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383A -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383A
KR20120085383A KR1020110006668A KR20110006668A KR20120085383A KR 20120085383 A KR20120085383 A KR 20120085383A KR 1020110006668 A KR1020110006668 A KR 1020110006668A KR 20110006668 A KR20110006668 A KR 20110006668A KR 20120085383 A KR20120085383 A KR 20120085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formation
genre
user interface
channe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152B1 (ko
Inventor
김희정
노경철
한영진
김우정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주식회사 티브로드한빛방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주식회사 티브로드한빛방송 filed Critical 사단법인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0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1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1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cable television head-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엔드 시스템이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규격화하여 PSIP/SI 데이터로 송출함으로써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받도록 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채널별로 각기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고, 헤드엔드 시스템에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면 셋톱박스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셋톱박스에서 방송 채널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이 용이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수준을 한층 배가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USER INTERFACE BASED ON CHANNEL GENRE PROVIDING SYSTEM IN DIGITAL CABLE BROADCAS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드엔드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규격화하여 PSIP/SI 데이터로 송출하고 셋톱박스가 이를 수신하여, 방송 채널 장르별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DTV)와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비디오나 오디오 정보 외에도 컴퓨터 데이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을 통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주요 일간지의 내용을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새로운 정보, 오락, 광고에의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가능하고, 또한 정보원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규격과 미국 FCC의 ATV(Advanced TV)규격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이 차세대 TV 방식으로 결정한 ATSC규격을 준수한 것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TV를 상징하는 NTSC 규격을 대체하는 것이다.
한편, 디지털 방송은 전송매체에 따라 디지털 지상방송과 디지털 위성방송 및 디지털 케이블 방송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중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부호화 규격 등에 근거하여 각 채널별 프로그램들의 정보량을 고 능률적으로 압축하며, 각 전송 매체별 디지털 변조 방식에 근거하여 다수의 채널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고 능률적으로 다중화하여 단방향 다운 스트림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방송용 채널"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들을 고 능률적으로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해서 영상 및 음성 압축 기술은 세계적으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가 표준으로 채택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구성도로서, 방송국의 헤드엔드 시스템(100)이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케이블 망으로 연결된 디지털 텔레비전 또는 셋톱박스(200)는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시청자에게 영상과 음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디지털 케이블방송은 영상 및 음성 스트림(Stream)이 디지털 정보로 압축되어 방송되고, 시스템 정보 및 프로그램 정보가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에 맞추어 압축되어 방송된다. 이때 영상, 음성 정보 이외의 데이터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를 디코딩(Decoding) 하여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알려 준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RF(Radio Frequency) 채널의 갯수가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에 비해 수십 배에 달하며, 실제로 미국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경우에는 100 여개의 채널이 존재한다. 또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는 수십 ~ 수백 개의 채널 제공으로 시청자의 선택의 여지가 많아지는 동시에 매우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각 가정에서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케이블 방송이 이처럼 다양한 채널 장르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타입과 장르 정보의 경우, PSIP / OOB SI 규격인 ATSC A/65 및 SCTE65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규정이 없어 방송 채널의 장르별로 구분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디지털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은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채널 타입과 장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규격화하지 않은 별도의 구분 데이터를 정의하여 전송하여 왔다.
또한, 기존 셋톱박스 내의 EPG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별도의 구분 데이터 형식으로 전달된 채널 타입과 장르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리스트를 추가 구성하여 시청자가 채널 타입이나 장르에 따른 채널 리스트를 볼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규격화한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를 송출하여 방송 채널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의 채널 장르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목적은 헤드엔드 시스템이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규격화하여 PSIP/SI 데이터로 송출함으로써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받도록 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다른 목적은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채널별로 각기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 예의 또 다른 목적은 헤드엔드 시스템에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면 셋톱박스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셋톱박스에서 방송 채널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이 용이하도록 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은 임의의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를 입력하는 채널 장르 정보 입력부, 기 설정된 기준으로 상기 입력된 채널 장르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장르 정보 관리부, 채널 타입 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으로 관리하는 채널 타입 정보 설정부, 상기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의 기 설정된 기준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 기 설정된 규격으로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이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가공하는 장르 정보 가공부, 상기 장르 정보 가공부에서 가공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장르 정보 전송부를 구비한 채널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장르 정보 전송부로부터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르 정보 수신부,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한 표시 기준을 저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 상기 수신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는 장르 정보 해석부 및 상기 해석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를 구비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채널 레벨의 장르 정보와 프로그램 레벨의 장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장르 코드와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한 정보이다.
상기 채널 타입 정보는 채널 타입 코드로 구분하며, 상기 채널 타입 코드는 다수의 VOD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는 상기 표시 기준을 생성 또는 갱신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표시 기준은 아이 프레임의 표시 또는 GUI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채널 장르 정보 또는 상기 채널 타입 정보를 PSIP/SI 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으로서,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장르 코드,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콘텐츠 디스크립터 규격의 채널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장르 코드,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콘텐츠 디스크립터 규격의 프로그램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를 AEIT 테이블의 이벤트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채널 타입 디스크립터 규격의 채널 타입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셋톱박스가 상기 전송 단계들의 디스크립터들을 전송받아 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는 단계 및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디스크립터들로부터 얻어진 채널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 프로그램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정의된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헤드엔드 시스템이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규격화하여 PSIP/SI 데이터로 송출함으로써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받도록 하여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셋톱박스가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채널별로 각기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헤드엔드 시스템에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면 셋톱박스에서 이를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셋톱박스에서 방송 채널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이 용이하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수준을 한층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정보 관리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G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장르 정보 규격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타입 정보 규격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 타입 정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시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 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상기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는 헤드엔드 시스템(100)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200)를 포함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100)에 위치하여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및 채널 타입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 및 셋톱박스(200) 내 위치하여 상기 방송 채널별 장르 정보 및 타입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통해 방송 채널별로 구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EPG 애플리케이션(250)을 포함한다.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셋톱박스(200)와 연결된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시청자에게 서비스한다.
상기 셋톱박스(200)의 계층을 살펴보면, 하드웨어 계층(210), 운영체제 계층(220), 미들웨어 계층(230), 애플리케이션 계층(240)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240)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240)에 위치한 VOD 애플리케이션(26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는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를 EPG 애플리케이션(250)과 VOD 애플리케이션(260)이 활용할 수 있도록 채널 장르 정보 및 채널 타입 정보를 입력, 관리, 제공하며, 이를 PSIP/SI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을 전달한다.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상기 PSIP/SI 정보를 수신한 뒤 이를 조합하여 구별한 뒤, 해당 조합에 따라 기 설정된 표시 기준에 맞춰 아이 프레임(i-frame) 및 GUI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상기 VOD 애플리케이션(260)은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이 재가공하여 전달하는 채널 장르 정보 및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조합에 따라 기 설정된 표시 기준에 맞춰 아이 프레임(i-frame) 및 GUI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채널 장르 정보 및 채널 타입 정보를 IXC 등의 통신 방법으로 상기 VOD 애플리케이션(260)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연동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는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100) 내의 다른 서버와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는 사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채널 타입 정보를 정의하여 이를 각 방송 채널별로 입력, 관리하고, PSIP/SI 데이터로 송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다 세부적인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와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EPG 애플리케이션(25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는 헤드엔드 시스템에 위치하며, 임의의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를 입력하는 채널 장르 정보 입력부(111), 기 설정된 기준으로 상기 입력된 채널 장르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장르 정보 관리부(112), 채널 타입 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으로 관리하는 채널 타입 정보 설정부(113), 상기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의 기 설정된 기준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115), 기 설정된 규격으로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이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가공하는 장르 정보 가공부(114) 및 상기 장르 정보 가공부(114)에서 가공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장르 정보 전송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는 셋톱박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표시되도록 기 설정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는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규격화하여 이를 PSIP/SI 데이터로 송출하게 되며, 상기 PSIP/SI 데이터를 수신한 셋톱박스 내 EPG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채널별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어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셋톱박스에 위치하며, 상기 장르 정보 전송부로부터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르 정보 수신부(252),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한 표시 기준을 저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251), 상기 수신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는 장르 정보 해석부(253), 상기 해석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부(254)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256)를 포함한다.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채널별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채널별로 각기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어 방송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의 장르 정보 전송부(116)는 상기 채널 장르 정보 또는 상기 채널 타입 정보를 PSIP/SI 정보로 가공하여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채널 레벨의 장르 정보와 프로그램 레벨의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장르 코드와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한 정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러한 채널 장르 정보 규격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채널정보 관리 서버는 PSIP/SI의 정보로서 도 5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장르 코드,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콘텐츠 디스크립터(Content Descriptor) 규격의 채널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Service_loop descriptor) 영역에 삽입하여 EPG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전송한다.
또한, 채널정보 관리 서버는 PSIP/SI의 정보로서 도 5에서 정의한 콘텐츠 디스크립터 규격의 프로그램 레벨의 장르 정보를 AEIT 테이블의 이벤트 루프 디스크립터(Event_loop descriptor)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채널 타입 정보는 채널 타입 코드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이러한 채널 타입 정보의 규격의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채널 타입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빗 디스크립터(Private Descriptor)를 정의하여 채널 타입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가 PSIP/SI의 정보로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채널 타입 디스크립터(channel_type_descriptor) 규격의 채널 타입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Service_loop descriptor)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를 통해 채널 타입 정보와 채널 장르 정보를 받게 되고,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은 수신한 해당 채널 타입 정보와 채널 장르 정보를 조합하여 시청자에게 방송 채널별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 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채널 타입 코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VOD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다수의 VOD 콘텐츠를 제공하는 채널을 위해 채널 타입 코드(channel type)를 정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다수의 VOD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PSIP/SI에 다음과 같이 채널 타입 코드를 정의한 후 이를 상기 채널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면,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은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이를 화면에 보여주게 된다.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정의된 디스크립터들을 전송받아 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며, 상기 디스크립터들로부터 얻어진 채널 레벨 장르 정보, 프로그램 레벨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정의된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 기준은 아이 프레임의 표시 또는 GUI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기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 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115)는 상기 표시 기준을 생성 또는 갱신하여 이를 EPG 애플리케이션(250) 내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251)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채널정보 관리 서버(110)에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기준을 변경하면 EPG 애플리케이션(250)에서 이를 수신하여 반영할 수 있어 방송 채널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갱신이 매우 용이하므로 방송 서비스의 수준을 한층 배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EPG 애플리케이션(250)은 상기 셋톱박스 내 VOD 애플리케이션(260)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VOD 애플리케이션 통신부(2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예시도로서, 채널정보 관리 서버에서 수신받은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VO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한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타입이 VOD 이고 채널 장르가 영화(Movie) 인 경우(도 8a), 채널 타입이 VOD이고 채널 장르가 성인(Adult) 인 경우(도 8b) 아이 프레임을 다르게 보여 줄 수 있다. 도 8은 동일한 형태를 취하고 색상이 바뀐 정도로 구현하였으나, 방송 사업자의 의도에 따라 서로 완전히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진 화면 구성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로 인해, 방송 사업자는 시청자에게 각 채널의 타입과 장르를 이용하여 채널에 성격에 맞는 채널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2 예시도로서, 채널 타입이 VOD 가이드(GUIDE)이고 채널 장르가 드라마(Drama)인 경우, 장르가 드라마인 다수의 VOD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도 8과 도 9에서는 채널 VOD와 다수의 VOD를 서비스하는 채널 VOD의 예를 들었지만, 각기 상이한 채널의 성격을 반영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하여 EPG 애플리케이션이나 VOD 애플리케이션 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EPG 애플리케이션이 채널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를 통해 IXC 통신 등의 방법으로 VOD 애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여 VOD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채널 타입 정보와 채널 장르 정보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EPG 애플리케이션과 VOD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청자에게 각 채널 타입과 장르에 따른 채널별 정보를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에게 단순한 채널 정보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헤드엔드 시스템 110: 채널정보 관리 서버
111: 채널장르 정보 입력부 112: 채널장르 정보 관리부
113: 채널타입 정보 설정부 114: 장르정보 가공부
115: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 116: 장르정보 전송부
200: 셋톱박스 250: EPG 애플리케이션
251: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 252: 장르정보 수신부
253: 장르정보 해석부 254: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부
255: VOD 애플리케이션 통신부 256: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
260: VOD 애플리케이션 300: TV

Claims (9)

  1.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은,
    임의의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를 입력하는 채널 장르 정보 입력부,
    기 설정된 기준으로 상기 입력된 채널 장르 정보를 관리하는 채널 장르 정보 관리부,
    채널 타입 정보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으로 관리하는 채널 타입 정보 설정부,
    상기 채널 장르 정보와 채널 타입 정보의 기 설정된 기준들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
    기 설정된 규격으로 상기 방송 채널에 대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이와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가공하는 장르 정보 가공부, 및
    상기 장르 정보 가공부에서 가공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장르 정보 전송부를 구비한 채널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장르 정보 전송부로부터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르 정보 수신부,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와 관련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에 대한 표시 기준을 저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
    상기 수신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는 장르 정보 해석부,
    상기 해석된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조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부를 구비한 EPG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채널 레벨의 장르 정보와 프로그램 레벨의 장르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장르 정보는
    장르 코드와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타입 정보는
    채널 타입 코드로 구분하며, 상기 채널 타입 코드는 다수의 VOD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정보부는
    상기 표시 기준을 생성 또는 갱신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준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기준은
    아이 프레임의 표시 또는 GUI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기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채널 장르 정보 또는 상기 채널 타입 정보를 PSIP/SI 정보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9.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송신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디지털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셋톱박스를 포함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장르 코드,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콘텐츠 디스크립터 규격의 채널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장르 코드, 카테고리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콘텐츠 디스크립터 규격의 프로그램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를 AEIT 테이블의 이벤트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PSIP/SI의 정보로서 채널 타입 코드를 포함하여 정의된 채널 타입 디스크립터 규격의 채널 타입 정보를 CVCT/SCVT의 서비스 루프 디스크립터 영역에 삽입하여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하는 단계;
    d) 셋톱박스가 상기 a)단계 내지 상기 c)단계의 디스크립터들을 전송받아 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셋톱박스가 상기 디스크립터들로부터 얻어진 채널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 프로그램 레벨의 채널 장르 정보, 채널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정의된 표시 기준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110006668A 2011-01-24 2011-01-24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245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68A KR101245152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668A KR101245152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383A true KR20120085383A (ko) 2012-08-01
KR101245152B1 KR101245152B1 (ko) 2013-03-19

Family

ID=4687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668A KR101245152B1 (ko) 2011-01-24 2011-01-24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1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57B1 (ko) * 2012-10-26 2014-07-22 (주)티베이스 방송자동화지원 분배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886B1 (ko) * 2005-09-16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 장치
KR101191180B1 (ko) * 2005-09-16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 장치
KR20070109723A (ko) * 2006-05-12 200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sip에서 이벤트의 스케쥴에 관한 방송 신호, 상기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
KR20080044058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657B1 (ko) * 2012-10-26 2014-07-22 (주)티베이스 방송자동화지원 분배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152B1 (ko) 201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1332B2 (en)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US6700624B2 (en) Combined terrestrial wave/cable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for
EP1971142B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pictures
US919794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 video processing
US20020144266A1 (en) Regulating the quality of a broadcast
KR20130032019A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TWI382761B (zh) 節目表服務之提供方法及系統
KR102502118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US20040268394A1 (en)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EPG data
US201200080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channel change between programs utilizing a single decoder to concurrently decode multiple programs
KR101245152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116966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에서 실시간 방송의 프로그램 편성 및 제공 방법
US7984477B2 (en) Real-time video compression
GB2460676A (en) Cable and terrestrial broadcasts using the same data language
KR101239099B1 (ko)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의 멀티 vod 채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20005169A (ja) 放送番組の視聴における視聴履歴分析装置、視聴履歴分析の表示方法
US88131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decoder based channel surfing service
WO2024083216A1 (zh) 视像内容发布系统以及电视接收机
KR101911248B1 (ko) 시청률 관련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20090064256A1 (en) Efficient selection of auxiliary broadcast-service data according to a user preference
KR101650382B1 (ko) 채널 탐색/접근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WO2021257714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100004276A (ko) Vod 예고편 채널을 운영하기 위한 iptv 서버부와iptv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9475A (ko) 애드온 tv에서 방송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
KR20080054640A (ko) 디지털방송 시스템에서의 임대 채널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