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255A - 유체 밀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밀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255A
KR20120084255A KR1020117028514A KR20117028514A KR20120084255A KR 20120084255 A KR20120084255 A KR 20120084255A KR 1020117028514 A KR1020117028514 A KR 1020117028514A KR 20117028514 A KR20117028514 A KR 20117028514A KR 20120084255 A KR20120084255 A KR 2012008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scillation
measuring
density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361B1 (ko
Inventor
브라디미르 드롭코브
브라디미르 멜리코프
안드레이 슈스토브
Original Assignee
네스트 인터내셔널 엔. 브이.
슈스토프, 안드레이
드로브코브, 브라디미르
멜니코브, 브라디미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트 인터내셔널 엔. 브이., 슈스토프, 안드레이, 드로브코브, 브라디미르, 멜니코브, 브라디미르 filed Critical 네스트 인터내셔널 엔. 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8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002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using variation of the resonant frequency of an element vibrating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submitted to analysis

Landscapes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기계적 공진기, 기계적 공진기를 작동시키고, 기계적 공진기의 작동에 대한 응답을 감지하며, 상기 응답을 출력신호로 내보내는 구동기/수신기 유닛; 및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평가 유닛은 ⅰ.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를 측정하고, ⅱ.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하고, 및 ⅲ.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통하여 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물-기름 에멀션과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불균일 혼합물을 형성) 또는 흡장가스를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밀도 측정 장치{FLUID DENSITY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정상상태와 고압의 환경에서 침식성 매질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매질 내의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연료 및 에너지 산업뿐만 아니라 원유 및 가스 생산시설과 운송 시스템, 화학 및 석유 생산시설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 유체의 밀도를 측정 또는 결정하는 장치들은 다음과 같다. 종래 유체 밀도 측정 장치들은 예를 들면, 저주파 기계적 공진기를 밀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내에 배치하여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내용은 러시아 연방 제 2291403호, 미국특허 제 4992745호, 미국특허 제6389891호, 미국특허 제 6845663호를 참조한다.
매질(예, 유체)의 질량이 늘어남으로써 나타나는 영향으로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는 변한다. 종래 장치들은 예를 들면, 측정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 회로는 유체의 밀도 값을 계산하는 데 사용하는 공진 주파수 편이(resonance frequency shift)의 발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종래 기계적 공진기는 예를 들면, 음차(tunning fork)를 포함하며, 상기 음차는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센서 몸체에 발진(oscillation)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진기의 주파수 특성에 대한 주변 금속 부품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기 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공진기의 진폭-주파수 응답(amplitude-frequency response)에 대한 스캐너 또는 공진 주파수에 대한 자기 제동장치인 정귀환 시스템(positive-feedback system)이 사용된다.
종래 유체 밀도 측정 장치들은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물-기름 에멀션과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불균일 혼합물)들로 구성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면, 음차를 둘러싸는 매질의 특성이 공진 특성의 다양화를 초래하여, 공진 주파수 측정이 불확실해져 결과적으로 유체의 밀도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게 된다.
둘째, 종래의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흡장가스가 포함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유체 내에 흡장가스와 같은 물질들이 존재하면 공진 주파수가 상당히 그리고 급격하게 변하여 공진 주파수의 평균값에 영향을 주어 유체 밀도의 측정이 정확하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체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물-기름 에멀션 또는 흡장가스 유체와 같은 혼합되지 않는 물질(불균일 혼합물을 형성)들을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균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가 향상된 유체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체 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 기계적 공진기,
- 기계적 공진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에 대한 기계적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며, 상기 응답을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구동기/수신기 유닛, 및
-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평가 유닛은
-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oscillation distribution)를 측정하고,
-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resonance frequency estimate)을 측정하고, 및
-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통하여 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발진 분포로부터 얻어진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바탕으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기계적 공진기를 포함하며, 사용하는 동안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 내에 적어도 일부분은 침지된다. 적합한 기계적 공진기의 예로는 로드, 음차(tunning fork) 및 T형의 공진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서는 기계적 공진기로 유체 밀도 측정 장치의 구동기/수신기 유닛에 설치된 기초부를 갖는 음차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 기계적 공진기를 작동시키고,
- 상기 작동에 대한 기계적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며,
- 상기 응답을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제공한다.
상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예를 들면, 기계적 공진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예를 들면 전자기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에 적용되는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상기 작동에 대한 기계적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기 위한 액츄에이터가 더 장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에 응답한 후, 기계적 공진기는 변위가 발생하고 발진(oscillate) 또는 진동(vibrate)하게 된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oscillation) 또는 진동(vibration)은 구동기/수신기 유닛, 예를 들면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진동 또는 발진은 예를 들면,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예를 들면 가속도계) 또는 변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당업자는 공진기의 발진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것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구체예에서,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압전소자는 기계적 공진기의 작동을 공급(작동 모드에서 동작할 때, 즉, 액츄에이터로 사용)및 상기 작동에 대한 응답을 감지(감지 모드에서 동작할 때, 센서로 사용)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기계적 공진기의 작동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더 배치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출력신호는 기계적 공진기의 변위, 또는 속도, 또는 가속도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이며, 상기 신호는 예를 들면,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센서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진 주파수 근사값은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로부터 측정되는 발진 분포로부터 평가 유닛에 의해 측정된다. 예를 들면, 물-기름 에멀션과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따라서, 불균일 혼합물을 형성)들을 포함하는 유체 또는 흡장가스 유체 내에 기계적 공진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진기가 서로 다른 순간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발진 또는 진동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기계적 공진기의 진동 양태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특정(공진)주파수에서 단일의, 특정 발진이 아닌 발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에 적용된 평가 유닛은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유체의 공진 주파수에 대한 근사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진 분포는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로부터 측정된다. 본 발명에서의 발진 분포는 예를 들면, 출력신호에서 관찰된 발진 주기 분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동일하게, 본 발명에서 출력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예를 들면, 출력신호를 푸리에 변환식에 적용함으로써 얻은) 즉, 기계적 공진기의 진동 또는 발진의 주파수 컨텐츠(frequency content)를 나타내는 스펙트럼은 발진 분포로 고려될 수 있다.
당업자는 발진의 주기(또는 기간) 또는 발진 주파수(주파수는 주기의 역)로 발진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발진 분포는 주파수 분포 또는 발진 주기 분포에 의해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상세히 말하면, 상기 발진 분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카운터와 비교기(comparator)를 사용하여,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에서 얻은 출력신호는 특정 주기 동안(예정기간 또는 지속적으로) 평가 유닛에 의해 모니터링 될 수 있으며, 각 주기의 기간(또는 기간을 나타내는 수)은 예를 들면, 평가 유닛의 메모리 유닛에 기억된다.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평가 유닛은 공진 주파수 근사값(예를 들면 발진 분포의 피크값, 또는 중앙값 또는 평균값으로부터)을 더 측정할 수 있고, 기계적 공진기를 둘러싸는 유체의 밀도값을 측정(예를 들면 측정/결정된 공진 주파수 근사값과 공칭 공진 주파수(nominal resonance frequency), 즉 유체 내에 침지되지 않았을 때의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할 수 있다.
일구체예에서, 상기 평가 유닛은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하고,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바탕으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계산 유닛(예를 들면,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체예에서, 상기 평가 유닛은 발진 분포를 얻기 위한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 유닛은 예를 들면,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와 예측값(예를 들면, 0)을 수신하고 비교하기 위해 배치되는 비교기, 카운터, 카운터 스테이트의 쓰기 레지스터(write register of the counter state)(일반적으로, 메모리 유닛)및 고주파 발진기를 포함한다. 일구체예에서, 비교기의 출력은 카운터 스테이트의 쓰기 레지스터의 어느 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신호의 주기 동안 발생하는 펄스(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 발진기에 의해 제공되는)의 수를 셈으로써, 발진 주기 값이 얻어지며, 상기 값은 메모리 유닛에 저장된다. 비교적 긴 기간 동안에 상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작동에 대한 응답으로 발생한 발진 주기의 분포를 나타내는 발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측정 유닛과 계산 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공진 주파수 근사값, 예를 들면 기계적 공진기 발진 주기의 평균값을 측정하는 데 더 적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이에 더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기능성 확률 밀도 분포 곡선(polyfunctional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 curve)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주기의 값을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른, 곡선, 예를 들면 다항식(polynominal) 곡선은 예를 들면, 곡선접점(curve-fitting) 방식으로 발진 분포를 평가하고, 발진주기의 하나 이상의 피크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기계적 공진기 또는 유체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공진기 또는 유체의 온도 또는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발진 분포 및/또는 측정된 유체 밀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제공하며, 도면에는 각각의 부품을 참조기호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물-기름 에멀션 또는 흡장가스 유체와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불균일 혼합물을 형성)들을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의 구체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의 또 다른 구체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첫 번째 불균일한 유체의 발진 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두 번째 불균일한 유체의 발진 분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들은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을 감지하기 위해 배치된 센서(센서와 액츄에이터는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어느 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와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측정 매질(예를 들면,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평가유닛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의 구체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유체 밀도 측정 장치와는 다르게 본 발명의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발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배치된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기계적 공진기를 둘러싸는 측정 매질(예를 들면, 유체)의 밀도 변화에 관한 통계적으로 유효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유체의 밀도 측정에 대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물-기름 에멀션 또는 흡장가스 유체와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따라서, 불균일 혼합물을 형성)들을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기계적 공진기(100)와 구동기/수신기 유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110)은 상기 공진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에 대한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며, 상기 응답을 출력신호로 내보낸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에는 공진기를 작동 및/또는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s)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진기는 예를 들면, 펄스 신호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펄스 신호는 예를 들면, 고주파 발진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작동에 대한 신호는 또한 다른 주파수에서 기계적 공진기가 여진됨에 따른 잡음신호(즉, 다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평가 유닛(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평가 유닛(120)은
-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를 측정하고,
-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resonance frequency estimate)을 측정하며, 및
-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통하여 유체의 밀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일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120)은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를 샘플링한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실제로,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동작 공진 주파수 범위는 1000 ~ 10000 ㎐(따라서, 발진 주기는 0.1 ~ 1.0 ㎳의 범위를 갖는다)로 설계된다.
공진기로 음차(tunning fork)가 사용되는 경우에, 주로 음차의 교차지점과 음차봉(tunning fork prongs)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동작 공진 주파수 범위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범위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유체 벽 층의 유효두께(effective thickness of wall layer)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발진주파수(oscillating frequency)는 가능한 한 낮춰져야 하며, 이것은 측정 유체의 불균일성에 대한 영향을 줄인다. 하지만, 발진주파수를 낮추기 위해서는 음차봉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며, 이로 인해 유체 흐름 내에서 음차가 불안정해고, 상기 음차가 기름-물-가스가 흐르는 파이프 내에 설치됐을 때, 음차의 전체적인 구조가 커져 실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1200 ㎐ 미만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음차가 사용된다.
기계적 공진기의 예상 주파수 범위를 바탕으로, 출력신호를 샘플링함으로써 적합한 샘플링 주파수를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샘플링 주파수는 공진기 예상 응답의 나이퀴스트-주파수(Nyquist-frequency)와 같거나 그 이상이다. 샘플링된 출력신호를 얻었을 때(평가 유닛은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샘플링을 수행하는 전용 측정 유닛(dedicated measurement unit)을 포함한다.), 주파수 스펙트럼(일반적으로, 발진 분포)은 상기 샘플링된 출력신호를 푸리에 변환식(예를 들면, 이산 푸리에 변환식(discrete Fourrier transformation))에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부터, 평가 유닛(또는, 평가 유닛의 계산 유닛)은 공진 주파수 근사값, 예를 들면, 주파수 스펙트럼의 피크값을 측정할 수 있다.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바탕으로 평가 유닛은 공진 주파수 근사값과 공진기의 기준 공진 주파수, 예를 들면, 밀도를 알고 있는 공기 또는 유체에 적용된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비교함으로써 측정된 유체의 밀도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온도 요인을 고려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 예를 들면, 반도체 또는 백금 저항 온도계가 공진기를 둘러싸는 유체의 온도 및/또는 기계적 공진기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의 또 다른 구체예를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멤브레인(membrane)(2)이 고정된 기계적 공진기(예를 들면 음차(1))와 수신부(receiving)(3) 및 방출부(emitting)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구동기/수신기 유닛(예를 들면, 바이모프 압전소자(bimorph piezo-electric element))를 포함한다.
수신부(3) 및 방출부(4) 압전소자는 전치증폭기(preamplifier)(5), 수신부 압전소자(3)와 연결된 입력부, 위상-보정회로(phase-correction circuit)(6), 및 최종증폭기(7), 방출부 압전소자(4)와 연결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전기회로에 연결된다.
하기의 예제에서, 상기의 최종증폭기(final amplifier)(7)는 출력 펄스를 생성하는 비교기(comparator)(8)에 더 연결된다. 상기 비교기(8)는 카운터 리셋 펄스 형성기(counter reset pulse former)(9)를 통해 카운터(counter)(10)와 연결되고, 카운터 스테이트의 쓰기 레지스터(write register of the counter state)(11)와 연결된다. 상기 카운터(10)는 고주파 발진기(12)의 출력과 연결된다. 상기 카운터 스테이트의 쓰기 레지스터(11)의 출력은 쓰기 레지스터의 출력을 바탕으로 발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배치된 측정 블록(measurement block)(13)과 연결된다. 상기 측정 블록(13)은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15)과 연결된 계산 유닛(14)과 더 연결된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온도 센서(16)가 더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일구체예의 구성요소 (5) ~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밀도 측정 장치에 적용된 평가 유닛이 적용되는 방법에 대한 예로 고려될 수 있다.
도 2에 간단하게 도시된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발진 주기 이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는 발진 분포의 (통계적)분석을 통해 유체의 밀도를 측정한다. 상기 기계적 공진기(음차)는 구동기/수신기 유닛에 의해 작동되면서, 예를 들면 전기회로(구성요소 5,6,7)에 의해 방출부 압전소자(4)가 제어됨으로써, 공진 주파수 F에서 발진한다. 일반적으로, 음차 공진기의 주파수 범위는 1200 ~ 5000 ㎐ 이다. 결과적으로, T=1/F의 주기인 교류전압(즉, 발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될 수있는 출력신호)은 최종증폭기(7)의 출력에서 생성된다. 상기 주기는 공진기가 침지된 매질의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르면, 공진기의 발진 또는 진동은 각 주기에서 측정된 주기의 길이에 따라(또는 측정된 주기의 길이의 지표 값(value indicative))특정 주기의 수 동안에 모니터링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일구체예에 따르면, 각 주기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측정될 수 있다. 고주파 발진기(12)는 예를 들면, 16 ㎒의 주파수에서 고주파 펄스들을 지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측정에 선행하여, 카운터 리셋 펄스 형성기(9)는 카운터(10)를 영 상태, 예를 들면, 주기의 시작점을 검출했을 때(예를 들면, 공진기의 변위가 중립위치(neutral position)에 해당 할 때) 또는 출력신호(예를 들면, 공진기의 변위, 속도 또는 가속도를 나타내는) 값이 영 또는 예측 값이 되었을 때 리셋한다. 상기 카운터(10)는 각 주기 동안에 입력 고주파 펄스의 수를 센다. 카운터 리셋 펄스가 발생하기 전에, 카운터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예를 들면 비교기(8)에서 나온 출력 펄스에 의해 쓰기 레지스터(11)(일반적으로, 메모리 유닛)에 쓰여진다. 상기 결과들은 레지스터(11)에 진수로 쓰여지며, 그 값은 발진 주기 T에 비례한다.
레지스터 컨텐츠(register contents)는 측정 블록(13)의 메모리와 계산 유닛(14)에 기록된다. 상기 공정은 일정 주기 동안 되풀이되어 반복되며 그 결과로, 발진 분포, 상기 구체예에서의 발진 주기 분포가 도출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축적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구체예의 디스플레이 유닛(15)에 측정된 주기의 길이 분포와 시간에 지남에 따른 유체 밀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한다. 상기 그래프 또는 그래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주기 길이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유체(예를 들면, 불균일한 매질, 예를 들면, 물-기름 에멀션 또는 흡장가스와 같이 혼합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의 밀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더 적용된다(예를 들면 계산 유닛(14)에 의해). 상기 계산 유닛(14)은 예를 들면, 평균(average or mean) 주기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확률 기준(probability criteria)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처럼, 주기 길이의 계산값은 공진 주파수 근사값의 역으로 생각할 수 있다. 확률 기준을 사용하여 측정 유닛들로부터 관찰된 주기 길이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는 것은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예로 생각할 수 있다.
음차(일반적으로, 기계적 공진기)가 유체에 침지되어 작동될 때, 음차는 매질의 밀도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에서 발진한다. 결과적으로, 해당 주파수 값을 갖는 신호는 비교기(8)의 출력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신호의 두 포지티브 프런트(positive fronts)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주기의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만약, 유체가 균일한 매질이라면 유체의 밀도는 일정하며, 발진 주기(및 주기의 길이)는 안정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발진 분포 곡선이 수직선으로 좁게 나타난다. 시간 기준(횡좌표)에서 상기 발진 분포 곡선의 위치는 어떤 추가 평가를 하지 않고도 유체의 필수 밀도(required density)를 결정한다.
유체가 불균일한 매질인 경우에는, 유체의 밀도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음차는 변동 밀도의 흐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진 주기(또는 발진 주기의 길이)는 특정 범위 내에서 다양화되며, 이것은 발진 주기 분포의 확장을 초래한다. 다소 불균일한 미세 분산 유체, 예를 들면 기름-물 혼합물에 대한 전형적인 발진 분포를 도 3(a)에 나타내었다. 도 3(a)는 출력신호에서 발진 주기의 발생 또는 확률 밀도(D)를 발진 주기 길이(T)의 함수로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포 곡선(T)의 최대값은 첫 번째 근사치에서 평균 유체 밀도를 결정한다. 자세한 통계 분석은 예를 들면, 확률 편차, 경향 분석을 분석함으로써 또는 기계적 공진기의 수행 순서를 평가함으로써 얻은 결과의 유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확연한 불균일 유체, 예를 들면 기름-가스 혼합물의 전형적인 발진 분포를 도 3(b)에 나타내었다. 분포 최대값들(T1,T2)의 위치 중 어느 하나는 액상을 나타내고 나머지 하나는 가스를 나타낸다. 기름(상대적으로 긴 주기)의 밀도와 관련된 부분이 구별됨으로써 상기 기름의 밀도를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현의 실시예로써, 다음을 언급할 수 있다.
<실시예 1>
- 음차 공진기, 음차봉 길이 40 ㎜, 등가 직경(equivalent diameter) 4 ㎜,
- 압전소자를 가지는 바이모프 구동기(bimorph drive with a piezoelectric element), 소자의 직경 10 ㎜, 두께 0.2 ㎜;
- 음차 재질- 스테인레스 스틸;
- 센서의 동작 주파수- 약 3800 ㎐.
- 표준 마이크로 칩 및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기회로에 사용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를 다양한 유체, 상세히 말하면 물, 미네랄 오일, 용제, 화학 약품, 액화가스에서 실험하였으며, 실험한 모든 유체에서 본 발명의 유체 밀도 측정 장치는 안정적이며 신뢰성 있는 성능을 보였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구체예는 본 발명의 개념을 단순히 예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적 및 기능적인 상세한 부분을 제한하지 않지만, 청구항 범위 및 숙련된 당업자가 가진 기술을 기반으로 본 발명은 다양하고 적절하게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구문은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다수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의미로 정의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또 다른'은 적어도 '두 번째 또는 그 이상'의 의미로 정의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및/또는'을 포함하는 용어는 '포함하는'의 의미로 정의된다( 즉, 개방 언어,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제외하지 않음). 청구항의 모든 참조 표시들은 청구항 또는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특정 조치가 서로 다른 종속항에 기재되는 단순한 사실은 이러한 조치의 조합을 활용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결합되는'은 '연결되는'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는 단적으로 필연적인 것은 아니며, 또한 기계적으로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유닛은 청구항에서 기재되는 몇몇의 아이템들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다.
1 : 음차
2 : 멤브레인
3 : 수신부 압전소자
4 : 방출부 압전소자
5 : 전치증폭기
6 : 위상-보정회로
7 : 최종증폭기
8 : 비교기
9 : 카운터 리셋 펄스 형성기
10 : 카운터
11 : 카운터 스테이트의 쓰기 레지스터
12 : 고주파 발진기
13 : 측정 블록
14 : 계산 유닛
15 : 디스플레이 유닛
16 : 온도 센서
100 : 기계적 공진기
110 : 구동기/수신기 유닛
120 : 평가 유닛

Claims (17)

  1.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계적 공진기,
    -기계적 공진기를 작동시키고, 상기 작동에 대한 기계적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며, 상기 응답을 출력신호로 내보내는 구동기/수신기 유닛, 및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의 출력신호를 바탕으로 기계적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는 평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평가 유닛은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oscillation distribution)를 측정하고,
    -상기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resonance frequency estimate)을 측정하고, 및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통하여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계산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계산 유닛은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바탕으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출력신호로부터 발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는 공진기 응답의 샘플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 할 때 푸리에 변환식을 적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분포는 출력신호에서 유래되는 발진 주기 분포(oscillation period distribu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주기 분포는 출력 신호의 다수의 발진 주기 기간을 결정하고, 어레이에서 기간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함으로써 출력 신호로부터 유래하는 발진 주기 값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피크값(resonance peak value)을 결정하기 위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다기능성 확률 밀도 분포 곡선(polyfunctional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 curve)을 사용하여 발진 분포로부터 적어도 두 개의 공진 피크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밀도 측정 장치는 발진 분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1.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발진 분포로부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측정하고,
    -상기 공진 주파수 근사값을 바탕으로 유체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 주기는 0.1 ~ 1.0 m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3.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유닛은 기계적 공진기의 발진 주기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체 또는 기계적 공진기의 특성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기계적 공진기에 작동을 공급하기 위한 전자기 액츄에이터 또는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수신기 유닛은 상기 작동에 대한 기계적 공진기의 응답을 감지하는 압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공진기는 구동기/수신기 유닛에 설치된 기초부를 갖는 음차(tunning fork), 또는 로드(rod), 또는 T형의 공진기(T-shaped reson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밀도 측정 장치.
KR1020117028514A 2009-04-29 2010-04-22 유체 밀도 측정 장치 KR101680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9014.1 2009-04-29
EP09159014A EP2246688B1 (en) 2009-04-29 2009-04-29 Fluid density measurement device
PCT/NL2010/000071 WO2010126358A1 (en) 2009-04-29 2010-04-22 Fluid density measure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255A true KR20120084255A (ko) 2012-07-27
KR101680361B1 KR101680361B1 (ko) 2016-11-28

Family

ID=4231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514A KR101680361B1 (ko) 2009-04-29 2010-04-22 유체 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329115B2 (ko)
EP (1) EP2246688B1 (ko)
JP (1) JP5603412B2 (ko)
KR (1) KR101680361B1 (ko)
CN (1) CN102428357B (ko)
AT (1) ATE512358T1 (ko)
CA (1) CA2759896C (ko)
CY (1) CY1111937T1 (ko)
DK (1) DK2246688T3 (ko)
EA (1) EA022444B1 (ko)
ES (1) ES2367226T3 (ko)
HK (1) HK1149798A1 (ko)
IL (1) IL215624A (ko)
PL (1) PL2246688T3 (ko)
PT (1) PT2246688E (ko)
SG (1) SG175175A1 (ko)
SI (1) SI2246688T1 (ko)
TW (1) TWI470227B (ko)
WO (1) WO2010126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458344T3 (pl) * 2010-11-29 2018-08-31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posób oraz urządzenie dla mierzenia rzeczywistej zawartości butli gazu pod ciśnieniem
TWI473977B (zh) * 2011-04-28 2015-02-21 Finetek Co Ltd Automatically adjust the frequency threshold and the detection point of the tuning fork type sensing device
US9243998B2 (en) * 2011-07-07 2016-01-2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sonant photo acoustic system
US20130008229A1 (en) * 2011-07-07 2013-01-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sonant photo acoustic system
TWI530670B (zh) 2012-01-25 2016-04-21 Murata Manufacturing Co Displacement sensor
CN102759492B (zh) * 2012-07-27 2014-03-26 上海交通大学 低温流体密度测量装置
US9176000B2 (en) 2013-04-15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measurement of fluid levels in multi-phase fluids
CN104597121B (zh) * 2015-01-25 2018-09-25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采用音频共振原理的黄河含沙量检测系统
US10365194B2 (en) * 2015-05-01 2019-07-30 Scientific Drilling International, Inc. High temperature densitometer device and steam quality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GB2540338A (en) * 2015-05-18 2017-01-18 Rosemount Measureme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eld devices
EP3332091A2 (en) * 2015-08-07 2018-06-13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fluid properties using an electromechanical resonator
DE102015122124A1 (de) * 2015-12-17 2017-06-22 Endress+Hauser Gmbh+Co. Kg Vibronischer Sensor und Messanordnung zum Überwachen eines fließfähigen Mediums
US11333015B2 (en) 2016-08-04 2022-05-17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for capacitive cancellation of tuning fork for fluid property measurements
JP2017161543A (ja) * 2017-04-24 2017-09-14 マイクロ モーショ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振動センサ及び方法
AT520318B1 (de) * 2017-11-06 2019-03-15 Mettler Toledo Gmbh Dichtemess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Dichte von fluiden Medien
DE102018127526A1 (de) * 2018-11-05 2020-05-07 Endress+Hauser SE+Co. KG Vibronischer Multisensor
CN109557146B (zh) * 2019-01-11 2024-02-13 南京工程学院 一种金刚线断线检测装置及其断线预测方法
RU2722470C1 (ru) * 2020-01-31 2020-06-01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Демченко Датчик вибрационного плотномера (варианты)
DE102022104281A1 (de) 2021-02-26 2022-09-01 Ast (Advanced Sensor Technologies) International Asset Gmbh Sensor zum Erfassen mindestens einer Eigenschaft eines Fluids und Fluidbehält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9043A5 (ko) 1977-07-27 1980-08-29 Straumann Inst Ag
US4524610A (en) * 1983-09-02 1985-06-25 National Metal And Refining Company, Ltd. In-line vibratory viscometer-densitometer
GB8408527D0 (en) * 1984-04-03 1984-05-16 Health Lab Service Board Fluid density measurement
JPS6177985A (ja) 1984-09-26 1986-04-21 Nec Corp イメ−ジ情報記録方式
US4831885A (en) * 1986-04-28 1989-05-23 Dahlin Erik B Acoustic wave supressor for Coriolis flow meter
JPS62189647U (ko) * 1986-05-23 1987-12-02
GB8705757D0 (en) 1987-03-11 1987-04-15 Schlumberger Electronics Uk Fluid transducer
CN2157513Y (zh) * 1993-05-14 1994-02-23 唐安祥 液体密度传感器
EP0749570B1 (en) * 1994-03-07 1998-09-16 Joseph Goodbrea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scillating system
US5533381A (en) * 1994-06-10 1996-07-09 Seale; Joseph B. Conversion of liquid volume, density, and viscosity to frequency signals
DE10014724A1 (de) 2000-03-24 2001-09-27 Endress Hauser Gmbh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ststellung und/oder Überwachung des Füllstandes eines Mediums in einem Behälter
DE10057974A1 (de) 2000-11-22 2002-05-23 Endress Hauser Gmbh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eststellung und/oder Überwachung des Füllstands eines Mediums in einem Behälter bzw. zur Ermittlung der Dichte eines Mediums in einem Behälter
US7474966B2 (en) * 2002-01-23 2009-01-06 Expro Meters. Inc Apparatus having an array of piezoelectric film sensors for measuring parameters of a process flow within a pipe
DE10237931A1 (de) 2002-08-14 2004-02-26 Endress + Hauser Gmbh + Co. K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vorbestimmten Füllstands eines Messmediums in einem Behälter
CN2646696Y (zh) * 2003-10-17 2004-10-06 郑吉鹏 一种液体密度测量装置
JP4364087B2 (ja) * 2004-08-10 2009-11-11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極値周波数の決定方法
JP4965139B2 (ja) 2006-02-28 2012-07-0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生産管理方法及び生産管理システム
RU2349897C2 (ru) 2006-06-21 2009-03-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ТЕХ" (ЗАО "АВИАТЕХ")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лотности и вяз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090120168A1 (en) * 2007-11-08 2009-05-14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Microfluidic downhole density and viscosity sensor
AT505937B1 (de) * 2007-11-16 2009-05-15 Messtechnik Dr Hans Stabinger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tatsächlichen dichte von fluiden med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9798A1 (en) 2011-10-14
WO2010126358A1 (en) 2010-11-04
CN102428357A (zh) 2012-04-25
SG175175A1 (en) 2011-11-28
CY1111937T1 (el) 2015-11-04
TWI470227B (zh) 2015-01-21
EP2246688A1 (en) 2010-11-03
ES2367226T3 (es) 2011-10-31
WO2010126358A8 (en) 2011-11-10
PL2246688T3 (pl) 2012-02-29
EA201171316A1 (ru) 2012-04-30
DK2246688T3 (da) 2011-09-05
KR101680361B1 (ko) 2016-11-28
CA2759896C (en) 2017-11-28
ATE512358T1 (de) 2011-06-15
EA022444B1 (ru) 2016-01-29
PT2246688E (pt) 2011-08-25
JP5603412B2 (ja) 2014-10-08
CA2759896A1 (en) 2010-11-04
US20120150452A1 (en) 2012-06-14
SI2246688T1 (sl) 2011-12-30
US9329115B2 (en) 2016-05-03
CN102428357B (zh) 2014-11-05
TW201100804A (en) 2011-01-01
IL215624A (en) 2016-03-31
EP2246688B1 (en) 2011-06-08
JP2012525584A (ja) 2012-10-22
IL215624A0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361B1 (ko) 유체 밀도 측정 장치
JP6915215B2 (ja) 電気機械共振器を用いて流体特性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11255766B2 (en) Vibronic sensor and measuring assembly for monitoring a flowable medium
CA283473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or monitoring at least one physical process variable
US20210364347A1 (en) Vibronic multisensor
JP5797767B2 (ja) 共振測定システムの動作方法
AU20133948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current determination of fluid density and viscosity in-situ
JP2007078681A (ja) 質量流量計のテスト方法
US20230221288A1 (en) Vibronic multisensor
US8631712B2 (en) Method for detecting plugging in a coriolis flow measuring device
KR101868375B1 (ko) 측방향 모드 강성을 결정함으로써 진동계에서 유체 튜브의 횡단면적의 변화에 대한 검출
JP7238133B2 (ja) 平面的振動部材、粘度計、及び振動式粘度計を動作させる方法
RU2115116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состава газовой смеси и жидких сред (варианты)
EP403654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hysical parameter of a pipe-fluid system
RU2335741C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уровнемер жидкости
TWI765285B (zh) 用於監測動態系統的情況之系統及方法
Clark et al. Coriolis flow meters/the potential for outstanding dynamic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