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132B1 -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132B1
KR101529132B1 KR1020147000900A KR20147000900A KR101529132B1 KR 101529132 B1 KR101529132 B1 KR 101529132B1 KR 1020147000900 A KR1020147000900 A KR 1020147000900A KR 20147000900 A KR20147000900 A KR 20147000900A KR 101529132 B1 KR101529132 B1 KR 10152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s
time instants
information
tim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908A (ko
Inventor
히맨쓰 샘패쓰
빈센트 놀즈 4세 존스
아비니쉬 아그라왈
산토쉬 폴 아브라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4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leader and terminal is follower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해 피어-투-피어(P2P) 무선 네트워크에서 강화된 발견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먼저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노드는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노드들을 발견하기 위해 웨이크 업할 수 있고, 여기서, 웨이크 업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노드들과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은 무선 노드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업데이트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BY SYNCHRONIZED DISCOVERY WAKE UP}
35 U.S.C.§119하에서의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2011년 6월 13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by synchronized discovery wake up"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496,513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상기 가특허 출원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synchronized discovery wake up)에 의한 피어-투-피어(P2P) 무선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어-투-피어(P2P) 무선 네트워크는, 모든 디바이스들이 수신 및 송신 동작들 모두에 대해 공통의 무선 리소스(즉, 스펙트럼)를 공유하는 방식(즉,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P2P 네트워크의 중요한 목적은, 발견(discovery), 즉, 단말이 접속을 형성할 수 있는(즉, 그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그에 송신할 수 있는), 라디오 주파수(RF) 부근에서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P2P 디바이스들의 상호접속은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 전력 절감을 위한 필요성으로 인해, P2P 디바이스들(또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디바이스들)은, 이들이 패킷들을 전송할 필요가 있는, 또는 이들이 비컨을 통해서 수신될 잠재적인 트래픽에 관해서 통지받을 때인 인터벌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다. WLAN 기술은 WLAN 모뎀이 장착된 노드들 사이에서 피어-투-피어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슬립 상태로 종종 진행하는 WLAN 노드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 발견 절차를 개시하는 노드는, 노드가 웨이크 업하고 핑(ping)에 응답할 때까지, 그 노드를 연속적으로 "핑"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발견가능성에 있어서의 지연들은 지연 민감 트래픽에 대해 피어-투-피어 통신의 유효성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 웨이크 업은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및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제 3 회로를 포함하고, 여기서,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장치의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고, 애플리케이션은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세계시(universal time)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을 트리거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일반적으로 장치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는 단계,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는 단계 ― 웨이크 업은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기 위한 수단 ― 웨이크 업은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및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이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고,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고 ― 웨이크 업은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그리고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게 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액세스 단말을 제공한다. 이 액세스 단말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단말을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된 제 2 회로 ― 웨이크 업은 액세스 단말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서 발견시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액세스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제 3 회로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앞서-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앞서 간략하게 요약된 더욱 상세한 설명이 양상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상들 중 몇몇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들은 본 개시물의 오직 특정한 통상적인 양상들을 예시하며, 이에 따라 그 범위의 한정으로 고려되지 않는데, 이는 상세한 설명이 다른 동일하게 효과적인 양상들에 대해 허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른 예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2개의 노드들이 통신하도록 하는 예시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피어-투-피어(P2P)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노드에 의해 수행된 예시의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이하 더욱 완전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이 개시물은 수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이 개시물 전체를 통해서 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물이 철저하고 완벽해지고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물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본 개시물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지 또는 그와 조합하여 구현되든지 간에, 본 개시물의 범위가 본원에 개시된 개시물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이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범위는 본원에 설명된 개시물의 다른 양상들에 더해 또는 이들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와 기능을 이용하여 실행된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본 개시물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단어 "예시적인"은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을 의미하도록 본원에 이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서 이해될 필요는 없다.
특정 양상들이 본원에 설명되지만, 이러한 양상들의 수많은 변화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속한다. 바람직한 양상들의 몇몇 이득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는 특정 이득들, 용도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물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널리 적용가능하게 되도록 의도되며, 이들 중 몇몇은 바람직한 양상들의 이하의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들에서 예로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적이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며, 본 개시물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동등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본원에 설명된 기법들은 직교 다중화 방식에 기초한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시들은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활용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상이한 타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로 하여금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하게 할 수 있으며, 각각의 타임 슬롯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다. TDMA 시스템은 GS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몇몇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는 변조 기법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활용한다. 이러한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OFDM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OFDM 시스템은 IEEE 802.11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몇몇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서 분산된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인터리빙된 FDMA(IFDMA), 인접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로컬화된 FDMA(LFDMA), 또는 인접하는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강화된 FDMA(EFDMA)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의 경우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의 경우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SC-FDMA 시스템은 3GPP-LTE(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롱 텀 에볼루션)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몇몇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를 들어, 노드들)에 통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 내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노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로의 또는 그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의 교시들에 따라서 구현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단말("AT")은, 액세스 단말, 가입자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기, 코드리스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접속 성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몇몇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 교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이 전화기(예를 들어,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 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태블릿,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플립-캠, 보안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DVR),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을 이제 참조하여,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된다. 시스템(1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104 및 106)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108 및 110)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들(112 및 1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이 도시되지만; 그보다 많은 또는 그보다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그룹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과 같이, 기지국(102)은 추가적으로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결국 신호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된 복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지국(102)은 홈 기지국, 펨토 기지국 등일 수 있다.
기지국(102)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116)와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102)이 디바이스(116)와 유사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16)는 안테나들(104 및 106)과 통신하고, 여기서 안테나들(104 및 106)은 순방향 링크(118)를 통해서 정보를 디바이스(116)에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통해서 정보를 디바이스(116)로부터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는, 예를 들어,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에서,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는 공통 주파수 대역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들(122 및 124)은, 피어-투-피어 구성에서와 같이, 서로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디바이스(122)는 링크들(126 및 128)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24)와 통신한다. 피어-투-피어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들(122 및 124)과 같이, 서로의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은, 그들의 통신을 중계하기 위한 기지국(102) 및/또는 유선 인프라구조 없이 서로 직접 통신한다. 추가적으로, 피어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은 트래픽을 중계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고, 트래픽이 그의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기지국들과 유사하게 기능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 트래픽 또는 통신들을 중계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들은 또한 피어 노드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관리하도록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반송하는 제어 채널들을 송신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또는 유선) 통신하는 임의의 수의 디바이스들 또는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노드들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고,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거나 또는 멀티-홉 토포그래피에서와 같이 다른 노드들의 활용을 통해서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통신들은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노드에서 노드로 호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기 노드(sender node)가 수신기 노드와 통신하기 희망할 수 있다. 전송기 노드와 수신기 노드 사이에서의 패킷 전달(packet transfer)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노드들이 활용될 수 있다. 임의의 노드는 전송기 노드 및/또는 수신기 노드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시에(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시간과 대략 동일한 시간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거나 또는 통신할 수 있음)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세션을 개시했던 노드들로 하여금 세션을 직접 접속으로 이동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직접 접속된 노드들은 임의의 캡슐화 없이 패킷들을 그대로(natively) 교환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 따라서, "홈리스(homeless)" 노드는 자신의 계속 진행중인(ongoing) 세션들을 손실하지 않고 무선 네트워크로 스위칭할 수 있다. "홈리스"란, 외부(foreign) 네트워크들로 스위칭하는 동안 계속 진행중인 세션들을 라이브로 유지하기 위한 지원(assistance)을 제공하거나, 또는 새로운 세션들을 확립하기 위한 임의의 새로운 유입 요청(들)을 노드의 현재 위치로 포워딩하기 위한 어떠한 홈 에이전트 엔티티도 갖지 않는 노드를 의미한다. 몇몇 양상들에 따르면, 노드들은 이동형(예컨대, 무선), 고정형(예컨대, 유선),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컨대, 하나의 노드는 고정형이고 두 번째 노드는 이동형, 두 노드들 모두 이동형, 등등)일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2개의 노드들이 통신하게 하는 시스템(200)을 도시한다. 시스템(200)에는 제 1 노드(Node1)(202) 및 제 2 노드(Node2)(204)가 포함된다. 노드들(202, 204) 각각은 적어도 2개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프로토콜(IP) 어드레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206)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홈 네트워크,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케이블, 3GPP 기반, 3GPP2 기반, 또는 관심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로 라우팅하는 그리고 상호접속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기술일 수 있다
노드들(202 및 204)의 인터페이스들은 유선(예를 들어, 디바이스-투-디바이스로), 무선(예컨대, WAN), 또는 이들의 조합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ode1(202)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고, Node2(204)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거나, 또는 Node2(204) 인터페이스는 무선일 수 있고, Node1(202) 인터페이스는 유선일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들(202 및 204) 모두는 무선일 수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스들(202 및 204) 모두는 유선일 수 있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노드들(202, 204) 각각의 제 1 인터페이스는 WAN 인터페이스(208 및 210)이다. WAN 인터페이스들(208, 210)은, 링크들(212 및 214)로 예시된, 네트워크(206)를 통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노드들(202, 204) 각각은, 직접적으로 접속된 피어들을 갖는 로컬 네트워크 또는 멀티-홉 메시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제 2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투-디바이스(예컨대, 피어-투-피어) 기술일 수 있다. 예시의 목적들을 위해, 노드들(202, 204) 각각의 제 2 인터페이스는 디바이스-투-디바이스(D2D) 인터페이스(216, 218)로서 도시된다. D2D 인터페이스들(216, 218)은 노드들(202, 204)이 직접 링크(220)로 예시된 직접 통신들을 수행하게 한다.
네트워크(206)를 통해서 세션을 시작하고, (예컨대, 직접 링크(220)를 통해서) 직접 세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절차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Node1(202)는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을 활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통신들은, 자신의 모바일 IP 홈 어드레스를 소스 어드레스로서 활용하는 Node1(202)에 의해 수행된다. 홈 어드레스는 노드에 할당된 유니캐스트 라우팅가능 어드레스(unicast routable address)이고, 노드의 영구적 어드레스로서 이용된다. Node1(202)과 Node2(204)는 Node1과 Node2 각각의 제 1 인터페이스들(예컨대, WAN 인터페이스들(208, 210))을 통해서 패킷들을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206)(예컨대, WAN)를 통해서 통신한다. 패킷들은,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네트워크(206)에 포함될 수 있는 홈 에이전트로의 MIPv6 터널, 또는 Node2(204)로의 직접적인 경로 최적화 터널에서 캡슐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어, 도 1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102, 116, 122, 124) 중 하나 또는 도 2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202, 204) 중 하나일 수 있다.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다양한 엘리먼트들(302, 304)이 데이터 및 정보를 상호교환할 수 있는 버스(309)를 통해서 함께 커플링된 프로세서(302) 및 메모리(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에 커플링될 수 있는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양상들에서, 입력 모듈(306) 및 출력 모듈(308)은 프로세서(302) 내부에 위치된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306)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양상들에서는 포함한다. 출력 모듈(308)은 출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 및/또는 유선 또는 광학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양상들에서는 포함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신호가 애플리케이션 경고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 경고를 생성하고;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신호 ― 상기 제 2 신호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이전 신호에 기초하여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를 반송함― 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일 수 있고, 종종 기지국이다. 몇몇 양상들에서,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위치 정보이다. 다양한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의 일부로서 무선 피어-투-피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 1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의 일부로서 무선 광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 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302)는, 제 2 신호에 포함된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 및 상기 제 1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행하기 위한 동작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양상에서, 제 2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 정보는 상기 제 2 통신 디바이스의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이고, 제 1 신호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현재 위치 정보이며, 상기 동작은 위치 기반 트래픽 업데이트 동작 또는 위치 기반 광고 업데이트 동작 중 하나이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302)는, 생성된 제 1 애플리케이션 경고에 응답하여, 제 2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요청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도 1에서의 노드들 (116, 122, 124), 및/또는 도 2에서의 노드들(202, 204), 및/또는 제 2 통신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도 3에서의 제 1 통신 디바이스(300))로 하여금, 합의된(동기화된) 시간-인터벌들에서 발견을 위해 웨이크 업하게 하기 위해,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예컨대, 도 2에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200))에서 시간 동기화를 지원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르면, 다른 모뎀들(예컨대, 셀룰러 디바이스 모뎀들)을 소유하는 WLAN(P2P) 디바이스들은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획득된 시간에 기초하여 웨이크 업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고, 이러한 웨이크-업 기간들은 주로 디바이스들이 서로를 발견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다. 셀룰러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발행된 디바이스들은 미리결정된 인터벌들 또는 특정한 시각에 웨이크 업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 양상에서, WLAN 디바이스의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발견 웨이크 업 기간들을 트리거한다. 예를 들어, 발견 웨이크 업 기간들은 세계시(universal time)에 기초하여, 또는 소셜 네트워킹 제공자 서버들로부터 획득된 시간들에서 트리거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웨이크-업 타이밍의 소스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기반 시간 소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는 자신의 디바이스들이 GPS 시간 소스에 기초하여 미리결정된 인터벌들 또는 미리결정된 시간들에서 웨이크 업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미리결정된 시간들은 또한 위치 정보에 따라서 업데이트될 수 있고, 여기서 위치 정보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업자로부터의 디바이스들은 서로 발견할 수 있고, 독점(proprietar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도 2에서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200))에서 장치(예컨대, 무선 노드 또는 액세스 단말)에 의해 수행된 예시적인 동작(400)을 도시한다. 402에서, 무선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들을 획득할 수 있다. 404에서, 무선 노드는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노드들을 발견하기 위해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웨이크 업은 무선 노드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노드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406에서, 무선 노드는 무선 노드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양상에서, 무선 노드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그 정보를 더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노드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노드는, 무선 노드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무선 노드들을 서빙하는 중앙(central)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더 프로세싱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중앙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중앙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P"),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eNodeB, 기지국 컨트롤러("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라디오 기지국("RBS"), 또는 몇몇 다른 용어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중앙 디바이스는 셋 톱 박스 키오스크, 미디어 센터,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노드는 무선 노드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노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정보는 무선 노드와 관련된 셀룰러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셀룰러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AP"), NodeB, eNodeB,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라디오 기지국("RBS"),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몇몇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셀룰러 디바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기술,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노드의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무선 노드에서 이용가능한 세계시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웨이크 업을 트리거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광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제공자 서버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무선 노드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또는 무선 노드를 서빙하는 셀룰러 제공자로부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에서의 디바이스들은 GPS 기반 시간 소스를 통해서 웨이크 업하기 위해 타임-스탬프들을 획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타임-스탬프들은, 그 네트워크 내에서 P2P 디바이스들을 서빙하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또는 P2P 디바이스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대역-내 시그널링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이,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수단들은,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 카운터파트 수단+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동작들(400)은 도 4a에 도시된 수단들(400A)에 대응한다.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웨이크 업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획득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도 3으로부터의 통신 디바이스(300)의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크 업하기 위한 수단은,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장치들을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웨이크 업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과 동기화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한다. 일 양상에서, 웨이크 업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직 회로, 예컨대,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은,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적 회로, 예컨대,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서빙하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또는 장치를 서빙하는 셀룰러 제공자로부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수신기, 예를 들어, 도 3에서의 통신 디바이스(300)의 입력 모듈(30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은, 장치가 웨이크 업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은 주문형 집적 회로, 예컨대, 프로세서(30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독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장치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 및/또는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트랜시버,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300)의 입력 및 출력 모듈들(306, 30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determining)"은 매우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찾아보는(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찾아보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정하는, 선택하는, 확립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이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 of)"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의 멤버들을 포함하는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a-b-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원의 개시물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물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이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몇몇 예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수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그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그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구체화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이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에서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반적인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하는 버스들 및 브릿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판독가능 매체,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통해서 특히 네트워크 어댑터를 프로세싱 시스템에 접속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20)의 경우(도 1 참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가 버스에 접속될 수 있다. 버스는 또한 당업계에 잘 알려져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다양한 다른 회로들, 예컨대, 타이밍 소스들, 주변기기들, 전압 조절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을 링크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머신-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 프로세싱 및 버스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 또는 다른 것들로 지칭되든지 그렇지 않든지 간에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써,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판독 전용 메모리), PROM(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 EPROM(삭제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 EEPROM(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와는 분리된 프로세싱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부분은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로써,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분리된 컴퓨터 물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이에 더해, 머신-판독가능 매체 또는 그 임의의 부분은, 캐시 및/또는 일반적 레지스터 파일들의 경우와 같이,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머신-판독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갖는 범용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외부 버스 아키텍쳐를 통해서 다른 지원 회로와 함께 링크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은, 단일 칩으로 통합된,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사용자 인터페이스(액세스 단말의 경우), 지원 회로, 및 머신-판독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ASIC(주문형 집적 회로)로,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FPGA들(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PLD들(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컨트롤러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회로로, 또는 본 개시물을 통해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서 분산될 수 있다. 예로써,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으로 로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명령들의 일부를 캐시로 로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시 라인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해 일반적 레지스터 파일로 로딩될 수 있다. 이하의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을 참조할 때,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에 의해 이러한 기능이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하게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IR),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 이용되는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학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통해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특정 양상들은 본원에 제공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된(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물리적 저장 매체, 이를 테면,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또는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등)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디바이스에 저장 수단을 커플링하거나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앞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변화들, 및 변경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41)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회로;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회로 ― 상기 웨이크 업은 상기 장치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및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로는 또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위치 정보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서빙하는 중앙(central)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로는 또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로는 또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기지국을 포함하는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기술,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trigger)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게이밍(gaming) 애플리케이션, 광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세계시(universal time)에 기초하여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또는 상기 장치를 서빙하는 셀룰러 제공자로부터 상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발견시에, 상기 장치는 독점(proprietary)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장치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는 단계;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는 단계 ― 상기 웨이크 업은 상기 장치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 및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위치 정보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서빙하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기지국을 포함하는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기술,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광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세계시에 기초하여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또는 상기 장치를 서빙하는 셀룰러 제공자로부터 상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6. 제 14 항에 있어서,
    발견시에, 상기 장치는 독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7.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들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웨이크 업은 상기 장치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 및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위치 정보는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서빙하는 중앙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정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장치와 관련된 셀룰러 기지국을 포함하는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를 통해서 대역-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디바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기술,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기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기술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4.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상기 장치의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게이밍 애플리케이션, 광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은 소셜 네트워킹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장치에서 이용가능한 세계시에 기초하여 상기 웨이크 업을 트리거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GPS 기반 시간 소스로부터 또는 상기 장치를 서빙하는 셀룰러 제공자로부터 상기 세계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9. 제 27 항에 있어서,
    발견시에, 상기 장치는 독점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0. 장치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time instant)들을 획득하고;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웨이크 업하고 ― 상기 웨이크 업은 상기 장치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 그리고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게 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액세스 단말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 1 회로;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을 발견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단말을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되는 제 2 회로 ― 상기 웨이크 업은 상기 액세스 단말과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 사이에서 동기화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발생함 ―;
    상기 액세스 단말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간 인스턴트들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회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서 발견시에,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액세스 단말.
KR1020147000900A 2011-06-13 2012-06-13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29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96513P 2011-06-13 2011-06-13
US61/496,513 2011-06-13
US13/494,057 US20130148557A1 (en) 2011-06-13 2012-06-12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by synchronized discovery wake up
US13/494,057 2012-06-12
PCT/US2012/042301 WO2012174150A1 (en) 2011-06-13 2012-06-13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by synchronized discovery wake 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908A KR20140034908A (ko) 2014-03-20
KR101529132B1 true KR101529132B1 (ko) 2015-06-16

Family

ID=4639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900A KR101529132B1 (ko) 2011-06-13 2012-06-13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48557A1 (ko)
EP (1) EP2719209B1 (ko)
JP (1) JP5944496B2 (ko)
KR (1) KR101529132B1 (ko)
CN (1) CN103597862B (ko)
WO (1) WO2012174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1693B2 (en) * 2011-06-13 2015-04-0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CN104768233A (zh) * 2014-01-03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d2d通讯方法及终端
EP3101953B1 (en) 2014-02-22 2020-04-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covery resource time-frequency jumping method and terminal
US11838184B2 (en) * 2021-02-02 2023-12-05 Dell Products L.P. Managing neighbor awareness networking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connectivit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8197A1 (en) * 2005-04-27 2006-11-02 Evans Scott C Adaptive connectionless scheduling protocol
US20080049700A1 (en) * 2006-08-25 2008-02-28 Shah Rahul C Reduced power network associ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00172275A1 (en) * 2009-01-07 2010-07-08 Microsoft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Device Discovery with Short-Range Radio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84B2 (ja) * 2002-10-03 2005-06-0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
US7577449B2 (en) * 2006-06-29 2009-08-1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a sleep mode wake-up time
WO2008107984A1 (ja) * 2007-03-07 2008-09-12 Panasonic Corporation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システム
US7984132B2 (en) * 2008-06-27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te peer discovery methods and apparatus
US8611331B2 (en) * 2009-02-27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Time division duplexing (TDD) configuration for access point base stations
KR101613857B1 (ko) * 2009-06-10 201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방송 통신 시스템 및 그의 방송 서비스 방법
US20110038290A1 (en) * 2009-08-11 2011-02-17 Michelle Xiaohong Go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area network
EP2330794A1 (en) * 2009-12-01 2011-06-08 France Telecom Status prompt method and system
US8914658B2 (en) * 2011-01-05 2014-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bernation during meeting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48197A1 (en) * 2005-04-27 2006-11-02 Evans Scott C Adaptive connectionless scheduling protocol
US20080049700A1 (en) * 2006-08-25 2008-02-28 Shah Rahul C Reduced power network association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US20100172275A1 (en) * 2009-01-07 2010-07-08 Microsoft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Device Discovery with Short-Range Radi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4150A1 (en) 2012-12-20
JP2014519794A (ja) 2014-08-14
EP2719209A1 (en) 2014-04-16
JP5944496B2 (ja) 2016-07-05
CN103597862B (zh) 2017-12-19
CN103597862A (zh) 2014-02-19
EP2719209B1 (en) 2017-04-05
US20130148557A1 (en) 2013-06-13
KR20140034908A (ko)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1693B2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9301276B2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ociation in multi-hop networks
EP3127282B1 (en) Multichannel link aggregation with tdls
US20130148643A1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EP28937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ociation in multi-hop networks
JP5161401B2 (ja) セルラーオーバーレイを介したピアツーピアネットワーク中での登録およびサービスアナウンス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915407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EP2517522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firming reception of clear-to-send frame for virtual carrier sensing
EP3064029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ate updates in a mesh network
KR20120087160A (ko) 액세스 포인트 스케줄링된 피어-투-피어 통신
US201701810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efficient discovery of infrastructure services on a network
KR101529132B1 (ko) 동기화된 발견 웨이크 업에 의한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들 내에서의 강화된 발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