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46Y1 -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46Y1
KR200473246Y1 KR2020120006306U KR20120006306U KR200473246Y1 KR 200473246 Y1 KR200473246 Y1 KR 200473246Y1 KR 2020120006306 U KR2020120006306 U KR 2020120006306U KR 20120006306 U KR20120006306 U KR 20120006306U KR 200473246 Y1 KR200473246 Y1 KR 200473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ain body
screen
audio data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570U (ko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903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73246(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2020120006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4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1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04N1/00108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of digital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내 화면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착용 시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시야에 배치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화면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동기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 또는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Glasses type remote controller}
본 고안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최근 들어 스마트폰의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메인 프로세서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와 신규 서비스를 탑재한 스마트폰들이 등장하고 있다. 즉, 듀얼 코어를 탑재한 메인 프로세서의 속도도 현재 2GHz에 달하여 컴퓨터와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도 와이브로나 LTE 기술과 같은 4세대 이동통신 기술이 상용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및 동영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 예로서, 스마트폰의 화면을 컴퓨터에서 캡쳐하거나 제어하는 응용 프로그램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스마트폰 화면을 컴퓨터에서 캡쳐하고 있다. 또한, 일부 스마트폰은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인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의 커넥터를 지원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동영상 재생 화면을 가정용 TV에서 볼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이와 함께 컴퓨터용 모니터로 LCD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과 스피커를 추가한 형태인, 컴퓨터와 VGA, D-Sub, DVI, HDMI, USB 케이블로 연결해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멀티미디어 모니터도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컴퓨터와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USB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메모리 장치로 인식시키거나, 화면 캡쳐 프로그램, 그리고, 스마트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하는 USB 테더링 프로그램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무선 AP(Access Point)로 사용하는 프로그램도 본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최근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서도 스마트폰의 무선 AP 기능과 연결하여 인터넷 검색을 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의 활용은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글자 입력 시 스마트폰 화면을 사용자가 들여다보면서 자판을 입력하거나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하였고,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이용하여 촬영시 사용자는 작동을 위하여 손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다른 작업을 위하여 두 손을 사용해야하는 경우 이에 따른 휴대의 불편함이 초래되며, 제약을 받게 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화면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으로부터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스마트폰에 제공하여 스마트폰 내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에서 촬영된 화면을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위치 정보 검색을 요청하며, 스마트폰으로부터 화면을 기반으로 검색된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바코드를 스마트폰에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바코드에 설정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폰 내 화면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착용 시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시야에 배치되도록 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화면 전송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동기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 또는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형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송, 수신, 저장기능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본 고안을 안경처럼 용이하게 착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안경형 화면전송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함으로서, 카메라와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동시 사용에 따른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시각방향에 따라 카메라의 방향을 동일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고도 편리하게 촬영할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는 스마트폰의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창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의 내부 블록도.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안경형 본체(1), 안경형 카메라(2), 플래시(3), 연결 부재(4), 안경형 디스플레이(5), 안경형 스피커(6), 안경형 마이크(7), 안경형 전원 스위치(8),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경형 본체(1)는 외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도 3의 2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송수신을 통해 안경형 본체(1)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서의 영상 재생, 스마트폰(20)로부터 수신한 다양한 정보를 안경형 디스플레이(5) 및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경형 본체(1)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를 통해 획득한 정보, 예컨대 안경형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 및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획득한 오디오 데이터를 스마트폰(20)에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데이터의 예로는 바코드 화면, 안경형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 주변의 위치 검색용 영상 등을 들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의 예로는 안경형 마이크(7)에서 획득한 음성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은 스마트폰(20) 내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시리를 실행시키며, 실행된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로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안경형 본체(1)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전송받아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 정보 중 비디오 데이터를 안경형 디스플레이(5)에 제공하며, 영상 정보 중 오디오 데이터(음향)를 안경형 스피커(6)에 제공함으로서,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안경형 본체(1)는 안경형 카메라(2),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스마트폰(20)에 전송할 수 있다.
안경형 카메라(2)는 사진과 동영상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진 및 동영상을 안경형 본체(1)에 제공할 수 있다. 안경형 카메라(2)에 의해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 안경형 본체(1)는 안경형 디스플레이(5)를 통해 사진을 출력하며, 안경형 카메라(2)에 의해 동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안경형 디스플레이(5) 및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해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경형 본체(1)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플래시(3)는 안경형 카메라(2)의 촬영 기능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시 구동될 수 있다.
연결 부재(4)는 안경형 카메라(2)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과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형 본체(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예컨대 안경 형태), 착용 시 안경형 디스플레이(5)가 사용자의 시야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안경형 디스플레이(5)는 안경형 본체(1)와의 연동을 통해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시키며, 안경형 스피커(6)는 안경형 본체(1)와의 연동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안경형 마이크(7)는 사용자의 음성과 주변의 소리를 인식하며, 인식된 사용자 음성과 주변의 소리를 안경형 본체(1)에 제공할 수 있다.
안경형 전원 스위치(8)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온/오프 동작에 따라 전원이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공급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는 안경형 카메라(2)의 구동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온/오프 동작에 따라 안경형 카메라(2)가 구동되거나 구동 오프될 수 있다.
또한, 안경형 본체(1)는 스마트폰(20)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가공, 예컨대 디코딩하여 안경형 디스플레이(5) 및 안경형 스피커(6)에 출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연결 부재(4)를 이용하여 착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와 연동되는 스마트폰(20)의 내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스마트폰(20) 내에는 화면 전송 기능(21), 음성 인식 기능(22), 촬영 전송 기능(23) 및 어플리케이션(24) 등과 도시 생략되었지만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화면 전송 기능(21)은 스마트폰(20)의 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비디오 데이터)와 스마트폰(20)의 스피커(미도시됨)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오디오 데이터)를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인식 기능(22)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된 소리, 예컨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된 음성이 무선으로부터 수신되면, 음성 인식 기능(22)은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음성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폰(20)을 제어할 수 있다.
촬영 전송 기능(23)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카메라(2) 및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와 스마트폰(20)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의 예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스마트폰(20)은 무선 기능, 예컨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의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모든 화면 및 음향을 본 고안 장치인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안경형 본체(1)를 통해 화면 및 음향을 수신한 후 이를 안경형 디스플레이(5) 및 안경형 스피커(6)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카메라(2) 및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 예컨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는 안경형 본체(1)를 통해 스마트폰(20)에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20)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스마트폰(20)과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간의 영상 정보가 동기화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무선 통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20)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음성을 기반으로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시리, S-보이스, 보이스 서치 등을 실행시키며, 실행된 음성 인식 기능 어플리케이션을 수신된 음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에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및 검색어 등과 같은 글자 입력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마이크(7)에 발성한다. 이에 따라,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안경형 본체(1)를 통해 스마트폰(20)에 발성된 음향을 송신하게 되며, 스마트폰(20)은 수신된 음향을 음성으로 인식한 후 이에 대응되는 글자를 스마트폰(20)의 모니터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 예컨대 바코드를 촬영한 후 이를 안경형 본체(1)를 통해 스마트폰(20)에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폰(20)은 어플리케이션(24)을 이용하여 바코드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한 후 이를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제공받은 정보를 안경형 디스플레이(5)에 표시해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를 이용하여 바코드에 해당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에서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서 화면 전송 기능이 동작 중에는 본 고안의 스마트폰(20) 내 촬영 전송 기능(23)도 자동으로 함께 작동될 수 있다.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예컨대 사진, 동영상, GPS 위치검색 등 등의 상황에서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카메라(2)와 안경형 마이크(7)를 선택하면, 촬영한 영상 정보가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전원 스위치(8)를 길게 눌러 전원을 키면 녹화, 녹음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카메라(2)와 마이크(7)로 촬영되며 화면과 소리는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스피커(6)로 시청이 가능하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의 경우, 본 고안의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사진 촬영이 되고,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8)를 길게 누르면 동영상 촬영모드로 변경되며 안경형 디스플레이(5)에 동영상 촬영모드로 표시된다.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다시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고 다시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다.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바코드 인식의 경우, 사용자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를 착용한 후, 해당 상품을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바코드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화면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의 안경형 본체(1)는 바코드에 대응되는 상품 정보, 예컨대 화면 및 소리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정보는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GPS 위치검색의 경우, 사용자가 본 고안의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를 착용한 후,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이에 따라 안경형 본체(1)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화면을 스마트폰(20)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20)은 촬영된 화면을 글자정보로 변환하여 인식한 후 인식된 글자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검색을 수행한 후 이에 대응되는 위치 검색 결과를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에 전송한다.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10)는 검색 결과가 동영상인 경우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경형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삭제
삭제
1 : 안경형 본체
2 : 안경형 카메라
3 : 플래시
4: 연결 부재
5 : 안경형 디스플레이
6 : 안경형 스피커
7 : 안경형 마이크
8 : 안경형 전원 스위치
9 :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

Claims (6)

  1. 외부의 화면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외부의 소리에 상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폰 내 화면전송수단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와 상기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화면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에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시야에 배치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화면 전송 모드, 음성 인식 모드, 촬영 전송 모드 및 문자 입력 모드 중 어느 2 이상의 모드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되,
    상기 본체가 촬영 전송 모드로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바코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바코드를 포함하는 화면을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하며,
    상기 본체가 촬영 전송 모드로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호, 건물명 및 주소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면을 촬영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촬영된 화면을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촬영된 화면에 대응되는 위치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본체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청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외부 풍경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는 상기 화면전송수단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과 동기화되어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데이터 또는 상기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안경형 원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음성 인식 모드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음성인식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스마트폰에 송신하여 상기 음성인식수단을 실행시키며, 상기 음성인식수단에 상기 마이크에서 인식된 음성을 제공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가 문자 입력 모드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본체로부터 수신된 음성을 인식한 후 이에 대응되는 글자로 상기 스마트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안경형 원격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과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본체가 화면 전송 모드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외부의 화면과 상기 마이크로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는, 안경형 원격 제어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20006306U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KR200473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70U KR20140000570U (ko) 2014-01-27
KR200473246Y1 true KR200473246Y1 (ko) 2014-06-24

Family

ID=514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064B1 (ko) 2014-09-15 2016-04-04 원혁 증감 현실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설명서
KR101873805B1 (ko) * 2017-05-02 2018-07-03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마트 글래스를 통한 스마트 정보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84B1 (ko) 2014-03-21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714130B1 (ko) * 2014-12-18 2017-03-0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사건 사고 동영상 촬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058A (ko) * 1996-02-26 1999-01-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신체장착형 정보표시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방법
JP3262849B2 (ja) 1992-08-14 2002-03-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立体像観察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画像観察システム
JP2006060774A (ja) 2004-07-20 2006-03-02 Olympus Corp 携帯情報機器
JP2010527557A (ja) 2007-05-14 2010-08-12 コピ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ホストからのデータにアクセスする移動無線表示器およ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849B2 (ja) 1992-08-14 2002-03-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立体像観察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画像観察システム
KR19990008058A (ko) * 1996-02-26 1999-01-25 야스카와 히데아키 신체장착형 정보표시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방법
JP2006060774A (ja) 2004-07-20 2006-03-02 Olympus Corp 携帯情報機器
JP2010527557A (ja) 2007-05-14 2010-08-12 コピ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ホストからのデータにアクセスする移動無線表示器およ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064B1 (ko) 2014-09-15 2016-04-04 원혁 증감 현실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설명서
KR101873805B1 (ko) * 2017-05-02 2018-07-03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마트 글래스를 통한 스마트 정보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70U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2784A1 (en) Live video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US10176783B2 (en) Interactive wearable and portable smart devices
JP6177883B2 (ja) Asrおよびht入力を有する補助ディスプレイとしてのヘッドセットコンピュータ(hsc)
CN110109636A (zh) 投屏方法、电子设备以及系统
KR20150003711A (ko) 내장형 컴퓨터를 구비한 안경
EP3223147A2 (en) Method for accessing virtual desktop and mobile terminal
KR200473246Y1 (ko)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CN110996117B (zh) 视频转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1224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104987A (zh) 视频播放中画面与声音同步方法及装置
CN112217987B (zh) 一种拍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60130609A (ko)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사용한 사진 촬영과 음성 녹음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목걸이 및 그 방법
CN106031135B (zh) 可穿戴设备和通信控制方法
US9392098B2 (en) Dummy terminal and main body
CN110865461A (zh) 一种可内视化显示的智能眼镜
WO2023284355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20097552A (ko) 광고 시청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WO2017215198A1 (zh) 控制工作状态的方法和装置
KR20170046947A (ko)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CN113078697A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转接器
JP2016058917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を構成する映像送信装置と映像受信表示装置との間の映像無線伝送規格に従った接続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映像送信装置、映像受信表示装置
KR20120084102A (ko) 휴대용 단말기 탑재형 디스플레이장치
CN211123489U (zh) 一种可内视化显示的智能眼镜
CN115549715A (zh) 一种通信方法、相关电子设备及系统
KR20150039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HALLENGE REQUESTED 20150623

Effective date: 201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