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630A -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630A
KR20120084630A KR1020110016302A KR20110016302A KR20120084630A KR 20120084630 A KR20120084630 A KR 20120084630A KR 1020110016302 A KR1020110016302 A KR 1020110016302A KR 20110016302 A KR20110016302 A KR 20110016302A KR 20120084630 A KR20120084630 A KR 2012008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7213B1 (ko
Inventor
정영석
안병현
황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Priority to PCT/KR2012/0012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115403A2/ko
Publication of KR2012008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28One-time or temporary data, i.e. information which is sent for every authentication or authorization, e.g. one-time-password, one-time-token or one-time-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사용자의 기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와 현재 사용자가 접속중인 컴퓨터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한 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장치등록부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부와,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부와, 상기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아 상기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는 인증키 검증부를 포함한 일회용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BY POSITIONING INFORMATION}
이 발명은 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와 현재 사용자가 접속중인 컴퓨터단말기의 위치를 비교한 후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들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시스템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장치가 해당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자격을 가지는지 여부를 인증하고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방법은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추후 해당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에 접근하면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그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검증한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방법은 인증 정보(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도용되거나 해킹되기 쉬우며, 인증 정보가 노출될 경우 악의적인 접근 시도를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는 다양한 개인 정보들이 관리되고 있고, 최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무형의 자산(예컨대,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사이버 머니 등)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강력한 본인 인증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상술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의한 1차 인증 후에 수행하는 다양한 2차 인증방식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중 현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일회용 인증키 기반 2차 인증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일회용 인증키 기반 인증방식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1차 인증 절차(예컨대,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 확인)를 진행하고, 1차 인증 후, 2차인증서버에게 2차 인증을 요청한다. 2차인증서버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일회용 인증키가 포함된 문자메시지(SMS)를 발송한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컴퓨터장치를 통해 그 인증키를 입력받아 2차인증서버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2차인증서버는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발송한 인증키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입력받은 인증키가 동일한 지를 검증한다.
이러한 일회용 인증키 기반 2차 인증방식은 본인 인증 보안 강도를 어느 정도 강화시킬 수는 있으나, 아래와 같은 원거리 해킹이나 근거리 해킹에 의한 취약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즉, 원거리 해킹 기법으로서, 사용자가 일회용 인증키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으로 전송할 때 해커가 네트워크 스푸핑을 통해 일회용 인증키를 가로채거나, 해커가 사용자의 컴퓨터장치에 키로거를 설치하고 원격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장치에 입력되는 일회용 인증키를 모니터링하여 빼내거나,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이 아닌 피싱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피싱사이트로 입력되는 일회용 인증키를 갈취하는 방법 등을 통해 인증키가 갈취될 수 있다. 예로서, 2006년 7월 미국의 한 은행에서 원거리 해킹 기법인 피싱사이트를 통해 갈취한 인증키로 은행 계좌에 침투한 사례가 있다. 또한, 근거리 해킹 기법으로서, 사용자 근처에서 숄더서핑(shoulder surfing)이나 사회공학(social engineering) 등의 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된 일회용 인증키를 알아내어 도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일회용 인증키를 이용한 2차 인증방식으로서, 원거리 해킹 기법이나 근거리 해킹 기법 등에 의해 해커에게 일회용 인증키가 갈취된 경우, 이에 저항할 수 있는 보다 강력한 본인 인증기술이 필요하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1차인증이 완료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1차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원거리 해킹 기법 또는 근거리 해킹 기법을 통한 일회용 인증키 갈취에 저항할 수 있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장치등록부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부와,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부와, 상기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아 상기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는 인증키 검증부를 포함한 일회용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방법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2차 인증 시스템이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장치등록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위치 정보가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아 상기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는 인증키 검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방법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정보수집부와 보안인증모듈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2차 인증 시스템에 접속하여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푸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안인증모듈의 인증서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전송하며 장치토큰 발급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푸시서버로부터 상기 장치토큰이 발급되면 상기 발급된 장치토큰을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달하는 제4단계와,
상기 푸시서버로부터 푸시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일회용 인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르면, 1차 인증이 완료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1차 인증정보에 기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각각 입수하여 두 위치가 허용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에만 사용자 인증을 하기 때문에, 인증 보안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2차 인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커가 정상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해킹하여 도용하고자 한 경우, 통상 해커는 그 정상 사용자와는 멀리 떨어진 위치의 컴퓨터장치를 이용하여 그 정상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도용하여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고, 정상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입력되는 일회용 인증키는 원거리 해킹 기법이나 근거리 해킹 기법을 통해 갈취한다.
따라서, 해커가 사용하는 컴퓨터장치(정상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는 컴퓨터장치)와, 정상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지리적으로 서로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해킹된 정상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으로 1차 인증이 완료된 해커의 컴퓨터장치의 위치와, 그 정상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대응하여 기등록된 정상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된다. 이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강력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종단실체(110)는 이 발명을 통한 인증 절차를 이용하는 최종 사용자이다. 이 종단실체(110)는 통신망(100)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 발명에 따른 인증 절차를 이용한다. 종단실체(110)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고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111)와, 이 발명에 따른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112)를 포함한다. 컴퓨터장치(111)는 데스크탑,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환경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112)는 운영체제(OS)를 탑재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장치(111)와 이동통신단말기(112)의 내부 상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은 통신망(10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상의 시스템으로서, 종단실체(110)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한다. 통상적으로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은 로그인 처리 시스템(121)을 구비하고, 이 로그인 처리 시스템(121)에서 종단실체(110)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한다. 1차 인증은 지식기반인증, 소유기반인증, 존재(신체)기반인증 등의 모든 단일요소인증(Single Factor Authentication) 형태를 포함한다.
푸시(PUSH)서버(130)는 종단실체(110)의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동통신단말기(112)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푸시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먼저 푸시서버(13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장치토큰을 발급받는다. 그러면, 푸시서버(130)는 이동통신단말기(112)에 푸시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12)를 깨우고(wakeup), 해당 토큰장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명에서는 보안인증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단말기(112)가 푸시(PUSH)서버로부터 장치토큰을 발급받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푸시서버(130)의 예로서, iOS계열은 애플에서 제공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를 푸시서버로 사용하고, 안드로이드 계열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C2DM(Cloud To Device Messaging)를 푸시서버로 사용한다.
2차 인증 시스템(140)은 1차 인증이 완료된 종단실체(110)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으로부터 2차 인증이 요청되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을 통해 컴퓨터장치(111)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푸시서버(130)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12)에 푸시메시지를 전송한 후 이동통신단말기(112)와 통신하여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동일한 종단실체(110)의 컴퓨터장치(111)의 위치와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가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위치하면 이동통신단말기(112)에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고, 종단실체(110)의 컴퓨터장치(111)를 통해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는다. 2차 인증 시스템(140)는 컴퓨터장치(111)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을 통해 입력되는 일회용 인증키와 이동통신단말기(112)에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가 동일한지를 비교함으로써 검증하고, 그 검증결과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게 통보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의 상세 구성 블록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종단실체(110)의 컴퓨터장치(111)는 입출력부(111A)와, 송수신부(111B)와, 위치정보수집부(111C)를 포함한다. 입출력부(111A)는 통상적인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등으로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11B)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과 접속한다. 위치정보수집부(111C)는 컴퓨터장치의 IP주소 또는 와이파이(WiFi) AP MAC 주소를 검출하여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이 발명에 따른 종단실체(110)의 이동통신단말기(112)는 입출력부(112A)와, 송수신부(112B)와, 위치정보수집부(112C)와, 보안인증모듈(112D)을 포함한다. 입출력부(112A)는 통상적인 터치패드 등으로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12B)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푸시서버(130) 및 2차 인증시스템(140)과 접속한다. 위치정보수집부(112C)는 와이파이 AP MAC 주소 또는 GPS수신부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 보안인증모듈(112D)은 푸시서버(130)로부터 2차 인증 시스템(140)과의 통신을 위한 장치토큰을 발급받고, 그 발급된 장치토큰을 2차 인증 시스템(140)에 등록하며, 푸시서버(130)로부터 푸시메시지가 전달되면 위치정보수집부(112C)에서 수집된 이동통신단말기(112)의 현재 위치 정보를 2차 인증 시스템(140)에게 전송하고, 2차 인증 시스템(140)으로부터 수신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출력부(112A)의 화면에 출력한다.
이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은 종단실체(110)의 1차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1차 인증이 완료된 종단실체(110)에 대해 2차 인증 시스템(140)에게 2차 인증을 요청하고, 2차 인증 시스템(140)으로부터 그 결과를 입력받는다.
이 발명에 따른 2차 인증 시스템(140)은 종단실체(110)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과 푸시서버(13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처리부(141)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 또는 복호화하는 암복호화 처리부(142)와, 종단실체(110)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장치토큰을 매칭하여 등록하는 장치등록부(143)와, 1차 인증 완료된 종단실체(110)의 컴퓨터장치(111)의 위치 정보와 미리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고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 및 발급한 후 검증하는 일회용 인증 처리부(144)와, 종단실체 정보와 장치토큰 정보와 각 종단실체별 설정사항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45)와, 일회용 인증 처리부(144)에서 발급된 일회용 인증키정보와 컴퓨터장치(111)의 위치 및 시스템 정보와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 및 시스템 정보와 처리절차 정보 등을 저장한 메모리부(146)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수신처리부(141)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120) 및 푸시서버(130)와 통신하는 유선처리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10)와 통신하는 무선처리부를 포함한다. 장치등록부(143)는 각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장치 등록을 처리하는 장치등록처리부와,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 번호를 발급하는 장치번호발급기를 포함한다. 일회용 인증 처리부(144)는 1차 인증 완료된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종단실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부와,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와, 위치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부와,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발급된 일회용 인증키와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여 검증하는 인증키 검증부를 포함한다.
도 3은 이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12)의 위치정보수집부(112C)와 보안인증모듈(112D)은 이동통신단말기(112)에 탑재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이 발명에 따른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다.
먼저, 종단실체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위치정보수집부(112C)와 보안인증모듈(112D)을 설치한다(S301). 이 보안인증모듈(112D)은 인증 수행을 위한 종단실체 정보(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 정보 등)를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송하고 이로써 2차 인증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종단실체 정보를 수집한다(S302).
그러면, 2차 인증 시스템은 수집된 종단실체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에 대한 실명인증 및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한다.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실명인증 및 본인인증 실패 결과가 수신되면(S303), 장치 등록 실패로 인식하고 종료한다(S304).
한편,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실명인증 및 본인인증 성공 결과가 수신되면(S303),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인증모듈은 푸시서버에 접속하여 보안인증모듈의 인증서와 이동통신단말기 고유정보를 푸시서버에게 전송하면서 장치토큰 발급을 요청한다(S305).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인증모듈은 푸시서버로부터 장치토큰이 발급되면(S306), 그 발급된 장치토큰을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달한다(S307). 그러면 2차 인증 시스템은 해당 종단실체 정보와 함께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 후, 푸시서버로부터 푸시메시지가 입력되면(S308), 이동통신단말기의 보안인증모듈은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2차 인증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09). 그리고,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일회용 인증키가 입력되면(S310), 그 일회용 인증키를 입출력부의 화면에 출력한다(S311).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2차 인증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보안인증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가 도 3의 단계 S302를 수행하면, 2차 인증 시스템은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예컨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아이디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 정보 등)를 수집하고 수집된 종단실체 정보를 확인하고 이동통신단말기 자체에 대해 실명인증 및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그 결과(인증 성공/실패)를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전송하고, 인증 성공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그의 장치토큰을 입력받아 등록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종단실체 컴퓨터장치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접근하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이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에 대해 1차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컴퓨터장치는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컴퓨터장치의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게 전송한다. 1차 인증에 성공하면,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은 종단실체 정보와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를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달하며 2차 인증을 요청한다.
2차 인증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종단실제 정보와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며 2차 인증이 요청되면(S401), 수신된 종단실체 정보에 대응하여 이동통신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402). 이동통신단말기가 등록되어 있으면(S403),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수집을 요청하는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과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푸시서버에게 전달한다(S404).
이 푸시서버는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장치토큰으로부터 메시지를 전달할 이동통신단말기를 파악하고,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에 푸시메시지를 전달하여 보안인증모듈을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보안인증모듈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수집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달한다. 이로써, 2차 인증 시스템은 해당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수집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405).
그러면, 2차 인증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전달받은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종단실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종단실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비교한다(S406). 두 위치 정보가 허용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면, 2차 인증 시스템은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고(S407), 생성된 일회용 인증키를 이동통신단말기에게 발급한다(S408). 여기서, 두 위치 정보를 비교함에 있어서, 컴퓨터장치의 위치정보수집부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수집부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위치를 수집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지를 비교하며, 그 허용 가능한 범위는 종단실체 또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의 요구, 2차 인증 시스템의 운영 정책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인증키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거나, 생성되는 일회용 인증키의 중복 확률을 낮추기 위해서 위치정보 외에 시간/랜덤수 등의 다른 요소를 더 고려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일회용 인증키는 통신망을 통해 종단실체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며, 이를 수신한 종단실체는 해당 일회용인증키를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에 입력한다.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는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경유하여 2차 인증 시스템에 입력된다(S409). 2차 인증 시스템은 단계 S408에서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단계 S409에서 전달받은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여(S410) 종단실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전달받은 일회용 인증키가 동일하면(S410), 인증을 승인 처리하고 해당 종단실체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S411),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게 그 결과를 전송한다(S412).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전달받은 일회용 인증키가 동일하지 않으면(S410), 인증 실패 처리를 하고(S414), 그 결과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통보한다(S412).
한편, 단계 S403에서 등록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이면 미등록 이동통신단말로 처리하고(S413), 미등록 이동통신단말임을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통보한다(S412). 또한, 단계 S406에서 종단실체 컴퓨터장치의 위치와 종단실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가 허용가능한 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인증 실패 처리하고(S414)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게 그 결과를 통보한다(S412).
110 : 종단실체 111 : 컴퓨터장치
112 : 이동통신단말기 120 :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130 : 푸시서버 140 : 2차 인증 시스템
141 : 송수신처리부 142 : 암복호화 처리부
143 : 장치등록부 144 : 일회용인증처리부
145 : 데이터베이스 146 : 메모리부

Claims (11)

  1.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장치등록부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부와,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부와, 상기 위치 정보가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부와, 상기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아 상기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는 인증키 검증부를 포함한 일회용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등록부는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을 등록하고, 상기 위치검증부는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성화시킨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컴퓨터장치의 IP 주소 또는 와이파이 AP 주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정보 또는 와이파이 AP 주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시스템.
  5.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2차 인증 시스템이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등록하는 장치등록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증하는 위치검증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일회용 인증키를 생성하는 인증키 생성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위치 정보가 검증된 이동통신단말기에게 상기 일회용 인증키를 발급하는 인증키 발급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에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입력받아 상기 발급한 일회용 인증키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비교하는 인증키 검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등록단계는,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이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을 더 입력받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증단계는,
    상기 1차 인증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종단실체 정보로 1차 인증된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은 상기 종단실체 정보와 매칭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은 상기 제1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장치토큰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푸시서버에게 전달하는 제2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장치의 위치 정보는 상기 컴퓨터장치의 IP 주소 또는 와이파이 AP 주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정보 또는 와이파이 AP 주소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10.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1차 인증을 수행하는 컴퓨터장치와, 2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종단실체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정보수집부와 보안인증모듈을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2차 인증 시스템에 접속하여 2차 인증에 필요한 종단실체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제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푸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보안인증모듈의 인증서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정보를 전송하며 장치토큰 발급을 요청하는 제3단계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푸시서버로부터 상기 장치토큰이 발급되면 상기 발급된 장치토큰을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달하는 제4단계와,
    상기 푸시서버로부터 푸시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위치정보수집부에서 수집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제5단계와,
    상기 2차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일회용 인증키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입력된 일회용 인증키를 화면에 출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수집부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정보 또는 와이파이 AP 주소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기반 인증 방법.

KR1020110016302A 2011-01-19 2011-02-24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19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1239 WO2012115403A2 (ko) 2011-02-24 2012-02-20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5576 2011-01-19
KR1020110005576 201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630A true KR20120084630A (ko) 2012-07-30
KR101197213B1 KR101197213B1 (ko) 2012-11-02

Family

ID=467155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302A KR101197213B1 (ko) 2011-01-19 2011-02-24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20110019204A KR101206854B1 (ko) 2011-01-19 2011-03-04 고유식별자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204A KR101206854B1 (ko) 2011-01-19 2011-03-04 고유식별자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97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17B1 (ko) * 2013-02-08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제어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KR101358565B1 (ko) * 2012-08-22 2014-02-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속장치와 휴대폰의 지리적 거리 차이를 이용한 접속장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462784B1 (ko) * 2013-05-29 2014-12-04 황운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719B1 (ko) * 2012-08-16 2014-10-08 네이버 주식회사 일회용 인증번호를 이용한 로그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585433B1 (ko) * 2021-05-11 2023-10-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추선의 충돌방지 시스템의 장비 에뮬레이터와 입력 장치의 인터페이싱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683B1 (ko) 2000-03-07 2003-02-17 주식회사 모비젠 개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JP2002101091A (ja) * 2000-09-22 2002-04-05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ユーザ認証方法およびユーザ認証プログラム
KR100861675B1 (ko) 2007-06-12 2008-10-06 어드밴텍테크놀로지스(주) 인터넷 금융거래를 위한 일회용 인증번호 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565B1 (ko) * 2012-08-22 2014-02-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속장치와 휴대폰의 지리적 거리 차이를 이용한 접속장치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314717B1 (ko) * 2013-02-08 2013-10-08 주식회사 씽크풀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제어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기 제어방법
KR101462784B1 (ko) * 2013-05-29 2014-12-04 황운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7213B1 (ko) 2012-11-02
KR20120084631A (ko) 2012-07-30
KR101206854B1 (ko)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0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browser instance in a browser session with a server
US11252142B2 (en) Single sign on (SSO) using continuous authentication
US9578025B2 (en) Mobile network-based multi-factor authentication
CN104115464B (zh) 控制访问
JP2017507549A (ja) ブルートゥース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る認証装置
KR101028882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otp 방식의 사용자인증 시스템 및 방법
WO2011161461A1 (en) Identity verification
EP3662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ransaction
CN101227468A (zh) 用于认证用户到网络的方法、设备和系统
KR101197213B1 (ko)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CN105325021B (zh) 用于远程便携式无线设备认证的方法和装置
CN113924751A (zh) 用于提供安全数据访问的系统和方法
JP5937545B2 (ja) 携帯端末、サーバ装置、情報端末、および共用端末管理システム
KR20180039037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WO2012115403A2 (ko)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1257761B1 (ko) 이미지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WO2012121497A2 (ko) 고유식별자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US20150319180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ccessing a server
KR101405832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로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199747B1 (ko) Otp 기반의 가상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JP5993908B2 (ja) 端末装置、検証方法及び検証プログラム
KR101737925B1 (ko) 도전-응답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206852B1 (ko) 이미지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6220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5534406A (ja) 安全装置と安全なデータ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