물의 요변성을 측정하여 각각의 비교예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수화 1 분 후, 5분 후 및 60분 후의 점도(평형점도 및 초기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수화 60분 후 점도 대비 수화 1분 후 점도를 측정하여 수화력을 측정하였다 (수화력(%)= (수화 1분 후 점도/수화 60분 후 점도)*100). 또한, 실시예 4.1에 기재된 방법으로, 스푼에서의 질량편차 및 역전시간 (inversion time)을 측정하였다.
상기 얻어진 결과를 아래의 표 33 내지 40에 나타내었다.
유비데카레논(Ubidecarenone)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의 요변성
실시예
13-1
실시예
13-2
실시예
13-3
실시예
13-4
실시예
13-5
비교예
13
수화 1분 후 점도(cps) 2,250 2,750 3,600 4,300 4,600 1,85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800 3,700 4,450 4,700 2,0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50 3,800 4,5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300 6,100 6,400 7,350 8,500 5,4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1.84 90.16 94.74 95.56 85.19 80.43
질량편차 2.33 2.34 2.71 2.99 6.77 6.51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수산화제이철 폴리말토오스 복염(Ferric hydroxide-polymaltose complex)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4-1
실시예
14-2
실시예
14-3
실시예
14-4
실시예
14-5
비교예
14
수화 1분 후 점도(cps) 2,200 2,850 3,600 4,300 4,600 1,9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50 3,750 4,550 4,8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50 3,800 4,500 5,400 2,3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00 6,000 6,300 7,400 8,50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1.67 93.44 94.74 95.56 85.19 80.85
질량편차 2.09 2.07 2.58 2.20 5.74 7.28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홍삼 에탄올 추출물(Red Ginseng fluid ethanol ext.)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 의 요변성
실시예
15-1
실시예
15-2
실시예
15-3
실시예
15-4
실시예
15-5
비교예
15
수화 1분 후 점도(cps) 2,200 2,750 3,700 4,300 4,75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800 3,750 4,450 4,800 2,1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350 3,050 3,800 4,5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50 6,050 6,400 7,400 8,70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62 90.16 97.37 95.56 87.96 78.26
질량편차 2.73 2.42 2.67 2.08 5.16 7.89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DL-메티오닌(DL-methionine)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6-1
실시예
16-2
실시예
16-3
실시예
16-4
실시예
16-5
비교예
16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00 3,700 4,400 4,60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00 3,750 4,500 4,700 2,1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00 3,800 4,600 5,400 2,3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00 6,000 6,400 7,300 8,5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88 93.33 97.37 95.65 85.19 76.60
질량편차 2.11 2.61 2.09 2.88 6.52 7.44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발사르탄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7-1
실시예
17-2
실시예
17-3
실시예
17-4
실시예
17-5
비교예
17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50 3,750 4,300 4,600 1,7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50 3,800 4,400 4,7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500 3,050 3,900 4,5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50 6,050 6,400 7,400 8,650 5,5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2.00 93.44 96.15 95.56 85.19 73.91
질량편차 2.34 2.23 2.74 2.99 6.57 8.51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Bacillus coagulans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8-1
실시예
18-2
실시예
18-3
실시예
18-4
실시예
18-5
비교예
18
수화 1분 후 점도(cps) 2,250 2,800 3,600 4,400 4,600 1,9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300 2,850 3,750 4,500 4,7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2,950 3,800 4,6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50 6,000 6,350 7,400 8,6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75 94.91 94.74 95.65 85.19 82.61
질량편차 2.98 2.98 2.77 2.30 5.13 7.90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메트포민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19-1
실시예
19-2
실시예
19-3
실시예
19-4
실시예
19-5
비교예
19
수화 1분 후 점도(cps) 2,300 2,800 3,650 4,300 4,600 1,8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900 3,750 4,550 4,700 2,1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50 3,000 3,800 4,6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700 6,100 6,400 7,450 8,600 5,60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88 93.33 96.05 93.48 85.19 78.26
질량편차 2.50 2.15 2.07 2.55 6.00 6.68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푸마르산철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의 요변성
실시예
20-1
실시예
20-2
실시예
20-3
실시예
20-4
실시예
20-5
비교예
20
수화 1분 후 점도(cps) 2,250 2,750 3,700 4,450 4,550 1,700
수화 5분 후 점도(cps) 2,400 2,800 3,700 4,550 4,700 2,050
수화 60분 후 점도(cps)
(평형점도)
2,400 3,050 3,800 4,600 5,400 2,300
수화 60분 후 점도(cps)
(초기점도)
5,800 5,900 6,400 7,400 8,650 5,650
수화력(60분대비 1분점도) 93.75 90.16 97.37 96.74 84.26 73.91
질량편차 1.91 2.44 2.81 2.33 5.22 6.80
Inversion time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분 이상 30초 미만
상기 표 33 내지 4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합 제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호화전분을 수화 후 조성물 총량 대비 0.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13-1 내지 20-5의 제제는 호화전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3 내지 20와 비교하여 빠른 속도로 수화되고 요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호화전분의 함량이 10중량%인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충분히 수화가 되지 않은 경향이 다소 있었다.

Claims (10)

  1. 약리 활성 물질, 전분, 및 요변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건조 시럽 형태이고,
    사용시 물을 혼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전분의 함량은 사용시 물이 혼합된 조성물 총량 기준으로 0.1 내지 10 중량%인,
    건조 시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갈근 전분, 및 토란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일반 전분; 상기 일반전분의 변성전분; 및 상기 일반전분의 호화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건조 시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은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밀 전분, 갈근 전분, 및 토란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일반 전분의 호화전분인,
    건조 시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의 함량은 사용시 물이 혼합된 조성물 총량 기준으로 0.5 내지 8 중량%인,
    건조 시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변성 점증제는 한천, 카라기난, 로스트빈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혼합물,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잔탄검, 젤란검, 덱스트린, 젤라틴, 구아검,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 피롤리돈 중합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르복시폴리메틸렌, 포비돈, 비굼, 트라가칸트, 벤토나이트, 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건조 시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변성 점증제의 함량은 사용시 물이 혼합된 조성물 총량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인,
    건조 시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시럽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의 함량은 사용시 물이 혼합된 조성물 총량 기준으로 0.001 내지 10 중량%인,
    건조 시럽 조성물.
  9. 약리 활성 물질 0.001 내지 20 중량부; 전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요변성 점증제 0.01 내지 10 중량부를 함유하고,
    사용시에 물을 혼합하여 사용되는,
    건조 시럽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미제, 방향제, 유기산, 방부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건조 시럽 조성물.
KR1020110009091A 2011-01-28 2011-01-28 건조 시럽 조성물 KR20120087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1A KR20120087723A (ko) 2011-01-28 2011-01-28 건조 시럽 조성물
TW101102633A TW201306876A (zh) 2011-01-28 2012-01-20 乾粉漿組合物
PCT/KR2012/000565 WO2012102538A2 (ko) 2011-01-28 2012-01-20 건조 시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091A KR20120087723A (ko) 2011-01-28 2011-01-28 건조 시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23A true KR20120087723A (ko) 2012-08-07

Family

ID=4658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091A KR20120087723A (ko) 2011-01-28 2011-01-28 건조 시럽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20087723A (ko)
TW (1) TW201306876A (ko)
WO (1) WO2012102538A2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887A1 (fr) * 2000-11-21 2002-05-30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Preparations seches de sirop
WO2005009474A1 (ja) * 2003-07-24 2005-02-03 Shionogi & Co., Ltd. 難水溶性薬物を含むドライシロップ剤
JP3881640B2 (ja) * 2003-08-08 2007-02-14 塩野義製薬株式会社 ロラタジンを含むドライシロップ剤
KR100981751B1 (ko) * 2005-10-28 2010-09-10 주식회사유한양행 프란루카스트를 함유하는 과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2519B1 (ko) * 2008-11-12 2009-10-20 대원제약주식회사 펠루비프로펜을 함유하는 용출률 및 안정성이 개선된 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6876A (zh) 2013-02-16
WO2012102538A3 (ko) 2012-12-20
WO2012102538A2 (ko)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479B2 (ja) 経口分散性フィルム
KR890002949B1 (ko) 경구용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JP5600058B2 (ja) メラトニンタブレットならびに調剤及び使用方法
ES2370729T3 (es) Forma farmacéutica hinchable que comprende goma gellan.
ES2237121T3 (es) Preparacion solida disgregable rapidamente.
KR101590115B1 (ko) 약학 조성물
WO2007096906A2 (en) Novel buccoadhesive compositions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CN110944640A (zh) 果胶胶粘组合物及其制造和使用方法
CN106413717A (zh) 药物组合物
JP2009292843A (ja) 固形製剤
KR20100121509A (ko) 구강 내 붕괴정
JP5215172B2 (ja) 乾式直打速崩壊性錠剤
CN104168895A (zh) 包含西地那非作为活性成分的掩蔽苦味的高含量快速溶解膜
EP2519226A1 (en) Orally administrable film dosage forms containing ondansetron
WO2013123623A1 (zh) 一种口腔崩解片及其制备方法
KR20080076667A (ko) 요변성 약학 조성물
JPH11199517A (ja) 口腔内速崩壊性錠剤
JP5713421B1 (ja) 口腔内崩壊錠
JP5721093B2 (ja) 崩壊錠
CN106074429A (zh) 一种富马酸沃诺拉赞泡腾片及其制备方法
KR20120087723A (ko) 건조 시럽 조성물
JPS63154619A (ja) 頻尿および残尿感治療剤
TWI835118B (zh) 布瑞哌唑口溶膜組合物、其製備方法及用途
US20180318228A1 (en) Method for a slow release of drugs from orally dissolving capsules
CN104271120A (zh) 口服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