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570U -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570U
KR20140000570U KR2020120006306U KR20120006306U KR20140000570U KR 20140000570 U KR20140000570 U KR 20140000570U KR 2020120006306 U KR2020120006306 U KR 2020120006306U KR 20120006306 U KR20120006306 U KR 20120006306U KR 20140000570 U KR20140000570 U KR 20140000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application
glasses
camera
vide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246Y1 (ko
Inventor
김승진
Original Assignee
김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4903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00570(U)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진 filed Critical 김승진
Priority to KR2020120006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4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1Read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04N1/00108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of digital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안경형 화면전송, 수신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이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형 스피커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자판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사진, 동영상, 바코드인식, GPS 위치인식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Glasses type video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ed by smart phone applica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안경형 화면전송, 수신 비디오 디스플레이와 원격제어를 위한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이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안경형 스피커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자판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사진, 동영상, 바코드인식, GPS 위치인식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고 다니지 않고 본 장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만으로도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화면을 안경형 디스플레이와 안경형 스피커로의 시청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안경형 마이크를 통한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원격 제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로 촬영한 영상정보대신 스마트폰으로의 전송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기술은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들고 다니면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글자 입력 시 스마트폰 화면을 사용자가 들여다보면서 자판을 입력하거나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하였고,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이용하여 촬영시 사용자는 작동을 위하여 손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다른 작업을 위하여 두 손을 사용해야하는 경우 이에 따른 휴대의 불편함이 초래되며, 제약을 받게 되는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소형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송, 수신, 저장기능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본 장치를 안경처럼 용이하게 착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각방향에 따라 안경형 디스플레이와 안경형 스피커,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의 방향을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본 장치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을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안경형 스피커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자판과 스마트폰 마이크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으로 본 장치와 스파트폰에 글자 입력입력과 명령등의 원격 제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사진, 동영상, 바코드인식, GPS 위치인식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다양하게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의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송, 수신, 저장기능이 복합적으로 포함된 본 장치를 안경처럼 용이하게 착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안경형 화면전송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함으로서, 카메라와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동시 사용에 따른 휴대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시각방향에 따라 카메라의 방향을 동일하게 움직일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쉽고도 편리하게 촬영할수 있도록 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본 장치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을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안경형 스피커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자판과 스마트폰 마이크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으로 본 장치와 스파트폰에 글자 입력입력과 명령등의 원격 제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사진, 동영상, 바코드인식, GPS 위치검색 등)에서 블루투스 기능과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다양하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사용 예.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와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 원격제어 개념도.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이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 본장치의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을 선택 후 동작시키면 스마트폰 모니터와 스마트폰 스피커에서 제공되는 화면과 소리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본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으로 시청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과 스마트폰용 음성인식기능 어플리케이션(11)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스마트폰 자판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과 명령 등의 스마트폰 원격제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 본장치의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이 동작 중에는 본장치의 스마트폰용 음성인식기능 어플리케이션(11)은 자동으로 함께 작동되며 본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에 제공되는 화면과 소리를 시청하며 스마트폰의 글자 입력이나 명령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스마트폰 자판대신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7)로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과 명령 등의 스마트폰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2)와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 본장치의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이 동작 중에는 본장치의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도 자동으로 함께 작동되며 촬영한 영상정보가 필요한 모든 상황 (사진, 동영상, 바코드인식, GPS 위치검색 등)에서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선택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2)와 안경형 마이크(7)로 촬영한 영상정보가 스마트폰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안경형 전원 스위치(8) 스위치를 길게 눌러 전원을 키면 녹화, 녹음이 실행되지 않는 상태로 안경형 카메라(2)와 안경형 마이크(7)로 촬영되며 화면과 소리는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시청이 가능하다.
사진과 동영상 촬영의 경우, 본장치의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사진 촬영이 되고,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8)를 길게 누르면 동영상 촬영모드로 변경되며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에 동영상 촬영모드로 표시된다.
동영상 촬영모드에서 다시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고 다시 안경형 카메라 스위치(9)를 짧게 한번 누르면 동영상 촬영이 종료된다.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바코드 인식의 경우, 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해당 상품을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바코드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영상정보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상품정보가 화면과 소리로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전송되며 시청이 가능하다.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GPS 위치검색의 경우, 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영상정보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글자정보로 변환되어 인식된 후 GPS 위치검색 자료로 입력되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검색된 위치정보의 시청이 가능하다.
본 발명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를 내장한 안경형 화면전송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본 장치의 크기와 무게를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창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첨부된 도1,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이를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전송한 영상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도1의 본체(1)와;
사진과 동영상 촬영기능을 포함하는 도1의 카메라(2)와;
촬영기능을 위한 보조기능 도2의 플래시(3)와;
촬영된 영상정보를 시각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도2의 상부 연결부재(4), 도1의 본체(1)와 결합된 도2의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영상정보의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1의 본체(1) 하부에 설치되는 도1의 스피커(6)와;
촬영 시 사용자의 음성과 주변의 소리를 녹음하도록 도1의 본체(1) 하부에 설치되는 도1의 마이크(7)와;
도1의 전원 스위치(8), 도1의 카메라 스위치(9)와;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이 본 발명 장치인 안경형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형 스피커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도3의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에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본 발명 장치인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도3의 스마트폰용 음성인식기능 어플리케이션(11);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발명 장치인 안경형 카메라와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도3의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6)

  1.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화면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0)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모니터에서 보여 지는 모든 화면이 본 장치의 안경형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를 통하여 같은 시간, 동일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2.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음성인식기능 (S-보이스, 보이스서치, 시리 등)과 스마트폰용 음성인식기능 어플리케이션(11)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의 글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상황 (전화번호, 메시지, 메모, 검색어 등)에서 스마트폰 자판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에 의한 글자 입력과 명령 등의 스마트폰 원격제어가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3.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스마트폰 마이크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 대신 본 장치의 안경형 카메라(2)와 안경형 마이크(7)를 통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선택적으로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4.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을 이용하면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바코드 인식의 경우, 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해당 상품을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바코드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영상정보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상품정보가 화면과 소리로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전송되며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5.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용 촬영전송기능 어플리케이션(12)을 이용하면 안경형 카메라(2)를 이용한 GPS 위치검색의 경우, 본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후,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들고 있으면 안경형 카메라(2)가 상호, 건물명 또는 주소지를 자동으로 촬영하며 영상정보는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글자정보로 변환되어 인식된 후 GPS 위치검색 자료로 입력되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5)와 안경형 스피커(6)로 검색된 위치정보의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6.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의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원격제어 안경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
KR2020120006306U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KR200473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570U true KR20140000570U (ko) 2014-01-27
KR200473246Y1 KR200473246Y1 (ko) 2014-06-24

Family

ID=514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306U KR200473246Y1 (ko) 2012-07-17 2012-07-17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78A (ko)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사건 사고 동영상 촬영 시스템
US10747490B2 (en) 2014-03-21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064B1 (ko) 2014-09-15 2016-04-04 원혁 증감 현실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설명서
KR101873805B1 (ko) * 2017-05-02 2018-07-03 주식회사 티오이십일콤즈 스마트 글래스를 통한 스마트 정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2849B2 (ja) 1992-08-14 2002-03-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立体像観察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画像観察システム
TW395121B (en) * 1996-02-26 2000-06-21 Seiko Epson Corp Personal wear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method using such device
JP2006060774A (ja) 2004-07-20 2006-03-02 Olympus Corp 携帯情報機器
CA2685947A1 (en) 2007-05-14 2008-11-27 Kopin Corporation Mobile wireless display for accessing data from a ho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7490B2 (en) 2014-03-21 2020-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from a wearable device
KR20160074078A (ko) * 2014-12-18 2016-06-28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사건 사고 동영상 촬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246Y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3976B2 (en) Context sensitive overlays in voice controlled headset computer displays
KR20220088660A (ko)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JP6428268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US9900498B2 (en) Glass-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70272784A1 (en) Live video broadcasting method and device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US1032109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KR102102643B1 (ko) 글래스 타입 단말기
CN103777351A (zh) 多媒体眼镜
US9640178B2 (en) User configurable speech commands
JP2015507860A (ja) 画像キャプチャのガイド
KR20160133414A (ko)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000570U (ko) 안경형 원격 제어 장치
US20160182860A1 (en) Methods for performing image capture and real-time image display on physically separated or separable devices and apparatus therefor
US20100283711A1 (en) An integrated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 framed interface theref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1012244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66719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를 이용한 정보교환 방법
CN109076185B (zh) 显示装置
GB2612407A (e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login operations in multi-person content presentation environments
US946758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generat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50310767A1 (en) Wireless Typoscope
US20150220506A1 (en) Remote Document Annotation
US11838332B2 (en) Context based automatic camera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US11722767B2 (en) Automatic camera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CN105117192B (zh) 信息显示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HALLENGE REQUESTED 20150623

Effective date: 201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