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834A -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834A
KR20120084834A KR1020110006107A KR20110006107A KR20120084834A KR 20120084834 A KR20120084834 A KR 20120084834A KR 1020110006107 A KR1020110006107 A KR 1020110006107A KR 20110006107 A KR20110006107 A KR 20110006107A KR 20120084834 A KR20120084834 A KR 20120084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pe
plate
filter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982B1 (ko
Inventor
최창형
정주호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9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elf-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parallel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에 의해 원수 또는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하는 여과장치에서 그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켜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이 구비되어 상하측에는 각각 상제2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와 제1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와 제2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여과판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되는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에는 여과포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의 최상단 상면에는 제1마감판이 결합되어 여과판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의 최하단 저면에는 제2마감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마감판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이 연결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에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배관은 상기 제1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여과를 위해 상기 제1배관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보조배관으로도 원수가 공급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water filt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에 의해 원수 또는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여과하는 여과장치에서 그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을 향상시켜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여과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영장 등에서 사용한 물을 다시 걸러 수영장으로 순환시키거나, 빌딩 등에서 사용한 물을 여과하여 화장실용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도 물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 공급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여과장치(10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사각형의 여과판(110) 또는 원형의 여과판(110)이 상부로 다수단 적층되어 설치된 여과장치가 있으며, 이는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과판(110)의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된다. 또한,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로(114)의 상면에는 여과포(120)가 씌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여과판(110)을 상하로 다수 적층 후, 그 최상단 및 최하단을 제1,2마감판(130)(140)으로 각각 마감하여 견고히 결속하게 되면 여과장치(100)가 구성된다. 또한, 제2마감판(140)의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고 배관(151)이 구비된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고 배관(161)이 구비된 제2배관(160)이 연결된다.
또한, 제1배관(150)에는 밸브(153)가 구비된 제1분기관(152)이 연결되고, 제2배관(160)에는 밸브(163)가 구비된 제2분기관(162)이 연결된다.
여과시에는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를 차단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배관(150)을 통해 원수를 공급한다. 공급된 원수는 제1관통구(111)를 통해 여과포(120)를 거쳐 여과가 된 후 반대측의 제2관통구(112)를 통해 제2배관(160)을 거쳐 제2분기관(162)으로 배출된다.
물론, 상기와 반대로 제2배관(160)을 통해 제2관통구(112)로 원수를 공급하여 여과를 한 후, 반대측의 제1관통구(111)를 거쳐 제1분기관(152)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배관(150)을 통해 원수를 공급하여 제1관통구(111)를 거친 후 여과된 여과수는 제2관통구(112)를 거쳐 제2배관(160)을 통해 배출하는 여과과정을 설명한다.
여과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위해 여과포(120)에는 규조토 등의 여과재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여과를 하기 전에 먼저 원수에 여과재를 첨가하여 공급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를 차단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은 개방한다.
원수에 포함되어 공급되는 규조토 등의 여과재는 제1관통구(111)를 거쳐 여과포(120)의 저면(제2관통구(112)를 통해 공급하는 경우는 여과포(120)의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게 된다.
이렇게 여과재의 도포가 마무리되면 여과재의 공급을 중단하고, 도 3b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여과하고자 하는 원수를 가압하여 제1배관(150)을 통해 공급된다.
공급되는 원수는 차단된 제1분기관(152)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1관통구(111)를 통해 각각의 여과포(120)를 거치면서 여과가 이루어져 제2관통구(112)를 거쳐 제2배관(160)으로 배출되며, 개방된 제2분기관(162)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오랜 여과로 인해 여과재와 여과포(120)가 막혀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도 3c 또는 도 5c와 같이 여과를 중단하고 반대로 제2배관(160)으로 역세척수를 가압하여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를 개방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은 차단한다.
제2배관(160)으로 공급되는 역세척수는 제2관통구(112)를 통해 여과포(120)의 상면을 거쳐 저면 측으로 통과한다. 역세척수는 여과포(120)의 저면에 부착된 여과재와 슬러지를 탈리시켜 제1관통구(111)를 통해 제1배관(150)으로 배출되면서 제1분기관(152)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장치(100)는 최초의 상태로 복귀되며 다시 여과재의 도포와 여과 과정 및 역세척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여과장치(100)는 사각 또는 원형의 여과판(110)이 상하로 약 30~40여장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제2마감판(140)의 제1배관(150)을 통해 가압되어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은 대부분 하부측 여과판(110)에 더 강하게 작용하여 소멸되어 버리므로, 상부측 여과판(110) 측에서는 그 압력이 약해진 상태로 여과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즉, 적층된 각각의 여과판(110)의 제1관통구(111)가 서로 상하 연통되게 되므로, 유입된 원수는 제1관통구(111)를 통해 상승하면서 각각의 여과포(120)를 거치게 되는데, 하단의 여과판(110)에서는 유입된 압력을 유지하며 통과가 되나, 높은 높이에 있는 여과판(110)으로 갈수록 그 압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통과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부의 여과판(110)에서는 여과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반대로 역세척을 위해 제2배관(160)을 통해 제2마감판(150)으로 가압되어 공급되는 역세척수는 제2관통구(112)를 통해 각각의 여과판(110)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하부에서는 가압된 물의 압력이 그대로 유지되어 여과재 및 이물질의 탈리 효율이 양호하나, 상부로 갈수록 물의 압력이 점차 약해져 상부측의 여과판(110)에서는 여과재 및 슬러지의 탈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과포(120)에 이물질과 효율이 저하된 여과재가 그대로 남아 여과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과판(110)을 눕힌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하지 않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같이, 여과판(110)을 세운 상태에서 측면에 접하도록 하여 결합한 후 선단과 후단을 제1,2마감판(130)(140)으로 결합한 여과장치(100)의 제공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규조토 및 원수가 공급되게 되면, 도 6b와 같이 제1배관(150)을 통해 제1마감판(130)으로 유입된 후, 하부측의 제1관통구(111)를 통해 여과판(1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여과포(120)를 거친 후 상부측의 제2관통구(112)를 통해 제2마감판(140)으로 유입되어 제2배관(160)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는 차단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역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도 6c와 같이 제2배관(160)을 통해 고압으로 가압된 역세척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역세척수는 상부측의 제2관통구(112)를 통해 여과포(120)에 부착된 여과재와 이물질을 탈리시킨 후 하부측의 제1관통구(111)를 통해 제1배관(150) 측으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역세척 시 역세척수가 상부측의 제2관통구(112)를 통해 여과포(120)를 거침에 따라, 여과포(120) 하부측에서는 그 압력이 저하되면서 여과재 및 이물질의 탈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탈리된 이물질은 제1관통구(111) 측에 쌓이면서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이는 여과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원수 및 역세척수의 압력이 여과장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해결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일측에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이 구비되어 상하측에는 각각 상제2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와 제1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와 제2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여과판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되는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에는 여과포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의 최상단 상면에는 제1마감판이 결합되어 여과판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의 최하단 저면에는 제2마감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마감판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이 연결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에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배관은 상기 제1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여과를 위해 상기 제1배관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보조배관으로도 원수가 공급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마감판에는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는 제2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여과를 위해 상기 제1배관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2보조배관으로도 원수가 공급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마감판에는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는 제2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2보조배관으로도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마감판에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2보조배관 및 제3보조배관으로도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마감판에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3보조배관으로도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에는 제1관통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 사이의 중도부에는 중간판이 구비되어 중간판의 좌우측에는 각각 제1,2수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와 제1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와 제2관통구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이 형성되는 여과판이 측면으로 다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되는 여과판과 여과판 사이에는 여과포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의 최선단 전면에는 제1마감판이 결합되어 여과판의 전면을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의 최후단 후면에는 제2마감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1마감판의 하측에는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의 상측에는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이 연결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판의 하측에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보조배관으로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마감판의 상측에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여과장치의 제1마감판과 제2마감판에서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마감판의 상측에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은 상기 제2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여과장치의 제1마감판과 제2마감판에서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수 및 역세척수의 압력이 여과장치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의 사각 여과판 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의 사각 여과판 단면도
도 3a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눕혀 상부로 다수단 적층하여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3b는 도 3a의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3c는 도 3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4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의 원형 여과판 사시도
도 5a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에 원형 여과판을 상부로 적층하여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5b는 도 6a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5c는 도 6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6a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세워 측면으로 다수단 결합하여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6b는 도 6a의 여과장치에 의해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6c는 도 6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눕혀 상부로 다수단 적층하여 적용한 상태에서 제1,2보조배관을 연결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7b는 도 7a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7c는 도 7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눕혀 상부로 다수단 적층하여 적용한 상태에서 제3보조배관을 연결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8b는 도 8a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8c는 도 8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원형 여과판을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9b는 도 9a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9c는 도 9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세워 측면으로 다수단 결합하여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10b는 도 10a의 여과장치에서 여과를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도 10c는 도 10a의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을 진행하는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종래와 동일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10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사각 또는 원형의 여과판(110)이 상측으로 적층되고, 각 여과판(110)의 사이마다 여과포(12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과판(110)의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상제2수로(114)(115)가 형성된다. 또한,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된다.
다수단 적층된 최상부 여과판(110)의 사이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된다. 최상부 여과판(100)의 상부에는 제1마감판(130)으로 마감하고, 최하부 여과판(110)의 하부에는 제2마감판(140)을 마감하여 견고히 결속된다.
제2마감판(140)의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고 중도부에 밸브(151)가 구비된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고 중도부에 밸브(161)가 구비된 제2배관(160)이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마감판(130)의 일측에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고 밸브(171)가 구비된 제1보조배관(170)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1보조배관(170)은 제1배관(150)의 중도부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는/및, 제1마감판(130)의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고 밸브(181)가 구비된 제2보조배관(180)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2보조배관(180)은 제2배관(160)의 중도부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8a와 같이 제1마감판(130)의 일측에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고 밸브(191)가 구비된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도록 하고, 제3보조배관(190)은 제1배관(160)의 중도부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과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여과판(110)이 상측으로 다수단 적층된다. 그리고, 여과판(110)의 사이마다 여과포(120)가 결합된다.
먼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포(110)에 여과재를 도포하기 위해 제1배관(150)을 통해 규조토 등의 여과재가 포함된 물을 고압으로 가압하여 소정시간동안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와 제1보조배관(170)의 밸브(171) 및 제2보조배관(180)의 밸브(181)는 차단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는 개방한다.
그러면, 제1배관(150)을 통해 제2마감판(140)을 거쳐 각각의 여과판(110) 하부에서 제1관통구(111)로 유입된다. 각각의 여과판(110)의 제1관통구(111)로 유입된 물은 제1연통공(116)을 통해 제1수로(114)를 거쳐 여과재는 여과포(120)의 하부에 걸러져 코팅된다.
그리고, 여과재가 걸러진 상태로 여과된 물은 상부의 여과판(110)에 형성된 제2수로(115)를 통해 제2연통공(117)을 거쳐 제2관통구(112)로 유입되어 제2마감판(140)의 제2배관(160)으로 배출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여과재의 도포가 완료되면 여과재의 공급을 중단한 후, 다시 도 7b 또는 도 8b와 같이 여과재의 공급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원수를 공급하여 여과를 하게 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와 제2보조배관(180)의 밸브(181)는 차단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와 제1보조배관(170)의 밸브(171)는 개방한다.
따라서, 원수가 제1배관(150)을 통해 제1마감판(130)의 하부에서 유입됨과 동시에, 제1배관(150)과 연통된 제1보조배관(170)을 통해 제1마감판(130)의 상부에서도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원수는 여과판(110) 제1관통구(111)의 상하부에서 유입되어 각각의 여과판(110) 사이에 결합된 여과포(120)를 거쳐 여과가 된 후 제2분기관(163)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하고자 하는 원수가 여과장치(100)의 상하부에서 동시에 유입되므로, 상부의 여과판(110)에서도 여과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양호한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소정의 시간동안 여과를 한 후에는 여과재 및 여과포(1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여과재의 기공을 차단함으로 인해 여과효율이 저하되게 되므로, 여과를 중단하고 도 7c 또는 도 8c와 같이 역세척 공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제1배관(150)으로 공급하던 원수를 중단시키고, 제2배관(160)을 통해 고압으로 가압된 역세척수를 공급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와 제2보조배관(180)의 밸브(181)는 개방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와 제1보조배관(170)의 밸브(171)는 차단한다.
역세척수는 제2배관(160)을 통해 고압으로 공급되어 제2마감판(140)의 하부를 통해 여과판(110)의 제2관통구(112)로 유입된다. 제2배관(160)으로 유입된 역세척수는 동시에 제2보조배관(180)으로 유입되어 제1마감판(130)의 상부에서도 제2관통구(112)로 유입이 된다.
따라서, 역세척수에 의해 여과포(120)의 하부에 부착된 슬러지와 여과재가 탈리되며, 탈리된 슬러지와 여과재는 역세척수와 함께 제1관통구(111)의 하부로 배출되어 제1배관(150)을 거쳐 제1분기관(152)으로 배출된다.
즉, 역세척수가 제2배관(160)을 통해 여과장치(100)의 하부에서 공급됨과 동시에 제2배관(160)과 연통된 제2보조배관(180)을 통해서 여과장치(100)의 제1마감판(130)을 거쳐 여과판(110)의 상부에서도 하부와 마찬가지의 압력으로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상부측 여과판(110)도 하부측 여과판(110)과 마찬가지로 역세척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에 사각 여과판을 세워 측면으로 다수단 결합하여 적용한 상태의 개략적인 개통도이다.
서로 측면이 접하도록 세워진 여과판(110)의 선단 제1마감판(130)에는 하부의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고 밸브(151)가 구비된 제1배관(15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2마감판(140)의 상부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고 밸브(161)가 구비된 제2배관(160)이 연결된다.
또한, 제1배관(150)의 중도부에는 밸브(171)가 구비된 제1보조배관(170)이 연결되고, 제1보조배관(170)은 제1마감판(130)의 상부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한다.
또는/및, 제2배관(160)의 중도부에는 밸브(181)가 구비된 제2보조배관(180)이 연결되고, 제2보조배관(180)은 제2마감판(140)의 하부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한다.
또는/및, 제2배관(160)의 중도부에는 밸브(191)가 구비된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고, 제3보조배관(190)은 제1마감판(130)의 상부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한다.
제1배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100)의 제1마감판(130) 하부 제1관통구(111)로 유입되어, 각각의 여과판(110)을 거치면서 여과가 되어 상부의 제2관통구(112)를 통해 제2배관(160) 및 제2분기관(162)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1배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동시에, 제1보조배관(170)을 통해 제1마감판(130)의 상부 제2관통구(112)에서도 유입됨으로써, 여과판(110)의 상부에서도 여과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여과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척을 위해 제2배관(160)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면, 제2마감판(140)의 상부 제2관통구(112)를 통해 여과포(120)에 부착된 이물질과 여과재를 탈리시켜, 하부의 제1관통구(111)를 거쳐 제1마감판(130)의 하부 제1배관(150) 및 제1분기관(152)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2배관(160)을 통해 공급되는 역세척수는 동시에, 제2보조배관(180)을 통해 제2마감판(140)의 하부 제2관통구(112)에서도 유입됨으로써, 여과판(110)의 하부에서도 역세척압력이 저하되지 않고, 탈리되어 제2관통구(112)로 떨어지는 여과재와 이물질을 고압으로 밀어 역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2배관(160)을 통해 공급되는 역세척수는 동시에, 제3보조배관(190)을 통해 제1마감판(130)의 상부 제1관통구(111)에서도 유입됨으로써, 여과판(110)의 양측 상부에서 역세척수가 공급됨으로써 역세척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이때, 제1분기관(152)의 밸브(153)와 제2밸브(160)의 밸브(161) 및 제2보조배관(180)의 밸브(181), 제3보조배관(190)의 밸브(191)는 개방하고, 제2분기관(162)의 밸브(163)와 제1보조배관(170)의 밸브(171)는 차단한다.
따라서, 역세척효율이 향상되고 이는 여과장치(100)를 최초의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항상 최적의 여과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100 : 여과장치 110 : 여과판
111 : 제1관통구 112 : 제2관통구
113 : 중간판 114,115 : 제1,2수로
116 : 제1연통공 117 : 제2연통공
120 : 여과포 130 : 제1마감판
140 : 제2마감판 150 : 제1배관
160 : 제2배관 170 : 제1보조배관
180 : 제2보조배관 190 : 제3보조배관

Claims (8)

  1.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상하측에는 각각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되는 여과판(110)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되는 여과판(110)과 여과판(110)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제1마감판(130)이 결합되어 여과판(110)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하단 저면에는 제2마감판(140)이 결합되고, 상기 제2마감판(140)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140)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160)이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130)에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170)이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배관(170)은 상기 제1배관(15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여과를 위해 상기 제1배관(150)으로 원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보조배관(170)으로도 원수가 공급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130)에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는 제2보조배관(180)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배관(18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여과장치(100)의 상하부에서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3.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112)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상하측에는 각각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되는 여과판(110)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되는 여과판(110)과 여과판(110)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제1마감판(130)이 결합되어 여과판(110)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하단 저면에는 제2마감판(140)이 결합되고, 상기 제2마감판(140)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140)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160)이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130)에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는 제2보조배관(180)이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배관(18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2보조배관(180)으로도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판(140)에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19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2보조배관(180) 및 제3보조배관(190)으로도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5. 일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상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상하측에는 각각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되는 여과판(110)이 다수단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되는 여과판(110)과 여과판(110)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상단 상면에는 제1마감판(130)이 결합되어 여과판(110)의 상부를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하단 저면에는 제2마감판(140)이 결합되고, 상기 제2마감판(140)의 일측에서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140)의 타측에서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160)이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판(140)에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19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3보조배관(190)으로도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6. 상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중간판(113)의 좌우측에는 각각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되는 여과판(110)이 측면으로 다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되는 여과판(110)과 여과판(110)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선단 전면에는 제1마감판(130)이 결합되어 여과판(110)의 전면을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후단 후면에는 제2마감판(140)이 결합되고, 상기 제1마감판(130)의 하측에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140)의 상측에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160)이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감판(140)의 하측에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는 제1보조배관(170)이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배관(17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역세척수가 공급될 때, 동시에 상기 제1보조배관(170)으로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130)의 상측에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19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여과장치(100)의 제1마감판(130)과 제2마감판(140)에서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8. 상측에는 제1관통구(1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제2관통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구(111)와 제2관통구(112) 사이의 중도부에는 중간판(113)이 구비되어 중간판(113)의 좌우측에는 각각 제1,2수로(114)(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로(114)와 제1관통구(111)가 연통되도록 제1연통공(116)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로(115)와 제2관통구(112)가 연통되도록 제2연통공(117)이 형성되는 여과판(110)이 측면으로 다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결합되는 여과판(110)과 여과판(110) 사이에는 여과포(120)가 결합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선단 전면에는 제1마감판(130)이 결합되어 여과판(110)의 전면을 차단하며, 상기 여과판(110)의 최후단 후면에는 제2마감판(140)이 결합되고, 상기 제1마감판(130)의 하측에는 상기 제2관통구(112)와 연통되도록 제1배관(150)이 연결되며, 상기 제2마감판(140)의 상측에는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도록 제2배관(160)이 연결되는 여과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판(130)의 상측에 상기 제1관통구(111)와 연통되는 제3보조배관(190)이 연결되고, 상기 제3보조배관(190)은 상기 제2배관(160)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역세척 시 상기 여과장치(100)의 제1마감판(130)과 제2마감판(140)에서 동시에 역세척수가 공급되어 역세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20110006107A 2011-01-21 2011-01-21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101217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07A KR101217982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07A KR101217982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34A true KR20120084834A (ko) 2012-07-31
KR101217982B1 KR101217982B1 (ko) 2013-01-09

Family

ID=4671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07A KR101217982B1 (ko) 2011-01-21 2011-01-21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75B1 (ko) * 2019-04-10 2019-09-30 한화레저주식회사 양방향 수처리 장치
CN113877266A (zh) * 2021-10-22 2022-01-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953B1 (ko) * 2017-01-11 2018-01-12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평상시와 재난시 각종 용수 공급이 가능한 친환경 모듈형 물생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0366B4 (de) * 2003-09-02 2008-12-18 Khs Ag Filtervorrichtung
KR100853374B1 (ko) * 2008-05-15 2008-08-21 케이원레저 주식회사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175B1 (ko) * 2019-04-10 2019-09-30 한화레저주식회사 양방향 수처리 장치
CN113877266A (zh) * 2021-10-22 2022-01-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982B1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982B1 (ko) 여과 및 역세척 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KR20130000082A (ko) 가압(加壓) 여과와 충전(充塡) 여과가 동시에 진행되는 복합 여과장치
WO2009019592A3 (en) Capillary membrane filter with manually activated backwash pump
CN213668083U (zh) 一种高压进料式滤板以及高压进料式压滤机
KR20130079557A (ko) 여과재 적층방법에 특징으로 가지는 상향 여과 장치
KR101014159B1 (ko) 원형 여과판 및 이 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장치
CN104404253A (zh) 带多层立管过滤装置的铀水冶离子交换塔
KR100967169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853990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장치
CN206325291U (zh) 一种污水排放管过滤机构
KR100853374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판
CN205084469U (zh) 压滤机用滤板组件
TW201505697A (zh) 壓濾機及壓濾機之過濾方法
CN202410527U (zh) 一种过滤器的开放式渗透过滤膜组件
CN204714618U (zh) 自洁式过滤净水装置
CN104689639B (zh) 一种海水过滤池
JP5874983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
KR100853386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여과방법
RU2255790C2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суспензий и фильтр-прес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30000081A (ko) 가압(加壓) 여과부와 충전(充塡) 여과부가 결합된 복합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0857033B1 (ko) 여과판이 경사지는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3835511B2 (ja) 濃縮装置
CN204447499U (zh) 一种多通道瓦楞篮过滤器
KR101607860B1 (ko) 농업용수용 철분 여과장치
JP2014176818A (ja) フィルタープ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