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784B1 -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784B1
KR101462784B1 KR20130061189A KR20130061189A KR101462784B1 KR 101462784 B1 KR101462784 B1 KR 101462784B1 KR 20130061189 A KR20130061189 A KR 20130061189A KR 20130061189 A KR20130061189 A KR 20130061189A KR 101462784 B1 KR101462784 B1 KR 10146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variable
unit
tim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운규
Original Assignee
황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운규 filed Critical 황운규
Priority to KR2013006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784B1/ko
Priority to PCT/KR2013/009401 priority patent/WO201419304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밀번호가 걸린 대상의 비밀번호 인증을 통한 사용시마다 다음 번 사용 시의 인증용 비밀번호가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며, 이렇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는 그 설정 규칙을 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만 인지 가능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도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은, 입력되는 변수가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되며, 비밀번호 입력 시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변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비밀번호 인증 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수는 상기 작동부별로 구분되는 고정 변수 및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System of auto-changing password and method of auto-changing password for authentication type equipment therefor}
본 발명은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밀번호가 걸린 대상의 비밀번호 인증을 통한 사용시마다 다음 번 사용 시의 인증용 비밀번호가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며, 이렇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는 그 설정 규칙을 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만 인지 가능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도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회사, 헬스장, 골프장 등에서는 학생, 직원, 회원들에게 귀중품이나 기타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의 개인별 보관함이 제공되며, 이러한 보관함은 통상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사용자의 허락을 받은 사람 이외에는 열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관함의 전통적인 잠금장치는 보관함의 본체 및 도어에 각각 걸이쇠가 장착되고, 보관함 본체 및 도어의 걸이쇠에 실린더식 자물쇠의 고리부를 걸어 잠그는 형태이다.
따라서 보관함의 사용자는 자물쇠용 키를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되고, 실수로 키를 휴대하지 않거나 분실하였을 경우 보관함을 사용하지 못해 곤란함을 겪는 사례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비밀번호 입력을 통해 개폐되는 보관함이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비밀번호 개폐 방식의 보관함의 경우 기존 키 개폐 방식의 키 휴대에 따른 불편함 및 키 분실 시 복제키를 맞추기 전까지 해당 보관함을 사용하지 못하는 난점들을 해결한 반면, 비밀번호 노출로 인한 도난 및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보관함이 아니더라도 비밀번호를 통해 유효 사용자의 여부를 인증하는 모든 기술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에 해당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170839호(2012.08.03.공고), “도서관 보관함 관리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7917호(2008.10.02.공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방법과 키 발급 시스템 및 일회용 비밀번호 인증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비밀번호가 걸린 대상의 비밀번호 인증을 통한 사용시마다 다음 번 사용 시의 인증용 비밀번호가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며, 이렇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는 그 설정 규칙을 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만 인지 가능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도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은, 입력되는 변수가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되며, 비밀번호 입력 시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변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비밀번호 인증 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변수는 상기 작동부별로 구분되는 고정 변수 및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상기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변수는 둘 이상이고, 둘 이상의 고정 변수 중 첫 번째 수의 탈락 및 나머지 수의 마지막 수 배치를 통해 일회성 비밀번호로 직접 사용되는 고정 변수가 사전에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 변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변수 또는 상기 작동부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기 가변 변수의 입력 시 해당 가변 변수에 상기 고정 변수를 결합하여 함께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변수는 상기 작동부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1 고정 변수 및 상기 작동부를 운용하는 관리주체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2 고정 변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격지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원격지의 제어부에만 인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작동부에 대한 출력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은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작동부의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변수가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 제어부에 해당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각각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상기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각각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작동부에 의한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사용자에 의한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차례로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작동부의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변수가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 제어부에 해당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변 변수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일회성 비밀번호 생성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부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가변 변수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격지 제어부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개별 접속된 각각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은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은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가 입력된 변수를 통신망에 의해 접속된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에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가 입력된 비밀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작동부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밀번호가 걸린 대상의 비밀번호 인증을 통한 사용시마다 다음 번 사용 시의 인증용 비밀번호가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며, 이렇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는 그 설정 규칙을 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만 인지 가능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도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에서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 및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에서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 및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입력부(120), 작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입력부(120)를 통한 변수 입력 시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10)에서 실행된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일회성 비밀번호를 복수 개 형성하며, 이렇게 복수로써 형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는 작동부(130)의 동작을 위한 인증 시 순차적으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즉, 제어부(110)는 작동부(130)의 동작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 시 이렇게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의 판단을 통해 해당 비밀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인증한다.
그리고 제어부(110)에 입력되는 변수는 작동부(130)별로 구분되는 고정 변수 및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가변 변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고정 변수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가변 변수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변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의 매단위 수 및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변수가 둘 이상인 경우, 둘 이상의 고정 변수 중 첫 번째 수의 탈락 및 나머지 수의 마지막 수 배치를 통해 일회성 비밀번호로 직접 사용되는 고정 변수가 사전에 정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110)에 입력되는 변수에 따라 제어부(110)가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에서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 및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부(130)가 보관함 및 그 잠금장치(131)이며, 따라서 고정 변수는 보관함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1 고정 변수 및 보관함을 운용하는 관리주체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2 고정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가변 변수는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하는 임의의 수인 것을 예로 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30)인 보관함을 운용하는 관리주체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2 고정 변수는 2539이며, 작동부(130)인 보관함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1 고정변수는 보관함별로 2572, 4582, 3783, 2470이다.
먼저, 보관함1의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가변 변수가 72이므로,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제2 고정변수 및 제1 고정변수 그리고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한 후 이를 9로 나누는 연산을 한다. 즉 (2+5+3+9+2+5+7+2+7+2)÷9의 연산을 하여 나머지 8을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8을 제1 고정변수인 2572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2를 탈락시켜 5728을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위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1 고정변수로 사용하여 다시 위와 동일한 연산을 한다. 즉, 제2 고정변수인 2539와 제1 고정변수인 5728 그리고 가변 변수인 72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한 후 9로 나누는 연산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2+5+3+9+5+7+2+8+7+2)÷9의 연산에 의해 나머지 5를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5를 제1 고정변수인 5728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5를 탈락시켜 7285를 두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보관함1에 대한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보관함1의 사용자는 이렇게 생성된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보관함1의 사용시마다 매번 순차적으로 바꿔가며 입력하여 인증함으로써, 비밀번호 분실 및 그에 따른 물품 도난,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거의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관함1의 사용자는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의 일회성 비밀번호 생성 규칙을 숙지 후 보관함1의 사용시마다 일회성 비밀번호를 연산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다른 형태로써 일회성 비밀번호들이 순차적으로 기입된 표를 휴대하여 보관함1의 사용시마다 확인하여 입력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보관함2는 제2 고정 변수가 2539이고, 제1 고정 변수가 4582이며, 가변 변수가 34이므로, 위 보관함1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연산규칙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일회성 비밀번호가 5820, 8205, 2055, 0552의 순서로 생성된다.
또한 보관함3은 제2 고정 변수가 2539이고, 제1 고정 변수가 3783이며, 가변 변수가 11이므로, 위 보관함1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연산규칙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일회성 비밀번호가 7836, 8360, 3602, 6025의 순서로 생성된다.
또한 보관함4는 제2 고정 변수가 2539이고, 제1 고정 변수가 2470이며, 가변 변수가 36이므로, 위 보관함1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연산규칙과 동일한 방식을 통해 일회성 비밀번호가 4705, 7058, 0583, 5838의 순서로 생성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입력부(120)는 제어부(110)에 변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입력부(120)가 터치스크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부(120)는 키패드 또는 기타 다양한 입력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제어부(110)에 대한 가변 변수의 입력 시 해당 가변 변수에 고정 변수를 결합하여 함께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작동부(130)는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인증에 따른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작동부(130)가 보관함 및 그 잠금장치(131)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동부(130)는 디지털 도어락이나 기타 비밀번호의 인증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10) 및 입력부(120)가 작동부(13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200)은 그 입력부(220)가 작동부(230)에 설치되고, 작동부(230)에 설치되는 제어부(210) 및 작동부(2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상태로 원격지에 설치되는 원격지의 제어부(260)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이때 원격지의 제어부(260)는 작동부(230)의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 따라서 작동부(230)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부(26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240)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부(230)는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잠금장치(231)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200)은 제어부(210) 및 원격지의 제어부(260)가 각각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50,2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원격지의 제어부(260)는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7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제어부(210) 및 원격지의 제어부(260)가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생성하는 방식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의 그것과 동일한바 여기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300)은 그 입력부(320)가 작동부(330)에 설치되며, 제어부(310)는 작동부(3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작동부(330)의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작동부(330)의 잠금장치(331)에 대한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330)는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부(3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34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300)은 제어부(310)를 통해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50) 및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60)를 더 포함하며, 이때 디스플레이부(360)는 제어부(310)에 인접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310)가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생성하는 방식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의 그것과 동일한바 여기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에서 가변 변수가 사용자가 입력부(120)를 통해 임의의 수를 입력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변수는 작동부(130)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변수일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부(130)는 보관함 및 그 잠금장치(131)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110)에 입력되는 가변 변수는 보관함의 개폐 횟수, 다시 말해 잠금장치(131)의 개방 동작 횟수 또는 폐쇄 동작 횟수로 정해지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한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생성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에서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 및 그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다른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130)인 보관함을 운용하는 관리주체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2 고정 변수는 2539이며, 작동부(130)인 보관함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1 고정변수는 보관함별로 2572, 4582이다.
먼저, 보관함1의 경우 가변 변수는 보관함의 잠금장치(131)가 개방 동작하는 횟수를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므로,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제2 고정변수 및 제1 고정변수 그리고 가변 변수인 보관함 잠금장치(131)의 개방 동작 횟수 1을 차례로 더한 후 이를 9로 나누는 연산을 한다. 즉 (2+5+3+9+2+5+7+2+1)÷9의 연산을 하여 나머지 0을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0을 제1 고정변수인 2572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2를 탈락시켜 5720을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위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1 고정변수로 사용하여 다시 위와 동일한 연산을 한다. 즉, 제2 고정변수인 2539와 제1 고정변수인 5720 그리고 가변 변수인 보관함 잠금장치(131)의 개방 동작 횟수 2를 차례로 더한 후 이를 9로 나누는 연산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2+5+3+9+5+7+2+0+2)÷9의 연산에 의해 나머지 8을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8을 제1 고정변수인 5720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5를 탈락시켜 7208를 두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보관함1에 대한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되는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 및 그 순차적 사용에 따른 작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그 것과 동일한바,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보관함2의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생성 예를 더 설명하면, 제어부(110)의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제2 고정변수 및 제1 고정변수 그리고 가변 변수인 보관함 잠금장치(131)의 개방 동작 횟수 1을 차례로 더한 후 이를 9로 나누는 연산을 한다. 즉 (2+5+3+9+4+5+8+2+1)÷9의 연산을 하여 나머지 1을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1을 제1 고정변수인 4582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4를 탈락시켜 5821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위의 연산을 통해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를 제1 고정변수로 사용하여 다시 위와 동일한 연산을 한다. 즉, 제2 고정변수인 2539와 제1 고정변수인 5821 그리고 가변 변수인 보관함 잠금장치(131)의 개방 동작 횟수 2를 차례로 더한 후 이를 9로 나누는 연산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2+5+3+9+5+8+2+1+2)÷9의 연산에 의해 나머지 1을 구한 후 이러한 나머지 1을 제1 고정변수인 5821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제1 고정변수의 첫 번째 수인 5를 탈락시켜 8211을 두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로 생성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보관함2에 대한 다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의 해당 구성의 부호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300)의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단계(S110)에서 작동부(230)의 입력부(220)를 통해 작동부(230)의 제어부(210)에 변수가 입력된다.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0)에서 입력부(220)를 통해 제어부(210)에 입력되는 변수가 작동부(2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의 제어부(260)에 해당 통신망을 통해 전송된다.
단계(S130)에서 제어부(210) 및 원격지의 제어부(260)가 각각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은 작동부(230)에 의한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사용자에 의한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차례로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의 매단위 수 및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단계(S140)에서 제어부(210)에 작동부(230)의 입력부(22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단계(S150)에서 제어부(210)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한다.
단계(S160)에서 제어부(210)가 단계(S150)을 통한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2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170)에서 작동부(230)가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0) 및 단계(S120)은 각각 입력부(220)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변 변수가 제어부(210)에 입력되면서 작동부(230)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 또는 입력부(220)를 통한 일회성 비밀번호 생성 요청신호에 따라 작동부(230)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가변 변수가 제어부(210)에 입력되면서 작동부(230)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원격지의 제어부(260)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280)에 화면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 및 원격지의 제어부(260)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개별 접속된 각각의 저장부(250,270)에 저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의 해당 구성의 부호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100)의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단계(S210)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제어부(110)에 변수가 입력된다.
단계(S220)에서 제어부(110)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단계(S230)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제어부(110)에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단계(S240)에서 제어부(110)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한다.
단계(S250)에서 제어부(110)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1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260)에서 작동부(130)가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300)을 이용하는 것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의 해당 구성의 부호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300)의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단계(S310)에서 작동부(330)의 입력부(320)를 통해 변수가 입력된다.
단계(S320)에서 작동부(330)가 입력된 변수를 통신망에 의해 접속된 제어부(310)에 전송한다.
단계(S330)에서 제어부(310)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단계(S340)에서 작동부(330)에 입력부(320)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된다.
단계(S350)에서 작동부(330)가 입력된 비밀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제어부(310)에 전송한다.
단계(S360)에서 제어부(310)가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한다.
단계(S370)에서 제어부(310)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작동부(330)에 전송한다.
단계(S380)에서 작동부(330)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은, 비밀번호가 걸린 대상의 비밀번호 인증을 통한 사용시마다 다음 번 사용 시의 인증용 비밀번호가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계속해서 변경되며, 이렇게 변경되는 비밀번호는 그 설정 규칙을 아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만 인지 가능하여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도난 및 사생활 침해 등의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200,300 :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110,210,310 : 제어부
120,220,320 : 입력부 130,230,330 : 작동부
131,231,331 : 잠금장치 240,340 : 통신모듈
250,350 : 저장부 260 : 원격지의 제어부
270 : 저장부 280,3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9)

  1. 입력되는 변수가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가 생성되며, 비밀번호 입력 시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동일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변수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어부의 비밀번호 인증 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수에는 상기 작동부별로 구분되는 고정 변수 및 가변되는 가변 변수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며,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상기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 및 상기 고정 변수가 둘 이상인 경우의 나머지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변수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변수 또는 상기 작동부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기 가변 변수의 입력 시 해당 가변 변수에 상기 고정 변수를 결합하여 함께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변수는 상기 작동부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1 고정 변수 및 상기 작동부를 운용하는 관리주체의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제2 고정 변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원격지의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원격지의 제어부에만 인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변수 및 비밀번호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작동부에 대한 출력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을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인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13.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작동부의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변수가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 제어부에 해당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각각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상기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각각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에 포함되는 가변 변수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하나의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차례로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 및 상기 고정 변수가 둘 이상인 경우의 나머지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앞서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작동부의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변수가 상기 작동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원격지 제어부에 해당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계는 각각
    상기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변 변수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 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일회성 비밀번호 생성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작동부의 동작 횟수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가변 변수가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서 상기 작동부에 의해 정의된 고정 변수가 함께 입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제어부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인 배열 형태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원격지 제어부가 생성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개별 접속된 각각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18.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에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작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작동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에 포함되는 가변 변수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하나의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차례로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 및 상기 고정 변수가 둘 이상인 경우의 나머지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앞서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19. 작동부의 입력부를 통해 변수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동부가 입력된 변수를 통신망에 의해 접속된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동부에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작동부가 입력된 비밀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전송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일회성 비밀번호들 중 현재 순번의 일회성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그 동일 여부 판단을 통해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밀번호 인증에 따라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작동부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작동부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입력되는 변수를 비밀번호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순차적 사용을 위한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변수에 포함되는 가변 변수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하나의 상기 고정 변수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고정 변수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으로 첫 번째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일회성 비밀번호를 차례로 고정 변수로 사용하여 일회성 비밀번호 및 상기 고정 변수가 둘 이상인 경우의 나머지 고정 변수의 매단위 수 및 상기 가변 변수의 매단위 수를 차례로 더하여 나온 수를 상기 특정 수로 나누어 그 나머지 수를 앞서 생성된 일회성 비밀번호의 마지막 수로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 일회성 비밀번호의 첫 번째 수는 탈락시키는 연산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일회성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KR20130061189A 2013-05-29 2013-05-29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KR10146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189A KR101462784B1 (ko) 2013-05-29 2013-05-29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PCT/KR2013/009401 WO2014193049A1 (ko) 2013-05-29 2013-10-22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189A KR101462784B1 (ko) 2013-05-29 2013-05-29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784B1 true KR101462784B1 (ko) 2014-12-04

Family

ID=5198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189A KR101462784B1 (ko) 2013-05-29 2013-05-29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2784B1 (ko)
WO (1) WO20141930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412A (ko) * 2006-08-28 2006-09-18 장준현 수시로 변동되는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모듈과이를 이용한 수시변동 비밀번호 사용방법
KR20120084630A (ko) * 2011-01-19 2012-07-30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1357D0 (en) * 1993-10-15 1993-12-22 British Telecomm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s
KR100402358B1 (ko) * 2001-03-02 2003-10-22 설동석 간접적인 패스워드 입력을 통한 사용자 확인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22490A (ko) * 2006-09-06 2008-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바이스 인증 방법,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115403A2 (ko) * 2011-02-24 2012-08-30 (주)잉카인터넷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412A (ko) * 2006-08-28 2006-09-18 장준현 수시로 변동되는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비밀번호 생성모듈과이를 이용한 수시변동 비밀번호 사용방법
KR20120084630A (ko) * 2011-01-19 2012-07-30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3049A1 (ko)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596B1 (ko) 블록 체인 구현 방법 및 시스템
CN110098923B (zh) 一种生成和验证临时密码的方法及设备
CN104537300B (zh) 安全密码设置及验证方式
EP1849119B1 (en) Derivative seeds
US20150341173A1 (en)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CN107274532A (zh) 加密参数动态更新的临时密码门禁系统
CN109690541B (zh) 随机密码强制失败
CN106027467B (zh) 一种身份证读取响应系统
US201900586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use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
KR101330113B1 (ko) 자릿값 기반의 인증 장치 및 방법
AU2015353709A1 (en) EAC system with plurality of different algorithm/operand pairs having different functionality
KR101599055B1 (ko) 암호화 잠금 제어 장치
KR101462784B1 (ko) 비밀번호 자동변경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식 장치의 비밀번호 자동변경 방법
CN104103107A (zh) 时变密码和一种时变密码锁
KR20150096161A (ko)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CN110472433A (zh) 基于安全芯片的创业服务信息分级查阅系统及方法
CN105844145A (zh) 管理密码的方法和设备
KR101336889B1 (ko) 터치의 길이와 다중입력을 이용한 패스워드 인증 방법.
KR20120088982A (ko) 비밀번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410618B1 (ko) 비밀번호에 의한 개폐장치 및 그 작동 방법
Shinde et al. A Study for an Ideal Password Management System
Chum et al. Implementations of a hash function based secret sharing scheme
Smith et al. Augmenting Centralized Password Management with Application-Specific Passwords.
KR101267058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운영방법
Subba et al. FPGA based Security Login System using GSM with OTP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