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102A -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102A
KR20120084102A KR1020110005427A KR20110005427A KR20120084102A KR 20120084102 A KR20120084102 A KR 20120084102A KR 1020110005427 A KR1020110005427 A KR 1020110005427A KR 20110005427 A KR20110005427 A KR 20110005427A KR 20120084102 A KR20120084102 A KR 20120084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mounted display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주
Original Assignee
지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현주 filed Critical 지현주
Priority to KR1020110005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102A/ko
Publication of KR20120084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1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도킹부; 상기 삽입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터치 스크린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고, 통신하기 위한 도킹부를 후면에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된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A display mounte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한 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된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은 사람들의 생활 패턴의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에는 컴퓨터나 TV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 장소에서 게임이나 영화를 봐야했고, 휴대용 단말기로는 제한적인 기능밖에 없었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휴대용 단말기가 보급되면서 어디에서든 문서작업, 게임, 영화시청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휴대성이 강조되어 단말기가 점점 소형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화면의 크기가 작고, 터치로 입력되는 키패드의 크기도 한계가 있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이나 게임 이용 등에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화면표시장치의 크기가 확장되고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스마트 패드와 같은 태블릿 PC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태블릿 PC의 기능은 스마트폰의 기능과 대부분 중복되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스마트폰 구매자가 추가로 태블릿 PC를 구매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확대된 사이즈로 인하여 통화 기능이 불편해지기 때문에 태블릿 PC만을 사용할 때에는 통화용 단말기를 또 따로 구비하고 다녀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기 위한 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된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용 단말기를 탑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도킹부; 상기 삽입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터치 스크린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유선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도킹부의 일표면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면에 장착된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일면이 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도킹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모서리에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포켓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켓구조의 길이는 카메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b) 휴대용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c)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각각 터치 스크린부 및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단계; (d) 터치스크린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는 단계; (e) 상기 보정된 터치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 상기 (c)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촬영부로부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촬영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대기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c)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신호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 상기 (d) 및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영상촬영신호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고, 통신하기 위한 도킹부를 후면에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된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영상촬영부로 대체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유선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반드시 도킹부에 장착하지 않고 근거리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킹부에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킹부에 고정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및 동작 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A')를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도킹부(110), 통신모듈(도시하지 않음), 터치스크린부(100), 전원부(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상기 도킹부(110)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A')의 카메라('a')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도킹부(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하는 포켓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으로 이루어지는 도킹부(110)의 경우,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도킹부의 양측 모서리에 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킹부에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30)는 휴대용 단말기가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도킹부가 포켓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포켓구조의 길이는 상기 카메라('a')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킹부에 고정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서 연장되는 포켓 구조의 일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길이의 반 정도만 감싸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 구조의 일면은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탑재한 후 일탈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떤 구조든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유선 통신모듈로서,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115)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A')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감지된 터치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도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배터리 및 전원 공급 장치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 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확대하는 것으로서, 터치하는 좌표값은 두 기기가 각각 다르게 된다. 따라서, 좌표값으로 터치위치를 인식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은 화면의 사이즈가 다른 두 기기에서 상호 적용될 수 없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에서 감지된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상기 보정된 터치신호를 자신의 위치좌표값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대부분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영화와 같은 동영상의 음향을 출력하거나, 통화 중의 음성을 출력하기 위하여 구비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단자를 이용한다. 따라서,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해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와 연결하는 음성신호 전송용 연결단자를 추가적으로 구비해야 한다.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를 구비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단자에 상기 HDMI 어댑터를 더 구비함으로써, 음성과 영상을 동시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전면에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면에 영상촬영부를 장착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도킹부의 통신모듈을 제어한다. 상기 영상촬영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카메라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일측을 개방하고 있으나, 전면카메라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부를 전면카메라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영상신호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구동 중에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수신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수신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바로 탈착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포트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탑재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자신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터치 신호 또는 영상촬영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먼저,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탑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한다(S800).
다음,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즉, 자신의 정보를 송신한다(S810). 이때, 송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자신의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 정보, 화면 사이즈 및 모델명이나 시리얼넘버 등의 고유 장비 정보이다. 이때,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는 전송할 영상신호를 상기 해상도 정보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하게 된다.
다음,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S820), 각각 터치스크린부 및 스피커부로 전송한다(S830).
다음, 터치스크린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S840),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한다(S850).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 보정된 터치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S860).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S870) 상기 (c) 내지 (e) 단계를 반복하여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촬영부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촬영부로부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 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S900),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대기한다(S910).
다음,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S920),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수신받는다(S930).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슬립(sleep) 모드로 변경한다(S940). 이는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연결되면,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부를 활성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영상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송신하되, 자신의 화면에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슬립모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를 조정한다(S950).
다음,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조정된 영상 신호를 송신한다(S960).
다음,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신호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구동시킨다(S980).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S990), 상기 (d) 및 (e) 단계를 반복하여 상기 연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촬영부를 구비하여 영상촬영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영상촬영신호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있어서 화면에 표시되지는 않으나, 상기 영상촬영신호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다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므로, 상기 영상촬영신호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신호로 인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부에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탑재하고, 통신하기 위한 도킹부를 후면에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대된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이 부족한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충전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면에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카메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영상촬영부로 대체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도킹부(110)는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도킹부의 일표면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1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장치(150)를 통해서 상기 연결단자(11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길이방향으로만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단자를 회전시켜 삽입하기 편한 위치에서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시킨 후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도킹부, 통신모듈, 터치스크린부, 전원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스피커부,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선통신모듈을 사용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상기 도킹부에 연결단자를 구비하지 않고, 따로 연결선(260)을 구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단자를 대체하는 상기 연결선(2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실시예의 휴대용 단말기 장착방향과 반대로 도킹부에 장착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포트가 상기 도킹부의 노출된 일측에 배치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20)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연결선(260)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의 대부분은 전면카메라가 상기 도킹부의 삽입으로 인하여 노출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드시 영상촬영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카메라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해야한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도킹부, 통신모듈, 터치스크린부, 전원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스피커부 및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선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무선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모듈을 사용하므로 유선 통신모듈에 필요한 연결단자 또는 연결선을 구비하지 않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신모듈을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로 구비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휴대용 단말기가 구비한 무선 통신모듈에 대응되는 무선통신모듈로서, 적외선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 통신, 무선랜 통신 및 UWB(ultra wideband) 통신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할 수 있어야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선 연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지 않고도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어, 제작이 간단하고, 휴대용 단말기를 반드시 도킹부에 장착하지 않고 근거리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가 이용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들어 급속도로 사용이 확대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분야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
10, 20, 30 :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100 : 터치스크린부
110 : 도킹부
115 : 연결단자
130 : 가이드부
140 : 고정 플레이트
150 : 힌지장치
260 : 연결선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를 탑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도킹부;
    상기 삽입된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에 배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터치 스크린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받으면 상기 터치스크린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의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통신이 가능한 유선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포트와 연결 가능한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도킹부의 일표면 사이에 장착되는 힌지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면에 장착된 영상촬영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이 개방되는 삽입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가 노출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일면이 더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상기 도킹부의 길이 방향의 양측 모서리에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포켓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켓구조의 길이는 카메라 영역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
  12.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b) 휴대용 단말기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c)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및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각각 터치 스크린부 및 스피커부로 전송하는 단계;
    (d) 터치스크린부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터치신호의 위치좌표값을 보정하는 단계;
    (e) 상기 보정된 터치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 상기 (c) 내지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촬영부로부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촬영신호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대기하는 단계;
    (b)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c)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해상도를 조정하는 단계;
    (d)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터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신호를 기반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이 해지되기 전까지 상기 (d) 및 (e)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촬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영상촬영신호를 우선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연결 어플리케이션 구동방법.
KR1020110005427A 2011-01-19 2011-01-19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841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27A KR20120084102A (ko) 2011-01-19 2011-01-19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427A KR20120084102A (ko) 2011-01-19 2011-01-19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102A true KR20120084102A (ko) 2012-07-27

Family

ID=4671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427A KR20120084102A (ko) 2011-01-19 2011-01-19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1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3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20160107690A (ko)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31A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KR20160107690A (ko) 2015-03-05 2016-09-19 주식회사 메인정보시스템 3차원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13156A1 (zh) 蓝牙切换方法及蓝牙设备
US7783321B2 (en) Cell phone device
TWI443501B (zh) 附件電源管理
JP4726901B2 (ja) 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4180162A (ja) 眼鏡型ディスプレイの制御方法
EP420783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bluetooth pairing of multiple devices
KR20110111857A (ko) 도킹 스테이션과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KR2011002290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60025105A1 (en) Terminal and standby operation control method
KR101737927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3246Y1 (ko)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KR2003001114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KR20120084102A (ko)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KR101638924B1 (ko) 전자장치
US20140016295A1 (en) Projection device
EP16597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one video conferencing
CN111988448A (zh) 图像显示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20140133294A (ko)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KR101390949B1 (ko)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60092A (ko)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1125440B1 (ko) 컴퓨터 보조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기
CN106993213B (zh) 一种子画面的设定装置及设定方法
CN206413106U (zh) 一种带音视频通话功能的多功能显示器
CN113078697A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转接器
JP2006227797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