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678A -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678A
KR20120085678A KR1020120006935A KR20120006935A KR20120085678A KR 20120085678 A KR20120085678 A KR 20120085678A KR 1020120006935 A KR1020120006935 A KR 1020120006935A KR 20120006935 A KR20120006935 A KR 20120006935A KR 20120085678 A KR20120085678 A KR 20120085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machine dialog
machine
power supply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741B1 (ko
Inventor
베니 도미니크
쇼베 프란시스
타디본 알랭
레마손 에릭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8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4Mounting on appliance located in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3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push-button, pull-knob or slide

Abstract

본 발명은,
- 데이터처리유닛과 전력공급유닛(11)을 포함하는 제1 구성부(1),
-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가 각각 구비된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와,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고정지지물(3)을 포함하는 제2 구성부,
- 제1 구성부(1)의 전력공급유닛(11)과 데이터처리유닛을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에 링크시키는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로서,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연결하기 위해 고정지지물(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
를 포함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Human-machine dialog system}
본 발명은,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호접속되는 제1 구성부와 제2 구성부로 이루어지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은 전기 인클로저(electrical enclosure) 또는 제어 콘솔(control console)의 도어에 푸시 버튼이나 지시등(indicator lamp) 타입의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개별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human-machine dialog member)를 위해, 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위한 구멍을 뚫고, 배선(wiring)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가 교체되어야 한다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완전히 분해되어야 하며, 인간-기계 다이얼로그의 교체로 인해 다시 배선되어야 한다. 미국특허공보 US 5,865,546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모듈러 키보드(modular keyboard)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06/050464에는, "원 와이어(One Wire)" 프로토콜의 애플리케이션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로 구성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 데이터처리유닛(data processing unit)과 전력공급유닛(electrical power supply unit)을 포함하는 제1 구성부(first part),
-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human-machine dialog interface)가 각각 구비된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와,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고정지지물(fastening support)을 포함하는 제2 구성부(second part),
- 제1 구성부의 전력공급유닛과 데이터처리유닛을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에 링크시키는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bus)로서,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고정지지물에 배치된 2개의 평행한 전도성 레일(conductive rail)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특정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메모리에 대해 읽기 및/또는 기록(write) 하기 위한 처리수단(processing unit)을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처리수단과 협동하는 제어 인터페이스(control interfa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예를 들면, 전력공급유닛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에 연결되며 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처리수단과 협동하는 신호전달 인터페이스(signalling interfa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예를 들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처리수단과 협동하는 식별 또는 검출 인터페이스(identification or detection interfa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예를 들면, 무선 기술(wireless technology)에 의해 작동하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록하는 처리수단과 협동하는 데이터 수신 인터페이스(data reception interfa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예를 들면, 무선 기술에 의해 작동하고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처리유닛과 협동하는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data transmission interfac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은, 서로 다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가 각각 구비된 2개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들 2개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 모두는 동일한 정사각형 모양의 하우징을 갖는다.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는, 둘 다 고정지지물을 따라 배치된, 영이 아닌(non-zero) 전위를 갖는 제1 전도성 레일(first conductive rail)과, 중립(neutral) 전위를 갖는 제2 전도성 레일(second conductive rail)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성에 따르면, 고정지지물은,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슬라이딩에 의해 받아들이도록 배치된 기다란 베이스(elongate ba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구성부와 제2 구성부는, 예를 들면, 인클로저의 도어 또는 제어 콘솔의 데크(deck)로 되는 벽(wall)의 어느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들과 이점들은, 하나의 예로서 주어짐과 아울러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조립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제2 구성부(second part)를 위한 고정지지물(fastening support)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제2 구성부를 위한 고정지지물을 조립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적합한 푸시 버튼 타입 제어 인터페이스(push-button-type control interface)가 구비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적합한 푸시 버튼 타입 제어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푸시 버튼 타입 제어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신호등 타입 신호전달 인터페이스(signal light-type signalling interface)가 구비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작동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특히, 데이터 읽기/기록용 스테이션(station)(10)을 포함하는 제1 구성부(1)와,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 처리수단(230) 및, 예를 들면, 메모리(231)가 각각 구비된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포함하는 제2 구성부로 이루어지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구성부(1)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유닛이 구비된 데이터 읽기/기록용 스테이션(10)과, 제2 구성부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유닛(11)을 포함한다.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전력공급유닛(11)은,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타입에 적합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동일한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다. 일단, 제1 구성부(1)가 도 1에 도시되지만, 다른 첨부도면에도 동일 구성으로 존재한다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유닛의 메모리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의 상태 또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에 할당된 다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모든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개의 메모리(231)를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에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가 그 자체의 메모리(231)를 갖는다고 가정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은, 모든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에 대해 메모리가 공통으로 사용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제1 또는 제2 구성부에 설치된 읽기/기록 스테이션의 메모리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메모리에 해당한다.
제1 구성부(1)와 제2 구성부는,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 사이의 통신 및, 전력공급유닛(11)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 사이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를 통해 상호접속된다. 이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는, 예컨대, 영이 아닌 전위에 연결되고 또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을 위한 전력공급전류(power supply current) 및 쓰기/기록 스테이션(10)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통신 프레임(communication frame)을 둘 다 흐르게 할 수 있는 제1 전도성 라인(first conductive line)(40)과, 중립 전위를 갖는 제2 전도성 라인(second conductive line)(41)인, 2개의 구별되는 전도성 라인에 실시된다.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서로 다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은, 단순한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을 이용함으로써,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에 대한 전력 공급 및,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와 읽기/기록 스테이션(10) 사이에서 교환되는 통신 프레임을 둘 다 흐르게 할 수 있는 투 와이어 프로토콜(two-wire protocol)이다. 이미 공지되어 있는 이 타입의 프로토콜은, 아래의 웹 주소에서 언급된 "원 와이어(OneWire)(댈러스 프로토콜(DALLAS protocol)이라고도 함)로 불리는 것이다.
http://daniel.menesplier.free.fr/Doc/BUS%201%20WIRE.pdf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이 어떤 것이든지 간에,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은, 그것들이 교체될 수 있는, 동일한 모양의 하우징을 모두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소재로 된 정사각형 모양의 하우징(21), 하우징(21)의 외측에 형성된 둘 이상의 전기접점(electrical contact)(22a)(22b),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된 인쇄회로(printed circuit)(23) 및, 하우징을 밀폐하고 또 예를 들면, 푸시 버튼 타입의 제어 인터페이스(20)(도 6과 7)와 같은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를 수용하는 전면판(front panel)(24)으로 구성된다. 2개의 전기접점(22a)(22b)은, 하우징의 둘 이상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2개의 다른 전기접점(22c)(22d)도, 하우징의 다른 2개의 대향면에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90°로 상호 오프셋(offset)된 2개의 다른 방향을 취할 수 있는 2개의 구별되는 연결 인터페이스(connection interface)를 갖는다. 또, 전면판(24)은, 라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설치자리(placement)(240)를 포함한다.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처리수단(230)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또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에 의해 받아들여지거나 보내질 메시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31)를 포함한다. 처리수단(230)과 메모리(231)는, 인쇄회로(23)에 조립되고 또한 하우징(21)에 형성된 전기접점(22a-22d)에 연결되어,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를 통해 전력공급유닛(11)에 의해 둘 다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메모리(231)는, 예로서, RAM, EEPROM 또는 FERAM 기술의 메모리이며, 특히,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 사이에 생성된 통신 네트워크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unique identifier)와, 이 메모리가 결부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메모리(231)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의 타입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라는 표현은, 수동으로 또는 외부 요소(external element)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유선이나 무선 링크에 의해 직접 또는 원격으로 작동될 수 있는 어떤 제어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예를 들면, 푸시 버튼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버튼들, 둘 이상의 위치뿐 아니라 위치 센서들을 갖는 회전 노브(rotating knob), 터치스크린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제어 인터페이스들 또는 무선 제어 장치(wireless control device)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무선 기술(라디오(radio), 적외선(infrared), 등)에 기초한 데이터 수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또,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라는 표현은, 제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어떤 시각 또는 음향 신호전달 인터페이스(visual or audible signalling interface)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예를 들면, 신호등(signal light), 야광라벨(luminous label)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모든 경고음 장치(sound warning device)를 포함한다. 또한, 신호전달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원격 수신기(remote receiver)에 보낼 수 있는 무선 기술에 기초한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라는 표현은, 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신호전달 인터페이스 또는 제어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은 어떤 검출 또는 식별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예를 들면, 용량(capacitive), 유도(inductive) 또는 저항(resistive) 타입의 어떤 검출 센서(presence sensor)와, 사람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생체 측정(biometric) 타입의 어떤 센서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그 자체가 다수의 서로 다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동일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예를 들면, 푸시 버튼과 같은 제어 인터페이스와, 예를 들면, 신호등과 같은 신호전달 인터페이스를 둘 다 포함할 수 있다.
이용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의 타입에 따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구조는 다를 수 있다. 실제로, 도 8과 관련하여, 푸시 버튼 타입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는, 예를 들면, 접점(200)을 포함하며, 그것의 상태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처리수단(230)에 의해 영구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이 접점(200)이 상태를 바꾸면, 처리수단(230)은 이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231)에 기록한다. 읽기/기록 스테이션(10)은, 메모리(231)를 정기적으로 스캔하므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의 상태 변화가 통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신호등 타입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는, 예를 들면, 전력공급유닛(11)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201)를 포함한다. 스테이션(10)이 발광체(light)의 조명을 지시하면, 그것이 신호등을 주기를 원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 예를 들면 발광체의 "온(on)"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내부 메모리(231)에 기록한다. 메모리(231)를 읽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의 처리수단(230)은, 상태 변화를 검출하고 또한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를 통해 다이오드(201)를 전력공급유닛(11)에 연결하는 접점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에 포함된 메모리(231)는 선택이 가능하므로, 기억될 정보는, 예를 들면 모든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에 공통되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의 제1 또는 제2 구성부에 위치된 다른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의 제2 구성부는, 상술한 타입으로 된 하나 이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고정지지물(3)을 포함한다. 고정지지물(3)은 전도성 라인(40)(41)의 연장이면서 또한 전기접점(22a-22d)을 통해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가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평행한 전도성 레일(400)(410)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는, 제1 구성부(1)와 제2 구성부 사이에 뻗어 있는 2개의 전도성 라인(40)(41)과, 고정지지물(3)의 2개의 전도성 레일(400)(410)로 구성된다.
도 4와 5를 참조하여, 이 고정지지물(3)은 또한, 베이스(30)에 고정된 전도성 레일(400)(410)에 각각 연결된 2개의 전기단자(electrical terminal)(300)(301)를 갖는 제1 단부(first end)를 포함하며 또 길이방향으로 뻗은 기다란 형태의 베이스(30) 또는 판과, 베이스(30)에 고정되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이 베이스(30)의 개방된 제2 단부(second open end)를 통해 슬라이딩에 의해, 하나씩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평행한 활주면(slideway)을 형성하는 덮개 요소(covering element)(31)를 포함한다.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지지물(3)은, 예를 들면, 5개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수용할 수 있다. 고정지지물(3)은 또한, 베이스(30) 상에 놓이고 또 베이스(20)의 제2 단부를 밀폐함으로써 고정지지물(3) 내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덮개판(covering plate)(32)(도 5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에서 볼 수 있음)을 포함한다. 이 덮개판(32)은 전도성 레일을 덮도록 베이스(30)에 배치되므로, 전도성 부품들과의 어떤 접촉을 방지한다.
상술한 다양한 요소에 기초하여,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구성부(1)를,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를 갖는 제2 구성부에 연결함으로써,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을 형성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인클로저의 도어 또는 제어 콘솔에 배치될 수 있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에 적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클로저의 도어 또는 제어 콘솔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버튼들 또는 발광체들을 각각 교체할 수 있다. 첨부도면에서는, 인클로저의 도어 또는 제어 콘솔이 단순한 벽(5)의 형태로 둘 다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이션(10)과 전력공급유닛(11)으로 형성된 제1 구성부(1)는, 예컨대, DIN 레일에 고정됨으로써 또는 제어 콘솔 아래에 있음으로써 인클로저의 내측에 배치되며, 고정지지물(3)과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을 포함하는 제2 구성부는, 인클로저의 도어 또는 제어 콘솔로 형성된 벽(5)의 외측에 고정된다.
도 1, 3 및 4를 참조하여, 고정지지물(3)은, 예를 들면 2개의 고정부재, 예컨대 2개의 스크류(33)(34)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크류(33)(34)는, 벽(5)을 관통하여 형성된 오리피스(orifice)(50)(51)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오리피스(52)는, 한쪽이 고정지지물(3)의 2개의 단자(300)(301)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전력공급유닛(11)에 연결된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의 2개의 전도성 라인(40)(41)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벽(5)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경이 작은 3개의 오리피스(50)(51)(52)만으로도, 벽(5)을 통해 고정지지물(3)을 고정하고 또한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물(3) 자체를, 읽기/기록 스테이션(10)과 전력공급유닛(11)에 연결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조는, 벽(5)을 관통하여 뚫어야될 오리피스의 수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들은, 90°로 오프셋된 2개의 구별되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기 때문에, 고정지지물(3)이 벽(5)에 대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지지물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고정지지물(3)의 아래에 형성된 자화부분(magnetized part) 또는 접착부분(self-adhesive part)을 이용하는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이 구동되면,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고유 식별자는 예비습득단계(preliminary learning step)에서 읽기/기록 스테이션(10)에 의해 습득되며 또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의 타입과 함께 읽기/기록 스테이션(10)의 메모리에 연관된다. 그 다음에 스테이션(10)은, 기록될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20)의 타입에 따라 입력(input)-출력(output)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정한 이점들을 제공하는데, 그 중 몇 가지는 아래와 같다.
- 벽을 관통하여 뚫어야될 구멍 수의 감소
- 지지물을 고정한 후조차,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
-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들을 제거, 추가 또는 교체함으로써, 언제라도 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는 가능성
-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개별적으로 배선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 없음에 따른 한정된 배선(wiring)
- 스테이션을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시스템을 포함시킬 수 있는 가능성
- 시스템의 모듈성(modularity) 및 제공된 기능들의 풍부
- 종래의 해결책들과 비교하여, 특히 깊이방향으로, 시스템의 콤팩트화 등
자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세부구성의 다른 변형들과 개량들을 생각하는 것과, 균등 수단의 이용을 예상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데이터처리유닛(data processing unit)과 전력공급유닛(electrical power supply unit)(11)을 포함하는 제1 구성부(first part)(1)를 포함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human-machine dialog system)에 있어서,
    -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human-machine dialog interface)(20)가 각각 구비된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human-machine dialog member)(2)와,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분리 및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배치된 고정지지물(fastening support)(3)을 포함하는 제2 구성부(second part),
    - 제1 구성부(1)의 전력공급유닛(11)과 데이터처리유닛을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에 링크시키는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bus)(4)로서, 각각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연결하기 위해 고정지지물(3)에 배치된 2개의 평행한 전도성 레일(conductive rail)(400)(410)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31)와, 상기 메모리(231)에 대해 읽기(read) 및/또는 기록(write)하기 위한 처리수단(processing unit)(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231)에 기록하는 처리수단(230)과 협동하는 제어 인터페이스(control interfac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전력공급유닛(11)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4)에 연결되며 또한 메모리(231)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처리수단(230)과 협동하는 신호전달 인터페이스(signalling interfac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231)에 기록하는 처리수단(230)과 협동하는 식별 또는 검출 인터페이스(identification or detection interfac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무선 기술(wireless technology)에 의해 작동하고 또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모리(231)에 기록하는 처리수단(230)과 협동하는 데이터 수신 인터페이스(data reception interfac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는, 무선 기술에 의해 작동하고 또한 메모리(231)에 저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보내는 처리수단(230)과 협동하는 데이터 전송 인터페이스(data transmission interfac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인터페이스가 각각 구비된 2개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2개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는 둘 다 동일한 정사각형 모양의 하우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신 및 전력 공급 버스는, 고정지지물(3)을 따라 둘 다 배치되는, 영이 아닌(non-zero) 전위를 갖는 제1 전도성 레일(first conductive rail)(400)과, 중립(neutral) 전위를 갖는 제2 전도성 레일(second conductive rail)(4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고정지지물(3)은, 다수의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부재(2)를 슬라이딩에 의해 받아들이도록 배치되고 또한 전도성 레일(400)(410)이 고정되는 기다란 베이스(elongate base)(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구성부(1)와 제2 구성부는, 벽(wall)(5)의 어느 한쪽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KR1020120006935A 2011-01-24 2012-01-20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KR101340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0511 2011-01-24
FR1150511A FR2970790B1 (fr) 2011-01-24 2011-01-24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678A true KR20120085678A (ko) 2012-08-01
KR101340741B1 KR101340741B1 (ko) 2013-12-12

Family

ID=4434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935A KR101340741B1 (ko) 2011-01-24 2012-01-20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55025B2 (ko)
EP (1) EP2479646B1 (ko)
JP (1) JP5819207B2 (ko)
KR (1) KR101340741B1 (ko)
CN (1) CN102749989B (ko)
AU (1) AU2012200400B2 (ko)
BR (1) BR102012001649B1 (ko)
CA (1) CA2765960C (ko)
FR (1) FR2970790B1 (ko)
MX (1) MX2012000997A (ko)
ZA (1) ZA2012002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3660B1 (fr) 2013-03-22 2016-06-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FR3007157B1 (fr) * 2013-06-13 2015-05-29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de dialogue homme-machine
FR3028060B1 (fr) * 2014-11-04 2017-11-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Module de commande pour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FR3071637B1 (fr) * 2017-09-25 2019-09-13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Module de commande pour systeme de dialogue homme-machine
CN107728490B (zh) * 2017-11-20 2020-07-28 惠州伊尚生活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一体机
FR3109042A1 (fr) 2020-04-01 2021-10-08 Schneider Electric Industries Sas Système de communication sans fi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1552A (en) * 1970-07-23 1972-08-01 Switchcraft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unit
FI100139B (fi) * 1988-11-04 1997-09-30 Schneider Electric Sa Rakennuksen teknisten toimintojen valvontalaitteisto
US5249654A (en) * 1990-08-17 1993-10-05 Bruning Donald D Surface rail for composite continuous rail
US5471034A (en) * 1993-03-17 1995-11-2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eater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a fluid stream with PTC heating elements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US5780790A (en) * 1995-04-03 1998-07-14 Innovation Ind's Inc. Modular elevator switch control housing
US5865546A (en) * 1997-08-29 1999-02-02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odular keyboard for use in a computer system
US6606081B1 (en) * 2000-09-26 2003-08-12 Denny Jaeger Moveable magnetic devices for electronic graphic displays
DE10060981B4 (de) * 2000-12-08 2004-02-26 Hella Kg Hueck & Co. Betätigungseinrichtung zum Auslösen wenigstens einer Funktion eines Kraftfahrzeugs
US7416039B1 (en) * 2002-09-20 2008-08-26 Anderson Donald C Regenerative self propelled vehicles
DE10252689B4 (de) * 2002-11-13 2007-09-13 Caa Ag Fahrerinformationssystem
US6802412B2 (en) * 2002-11-19 2004-10-12 The Laitram Corporation Conveyor with a motorized transport element
GB0305052D0 (en) * 2003-03-05 2003-04-09 Rooney Jonathan P Modular control panel assembly
CA2803914C (en) * 2004-09-03 2016-06-28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KR100618332B1 (ko) * 2004-10-27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널간의 위치교환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방법
US20060256090A1 (en) * 2005-05-12 2006-11-16 Apple Computer, Inc. Mechanical overlay
US7942745B2 (en) * 2005-08-22 2011-05-17 Nintendo Co., Ltd. Game operating device
US20100026652A1 (en) * 2005-09-01 2010-02-04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7755487B2 (en) * 2006-03-07 2010-07-13 Zih Corp.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965196B2 (ja) * 2006-08-29 2012-07-04 Idec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DE102007057821B3 (de) * 2007-11-30 2009-06-10 Rittal Gmbh & Co. Kg Steckdoseneinheit
TWM335848U (en) * 2008-01-04 2008-07-01 Switchlab Inc Improved structure of tracked ground terminal
WO2010122824A1 (ja) * 2009-04-22 2010-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位置入力装置
US8362349B2 (en) * 2009-09-11 2013-01-29 Gibson Guitar Corp. Touch pad disc jockey controller
US8422711B2 (en) * 2010-01-11 2013-04-16 Go-Rock Technology Co., Ltd. Speaker box assembly
US8289192B2 (en) * 2010-01-22 2012-10-16 Lutron Electronics Co., Inc. Keypad device having a removable button assembly
US8259437B2 (en) * 2010-03-08 2012-09-0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djustable display screen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741B1 (ko) 2013-12-12
JP2012155721A (ja) 2012-08-16
ZA201200281B (en) 2012-10-31
CA2765960C (fr) 2016-07-05
FR2970790B1 (fr) 2013-08-09
BR102012001649B1 (pt) 2020-03-10
BR102012001649A2 (pt) 2013-07-16
AU2012200400B2 (en) 2013-03-28
CA2765960A1 (fr) 2012-07-24
US20120191458A1 (en) 2012-07-26
CN102749989B (zh) 2016-01-20
JP5819207B2 (ja) 2015-11-18
MX2012000997A (es) 2012-07-23
EP2479646B1 (fr) 2018-10-03
US10055025B2 (en) 2018-08-21
CN102749989A (zh) 2012-10-24
EP2479646A1 (fr) 2012-07-25
FR2970790A1 (fr) 2012-07-27
AU2012200400A1 (en) 201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741B1 (ko)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US9411370B2 (en) Human-machine dialog system
ES2345609T3 (es) Carril conductor con linea de datos.
WO200302797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nd communicating statu s information from a portable medical device
JP2006304235A (ja) 操作スイッチ配線器具及びそれに用いるハンドル部材
JP200809116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US5682259A (en) Bus powered manually actuatable integrated pilot light/contact/communications module
US20050206505A1 (en) Medical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CN107017703A (zh) 一种自动测试系统交流供电管理及环境监控装置
KR100576762B1 (ko) 객실 관리 시스템
CN101316488B (zh) 控制盘装置
CN219394980U (zh) 一种电子配线架及组网系统
CN110242188A (zh) 具有一体式电力输送系统的门/窗
CN210666860U (zh) 一种房屋建筑工程建设管理信息设备
CN106920299A (zh) 一种智能门禁装置
CN106371037A (zh) 物联网电源管理系统
JPS6214145B2 (ko)
JP2001148087A (ja) 展示ケースの情報収集装置
RU15945U1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04268706A (ja) 鉄道用情報処理装置
RU91210U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для охраны объектов
KR20090114882A (ko) 컴퓨터 도난 감지 및 네트워크 연결 장치
JP2002271870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操作盤
JPH04124797A (ja) ワイヤレス呼出表示器及びこれを使用したワイヤレス呼出表示システム
JP2002261763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制御機器、及び、機器番号設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