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220A -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220A
KR20110076220A KR1020090132871A KR20090132871A KR20110076220A KR 20110076220 A KR20110076220 A KR 20110076220A KR 1020090132871 A KR1020090132871 A KR 1020090132871A KR 20090132871 A KR20090132871 A KR 20090132871A KR 20110076220 A KR20110076220 A KR 20110076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ion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성
김동규
김윤영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220A/ko
Publication of KR20110076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장치 접근 제어 방법은, 장치는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인증 서버로부터 장치의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권한 검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장치가 특정 장소 내에 있음으로 인해 인증 서버로부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장치는 동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해킹 및 내부자의 정보 유출 등에 의한 다양한 정보 유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위치 정보, 인증, 위치키

Description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The Device Access Control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장치 접근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장치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치 접근 제어 방법으로 사용자의 식별번호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합법적인 사용자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즉, 사용자는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자신의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알면 어디에서라도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획득한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하는 비밀번호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자신과 연관이 있거나 암기하기 쉬운 것으로 지정하는 경향이 있어서, 공격자가 사전 공격을 통해 어렵지 않게 파악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장치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통해 보안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특정 위치에서만 장치가 동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위치정보에 따른 장치의 접근을 제어하여 특정 위치에서만 장치가 동작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정해진 위치에서만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허가된 위치에서만 장치에 있는 문서 및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접근 제어 방법은,장치는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의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권한 검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장치가 특정 장소내에 있음으로 인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는 동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참조 노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키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키를 포함한 상기 권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참조 노드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권한 인증 서버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키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위치키가 동일한 경우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접근 제어 시스템은,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가 특정 장소에 있는 경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상기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의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권한 검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장치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치 및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키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고,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위치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위치키와 상기 제1 위치키가 동일하면 상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가 특정 위치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장치를 보유하고 있어도 위치와 권한을 인증 받을 수 없으면 장치 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사전에 허락된 위치에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해킹 및 내부자의 정보 유출 등에 의한 다양한 정보유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업 및 정부기관, 학교, 군 등에서 관리하고 있는 휴대용 장치 내 저장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정보 유출로 오는 큰 피해 등을 사전에 막을 수 있어 경제 및 국가 안보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장치(150)가 특정 위치에서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보안 관리자가 각 장치(150) 내 저장된 데이터의 열람가능한 위치를 미리 지정하여 인증 서버(110)에 등록하여 둔다. 각 위치는 사무실 단위로 지정될 수 있으며, 각 사무실에서는 장치(15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 참조 노드(130)가 설치된다.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는 무선 매체를 통해서 장치(150)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150)로 Zigbee 기술을 이용해 구현되는 노드 또는 무선랜을 위한 접속지점(AP)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는 사용자 장치(150)로부터 위치 정보 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장치(150)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결정하여 장치(150) 및 인증 서버(110)에 전송한다.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가 인증 서버(110)에 위치 정보를 전송할 때 인증 서버(110)에 직접 전송할 수도 있고, 다른 위치 참조 노드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는 자신을 기준으로 장치(150)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위치 참조 노드 각각은 자신을 기준점으로 하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직교 좌표계상의 X, Y Z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는 장치(150)의 상대적인 위치를 획득하기 때문에 장치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가 필요하며, 3개의 위치 참조 노드가 가장 적절하다.
사용자는 장치(150)를 통해 인증 서버(110)에 장치(150)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 서버(110)가 검증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는 장치(150)를 통해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150)에는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와의 통신을 위한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는 위치 참조 노드(130-1, 130-2, 130-3)와의 통신을 통해 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장치(150)는 획득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장치(150)의 위치키를 생성하여 인증 서버(110)에 전송한다. 인증 서버(110)는 장치(150)의 위치키를 검증하여 장치(150)를 인증하게 되면, 장치(150)는 동작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장치(150)를 통해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위치 참조 노드(130)와 장치(150) 사이에는 장치(150)의 물리적 위치 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위치인증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참조 노드, 장치 및 인증 서버 사이에서 진행되는 위치 인증 및 검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장치(150)를 통해 장치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인증 서버(11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특정 행위를 수행하면, 메시지 생성부(220)는 장치 사용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인증 서버(11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치의 위치 인증에 대해 설명하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장치의 사용을 위해 장치의 위치 인증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함께 전송하며, 인증 서버(110)는 상기한 사용자가 기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도 동시에 수해할 수 있다.
인증 서버(110)는 장치(150)의 위치 인증을 위해 필요한 검증 데이터인 위치키를 요구하는 위치 검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장치(150)에 전송한다.
그러면, 장치(150)는 위치 참조 노드(130)에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 참조 노드(130)는 장치(150) 및 인증 서버(11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이 위치정보는 검증을 위한 위치키를 생성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각 위치 참조 노드(130)는 자신을 기준으로 장치(15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자신을 원점으로 하여 장치(150)의 위치 정보를 X, Y, Z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장치(150)와 인증 서버(110)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키(Location Key: LK)를 생성한다. 상기한 위치키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참조 노드(130)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와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배포된 세션키(Session Key: SK)를 기초로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위치키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장치(150)는 위치키를 포함하는 권한을 요청하는 메지시를 인증 서버(110)에 전송한다.
인증 서버(110)는 장치(150)의 위치키를 검증한다. 즉, 인증 서버(110)는 자신이 생성한 위치키와 장치(150)의 위치키가 동일한지 여부를 기초로 위치키를 검증한다.
자신이 생성한 위치키와 장치의 위치키가 동일하면 인증 서버(110)는 권한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장치(150)에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장치(150)는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즉 기능부(210)가 동작하게 된다. 그리하여, 관리되는 모든 장치는 허가된 곳에서만 복호화 되어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인증을 위한 위치키는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장치가 허가된 곳을 이탈하게 되어,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실행되지 않으면 장치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장치가 특정 위치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장치를 보유하고 있어도 위치와 권한을 인증 받을 수 없으면 장치 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사전에 허락된 위치에 존재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 해킹 및 내부자의 정보 유출 등에 의한 다양한 정보유출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기업 및 정부기관, 학교, 군 등에서 관리하고 있는 휴대용 장치 내 저장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정보 유출로 오는 큰 피해 등을 사전에 막을 수 있어 경제 및 국가 안보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인 위치 참조 노드와 위치정보 인증 서버가 있는 어떤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 여부가 결정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위치 정보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참조 노드, 장치 및 인증 서버 사이에서 진행되는 위치 인증 및 검증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인증 서버 130: 위치 참조 노드
150: 장치 210: 기능부
220: 메시지 생성부 230: 위치키 생성부
240: 인터페이스

Claims (9)

  1. 장치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치는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장치의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권한 검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한 권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장치가 특정 장소내에 있음으로 인해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는 동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 각각으로부터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키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키를 포함한 상기 권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인증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참조 노드 각각을 기준으로 상기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 인증 서버는 상기 장치에 의해 생성된 위치키와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생성된 위치키가 동일한 경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증 서버에 기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방법.
  6. 장치 접근 제어 방법에 있어서,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가 특정 장소에 있는 경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상기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장치 사용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상기 장치의 위치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는 권한 검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장치 및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는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위치키를 생성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복수 개의 위치 참조 노드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위치키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위치키와 상기 제1 위치키가 동일하면 상기 권한 인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접근 제어 시스템.
KR1020090132871A 2009-12-29 2009-12-29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76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71A KR20110076220A (ko) 2009-12-29 2009-12-29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71A KR20110076220A (ko) 2009-12-29 2009-12-29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20A true KR20110076220A (ko) 2011-07-06

Family

ID=4491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71A KR20110076220A (ko) 2009-12-29 2009-12-29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2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20B1 (ko) * 2011-12-08 2013-11-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무선 인증을 통한 스마트기기의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520B1 (ko) * 2011-12-08 2013-11-2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순차적 무선 인증을 통한 스마트기기의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인증 및 위치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Unified biometric privacy preserving three-factor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for cloud-assisted autonomous vehicles
CN108270571B (zh) 基于区块链的物联网身份认证系统及其方法
US8327143B2 (en) Techniques to provide access point authentication for wireless network
CN106559408B (zh) 一种基于信任管理的sdn认证方法
US103339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multi-factor authentication and security posture checking
JP5380583B1 (ja) デバイス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11245526B2 (en) Full-duplex password-less authentication
CN103856468A (zh) 身份验证系统及方法
US20180248873A1 (en) Electronic device verification
CN101772024A (zh) 一种用户身份确定方法及装置和系统
US20220116385A1 (en) Full-Duplex Password-less Authentication
US20230038949A1 (en) Electronic signature system and tamper-resistant device
CN106027473A (zh) 身份证读卡终端与云认证平台数据传输方法和系统
KR101714742B1 (ko) 원격제어를 위한 인증 방법 및 서버
KR20120072032A (ko) 모바일 단말의 상호인증 시스템 및 상호인증 방법
CN101192927A (zh) 基于身份保密的授权与多重认证方法
JP7064653B2 (ja) 通信システム
KR101308498B1 (ko)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암호 및 스마트카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방법.
KR101197213B1 (ko) 위치 정보 기반 인증시스템 및 방법
JP2015170220A (ja) 機器認証方法および機器認証システム
Alshaeri et al. Protocols for secure remote access to vehicle onboard diagnostic systems in smart cities
KR20150005789A (ko) 인증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10076220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장치 접근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82480B1 (ko) 환경속성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접근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506476B (zh) 安全修改设备信息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