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058A -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058A
KR20080044058A KR1020060112870A KR20060112870A KR20080044058A KR 20080044058 A KR20080044058 A KR 20080044058A KR 1020060112870 A KR1020060112870 A KR 1020060112870A KR 20060112870 A KR20060112870 A KR 20060112870A KR 20080044058 A KR20080044058 A KR 2008004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sub
information
events
broadca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활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4058A/ko
Publication of KR2008004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신호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 섹션은 상기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특정 기준은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벤트 내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장르 또는 카테고리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PSIP, DVB-SI, EIT, 이벤트, 서브 이벤트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igna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PSIP 테이블 중 EIT의 신택스(syntax)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3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성한 장르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순서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날씨 정보(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1: 튜너부 402: 복조부
403: 역다중화부 404: PSI/PSIP 디코더
405: PSI/PSIP 데이터베이스 406: A/V 디코더
407: 채널 매니저 408: 채널 맵
409: 외부 입력 수신부 410: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411: 플래시 메모리 412: 디스플레이부
413: 저장매체 414: DVR(PVR) 처리부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 비하여 보다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전송되는바, 디지털 방송 규격에서도 상기 방송 프로그램 단위의 정보를 정의하고 송, 수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수신 측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DVR(digital video recorder)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이 있는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날씨라는 정보를 녹화하도록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때, 기존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 의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단위의 정보만을 정의한바, 송신 단에서는 날씨라는 정보를 포함한 방송 프로그램 단위의 정보만을 정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단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날씨라는 정보를 녹화하기 위하여 상기 날씨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방송 프로그램 전체를 녹화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저장 매체의 사용을 늘여 비효율적이며, 사용자가 날씨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날씨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날씨 정보를 포함한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다시 날씨 정보 부분을 찾도록 하는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기준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또는 이벤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의 일 예는, 상기 방송 신호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 섹션은 상기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특정 기준은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이벤트 내 서브 이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각 서브 이벤트의 길이 또는 초로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 기 구비된 장르 코드에서 해당 서브 이벤트가 속하는 장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개수에 따른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서브 이벤트의 시작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각 서브 이벤트의 길이 또는 초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신하여 해당 서브 이벤트의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서브 이벤트의 서브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테이블 섹션의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 섹션은 E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일 예는,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녹화 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녹화 시각에 도달하면,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 및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정한 녹화 시각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녹화 시각에 도달하였으면, 수신기의 상태가 스탠바 이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수신기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녹화 모듈을 온(ON) 시킨 후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해당 서브 이벤트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외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서브 이벤트에 대해 기 저장된 서브 이벤트가 다수 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기 저장된 서브 이벤트가 다수 개이면, 가장 최신의 서브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다른 예는,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 내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이벤트를 저장한 후 외부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파싱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녹화 시작 시각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한 녹화 시작 시각에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는 파싱부; 외부로부터 사용자 등의 입력을 수신하는 외부 입력 수신부; 및 사용자 등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외부 요청에 따라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각 이벤트에 대한 시간대별 세부 내용 및 장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존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송수신측에서 예를 들어, 뉴스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broadcasting program) 단위로 송수신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나 상기 뉴스와 같은 방송 프로그램 단위는 정치, 경제, 사회 일반, 날씨와 스포츠와 같은 정보들이 합하여져 구성되고, 만약 사용자가 상기 뉴스를 구성하는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예를 들어, 날씨 정보만을 원하는 경우에는 이를 구분할 수 없다.
DVR(digital video recorder)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기능을 구 비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뉴스를 구성하고 있는 정보 중 날씨 정보만을 저장하고자 한다면, 기존 방식에 의할 경우 상기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뉴스라는 방송 프로그램 단위를 저장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경우에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 단위를 구성하는 정보가 적어도 둘 이상인 경우에 이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정의함으로써, 더욱 세분화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DVR 또는 PVR 기능 구현시에 기존 방식과 같이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 단위인 뉴스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뉴스 중에서 날씨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어 수신기 내 저장장치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시스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기존 방식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저장된 정보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다시 뉴스라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날씨 정보를 찾아야 하는 불편을 주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날씨 정보를 바로 시청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단위를 특정 기준에 따라 더욱 세분화할 수 있는 정보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정보를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 이벤트(sub event)"라고 명명하며, 상기 특정 기준은 장르(genre) 또는 카테고리(category)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정의한 서브 이벤트(sub event)는 북미 또는 유럽의 관련 디지털 방송 규격에서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고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규격 중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규격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SIP 규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그 권리 범위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참조하여 판단하여야 함을 밝힌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PSIP은 방송 프로그램을 이벤트(event)라고 하며, 상기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PSIP을 통해 전송되는 다수 개의 테이블(table) 중 EIT(event information table)에 포함되어 전송되는바, 상기 EIT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sub event)에 관한 정보는 기존 수신기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상기 EIT 내에서 디스크립터(descriptor)의 형태로 추가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IT 섹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IT 섹션의 신택스(syntax)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신택스에 대한 보다 간단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신택스를 구성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영어 표현은 그대로 사용하되, 큰 따옴표를 함께 표기하기로 하겠다.
상기 EIT와 같은 테이블은 첨부한 도 1과 같이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를 결합하여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섹션(section)들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EIT 섹션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SIP 내 모든 테이블 섹션은 "table_id" 필드로 시작하여 "CRC_32" 필드로 종료된다. 이때, 상기 각 섹션은 서로 공통된 형식을 가진 헤더(header), 상기 테이블 섹션의 목적에 따라 실제 데이터가 기록되는 바디(body)와 상기 테이블 섹션의 오류 체크 및 정정을 위한 트레일러(trailer)로 구분된다.
도 1에서 헤더는 "table_id" 필드에서 "protocol_version" 필드까지이고, 바디는 "num_events_in_section" 필드와 상기 필드에 대한 루프(loop) 구문이고, 트레일러는 "CRC_32" 필드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EIT 역시 헤더, 바디와 트레일러로 구성되는바, 각각 나누어서 살펴본다.
먼저, 헤더를 살펴보면, "table_id"는 8 비트의 '0xCB'를 할당하여 해당 섹션이 EIT에 속함을 나타낸다.
"section_syntax_indicator"는 상기 섹션은 후술할 "section_length" 필드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섹션의 신택스를 따름을 나타내는 값인 '1'로 설정된 1 비트의 필드이다.
"private_indicator"는 '1'로 설정된 1 비트 필드이다.
"section_length"는 당해 섹션에서 남아있는 바이트 수를 의미하는 12 비트의 필드이다.
"source_id"는 본 섹션에서 설명되는 이벤트들을 실어 나르는 가상 채 널(virtual channel)의 소스 아이디(source identification)를 설명하기 위한 16 비트 필드이다.
"version_number"는 EIT-i의 버전 넘버를 나타내는 5 비트의 필드이다. 상기 버전 넘버는 EIT-i 내의 어떤 필드가 변경될 때 모듈로 32(modulo 32)로 1씩 증가한다.
"current_next_indicator"는 EIT 섹션을 위하여 항상 '1'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1 비트의 지시자(indicator)로서, 상기와 같이 '1'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송된 EIT는 현재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section_number"는 테이블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본 섹션의 넘버를 주기 위한 8비트 필드이다.
"last_section_number"는 가장 마지막 섹션(즉, 가장 높은 섹션 넘버)의 넘버를 표시하기 위한 8 비트 필드이다.
"protocol_version"은 '0x00'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8 비트 필드이다.
다음으로, 바디를 설명하면, "num_events_in_section"는 본 EIT 섹션 내에서 이벤트들의 개수를 지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필드의 값이 '0'인 경우에는 본 섹션에 정의된 이벤트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하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에서 정의한 각 이벤트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주기 위해 정의하는 루프(loop)구조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event_id"는 해당 이벤트를 정의하는 14 비트 필드이다. 이때, 상기 넘버는 'event ETM_id'의 일부분을 제공한다.
"start_time"은 UTC(universal time coordinated)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세컨드(second) 단위의 넘버로 본 이벤트의 시작 시각을 표현하기 위한 32 비트의 부호가 정해지지 않은 정수 양이다.
"ETM_location"은 2 비트 필드로서, 상기 필드는 ETM(extended text message)의 존재 여부와 위치를 설명할 수 있다.
"length_in_seconds"는 세컨드 단위로 상기 이벤트의 주기(duration)를 설명하는 20 비트의 필드이다.
"title_length"는 후술할 "title_text"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8 비트 필드이다. 상기 필드 값이 '0'이라는 것은 상기 이벤트를 위한 타이틀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title_text"는 멀티플 스트링 스트럭쳐(multiple string structure)의 포맷(format)을 가지는 이벤트 타이틀(event title)을 설명하기 위한 가변적인 크기의 필드이다.
"descriptor_length"는 후술할 이벤트 디스크립터 목록의 전체 길이(바이트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descriptor"는 없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크립터들이 상기 "descriptor_length"에서 정의하는 길이 내에 루프 구조를 가지면서 해당 이벤트(event)에 대해 정의할 수 있는 디스크립터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트레일러를 살펴보면, "CRC_32"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을 포함하는 32 비트 필드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IT 섹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기존 수신기와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고려하여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하는 예를 살펴보겠다. 이러한 디스크립터의 예로는, 캡션(caption), 시청 등급(rating)과 같은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서브 이벤트(sub even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디스크립터를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sub event descriptor)"라고 명명한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a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sub event descriptor)를 구성하는 각 필드(field)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um_of_sub_events"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기준에 따라 해당 이벤트(event)가 서브 이벤트로 나누어질 때, 해당 이벤트에 대한 서브 이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기준은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특정 기준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나누었으면, 상기 나누어진 각 서브 이벤트에 대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위해 루 프 구조를 가지며, 각 서브 이벤트를 정의한다.
"length_in_seconds"는 해당 서브 이벤트의 길이, 초 또는 듀레이션(dur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이벤트를 구성하는 각 서브 이벤트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벤트 내에서 각 서브 이벤트가 어느 위치(location)에 있는지를 알려 주어 상술한 바와 같이, DVR 또는 PVR 기능의 구현시에 수신기에 해당 서브 이벤트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이벤트를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이벤트로 구분한바, 상기 서브 이벤트에 대한 위치뿐만 아니라 해당 서브 이벤트가 상기 구분의 기준에 따를 때 어떤 정보에 속하는지 정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벤트가 장르라는 기준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서브 이벤트로 구분된 경우, 상기 각 서브 이벤트는 상기 "length_in_seconds"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 내에 위치를 알 수 있으며 해당 서브 이벤트가 어떤 장르에 속하는 지에 대한 정보도 정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보의 하나로 먼저, "num_of_genre"는 해당 서브 이벤트가 속하는 장르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 즉, 상기 정보는 해당 서브 이벤트가 기 구비한 장르 코드로부터 일치하는 장르의 개수가 몇 개인지 알려주는 것이다.
"categorical_genre_code"는 상기 "num_of_genre" 필드에서 나타낸 장르의 개수만큼 기 구비한 장르 코드로부터 추출한 장르에 대한 정보를 정의한다.
상기 기 구비한 장르 코드의 일 예로써, 도 3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성한 장르 코드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서브 이벤트가 날씨(weather)에 관한 정보를 정의한 경우, 도 3의 장르 코드에 의할 때 상기 날씨라는 서브 이벤트는 코드값 '0x23'의 뉴스(news), '0x53'의 정보(information)과 '0x7E'의 날씨(weather)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날씨라는 서브 이벤트의 "num_of_genre" 필드는 3개임을 정의할 수 있고, "categorical_genre_code"는 상기 3개에 대한 코드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첨부한 도 3의 장르 코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한 일 예로써, 본 발명은 상기 장르 코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b에 대해 살펴보면, 도 2b는 상기 도 2a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한 디스크립터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도 2a와 상이한 필드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하고 나머지 필드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a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b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상술한 도 2a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에서 "sub_title_length" 필드와 "sub_title_text" 필드를 더 구비하였다.
"sub_title_length"는 후술할 "sub_title_text"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필드 값이 '0'이면 해당 서브 이벤트(sub event)에 대한 서브 타이틀(sub title)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정의할 수 있다.
"sub_title_text"는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며, 멀티플 스트링 스트럭쳐(multiple string structure)의 포맷(format)을 가지는 서브 이벤트 타이틀(sub event title)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c에 대해 살펴보면, 도 2c 역시 상기 도 2a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한 디스크립터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도 2a와 상이한 필드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하고 나머지 필드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a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c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상술한 도 2a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에서 “start_time" 필드를 더 구비하였다.
“start_time"은 이벤트 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누어진 각 서브 이벤트의 시작 시각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는 뒤따르는 ”length_in_seconds" 필드와 결합하여 이벤트 내 각 서브 이벤트의 시작 시각 및 듀레이션을 알려주어 상술한 바와 같이, DVR 또는 PVR 기능 구현시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c에서는 "length_in_seconds" 필드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시작 시각에 대응되게 해당 서브 이벤트의 종료 시각에 관한 정보를 정의하는 필드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2d에 대해 살펴보면, 도 2d는 상술한 도 2c를 기반으로 하여 구성한 디스크립터인바, 이하에서는 상기 도 2c와 상이한 필드 위주로 설명하고 나머지 필드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c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2d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는 상기 도 2c의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에서 "sub_title_length" 필드와 "sub_title_text" 필드를 더 구비하였다.
"sub_title_length"는 후술할 "sub_title_text"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필드 값이 '0'이면 해당 서브 이벤트(sub event)에 대한 서브 타이틀(sub title)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sub_title_text"는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며, 멀티플 스트링 스트럭 쳐(multiple string structure)의 포맷(format)을 가지는 서브 이벤트 타이틀(sub event title)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를 정의한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구성한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의 예들을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예의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함을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정의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면, 송신 측에서는 기존의 특정 시간대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눈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수신 측에서는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예를 들어, DVR 또는 PVR과 같은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서 유용하며, 사용자의 편리성도 추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digital broadcasting receiver)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튜너부(tuner, 401), 복조부(demodulator, 402), 역다중화부(demultiplexer, 403),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디코더(404), PSI/PSIP 데이터베이스(PSI/PSIP Database, 405), A/V 디코더(406), 채널 매니 저(channel manager, 407), 채널 맵(channel map, 408), 외부 입력 수신부(409), 애플리케이션 제어부(410),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411), 디스플레이부(display, 412), 저장매체(413)와 DVR(PVR) 처리부(4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digital television)가 될 수 있다.
튜너부(401)는 PSIP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상기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PSIP 테이블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튜너부(401)는 채널 매니저(40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튜너부(401)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결과를 상기 채널 매니저(407)에 기록한다.
복조부(402)는 상기 튜너부(40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역다중화부(403)는 상기 복조부(402)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패킷(transport packet)들로부터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그리고 PSIP 테이블 데이터를 역다중화(demuxing) 한다.
이때, 상기 PSIP 테이블 데이터에 대한 역다중화는 PSI/PSIP 디코더(404)에 의해 제어되고, 오디오와 비디오에 대한 역다중화는 채널 매니저(407)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역다중화부(403)는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PSI/PSIP 디코더(404)에서 원하는 테이블의 섹션들을 만들어 출력한다.
또한, 역다중화부(403)는 A/V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역다중화하여 채널 매니저(407)가 원하는 가상 채널(virtual channel)을 출력한다.
PSI/PSIP 디코더(404)는 상기 역다중화부(403)에서 해당 테이블 섹션을 모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파싱(parsing)하고, 상기 역다중화부(403)에서 처리하지 않은 실제 섹션 데이터 부분을 모두 읽어서 PSI/PSIP 데이터 베이스(405)에 기록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PSI/PSIP 디코더(404)는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IT 섹션에 대한 역다중화를 역다중화부에 요구하고, 상기 역다중화부는 수신되는 전송 패킷들로부터 상기 EIT 섹션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만들어진 EIT 섹션은 PSI/PSIP 디코더(404)에서 수신하여 파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브 이벤트(sub event)에 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한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sub event descriptor)가 EIT 섹션에 포함되어 전송된다고 한바, 상기 서브 이벤트 디스크립터를 파싱하여 얻은 정보는 저장매체(413)에 저장할 수 있다.
채널 매니저(407)는 채널 맵(408)을 참조하여,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에 대한 수신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SI/PSIP 디코더(404)는 상기 채널 관련 정보 테이블의 역다중화(demuxing)를 제어하여, A/V PID 리스트를 상기 채널 매니저(407)에 전송한다.
상기 채널 매니저(407)는 수신된 A/V PID를 이용하여 역다중화부(403)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A/V 디코더(406)를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부(410)는 수신기 시스템의 상태를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display) 시키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역다중화부(403)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EIT 섹션을 필터링(filtering)하고, PSI/PSIP 디코더(404)는 상기 필터링된 EIT 섹션을 수신하여 파싱하여, 상기 EIT 섹션에 포함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서브 이벤트에 관한 DVR 또는 PVR 기능을 구현하고자 입력하면, 상기 입력은 외부 입력 수신부(411)를 통해 DVR(PVR) 처리부(414)로 전송이 된다.
그리고 상기 DVR(PVR) 처리부(414)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EIT 섹션을 파싱하여 이벤트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벤트에 대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계속하여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가 예를 들어, 날씨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거나 녹화 예약을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DVR(PVR) 처리부(414)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가 외부 입력 수신부(411)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기 내 기 저장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날씨에 관한 정보와 연관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되는 정보는 다수 개일 수 있다. 따라서 DVR(PVR) 처리부(414)는 상기 추출되는 정보로부터 날씨와 관련된 각 서브 이벤트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날씨의 경우에는 오전에 저장한 정보와 오후에 저장한 정보가 있다고 하자. 이 경우 DVR(PVR) 처리부(414)는 상기 두 정보 중 오전에 저장한 정보는 오후에 저장한 정보에 비해 최신 정보가 아닐 것이므로 이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요구를 하는 경우 두 정보 중 가장 최신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DVR(PVR) 처리부(414)는 상기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거나 바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얻은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기 내 DVR 또는 PVR 기능을 위해 구비된 장치에서 요구하면, 전송하여 상기 기능의 구현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그 처리 장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장치에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순서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송신기는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하면, 수신기는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특히,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S501).
그리고 수신기는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 내 각 테이블들을 파싱한다. 특히, 수신기는 EIT 섹션에 포함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저장할 수 있다(S502).
수신기는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 등 외부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녹화 또는 녹화 예약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되는 명령에 따라 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등 외부의 녹화 또는 녹화 예약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정보를 포함한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고, 이후에 사용자 등 외부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즉, 사용자 등 외부로부터 특정 정보에 대한 DVR 또는 PVR 기능 요청(예를 들어, 날씨 정보의 저장 명령)이 있으면, 상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와 관련한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한다(S503).
상술한 처리 방법의 구체적 예로써, 디지털 방송 신호 내 포함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날씨에 관한 서브 이벤트를 녹화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서브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포함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수신기에 녹화 시작 시각을 설정한다(S601).
그리고 수신기는 상기 설정한 녹화 시작 시각이 되면,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날씨에 관한 서브 이벤트(sub event)를 녹화 저장한다(S602).
그리고 사용자 등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저장한 날씨에 관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스트림(stream)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display)한다(S603).
이때, 상기 설정한 녹화 시각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녹화 시각에 도달한 경우에도, 수신기가 스탠바이 모드(stan-by mode)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수신기가 스탠바이 모드인 경우에는 녹화 모듈을 온(ON)시키는 단계와 상기 녹화 모듈(recording module)을 온(on) 시킨 후 날씨 관련 스트림 즉, 날씨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상기 날씨에 관한 정보의 요구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기존의 이벤트에 관한 정보만을 표시하여 제공하던 EPG를 본 발명에 따라 정의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상세한 정보를 포함한 EPG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EPG 상에서 서브 이벤트에 관한 녹화 예약이나 프로그램 시청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이벤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첫째, DVR 또는 PVR 기능 사용시 이벤트 내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특정 장르 또는 카테고리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DVR 또는 PVR 기능 사용시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DVR 또는 PVR 기능 사용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DVR 또는 PVR 기능 사용시 저장된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디지털 방송 신호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테이블 섹션은 상기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은 장르 또는 카테고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이벤트 내 서브 이벤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 각 서브 이벤트의 길이 또는 초로 듀레이션을 나타내는 정보, 기 구비된 장르 코드에서 해당 서브 이벤트가 속하는 장르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개수에 따른 장르를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서브 이벤트의 시작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각 서브 이벤트의 길이 또는 초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신하여 해당 서브 이벤트의 종료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해당 서브 이벤트의 서브 타이틀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테이블 섹션의 디스크립터의 형태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섹션은 E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
  9.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여 녹 화 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녹화 시각에 도달하면,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서브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한 녹화 시각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녹화 시각에 도달하였으면, 수신기의 상태가 스탠바이 모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수신기가 스탠바이 모드이면, 녹화 모듈을 온(ON) 시킨 후 해당 서브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해당 서브 이벤트의 디스플레이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외부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서브 이벤트에 대해 기 저장된 서브 이벤트가 다수 개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기 저장된 서브 이벤트가 다수 개이면, 가장 최신의 서브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 내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브 이벤트를 저장한 후 외부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 내 이벤트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한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파싱한 서브 이벤트 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녹화 시작 시각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한 녹화 시작 시각에 녹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서브 이벤트에 관한 정보가 구비된 테이블 섹션을 파싱하는 파싱부;
    외부로부터 사용자 등의 입력을 수신하는 외부 입력 수신부; 및
    사용자 등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요청에 따라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각 이벤트에 대한 시간대별 세부 내용 및 장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60112870A 2006-11-15 2006-11-15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80044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70A KR20080044058A (ko) 2006-11-15 2006-11-15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70A KR20080044058A (ko) 2006-11-15 2006-11-15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058A true KR20080044058A (ko) 2008-05-20

Family

ID=39662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870A KR20080044058A (ko) 2006-11-15 2006-11-15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40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1389A1 (ko) * 2011-04-13 2012-10-18 전자부품연구원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
KR101245152B1 (ko) * 2011-01-24 2013-03-19 주식회사 티브로드한빛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52B1 (ko) * 2011-01-24 2013-03-19 주식회사 티브로드한빛방송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장르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2141389A1 (ko) * 2011-04-13 2012-10-18 전자부품연구원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
KR101220286B1 (ko) * 2011-04-13 2013-01-09 전자부품연구원 외부 시그널링에 의한 방송수신장치 대기모드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91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ement of audio data in a recorded audio/video stream
US20030018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vision program information to an entertainment device
US20120131615A1 (en) Content viewing/listening device and content display device
KR100711608B1 (ko) 홈단말에서 실시간 필터링된 방송 비디오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WO2008032913A1 (en) Method of controlling receiver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defining multi-channel broadcast and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WO2006102843A1 (en) Method of searching program for user without having to enter keywords
KR10112208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방송 서비스 정보 관리방법
KR100848721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5689A (ko) 방송 수신기 및 백그라운드 채널 epg 제공 방법
KR10122749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70283383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JP444042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当該装置の機能をコンピュータに発揮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70266407A1 (e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US200901691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recording
KR20080044058A (ko)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EP19540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PG
US20090013364A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KR20050106269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805994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receiving method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JP2007116223A (ja) 放送受信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JP2015053588A (ja) 電子機器、電子機機器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US200801046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roadcast program
EP3000235B1 (en) Data stream processing apparatus
JP2005184093A (ja) 番組録画再生システム、番組録画再生サーバ、番組受信端末及び番組表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