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160A -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160A
KR20120087160A KR1020127013934A KR20127013934A KR20120087160A KR 20120087160 A KR20120087160 A KR 20120087160A KR 1020127013934 A KR1020127013934 A KR 1020127013934A KR 20127013934 A KR20127013934 A KR 20127013934A KR 20120087160 A KR20120087160 A KR 2012008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s
control message
time period
schedu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073B1 (ko
Inventor
산토쉬 피 아브라함
히맨쓰 샘패쓰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04W74/06Scheduled access usin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은 액세스 포인트(AP)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다수의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AP-기반 통신들에 대한 기존의 전력 관리 프레임워크는 피어-투-피어 통신들의 AP-기반 스케줄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35 U.S.C.§119 하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2009년 7월 22일자로 출원되었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그에 의해 여기에 참조로서 명백히 포함되는 가출원 제 61/255,993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피어-투-피어 통신의 스케줄링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관된 2개의 사용자 스테이션(STA)들(예를 들어, STA1 및 STA2)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2개의 접근법들이 일반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일 접근법에서, STA1은 데이터를 AP에 전송할 수 있고, 그 후, AP는 데이터를 STA2에 포워딩한다. 또 다른 접근법에서, STA1은 STA2와의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셋업한다. DLS에 대한 메시지들은 AP를 통해 포워딩된다. 일단 DSL 접속이 셋업되면, STA1은 데이터 패킷들을 STA2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현재, DSL를 사용하여 운반되는 프레임들은 캐리어 감지 다중 액세스(CSMA) 기반 경합(contention)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 개의 DSL 접속들이 존재하는 시나리오들에서, 다수의 DLS 스트림들에 대한 스루풋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당한 충돌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제 1 및 제 2 장치들에 스케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제 1 및 제 2 장치들에 스케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제 1 및 제 2 장치들에 스케줄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고 -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제 1 및 제 2 장치들에 스케줄을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무선 노드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 스케줄은 제 1 무선 노드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무선 노드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제 1 및 제 2 무선 노드들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스케줄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 1 장치에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제 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시간 기간 동안 제 2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장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시간 기간 동안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시간 기간 동안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제 1 장치에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제 2 장치를 식별하며, 그리고 시간 기간 동안 제 2 장치와 통신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노드를 제공한다. 무선 노드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무선 노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시간 기간 동안 다른 무선 노드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인용된 특성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는 방식이므로, 상기 간략하게 요약된 더 특정한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수도 있으며, 그 양상들 중 몇몇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은 다른 동등하게 효과적인 양상들에 적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들이 본 발명의 특정한 통상적인 양상들만을 나타낼 뿐이며, 따라서, 양상들의 범위의 제한이 고려되지 않음을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2개의 노드들이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피어-투-피어(P2P)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절약 멀티 폴(Multi Poll)(PSMP) 프레임 내의 예시적인 정보 필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피어-투-피어(P2P)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피어 노드와 P2P 통신들을 설정하기 위해 무선 노드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완전하게 후술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전반에 걸쳐 제공되는 임의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대신, 본 발명이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이들 양상들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당업자들에게 전달할 것이다. 여기에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또는 그 양상과 결합하여 구현되는지 간에,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기재된 발명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링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개시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거나 방법이 실행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링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되는" 의 의미로 여기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특정한 양상들이 여기에 설명되지만, 이들 양상들의 많은 변경들 및 치환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몇몇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한 이점들, 사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대신, 본 발명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며, 그들 중 몇몇은 도면들 및 선호되는 양상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예로서 기술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하기보다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브로드밴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하는 변조 기술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이용한다. 또한,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함께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도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해 인터리빙된 FDMA(I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해 로컬화된 FDMA(L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해 향상된 FDMA(EFDMA)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SC-FDMA를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의 하나의 특정한 예는 WiMAX 시스템이다.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세계적 상호운영성을 나타내는 WiMAX는, 긴 거리들에 걸쳐 높은-스루풋 브로드밴드 접속들을 제공하는 표준-기반 브로드밴드 무선 기술이다. 오늘날 WiMAX의 2개의 주요한 애플리케이션들, 즉 고정형 WiMAX 및 이동형 WiMAX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고정형 WiMAX 애플리케이션들은 홈들 및 비지니스들에 대한 점-대-다점 가능한 브로드밴드 액세스이다. 이동형 WiMAX는 브로드밴드 속도들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전체 모바일러티를 제공한다.
IEEE 802.16x는 고정형 및 이동형 브로드밴드 무선 액세스(BWA) 시스템들에 대한 공중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위한 신행 표준 조직이다. IEEE 802.16x는, 고정형 BWA 시스템들에 대해 2004년 5월에 "IEEE P802.16d/D5-2004" 를 승인했고, 이동형 BWA 시스템들에 대해 2005년 10월에 "IEEE P802.16e/D12 Oct. 2005" 를 발행했다. IEEE 802.16의 최종 리버전, "IEEE P802.16Rev2/D9 March 2009" 드래프트 표준은 이제 IEEE 802.16e 및 오식(corrigendum)으로부터의 자료들을 통합한다. 표준들은 4개의 상이한 물리 계층(PHY)들 및 하나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정의한다. 4개의 물리 계층들의 OFDM 및 OFDMA 물리 계층은, 각각, 고정형 및 이동형 BWA 영역들에서 가장 인기있는 것이다.
여기에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로 통합(예를 들어, 그 장치들 내에 구현되거나 그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노드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e노드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라디오 기지국("RBS"),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들로서 구현되거나 그들로서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AT")은 액세스 단말,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국,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그들로서 구현되거나 그들로서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기, 코드리스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몇몇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에 교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전화기(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 정보 단말), 엔터테이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뮤직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헤드셋, 센서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그러한 무선 노드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즉, 액세스 포인트)(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또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도시되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기지국(102)은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차례로,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복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102)은 홈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디바이스(116)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이 디바이스(116)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수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상태에 있으며,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 정보를 디바이스(116)에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는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디바이스들(122 및 124)은 피어-투-피어 구성에서와 같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22)는 링크들(126 및 128)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24)와 통신상태에 있다. 피어-투-피어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122 및 124)과 같은 서로의 범위 내의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기지국(102) 및/또는 유선 인프라구조 없이 서로 직접 통신한다. 부가적으로, 피어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은 트래픽을 중계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으며, 트래픽이 그의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하여 트래픽 또는 통신들을 다른 디바이스들에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은, 피어 노드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관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정보를 운반하는 제어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또는 유선) 통신상태에 있는 임의의 수의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멀티-홉 토포그래피(topography)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통신들은,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노드로부터 노드로 홉핑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노드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다른 노드들과 또는 다른 노드들의 이용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기 노드는 수신기 노드와 통신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전송기 노드와 수신기 노드 사이의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도는 그 초과의 중간 노드들이 이용될 수 있다. 임의의 노드가 전송기 노드 및/또는 수신기 노드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시에(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통신할 수 있음)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세션을 시작하는 노드들이 그 세션을 직접 접속을 이동시키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 접속되는 노드들은 임의의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없이 단순히 패킷들을 교환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 따르면, "홈리스(homeless)" 노드는 그의 아웃고잉 세션들을 손실하지 않으면서 무선 네트워크로 스위칭할 수 있다. "홈리스"에 의해, 그것은, 외부 네트워크들로 스위칭하면서 온고잉 세션들을 활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보조를 제공하지만 노드의 현재 위치에 대한 새로운 세션들을 설정하기 위해 임의의 새로운 인커밍 요청(들)을 포워딩하지 않는 임의의 홈 에이전트 엔티티를 갖지 않는 노드를 의미한다. 몇몇 양상들에 따르면, 노드들은 모바일(예를 들어, 무선), 정적(예를 들어, 유선),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를 들어, 하나의 노드는 정적이고 제 2 노드는 모바일, 양자의 노드들이 모바일 등)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2개의 노드들이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제 1 노드(노드1)(202) 및 제 2 노드(노드2)(204)가 시스템(200)에 포함된다. 각각의 노드들(202, 204)은 적어도 2개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206)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홈 네트워크,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케이블, 3GPP 기반, 3GPP2 기반, 또는 상호접속을 제공하고 관심있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로 라우팅하는 임의의 다른 기술일 수 있다.
노드들(202 및 204)의 인터페이스들은 유선(예를 들어,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무선(예를 들어, WAN),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1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고 노드2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거나, 노드2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고 노드1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거나, 양자의 인터페이스들이 무선일 수 있거나 양자의 인터페이스들이 유선일 수 있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노드들(202, 204)의 각각의 제 1 인터페이스는 WAN 인터페이스(208 및 210)이다. WAN 인터페이스(208, 210)는, 링크들(212 및 214)에 의해 도시된 네트워크(206)를 통한 접속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노드들(202, 204)의 각각은, 직접 접속된 피어들 또는 멀티-홉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또는 또 다른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예를 들어, 피어 투 피어) 기술일 수 있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노드들(202, 204)의 각각의 제 2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인터페이스(216, 218)로서 도시된다. D2D 인터페이스들(216, 218)은 노드들(202, 204)이, 직접 링크(220)에 의해 도시된 직접 통신들을 수행하게 한다.
네트워크(206)를 통한 세션을 시작하고 (예를 들어, 직접 링크(220)를 통해) 직접 세션으로 이동하기 위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절차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노드1(202)이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다고 가정된다. 통신들은, 그것의 모바일 IP 홈 어드레스를 소스 어드레스로서 이용하는 노드1(202)에 의해 수행된다. 홈 어드레스는 노드에 할당된 유니캐스트 라우팅가능한 어드레스이고, 노드의 영구적인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노드1(202)은, 각각의 제 1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WAN 인터페이스들(208, 210))을 통해 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206)(예를 들어, WAN)를 통해 노드2(204)와 통신한다. 패킷들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네트워크(206)에 포함될 수 있는 홈 에이전트로의 MIPv6 터널 또는 노드2(204)로의 직접적인 라우팅 최적화 터널에서 인캡슐레이팅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2, 116, 122, 124) 중 하나 또는 도 2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202, 204) 중 하나이다.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엘리먼트들(302, 304)이 데이터 및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는 버스(309)를 통해 함께 커플링된 프로세서(302) 및 메모리(304)를 포함한다.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몇몇 양상들에서,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은 프로세서(302) 내부에 위치된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몇몇 양상들에서는 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모듈(308)은,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몇몇 양상들에서는 그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애플리케이션 경보(alert) 기준들을 충족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 경보를 생성하며;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이전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운반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일 수도 있고, 종종 기지국이다. 몇몇 양상들에서,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위치 정보이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의 일부로서 무선 피어 투 피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의 일부로서 무선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에 포함된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취할 동작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2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이며, 제 1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이고, 상기 동작은 위치 기반 트래픽 업데이트 동작 및 위치 기반 광고 업데이트 동작 중 하나이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생성된 제 1 애플리케이션 경보에 응답하여,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노드들(202 및 204) 사이의 통신들과 같은 피어-투-피어 통신들의 AP-기반 스케줄링을 위한 전력 관리 프레임워크(전력 절약 멀티 폴(PSMP) 프레임들)를 이용하는 것을 지원한다. PSMP 프레임들은 액세스 포인트와 사용자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들에 대해서만 당업계에서 이용된다.
피어-투-피어 트랜잭션들의 스케줄링
도 4는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PSMP 프레임 내의 예시적인 정보 필드(400)를 도시한다. PSMP 프레임은 그룹 어드레스에 어드레싱될 수도 있으며, 수 개의 스테이션-정보(STA-info) 필드들을 운반할 수도 있으며, 그 스테이션-정보 필드들 중 하나는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도 있는 각각의 사용자 스테이션(STA)에 대한 것이다.
STA-info 필드(400)의 상이한 필드들은 상이한 기능들을 가질 수도 있다. 스테이션-식별(STA-ID) 필드(408)는 STA-info 필드(400)와 연관된 STA를 식별할 수도 있다. PSMP 다운링크 송신 시간(DTT) 시작 오프셋 필드(404)는 STA에서의 수신을 위한 시작 시간을 식별할 수도 있고, PSMP-DTT 지속기간 필드(406)는 STA에서의 수신을 위한 지속기간을 식별할 수도 있다. 한편, PSMP 업링크 송신 시간(UTT) 시작 오프셋 필드(410)는 STA로부터의 송신의 시간을 식별할 수도 있고, PSMP-UTT 지속기간 필드(412)는 STA로부터의 송신에 대해 허용된 시간의 지속기간을 식별할 수도 있다.
각각의 STA는 송신 및 수신할 때를 정확히 알 뿐만 아니라 피어 노드의 아이덴티티를 알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송신들을 수용하기 위해 PSMP 메시지의 능력들을 확장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STA-info 타입 필드(402)의 값은, STA-info 필드(400)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에 기초한 STA-대-STA 송신에 대해 전용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의된 값(예를 들어, 3의 값)으로 셋팅될 수도 있다. 예약된 비트들(414)은 STA-대-STA DLS 송신에 대한 채널을 정의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송신 채널들은 예약된 비트들(414)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스위칭될 수도 있다.
STA가 AP로부터 PSMP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STA는 그 자체에 대한 STA-info 필드를 발견하기 위해 메시지를 스캐닝할 수도 있다. STA-info 타입 필드로부터, STA는 할당의 타입, 즉, AP-STA 통신 또는 DLS 통신을 식별할 수도 있다. STA(예를 들어, STA1)와 연관된 STA-info 필드가 DLS 통신에 대해 식별되면, STA1은 이러한 DLS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잠재적인 목적지들에 대한 PSMP 메시지를 탐색할 수도 있다.
일단 잠재적인 목적지들(예를 들어, STA2 및 STA3)이 식별되면, STA1은, PSMP-DTT 시작 오프셋 및 PSMP-DTT 지속기간이 STA1의 PSMP-UTT 시작 오프셋 및 PSMP-UTT 지속기간과 매칭하는 STA2 및/또는 STA3에 대한 STA-info 필드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STA1이, 예를 들어, STA2와 연관된 매칭하는 STA-info 필드를 발견하면, STA1은 할당된 오프셋에서 및 할당된 시간 지속기간 동안 STA2에 데이터를 송신하기를 시작할 수도 있다.
또한, PSMP 프레임은 STA-info 필드(400)의 예약된 필드(414)와 같은 6비트 예약된 필드들 중 3비트들을 이용함으로써 채널 스위치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연속하는 20MHz 채널들이 AP에 이용가능하면, 상이한 3비트 패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20MHz 채널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채널 스위치 옵션이 이용가능하면, STA1이 오프셋 및 지속기간 필드들에 부가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피어들과 송신 채널을 매칭할 필요가 또한 있을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STA가 PSMP 프레임에서 정의된 임의의 시간 기간 동안 슬립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을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STA는 PSMP 프레임에 의해 설정된 송신들과 간섭하지 않는 임의의 송신에 대한 무선 채널에 액세스할 수 있을 수도 있으며, 여기서, 그 무선 채널은 PSMP 프레임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TA는 PSMP 메시지에 의해 커버링되지 않는 무선 채널에서는 경쟁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다수의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AP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500)을 도시한다. (502)에서, AP는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스케줄은 제 1 장치(즉, 피어 노드)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즉, 또 다른 피어 노드)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한다. (504)에서, AP는 제 1 및 제 2 장치들에 스케줄을 송신할 수도 있다. 다수의 통신들은 장치들의 쌍들 사이(즉, 피어 노드들 사이)에서 설정된 다수의 DLS 통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제 2 장치와의 통신들을 설정하기 위해 제 1 장치에서 실행되는 예시적인 동작들(600)을 도시한다. (602)에서, 제 1 장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그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한다. (604)에서, 통신들을 위한 할당된 동일한 시간 기간을 갖는 제 2 장치가 식별될 수도 있다. (606)에서, 제 1 장치는 시간 기간 동안 제 2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AP-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트랜잭션들을 시작함
액세스 포인트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피어-투-피어 트랜잭션(transaction)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는 STA들에서의 백로깅된(backlogged) 피어-투-피어 트래픽을 인식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백로그 정보를 AP에 제공하기 위해 수 개의 방법들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서, AP는 백로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DLS 데이터 트래픽을 청취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결정된 백로그 정보는 장래의 DLS 데이터 트래픽 전달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AP는 결정론적인 백-오프(back-off) 절차를 사용하여 DLS 송신들을 위한 요청들의 송신 시간들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다. AP는 DLS-가능 STA들의 서브세트에 대한 백-오프 카운트를 갖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그 후, AP는 피어-투-피어 버퍼 레벨들에 관련된 응답들을 대기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AP는, 특정한 DLS 흐름이 얼마나 자주 스케줄링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DLS 흐름의 트래픽 규격(TSPEC)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수단은, 회로, 주문형 집적회로(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그들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대응부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블록들(502 내지 504 및 602 내지 606)은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회로 블록들(502A 내지 504A 및 602A 내지 606A)에 대응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결정하는" 이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액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 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도출하는, 조사하는, 룩업하는(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또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선출하는, 설정하는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일 리스트의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 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링하도록 의도된다.
상술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회로들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펌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또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사용될 수도 있는 저장 매체들의 몇몇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수 개의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및 다수의 저장 매체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도 있어서,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여기에 기재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서로 상호교환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한 순서가 특정되지 않으면, 특정한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변형될 수도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Figure pct00001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특정한 양상들은 여기에 제공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된(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명령들은 여기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특정한 양상들에 대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송신 매체를 통해 또한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되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디바이스는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물리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시키거나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상기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변형들, 변경들 및 변화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상술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행해질 수도 있다.
상기의 것이 본 발명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및 추가적인 양상들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고안될 수도 있으며, 그의 범위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58)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은 제어 메시지에서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 중 하나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백-오프(back-off) 카운트를 갖는 메시지를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을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응답은, 상기 서브세트들로부터의 장치들 중 하나와 연관된 통신 버퍼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에 대한 상기 장치들로부터의 요청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들의 트래픽 규격(TSPEC)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의 각각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백로그(backlog)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통신들을 청취하는 단계; 및
    상기 백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들 사이의 다른 통신들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들은 상기 장치들의 쌍들 사이에서 설정된 다수의 데이터 링크 셋업(DLS) 통신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 상기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은 제어 메시지에서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 중 하나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백-오프 카운트를 갖는 메시지를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에 송신하도록 또한 구성되며;
    상기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는,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각각의 응답은, 상기 서브세트들로부터의 장치들 중 하나와 연관된 통신 버퍼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에 대한 상기 장치들로부터의 요청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들의 트래픽 규격(TSPEC)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의 각각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백로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통신들을 청취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백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들 사이의 다른 통신들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된 스케줄러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들은 상기 장치들의 쌍들 사이에서 설정된 다수의 데이터 링크 셋업(DLS) 통신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은 제어 메시지에서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 중 하나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백-오프 카운트를 갖는 메시지를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는,
    상기 장치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상기 메시지에 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각각의 응답은, 상기 서브세트들로부터의 장치들 중 하나와 연관된 통신 버퍼의 레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응답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에 대한 상기 장치들로부터의 요청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들의 트래픽 규격(TSPEC)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들의 각각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17 항에 있어서,
    백로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통신들을 청취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백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들 사이의 다른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통신들은 상기 장치들의 쌍들 사이에서 설정된 다수의 데이터 링크 셋업(DLS) 통신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명령들을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장치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고 - 상기 스케줄은 제 1 장치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장치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그리고,
    상기 스케줄을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송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26. 액세스 포인트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무선 노드들 사이의 다수의 통신들에 대한 스케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회로 - 상기 스케줄은 제 1 무선 노드가 송신할 시간 기간 및 제 2 무선 노드가 수신할 동일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및
    상기 스케줄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 1 무선 노드 및 상기 제 2 무선 노드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
  27.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장치에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제 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2 장치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제 1 장치 및 상기 제 2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전력 관리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는 IEEE 802.11n 전력 절약 멀티 폴(PSMP)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장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장치와 연관된 필드를 발견하기 위해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시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1 값을 상기 제 2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작 시간을 표시하는 또 다른 필드 내의 제 1 값과 매칭시키고, 상기 제 1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2 값을 상기 제 2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제 2 값과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필드는 상기 제 2 장치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비트들의 시퀀스를 상기 제 2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비트들의 또 다른 시퀀스와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정의된 임의의 시간 기간 동안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5.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한 통신과 간섭하지 않는 송신에 대한 무선 채널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표시되지 않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채널에서 경쟁하는(contend)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장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다른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장치 및 상기 다른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장치 및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전력 관리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는 IEEE 802.11n 전력 절약 멀티 폴(PSMP)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회로는,
    상기 장치와 연관된 필드를 발견하기 위해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된 스캐닝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닝 회로는, 상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시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1 값을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작 시간을 표시하는 또 다른 필드 내의 제 1 값과 매칭시키고, 상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2 값을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제 2 값과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상기 다른 필드는 상기 다른 장치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회로는,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비트들의 시퀀스를 상기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비트들의 또 다른 시퀀스와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4.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정의된 임의의 시간 기간 동안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저전력 회로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5.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한 통신과 간섭하지 않는 송신에 대한 무선 채널에 액세스하도록 또한 구성되며,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표시되지 않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무선 채널에서 경쟁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장치 및 상기 다른 장치가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하여 통신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상기 장치 및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한 타입 필드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비트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전력 관리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는 IEEE 802.11n 전력 절약 멀티 폴(PSMP)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장치와 연관된 필드를 발견하기 위해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의 시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1 값을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작 시간을 표시하는 또 다른 필드 내의 제 1 값과 매칭시키고, 상기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제 2 값을 상기 다른 장치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간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제 2 값과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필드는 상기 다른 장치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필드 내의 비트들의 시퀀스를 상기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무선 채널을 표시하는 상기 다른 필드 내의 비트들의 또 다른 시퀀스와 매칭시키도록 상기 전력 관리 메시지를 스캐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4.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정의된 임의의 시간 기간 동안 슬립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5.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에 기초하여 설정된 직접 링크 셋업(DLS) 접속을 사용한 통신과 간섭하지 않는 송신에 대한 무선 채널에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표시되지 않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무선 채널에서 경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7. 명령들을 포함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장치에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제 2 장치를 식별하며; 그리고,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 2 장치와 통신하도록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
  58.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제어 메시지는 통신들을 위한 시간 기간을 표시함 -;
    통신들을 위한 동일한 시간 기간을 할당받은 또 다른 무선 노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회로; 및
    상기 시간 기간 동안 상기 다른 무선 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
KR1020127013934A 2009-10-29 2010-10-29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KR101394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599309P 2009-10-29 2009-10-29
US61/255,993 2009-10-29
US12/649,426 2009-12-30
US12/649,426 US20110103319A1 (en) 2009-10-29 2009-12-30 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PCT/US2010/054746 WO2011059820A1 (en) 2009-10-29 2010-10-29 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160A true KR20120087160A (ko) 2012-08-06
KR101394073B1 KR101394073B1 (ko) 2014-05-13

Family

ID=4392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934A KR101394073B1 (ko) 2009-10-29 2010-10-29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10103319A1 (ko)
EP (1) EP2494838B1 (ko)
JP (1) JP5680657B2 (ko)
KR (1) KR101394073B1 (ko)
CN (1) CN102598827B (ko)
TW (1) TW201141291A (ko)
WO (1) WO201105982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95A1 (ko) * 2012-11-30 201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WO2015130076A1 (ko) * 2014-02-25 2015-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KR20160042936A (ko) * 2013-08-08 2016-04-20 블랙베리 리미티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에서의 초기 동기화 및 충돌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03319A1 (en) *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CN103139921B (zh) * 2011-11-24 2015-07-08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直通的方法、终端直通终端和基站
WO2013115464A1 (en) * 2012-02-03 2013-08-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rame performed by station operating in power save mode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9185690B2 (en) * 2012-02-29 2015-11-10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and determin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link
JP5844937B2 (ja) 2013-02-19 2016-01-20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基地局、プロセッサ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CN104052704B (zh) * 2013-03-15 2017-03-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数据发送和接收方法及设备
KR102100837B1 (ko) 2013-08-08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5094446A1 (en) * 2013-12-16 2015-06-25 Intel Corporation Remote wakeup for wi-fi devices
JP2015154243A (ja) * 2014-02-14 2015-08-24 ソニー株式会社 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WO2015161451A1 (zh) * 2014-04-22 2015-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互联网协议报文的转发方法、移动网关和无线网络控制器
WO2016189186A1 (en) * 2015-05-22 2016-12-01 Nokia Technologies Oy Determining distances
GB2540147B (en) * 2015-07-06 2018-08-15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deterministic back-off protocol within a wifi-direct community
US10887215B2 (en) 2017-07-07 2021-01-05 Mark A. Walton Accessing and routing over a peer-to-peer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3105B2 (en) * 2003-10-1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US8472473B2 (en) * 2003-10-15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AN protocol stack
US20050157674A1 (en) * 2003-10-31 2005-07-21 Globespanvirata Incorporated Time-scheduled multichannel direct link
US7782803B2 (en) * 2003-11-04 2010-08-24 The Regents Of University Of California Half-duplex wireless network scheduling
CA2600724A1 (en) * 2005-03-14 2006-09-21 H-Stream Wirel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ireless pan network using an overlay protocol that enhances co-existence with a wireless lan network
JP2007027916A (ja) * 2005-07-13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通信装置及び送信方法
TW200719636A (en) * 2005-11-04 2007-05-16 Inst Information Industry Method for a direct 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751396B2 (en) * 2006-02-28 2010-07-06 Nokia Corporation Multicast address signaling for power save delivery in a wireless network
US8493590B2 (en) * 2006-03-24 2013-07-2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high throughput data between multiple devices
JP2007295541A (ja) * 2006-03-28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
US8432920B2 (en) * 2006-09-19 2013-04-30 Marvell World Trade Ltd. Direct link setup mechanisms for wireless LANs
US8374192B2 (en) * 2006-10-19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GB2449252B (en) * 2007-05-14 2012-05-16 Toshiba Res Europ Ltd Multichannel MAC in wireless networks
CN101364912B (zh) * 2007-08-07 201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直接链路建立空间复用方法、工作站及控制接入点设备
US8326372B2 (en) * 2007-11-09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link set-up power save delivery
JP4506829B2 (ja) * 2007-12-26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90225706A1 (en) * 2008-03-05 2009-09-10 Motorola, Inc.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of transmissio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mploying repeaters
KR101536773B1 (ko) * 2008-07-31 2015-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ht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파워 세이브 멀티-폴 절차와이를 위한 psmp 프레임 포맷, 및 이를 지원하는스테이션
US8194604B2 (en) * 2008-09-08 2012-06-05 Motorola Mobility,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761099B2 (en) * 2009-01-16 2014-06-2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scheduling resourc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8879479B2 (en) * 2009-01-27 2014-11-04 Motorola Solutions, Inc. Reactive scheduling methods and apparatus to enable peer-to-peer communication links in a wireless OFDMA system
US20110103319A1 (en) 2009-10-29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scheduled peer-to-peer communic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495A1 (ko) * 2012-11-30 201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 상의 직접 링크 통신 방법
KR20160042936A (ko) * 2013-08-08 2016-04-20 블랙베리 리미티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에서의 초기 동기화 및 충돌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932309B2 (en) 2013-08-08 2021-02-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itial synchronization and collision avoidance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ithout network coverage
KR20210021110A (ko) * 2013-08-08 2021-02-24 블랙베리 리미티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없는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에서의 초기 동기화 및 충돌 방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58913B2 (en) 2013-08-08 2023-01-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itial synchronization and collision avoidance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ithout network coverage
WO2015130076A1 (ko) * 2014-02-25 2015-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감소 방법 및 장치
US10349352B2 (en) 2014-02-25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of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073B1 (ko) 2014-05-13
CN102598827B (zh) 2016-06-01
WO2011059820A1 (en) 2011-05-19
JP5680657B2 (ja) 2015-03-04
CN102598827A (zh) 2012-07-18
EP2494838A1 (en) 2012-09-05
US20130121227A1 (en) 2013-05-16
JP2013509827A (ja) 2013-03-14
TW201141291A (en) 2011-11-16
US9237585B2 (en) 2016-01-12
US20110103319A1 (en) 2011-05-05
EP2494838B1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073B1 (ko)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EP2494845B1 (en) Method for forwarding i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s
JP6363256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上の改善された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517522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rming reception of clear-to-send frame for virtual carrier sensing
US201302357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setup through relays
KR101529132B1 (ko)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