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5279A -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 Google Patents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5279A
KR20120085279A KR20127011650A KR20127011650A KR20120085279A KR 20120085279 A KR20120085279 A KR 20120085279A KR 20127011650 A KR20127011650 A KR 20127011650A KR 20127011650 A KR20127011650 A KR 20127011650A KR 20120085279 A KR20120085279 A KR 2012008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member
tubular
thin film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1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오키야마
다이스케 츠츠미
야스마사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8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Abstract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캡(13)으로서, 입구부(12)에는,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16)이 부착되어 있으며, 캡은, 캡 본체부(22)와, 캡 본체부의 관형상부(21a)에 장착된 유로 개통 부재(19)와,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한다. 유로 개통 부재는, 박막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194)와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통부(19a)와, 연통부(19a)에 일체화되어 연통부의 주위에 배치된 통형상부(19b)를 포함한다.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CAP, AND NUTRITIONAL AGENT CONTAINER AND NUTRITIONAL AGENT SUPPLY SET THAT USE SAME}
본 발명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 및 해당 캡이 용기 본체부에 장착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에 관한 것이다.
경구에 의하지 않고 환자에게 영양이나 약제를 투여하는 방법으로서 경장 영양 요법이나 정맥 영양 요법이 알려져 있다. 경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비강으로부터 위 또는 십이지장에까지 통과된 튜브(일반적으로 「경비(經鼻) 튜브」라고 불린다) 또는 환자의 배에 형성된 위루(위루를 형성하는 시술을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라고 부른다)에 삽입된 튜브(일반적으로 「PEG 튜브」라고 불린다)를 통해 영양제, 유동식, 또는 약제등의 액상물(일반적으로 「경장 영양제」라고 불린다)이 투여된다. 또, 정맥 영양 요법에서는, 환자의 정맥에 삽입된 수액 라인(송액(送液) 회로)을 통해 포도당 등의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일반적으로 「수액」이라고 불린다)이 투여된다.
도 16에,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영양제용 용기(100)의 용기 본체(101) 내에는, 영양제가 충전되어 있다. 용기 본체(101)의 영양제를 유출시키는 입구부(102)에는 박막(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용기 본체(101) 내가 밀폐되어 있다. 체내에 영양제를 투여할 때에는, 플라스틱제 접속바늘(104)를 입구부에 장착된 캡(105)에 찔러 상기 박막을 뚫는다. 이에 의해, 접속바늘(10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에 영양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에,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백(110)의 백 본체(111) 내에는, 영양 성분이나 약제 성분을 포함하는 액상물이 충전되어 있다. 체내에 액상물을 투여할 때에는, 접속바늘(114)을 접속바늘용 포트(113)에 천자한다. 이에 의해, 접속바늘(114)에 접속된 튜브를 통해 체내로 액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 공개 : 2000?176023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있어서는, 정맥 영양 요법과 동일하게,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으로 찌름으로써, 영양제를 체내로 이동시키는 수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써, 캡(105)에 접속바늘(114)을 천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접속바늘(114)은, 캡(105)및 박막을 관통하여, 입구부(102)의 내부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오접속이 행해지면, 위나 장에 공급되어야 할 영양제 등이 정맥에 잘못 공급되게 되어, 의료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이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캡은,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캡으로서,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개구에 면한 천정면부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관형상부를 포함하는 캡 본체부와,
상기 관형상부에 장착된 유로 개통 부재와,
상기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박막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穿刺部)와 상기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상기 영양제용 용기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에 일체화되어 상기 연통부의 주위에 배치된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천자부의 선단이, 상기 박막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박막에 접하나 상기 박막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관형상부에 대한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천자부에 의해 상기 박막이 뚫려,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이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관형상부에 대한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입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본 발명의 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영양제 공급 세트는,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와,
상기 캡의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액(送液) 튜브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영양제용 용기에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하며, 또한,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이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영양제용 용기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발명의 캡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저면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측면도이다.
도 3e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3f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g는, 도 3f에 나타낸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h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유로 개통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유로 개통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c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d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e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f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4g는, 유로 개통 부재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이며, 또한, 유로 개통 부재에 의해 박막이 뚫어진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이며, 또한, 캡의 돌출부가, 송액 회로의 커넥터의 삽입부 내에 완전하게 삽입된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d는, 도 5c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3a에 나타낸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일례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6d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6e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7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캡의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나타낸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a는, 도 9a에 나타낸 캡의 유로 개통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유로 개통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1a는, 도 9a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유로 개통 부재에 의해 박막이 뚫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에 대해, 송액 회로가 장착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는, 실시형태 3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a는, 도 14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낸 보호 커버의 표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나타낸 보호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5d는, 도 15a에 나타낸 보호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5e는, 도 15a에 나타낸 보호 커버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경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경장 영양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수액 세트의 일례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부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끼워맞춤 가능한 환상홈을 더 포함한다. 리브와 환상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제1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부를 그 축방향으로 가압하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장착 상태로부터 제2 장착 상태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상기 리브를 제1 리브로 하면, 연통부는, 상기 제1 리브보다도 천자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된 제2 리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제2 리브와 환상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제2 장착 상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제2 리브가 환상홈에 끼워맞춰졌을 때의 진동에 의해, 제2 장착 상태가 된 것에 대한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상기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캡 본체부는,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선형상 리브가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또, 상기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유로 개통 부재는,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캡 본체부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내주면에 선형상 홈이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선형상 리브의 길이 방향은 제2 관형상부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선형상 리브는 선형상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선형상 리브가 선형상 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로 개통 부재가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로 개통 부재를 박막측으로 밀어넣는 조작, 및, 커넥터와 캡의 접속 조작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상기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캡 본체부는,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선형상 홈이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또,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유로 개통 부재는,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캡 본체부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내주면에 선형상 리브가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선형상 홈의 길이 방향은 제2 관형상부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선형상 리브는 선형상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선형상 리브가 선형상 홈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유로 개통 부재가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로 개통 부재를 박막측으로 밀어넣는 조작, 및, 커넥터와 캡의 접속 조작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캡 본체부는,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선단부에 제1 갈고리부가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또,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유로 개통 부재는,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캡 본체부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선단부에 제1 갈고리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 갈고리부가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한다. 연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더 포함한다. 제1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연통부의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를 더 포함한다.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수나사의 결합 개시측 단부에 있어서의 암나사와 마주 보는 면과, 암나사의 수나사와 마주 보는 면이 접하고, 또한, 제2 갈고리부는, 제1 갈고리부보다도 천정면부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수나사와 암나사를 결합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가 중심축의 둘레로 수주 회전되어, 나사산이 나사홈에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제2 장착 상태의 유지가 안정적이다. 또한,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희망하지 않을 때에 연통부에 외력이 가해져, 박막이 천자부에 의해 뚫릴 가능성도 낮아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더 포함한다.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를 더 포함한다.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수나사와 암나사가 결합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유로 개통 부재를 관형상부로부터 떼어낼 수 없도록, 수나사의 결합 개시측과 암나사의 결합 개시측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수나사와 암나사를 결합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가 중심축의 둘레로 수주 회전되어, 나사산이 나사홈에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제2 장착 상태의 유지가 안정적이다. 또한,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는는 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제1 장착 상태에서 제2 장착 상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희망하지 않을 때에 연통부에 외력이 가해져, 박막이 천자부에 의해 뚫릴 가능성도 낮아서, 바람직하다.
연통부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고, 연통부의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연통부는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그 돌출부에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단면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은, 1개의 관통 구멍이 복수의 작은 구멍으로 구획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어, 관통 구멍 내에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삽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통부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이 연통부 내에 삽입되기 어려운 구조이면, 오로지, 선단이 예리한 접속바늘을 접속 대상으로 찌름으로써 액상물을 체내로 이동시키는 정맥 영양 요법용 송액 회로가, 잘못해서,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영양제용 용기에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가 보다 확실하게 해결된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연통부는, 돌출부보다도 박막측으로 배치되며, 각 구멍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연통부의 외형이 대략 원주형인 경우보다도, 연통부가 경량으로 되어, 유로 개통 부재의 성형도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의 바람직한 일례에서는, 제1 장착 상태의 유로 개통 부재를 덮고,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희망하지 않을 때에 연통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희망하지 않을 때에 연통부에 외력이 가해져, 연통부가 용기 본체부측으로 이동되어, 용기 본체부측으로 이동된 연통부에 의해 박막이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도 6e를 이용해, 본 발명의 캡의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나타낸 영양제용 용기를 구성하는 본 실시형태의 캡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평면도,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저면도, 도 3d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측면도, 도 3e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다른 측면도, 도 3f는, 도 3a에 나타낸 캡의 단면도이며, 도 3g는, 도 3f에 나타낸 캡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양제 용기(10)는,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의료용의 영양제용 용기로서,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와,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영양제를 포함하는 액상물(도시 생략)과, 보틀 본체(11)의 입구부(12)(도 2 참조)에 장착된 캡(13)을 포함한다. 보틀 본체(11)의 저부에는, 보틀 본체(11)를 스탠드 등에 매달기 위한 서스펜더(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특별히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외형 형상은 유지되어 있다. 보틀 본체(11)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12)는, 그 외주면에, 캡(13)의 암나사(23)(도 3f 등 참조)와 결합시키기 위한 수나사(12a)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12)에는, 입구부(12)의 개구를 막도록 박막(16)이 부착되며, 보틀 본체(11) 내가 박막(16)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박막(16)이 부착된 보틀 본체(11)를, 입구부(12)가 아래가 되도록 향하게 해도, 보틀 본체(11) 내의 액상물은, 보틀 본체(11) 내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박막(16)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종이와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막은, 단층막,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열 용착에 의한 박막(16)의 보틀 본체(11)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틀 본체(11)에 접하는 면에 보틀 본체(11)에 포함되는 수지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막이 바람직하다.
박막(16)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에 접착되며, 또한, 그 둘레 가장자리부(16a)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의 근방의 외주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러나, 박막(16)은,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에만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박막(16)의 입구부(12)로의 접착 방법은, 박막(16)의 재료 및 입구부(12)의 재료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3)은, 캡 본체부(22)와, 캡 본체부(22)에 장착된 유로 개통 부재(19)를 포함한다. 유로 개통 부재(19)는, 캡 본체부(22)와는 별도로 성형되어 캡 본체부(22)에 장착되어 있다.
도 3a?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3)의 캡 본체부(22)는, 기부(基部)(20)와, 유로 개통 부재(19)가 장착되는 장착부(21)을 포함한다. 기부(20)는, 캡(13)이 입구부(12)(도 2 참조)에 장착되었을 때에, 입구부(12)의 개구에 면한 천정면부(17)와 입구부(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18)를 포함한다. 측벽부(18)의 내주면에는, 입구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2a)(도 2 참조)에 결합되는 암나사(23)(도 3f 등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21)는, 천정면부(17)의 외측 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제1 관형상부(21a)와 제2 관형상부(21b)를 포함한다. 제2 관형상부(21b)는, 제1 관형상부(21a)의 주위에 배치되며, 또한, 제1 관형상부(21a)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일점쇄선(151)은 제1 관형상부(21a)의 중심축이며, 제2 관형상부(21b)의 중심축과 일치한다. 도 3a?도 3f에 나타낸 예에서는, 일점쇄선(151)은 천정면부(17)와 직교하고 있다.
제1 관형상부(21a)의 상측단 근방에 있어서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연통부(19a)의 제1 리브(198) 및 제2 리브(199)(도 4a참조)와 끼워맞춤 가능한 환상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 도 3d, 도 3e,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형상부(21b)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선형상 리브(21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선형상 리브(21c)는 제2 관형상부(21b)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다. 각 선형상 리브(21c)의 길이 방향은, 제2 관형상부(21b)의 중심축과 같은 방향이다. 한편, 도 3f, 도 3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형상부(19c)의 내주면에는, 상기 한 쌍의 선형상 리브(21c)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한 쌍의 선형상 홈(19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선형상 홈(190a)은, 각 선형상 리브(21c)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그래서, 유로 개통 부재(19)가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송액 회로(27)(도 5a 등 참조)의 커넥터(25)의 로크 오목부(321g)(도 6a 참조)에 로크 돌기(197)(도 3e참조)를 끼워맞출 때에 행해지는 회전 조작을 행하기 쉽다.
상기 한 쌍의 선형상 리브(21c) 및 한 쌍의 선형상 홈(190a)은, 유로 개통 부재(19)가 천정면부(17)측으로 이동할 때의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도 3a?도 3g에 나타낸 캡에서는, 제2 관형상부(21b)가 선형상 리브(21c)를 갖고, 제2 통형상부(19c)가 선형상 홈(190a)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에서는, 도 3h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관형상부(21b)가 한 쌍의 선형상 홈(21d)를 갖고, 제2 통형상부(19c)가 한 쌍의 선형상 리브(190b)를 갖고, 각 선형상 홈(21d)에 각 선형상 리브(190b)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도 3a, 도 3b,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3)의 천정면부(1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통기 구멍(29)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 구멍(29)을 피복하도록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에 통기 필터(28)(도 3c 등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통기 필터(28)는,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에 설치된 환상벽(28a)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통기 필터(28)는, 소수성의 통기 필터이며, 기체는 통과시키지만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보틀 본체(11) 내에 충전된 액상물이 입구부(12)로부터 유출됨에 따라, 보틀 본체(11) 내의 압력은 낮아진다. 보틀 본체(11)가 연질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보틀 본체(11)가 변형되며, 액상물의 유출은 계속된다. 그러나, 경질재로 형성된 보틀 본체(11)의 변형은 곤란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상물의 유출에 따라, 통기 필터(28)를 거쳐, 공기가 보틀 본체(11) 내로 끌여들여진다. 이에 의해, 체내에 영양제를 공급하고 있는 도중에, 보틀 본체(11)에 바늘 등을 찔러 보틀 본체(11)에 통기용 구멍을 형성하거나 하지 않아도, 보틀 본체(11)로부터의 액상물의 유출을 계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통기 필터(28)로는, 예를 들면, 병침(甁針) 등의 접속바늘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소수 필터이면, 그 재료 등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도 3c, 도 3f, 도 5a?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3)은,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 상에 배치된 환상의 시일재(171)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시일재(171)가 천정면부(17)의 내측 주면(17a)과 입구부(12)의 개구 단면(12b) 사이에 끼워져, 캡(13)과 입구부(12)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써, 환자에게 액상물을 공급하고 있는 도중에, 액상물이, 캡(13)과 입구부(12)의 간극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3c에서는, 시일재(171)에 빗금을 넣고 있다.
시일재(171)의 재료는, 이소프렌 고무, 부틸렌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도 3f?도 3h,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는, 연통부(19a)와, 제1 통형상부(19b)와, 제2 통형상부(19c)와, 상면부(19d)와, 한 쌍의 갈고리부(19e)를 포함한다. 도 3d 및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갈고리부(19)는, 상면부(19d)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2 통형상부(19c)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19e)의 천정면부측의 면의 반대면과 상면부(19d)의 외측면(상면)은, 동일 평면 내에 있다. 한 쌍의 갈고리부(19e)는, 그 천정면부(17)와 마주 보는 면에, 후술하는 송액 회로(27)(도 5a 등 참조)의 커넥터(25)의 로크 오목부(321g)(도 6a 참조)에 끼워맞출 수 있는 로크 돌기(197)를 포함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갈고리부(19e)는, 후술하는 송액 회로(27)(도 5b 등 참조)의 커넥터(25)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로서 기능한다.
제1 통형상부(19b) 및 제2 통형상부(19c)는, 이 순서로, 연통부(19a)의 주위에 배치되며, 제1 통형상부(19b)는 연통부(19a)로부터, 제2 통형상부(19c)는 제1 통형상부(19b)로부터 각각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일점쇄선(151)은 제1 관형상부(21a)의 중심축인데(도 3f참조), 연통부(19a), 제1 통형상부(19b), 및 제2 통형상부(19c)의 중심축과도 일치한다.
연통부(19a), 제1 통형상부(19b), 및 제2 통형상부(19c)는, 상면부(19d)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로 개통 부재(19)는, 연통부(19a)의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이 뚫려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도 1 참조)에 충전된 액상물이 유로 개통 부재(19)측으로 흘러들어도, 유로 개통 부재(19)의 연통부(19a)의 유로 이외의 개소로부터 액상물이 새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19a)는, 천자부(194)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돌출부(191)를 포함하고 있다. 돌출부(191)는, 그 평면 형상이 원형이고 상면부(19d)보다도 상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후술하는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된다. 돌출부(191)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19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19a)는, 돌출부(191)보다도 박막(16)(도 5a 등 참조)측에, 박막측의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193)(도 3c나 참조)을 갖고 있다. 격벽(193)은, 각 관통 구멍(192)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유로 개통 부재(19)를 보틀 본체(11)측으로 가압하여,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을 뚫었을 때에는, 복수의 격벽(193)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며, 캡 본체부(22)의 내부 공간에 대해 열린 복수의 공간(196)(도 4b참조) 및 복수의 관통 구멍(192)이, 보틀 본체(11)에 충전된 액상물을 영양제용 용기 밖으로(화살표 X의 방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복수의 유로로서 기능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연통부(19a)에서는, 4개의 격벽(193)을 갖고, 따라서 4개의 유로를 갖는다. 4개의 격벽(193)은 둘레 방향을 따라 같은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호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를 저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보이는, 복수의 격벽(193)으로 이루어지는 구획체의 외형 형상은 대략 십자이다.
연통부(19a)는, 그 축방향 양단 중 박막(16)측에 천자부(194)를 갖는다. 천자부(194)는 그 선단이, 박막(16)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뾰족해져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격벽(193)이, 각각, 연통부(19a)의 박막측의 선단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195)을 갖고 있으며, 각 경사면(195)이 연통부(19a)의 박막측의 선단에 집속되어, 박막(16)을 찢어 뚫을 수 있는 천자부(194)를 형성하고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격벽(193)은, 그 측부에 형성된 제1 리브(198)와 제2 리브(199)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1 리브(198)와 제2 리브(199)는, 연통부(19a)의 제1 관형상부의 내주면과 마주 보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리브(198)는, 연통부(19a)의 박막측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또한, 중심축(151) 상의 소정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단일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리브(199)는, 복수의 제1 리브(198)보다도 연통부(19a)의 박막측의 선단으로부터 보다 떨어져 중심축(151) 상의 다른 소정의 점을 중심으로 하는 다른 단일 원주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5a에, 제1 리브(198)가 환상홈(211)에 끼워맞춰진 모습을, 도 5b에 제2 리브(199)가 환상홈(211)에 끼워맞춰진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캡(1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의 일례에 대해서, 도 6a?도 6e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캡에 접속되는 커넥터(25)의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25)의 평면도이며,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25)의 저면도이며, 도 6d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25)의 측면도이며, 도 6e는, 도 6a에 나타낸 커넥터(25)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6a?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의 커넥터(25)는, 삽입부(33)와, 송액 튜브 접속부(30)와, 플랜지부(32)와 파지부(31)를 포함한다. 커넥터(25)는,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의 입구부(12)에 장착된 캡(13)에 접속됨으로써, 보틀 본체(11) 내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도 5a?도 5c 등 참조) 내강을 연통 가능하게 한다. 일점쇄선(151)은 삽입부(33) 및 송액 튜브 접속부(30)의 중심축이며, 중심축(15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도 6a의 지면 상측(캡에 접속되는 측)을 「상측」, 지면 하측을 「하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커넥터(25)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 근방의 삽입부(33)는, 캡(13)의 돌출부(191)(도 3f 참조)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내경을 갖는 대경부(33a)를 가지며, 대경부(33a)보다 하측에, 유로 개통 부재(19)의 돌출부(191)(도 4a 등 참조)의 외경 및 대경부(33a)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소경부(33b)를 갖는다. 대경부(33a)의 내경은, 돌출부(191)의 최대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기 때문에, 커넥터(25)의 삽입부(33)에 캡(13)의 돌출부(191)를 밀어넣어 커넥터(25)와 캡(13)이 접속된 상태일 때에, 돌출부(191)의 외주면이 대경부(33a)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캡(13)과 커넥터(25)를 액상물의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도 5d참조).
그리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5)의 삽입부(33)는, 대경부(33a)와 소경부(33b)를 가짐으로써, 대경부(33a)와 소경부(33b) 사이에 단차면(33c)를 갖는다. 이 단차면(33c)은, 커넥터(25)가 캡(13)에 접속되었을 때에, 돌출부(191)의 단면(191a)과 접한다(도 5d참조).
소경부(33b)보다도 하측에는, 대략 원통형의 송액 튜브 접속부(30)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33a)의 주위이며 또한 이것보다 상측에, 한 쌍의 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32)는 중심축(151)에 대해 대칭이다. 플랜지부(32)는, 중심축(151)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면을 거의 따른 원호형상 벽(321)과, 중심축(151)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원호형상 벽(321)의 하단과 대경부(33a)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22)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상 벽(321)은, 중심축(151)에 대향하는 내주면의 형상의 차이에 따라, 통과 영역(321a)과, 걸어맞춤 영역(321b)과, 비통과 영역(321c)을 포함한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 영역(321a)의 내주면은 직경 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며, 비통과 영역(321c)의 내주면은 직경 DF23(DF23<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다. 통과 영역(321a)과 비통과 영역(321c) 사이의 걸어맞춤 영역(321b)은, 그 상단에, 통과 영역(321a)의 상단과 비통과 영역(321c)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벽(321d)을 구비한다. 걸어맞춤 벽(321d)의 중심축(151)에 대향하는 내주면은, 직경 DF22(DF22<DF21)의 원통면의 일부이다. 걸어맞춤 영역(321b)은, 걸어맞춤 벽(321d)을 구비함으로써, 걸어맞춤 벽(321d)과 연결부(322) 사이의 영역이 오목한 형상으로 함몰되어 있다. 즉, 걸어맞춤 벽(321d)과 연결부(322) 사이의 영역은, 걸어맞춤 벽(321d)보다도 상대적으로 직경 방향으로 중심축(151)으로부터 후퇴하여, 오목부(321e)를 구성하고 있다. 걸어맞춤 영역(321b)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비통과 영역(321c)은, 오목부(321e)에 대해 상대적으로 중심축(151)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볼록부(321f)를 구성한다. 걸어맞춤 벽(321d)의 비통과 영역(321c)측단의 하면(오목부(321e)측의 면, 연결부(322)에 면한 면)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패인 로크 오목부(321g)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22) 중 걸어맞춤 벽(321d)과 마주 보는 부분에는, 연결부(32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20)(도 6c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만, 관통 구멍(220)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33)의 주위에, 삽입부(33)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중심축(15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한 쌍의 파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캡(13)의 갈고리부(19e)를 플랜지부(32)(도 3e 등 참조)에 걸어맞추기 위해 행해지는 회전 조작 시에, 이 한 쌍의 파지부(31)에 의해 회전 조작이 행해진다.
다음에, 커넥터(25)의 캡(13)으로의 접속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는, 캡(13)에 대해, 커넥터(25)와 커넥터(25)에 접속된 가요성 튜브(26)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27)가 접속되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내며, 도 5b에, 캡(13)에 대해, 송액 회로(27)가 접속되는 도중의, 박막(16)이 뚫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5c에, 캡(13)의 돌출부(191)가, 커넥터(25)의 삽입부(33)(도 6a 참조) 내에 완전하게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5)가 유로 개통 부재(19)에 접속되기 전 상태에서는, 제1 리브(198)가 환상홈(211)에 끼워맞춰져 있으며, 천자부(194)의 선단은, 박막(16)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박막(16)에 접하나 박막(16)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제1 장착 상태).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5) 내에 돌출부(191)를 가입하면서, 유로 개통 부재(19)를 박막(16)측으로 가압하면, 제1 리브(198)와 환상홈(211)의 끼워맞춤이 해제되어, 유로 개통 부재(19)가 박막(16)측으로 밀어넣어져 제2 리브(199)와 환상홈(211)에 끼워맞춰진다. 즉, 커넥터(25)를 캡(13)에 접속하기 위한 조작에 의해 유로 개통 부재(19)가, 보틀 본체(11)측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이 뚫리고, 또한, 제1 통형상 부재(19b)의 내주면이 제1 관형상부(21a)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유로 개통 부재(19)가 캡 본체부(22)에 대해, 액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고 장착된다(제2 장착 상태). 또,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91)의 외주면(191b)이 커넥터(25)의 대경부(33a)에 밀착된다.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리브(199)가 환상홈(211)에 끼워맞춰짐과 동시에, 제1 통형상부(19b) 및 제2 통형상부(19c) 중 적어도 한쪽의 단면이, 천정면부(17)에 맞닿으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통형상부(19b)의 단면(192b) 및 제2 통형상부의 단면(192c)의 적어도 한쪽이 천정면부(17)에 맞닿음으로써, 연통부(19a)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제1 통형상부(19b)의 단면(192b) 및 제2 통형상부(19c)의 단면(192c)의 적어도 한쪽이 천정면부(17)에 맞닿을 때까지 연통부(19a)를 박막(16)측으로 밀어넣는 간단한 조작으로, 제2 리브(199)를 환상홈(211)에 대해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음에, 파지부(31)를 파지하여, 캡(13)에 대해 커넥터(25)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더 회전시키면, 커넥터(25)의 회전에 따라, 로크 돌기(197)(도 3e 등 참조)가, 걸어맞춤 벽(321d)의 연결부(322)측의 면(321h)에 압착되면서 당해 면(321h)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다음에 로크 오목부(321g)에 끼워맞춰진다(도 6a참조). 로크 돌기(197)와 로크 오목부(321g)의 끼워맞춤에 의해, 커넥터(25)가 캡(13)에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커넥터(25)에는, 로크 돌기(197)가 수납되는 로크 오목부(321g)에 인접하여 볼록부(321f)(도 6a 참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캡(13)의 로크 돌기(197)를 로크 오목부(321g) 내에 침입시키고, 갈고리부(19e)(도 3e 등 참조)가 볼록부(321f)에 맞닿을 때까지 더 이동시키면, 갈고리부(19e)와 걸어맞춤 벽(321d)을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 캡(13)의 갈고리부(19e)가 커넥터(25)의 볼록부(321f)에 맞닿음으로써, 캡(13)에 대한 커넥터(25)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캡(13)에 대해 커넥터(25)를, 회전이 규제될 때까지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갈고리부(19e)와 걸어맞춤 벽(321d)을 확실하게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캡(13)과 커넥터(25)의 접속의 유지는, 각종 공지의 구조에 의해 행해지면 되고, 접속 유지 구조인 캡(13)의 로크 돌기(197)를 포함하는 갈고리부(19e)(도 3e 등 참조)와, 커넥터(25)의 로크 오목부(321g)를 포함하는 걸어맞춤 벽(321d)(도 8 A참조)의 걸어맞춤 이외의 방법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 유지 구조가, 유로 개통 부재(19)에 설치되어 있는데, 캡 본체부(2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25)에 대해, JIS-K7202에 의거하여 측정되는 경도는, 송액 튜브 접속부(30)로의 가요성을 갖는 송액 튜브(26)의 접속 작업성의 향상의 관점에서, R40?R140이면 바람직하고, R50?R10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유로 개통 부재(19)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는, 돌출부(191)에 3개의 관통 구멍을 갖고, 돌출부(191)보다도 박막측으로 3개의 격벽(193)을 갖고, 3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는, 돌출부(191)에 2개의 관통 구멍을 갖고, 돌출부(191)보다도 박막측에 1개의 격벽(193)을 갖고, 2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4e?도 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의 연통부(19a)는, 대략 원통형이며, 관통 구멍(192)을 2?4개 가짐으로써, 그 내강이 2?4개로 분할되어, 2?4개의 유로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리브(198)와 제2 리브(199)는, 연통부(19a)의 외주면, 연통부(19a)의 제1 관형상부의 내주면과 마주 보는 면, 즉,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캡(13)은, 제2 관형상부(21b) 및 제2 통형상부(19c)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7?도 11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8은 분해 사시도이고, 도 9a는,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이고, 도 9c는, 도 9a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에 나타낸 캡의 유로 개통 부재를 설명하는 사시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유로 개통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캡(43) 및 영양제용 용기(40)는, 유로 개통 부재(19)의 제1 관형상부(21a)에 대한 유지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같은 부재 번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b는 단면도이지만,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빗금은 넣지 않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로 개통 부재(19)의 연통부(19a)는, 그 외주면(연통부(19a)의 제1 관형상부의 내주면과 마주 보는 면)에 형성된 수나사(200)를 포함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나사(200)의 각 부는, 격벽(19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나사(200)는 불연속이다. 한편, 제1 관형상부(21a)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수나사(200)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관형상부(21b)는, 그 선단부에 형성된 제1 갈고리부(211b)를 포함하고, 제2 통형상부(19c)는, 그 선단부에 형성된 제2 갈고리부(191c)를 포함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도 9a 참조)이 뚫리지 않으면, 수나사(200)가 암나사(212)에 끼워맞춰져 있어도 되고, 끼워맞춰져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수나사(200)의 결합 개시측 단부에 있어서의 암나사(212)와 마주 보는 면(200a)과, 예를 들면, 암나사(212)의 결합 개시측에 있어서의 수나사(200)와 마주 보는 면(212a)이 접하고 있다. 따라서, 유로 개통 부재(19)를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박막(16)측으로 압착되는 힘이 유로 개통 부재(19)에 부여되더라도, 면(200a)과 면(212a)이 충돌함으로 인해, 유로 개통 부재(19)가 박막(16)측으로 밀어넣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유로 개통 부재(19)를 제1 관형상부(21a)에 대해 회전시키지 않으면, 연통부(19a)에 의해 박막(16)이 뚫리지 않는다.
또, 도 9b 및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갈고리부(191c)는, 제1 갈고리부(211b)보다, 천정면부(17)(도 9a참조)의 더 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갈고리부(191c)가 제1 갈고리부(211b)를 넘지 않으면, 유로 개통 부재(19)를 장착부(21)로부터 떼어낼 수 없게 되어 있다. 제1 장착 상태일 때, 제2 갈고리부(191c)는 제1 갈고리부(211b)에 걸려 있어도 된다.
제1 장착 상태의 유로 개통 부재(19)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수나사(200)와 암나사(212)가 결합되면,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부(19a)의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이 뚫려,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에 충전된 액상물을 복수의 유로를 통해 영양제용 용기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제1 통형상부(19b)의 내주면이, 제1의 관형상부(21b)의 외주면과 밀착되므로, 유로 개통 부재(19)가 캡 본체부(22)에 대해, 액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장착된다(제2 장착 상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 상태의 유로 개통 부재(19)의 돌출부(191)를, 송액 회로(27)의 커넥터(25) 내에 압입한 후, 파지부(31)를 파지시켜, 캡(43)에 대해 커넥터(25)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면, 커넥터(25)의 회전에 따라, 로크 돌기(197)(도 3e 등 참조)가, 걸어맞춤 벽(321d)의 연결부(322)측의 면(321h)에 압착되면서 당해 면(321h) 상을 미끄럼 이동하여, 그 다음에 로크 오목부(321g)(도 6a 참조)에 끼워맞춰진다. 로크 돌기(197)와 로크 오목부(321g)의 끼워맞춤에 의해, 커넥터(25)가 캡(43)에 접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도 12a 및 도 12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사시 단면도이며,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확대 단면 모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가 제2 통형상부 및 제2 관형상부를 구비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2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같은 부재 번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및 도 12b에는, 제1 장착 상태의 영양제용 용기가 나타나 있지만, 유로 개통 부재(19)가 그 중심축의 둘레로 예를 들면 1주(周) 이상 회전되어, 수나사(200)의 결합 개시측이, 암나사(212)의 결합 개시측과 결합되어 있으며, 수나사의 결합 개시측의 일부가 암나사(212)의 나사홈에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수나사(200)를 암나사(212)에 결합시키는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유로 개통 부재(19)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유로 개통 부재(19)를 제1 관형상부(관형상부)(21a)로부터 떼어낼 수 없다(제1 장착 상태).
또, 유로 개통 부재(19)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연통부(19a)에 의해 박막(16)이 뚫리지 않는다.
제1 장착 상태의 유로 개통 부재(19)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수나사(200)와 암나사(212)가 또한 결합되면, 연통부(19a)의 천자부(194)에 의해 박막(16)(도 12a참조)이 뚫려,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에 충전된 액상물을 복수의 유로를 통해 영양제용 용기 밖으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제1 통형상부(통형상부)(19b)의 내주면과 제1 관형상부(관형상부)(21a)의 외주면이 밀착되므로, 유로 개통 부재(19)가 캡 본체부(22)에 대해, 액 누출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장착된다(제2 장착 상태).
(실시형태 4)
다음에, 도 13?도 15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캡의 다른 일례, 및 당해 캡을 이용한 본 발명의 영양제용 용기의 다른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형태의 영양제용 용기의 일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4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3)에, 유로 개통 부재(19)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60)가 장착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며, 동일 부재에는 같은 부재 번호를 달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 커버(60)에 의해 유로 개통 부재(19)가 보호되고 있으므로, 희망하지 않을 때에 유로 개통 부재(19)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희망하지 않을 때에 유로 개통 부재(19)에 외력이 가해져, 유로 개통 부재(19)가 용기 본체부인 보틀 본체(11) 측으로 밀어넣어져, 용기 본체부측으로 밀어넣어진 연통부(19a)에 의해 박막(16)이 뚫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60)는, 도 15a?도 1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로 개통 부재(19)를 덮는 커버 본체(61)와 캡(13)의 갈고리부(19e)(도 3e 등 참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벽(621d)을 걸어맞춤부로서 포함하는 한 쌍의 플랜지부(62)를 포함한다. 보호 커버(60)의 플랜지부(62)의 걸어맞춤 벽(621d)은, 도 6a?도 6e에 나타낸 커넥터(25)의 플랜지부(32)의 걸어맞춤 벽(321d)과 동일 구조를 하고 있다.
보호 커버(60)를, 커버 본체(61) 내에 유로 개통 부재(19) 및 장착부(21)가 들어가도록 천정면부(17)의 외측면측으로부터 씌우고, 보호 커버(60)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캡(13)의 갈고리부(19e)의 로크 돌기(197)(도 3e 등 참조)를, 걸어맞춤 벽(621d)의 비통과 영역(621c)측단의 하면(오목부(618)측의 면)에 형성된 로크 오목부(621g)에 끼워맞추면, 보호 커버(60)가 캡(13)에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호 커버(60)의 플랜지부(62)는, 보호 커버(60)를, 유로 개통 부재(19)가 제1 장착 상태의 캡(13)에 장착했을 때에, 그 단면이, 캡(13)의 천정면부(17)에 맞닿는 원호형상 벽(621)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보호 커버(60)의 캡(13)으로의 장착 상태의 유지가 안정화되어 있다.
보호 커버(60)는, 실시형태 2, 실시형태 3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형태 1?3과 동일하게, 정맥 영양 요법에 이용되는 송액 회로가 잘못 접속된다는 오접속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제 등의 액상물의 공급을 간단한 조작으로,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보호 커버(60)를 캡으로부터 떼어내어, 연통부(19a)에 박막(16)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부여하여 박막(16)을 뚫어, 또한, 캡에 송액 회로(27)를 접속하는 것만으로(도 5a?도 5c 등 참조), 환자로의 액상물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a 등에 나타낸 송액 회로(27)는, 도시의 편의상, 커넥터(25)와 가요성 튜브(26)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실시형태 1?4의 캡 및 영양제용 용기에 접속되는 송액 회로는, 가요성 튜브(26)를 가압하여 가요성 튜브(26)를 흐르는 액상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 조정기, 점적통, 환자에게 고정된 경비 튜브 등에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 당해 커넥터의 커버 등, 종래 공지의 경장 영양 요법에 사용되는 송액 회로가 구비하는 구성 부품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경장 영양 요법에 적합한, 영양제용 용기의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용 용기와 송액 회로를 포함하는 영양제 공급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10, 40:영양제용 용기
11:보틀 본체(용기 본체부)
12:입구부
13, 43:캡
16:박막
17::천정면부
18:측벽부
19a:연통부
19b:제1 통형상부(통형상부)
19c:제2 통형상부
19e:갈고리부
194:천자부
191:돌출부
191c:제2 갈고리부
192:관통 구멍
193:격벽
197:로크 돌기
198:제1 리브(리브)
199:제2 리브
20:기부
21:장착부
21a:제1 관형상부(관형상부)
21b:제2 관형상부
21c, 190b:선형상 리브
21d, 190a:선형상 홈
211:환상홈
211b:제1 갈고리부
22:캡 본체부
25:커넥터
26:가요성 튜브
27:송액 회로
321g:로크 오목부
200:수나사

Claims (12)

  1. 영양제용 용기의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유출시키는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는 캡으로서,
    상기 입구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입구부의 개구에 면한 천정면부와,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측벽부와,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관형상부를 포함하는 캡 본체부와,
    상기 관형상부에 장착된 유로 개통 부재와,
    상기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하는 접속 유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박막을 뚫을 수 있게 하는 천자부(穿刺部)와, 상기 용기 본체부에 충전된 액상물을 상기 영양제용 용기 바깥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유로를 포함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에 일체화되어 상기 연통부의 주위에 배치된 통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에 대해 제1 장착 상태와 제2 장착 상태를 취할 수 있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천자부의 선단이, 상기 박막에 접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박막에 접하나 상기 박막을 가압하지 않는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상기 관형상부에 대한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천자부에 의해 상기 박막이 뚫려,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이 상기 관형상부의 외주면에 접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관형상부에 대한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끼워맞춤 가능한 환상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와 상기 환상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제1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캡.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를 제1 리브로 하면,
    상기 연통부는, 상기 제1 리브보다도 천자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된 제2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브와 상기 환상홈이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제2 장착 상태가 유지되는, 캡.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상기 캡 본체부는, 상기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선형상 리브가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캡 본체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내주면에 선형상 홈이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상 리브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관형상부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선형상 리브는 상기 선형상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캡.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상기 캡 본체부는, 상기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외주면에 선형상 홈이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캡 본체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내주면에 선형상 리브가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상 홈의 길이 방향은 상기 제2 관형상부의 축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선형상 리브는 상기 선형상 홈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캡.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를 제1 관형상부로 하면,
    상기 캡 본체부는, 상기 제1 관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천정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선단부에 제1 갈고리부가 형성된, 제2 관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형상부를 제1 통형상부로 하면,
    상기 유로 개통 부재는, 상기 제1 통형상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제2 관형상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 개통 부재의 상면부로부터 상기 캡 본체부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그 선단부에 제2 갈고리부가 형성된 제2 통형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수나사의 결합 개시측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와 마주 보는 면과, 상기 암나사의 상기 수나사와 마주 보는 면이 접하고, 또한, 상기 제2 갈고리부는, 상기 제1 갈고리부보다도 상기 천정면부의 근처에 배치되는, 캡.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형상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와 결합 가능한 암나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 상태에서는, 상기 유로 개통 부재를 그 중심축의 둘레로 상기 수나사와 상기 암나사가 결합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상기 유로 개통 부재를 상기 관형상부로부터 떼어낼 수 없도록, 상기 수나사의 결합 개시측과 상기 암나사의 결합 개시측이 결합되어 있는, 캡.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면에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캡.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복수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에 각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보다도 상기 박막측에 배치되며, 각 구멍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공간을 상호 구획하도록 배치된 격벽을 포함하는, 캡.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 상태의 상기 유로 개통 부재를 덮고,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를 더 구비한, 캡.
  11. 입구부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부와,
    용기 본체부 내에 충전된 액상물과,
    상기 입구부에 부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부 내를 밀폐하는 박막과,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을 포함하는, 영양제용 용기.
  12. 청구항 11에 기재된 영양제용 용기와,
    상기 캡의 상기 접속 유지 구조와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송액(送液) 튜브를 포함하는 송액 회로를 포함하는, 영양제 공급 세트.
KR20127011650A 2009-10-16 2010-10-15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KR20120085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38958 2009-10-16
JPJP-P-2009-238958 2009-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279A true KR20120085279A (ko) 2012-07-31

Family

ID=4387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11650A KR20120085279A (ko) 2009-10-16 2010-10-15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11046210A1 (ko)
KR (1) KR20120085279A (ko)
CN (1) CN102573753A (ko)
WO (1) WO20110462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27A1 (ko) * 2015-10-21 2017-04-27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파우치형 유체 용기 및 그 유체 용기의 유체 취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6024B2 (ja) * 2011-01-25 2016-10-26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医療用投与セット
JP2016052345A (ja) * 2014-09-02 2016-04-1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半固形化栄養剤用アダプター
AU2021356704A1 (en) 2020-10-09 2023-06-01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003A (en) * 1974-05-07 1976-02-24 Pharmaco, Inc. Safety cap for medicament vial having puncturable seal
US5895383A (en) * 1996-11-08 1999-04-20 Bracco Diagnostics Inc. Medicament container closure with recessed integral spike access means
DE19717765C1 (de) * 1997-04-26 1999-02-25 Fresenius Ag Steriler Konnektor und Folienbeutel mit einem sterilen Konnektor
JP2000062788A (ja) * 1998-08-20 2000-02-29 Dainippon Printing Co Ltd 二液混合容器
FR2821827B1 (fr) * 2001-03-07 2003-06-13 Biodome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un recipient et un contenant et ensemble pret a l'emploi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A2495905C (en) * 2002-08-22 2007-05-08 Glenn G. Fournie Sliding seal adapter for a feeding system
US7896859B2 (en) * 2005-10-20 2011-03-01 Tyco Healthcare Group Lp Enteral feeding 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327A1 (ko) * 2015-10-21 2017-04-27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파우치형 유체 용기 및 그 유체 용기의 유체 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3753A (zh) 2012-07-11
JPWO2011046210A1 (ja) 2013-03-07
WO2011046210A1 (ja)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5638B2 (ja) 連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並びに輸液調剤用具セット
US8226628B2 (en) Communicating needle for connecting two or more containers to communicate
US8622972B2 (en) Peripheral catheter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it
KR101699090B1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WO2014049812A1 (ja) 弁体及びこの弁体を有するコネクタ
JP5810913B2 (ja) 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
KR101775176B1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JP5920340B2 (ja) 医療用ポ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JP5253177B2 (ja) コネクタおよび輸液チューブセット
KR20110070995A (ko) 주출구 및 주출구가 달린 액체 수용체
KR20120085279A (ko) 캡, 및 그것을 이용한 영양제용 용기 및 영양제 공급 세트
JP2012010930A (ja) 薬剤投与具
JP5265381B2 (ja) 輸液チューブセット
JP5920339B2 (ja) 医療用ポ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栄養剤用容器並びに栄養剤供給セット
KR20120087960A (ko) 의료용 용기의 커넥터 세트
KR102593071B1 (ko) 의료 용기용 커넥터
JP5257673B2 (ja) キャップ付き医療用ポート
TWI587883B (zh) Medical connector, container for nutrient container and nutrient supply container using the same
JP2010126250A (ja) メス型コネクタおよび接続具
JP6318691B2 (ja) 医療用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