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092A -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092A
KR20120060092A KR1020100121666A KR20100121666A KR20120060092A KR 20120060092 A KR20120060092 A KR 20120060092A KR 1020100121666 A KR1020100121666 A KR 1020100121666A KR 20100121666 A KR20100121666 A KR 20100121666A KR 20120060092 A KR20120060092 A KR 20120060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put
touch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남
김형곤
Original Assignee
박영남
김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남, 김형곤 filed Critical 박영남
Priority to KR1020100121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092A/ko
Publication of KR2012006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0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장시키기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선택 장치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및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가 장착되어, 이동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를 제공하여, 더 큰 화면 등으로 보는 것과 뛰어난 음질로 재상이 가능하며, 또한 PC나 빔프로젝터 또는 MP3 등과 같은 외부기기 등과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확장 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그 사용 범위를 확대하여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SUPPORTING DEVICE OF MOBILE DEVICE AND TOUCH INPUT SIGNAL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확장시키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입력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통신 서비스는 물론, 전자책이나 컴퓨터 문서, 사진 등을 확인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종 동영상 등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휴대성을 강조하다보니, 3~4 인치(Inch) 정도의 디스플레이화면으로 한정된다.
이렇게 한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등의 과정에서는 3~4 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작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기에 사용자들은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 중에는 작은 화면으로 이용하지만, 주변의 PC나 노트북 등이 있는 경우에는 굳이 작은 화면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해당 정보나 동영상 등을 보는 것보다는 PC나 노트북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화면이외에도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스피커의 경우에도 이동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출력이 작은 스피커 등이 이용되어 별도로 풍성한 음질의 음악 등을 청취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이동 단말기를 별도의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좀 더 풍성한 음악을 청취하는 등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군다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하나의 작은 장치에 수많은 기능들을 탐재하다보니, 그 만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빈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된 배터리의 소모가 상당하다. 하여, 사용자들은 배터리의 조기 방전 등을 우려하여 별도의 배터리팩이나 보조 배터리를 이동통신 단말기 이외에도 같이 휴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용으로 제작된 이동 단말기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장착이 가능한 단말기 장착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이동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홈; 일 측에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커넥터; 및 타 측에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가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이동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홀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상기 입력커넥터가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력커넥터는 슬라이딩되어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구비된 외부 전원공급 수단; 및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전원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의 충전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선택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외부 영상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영상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외부 음향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음향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부 장치와 음향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은 외부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입력된 터치 신호를 이동 단말기의 터치신호로 변환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C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A단계에서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원천적인 이동 단말기의 특성으로 인해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과 음향 출력 등의 문제를 본 발명의 보조 장치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하여 이용함으로써, 더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과 음량 및 음질이 높아진 상태로 음악 등을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보조 장치에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별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지 않아도 보조 장치를 이용하면 상기와 같이, 한 층 높아진 수준의 영상과 음향을 이용하면서도 배터리 조기 방전 등의 걱정을 하지 않고 충분한 시간동안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조 장치에서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가 교체가 가능하여 각 이동 단말기에 전용되는 장착부를 보조 장치에 연결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이동 단말기를 소유한 사용자들도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을 터치스크린으로 구비하고,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동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작은 화면에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에 비하여 이동 단말기보다 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이동 단말기를 조작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에 외부 장치를 연결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조 장치를 통해 영상이나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것 이외에도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빔 프로젝터나 PC의 모니터 등에 이동 단말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MP3 플레이어 등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핸드프리 헤드셋 등의 외부 장치와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되어, 블루투스 등이 탑재되지 않은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를 통해 음성통화나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에 이동 단말기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에 이동 단말기를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의 장착부가 탈착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이동 단말기로 외부에서 입력되는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장치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는 장착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음향 출력부(130), 전원공급부(140), 조작부(150), 외부장치 연결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한다.
장착부(110)는 이동 단말기(200)가 장착되는 곳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2), 이동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100)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입력커넥터(114) 및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켜 장착부(1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홀더(116)를 포함한다.
삽입홈(112)은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되는데, 삽입홈(112)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의 모델 종류에 따라 장착부(110)가 다양하게 구비됨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홈(112)의 양 측에는 삽입된 이동 단말기(200)를 쉽게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커넥터(114)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동 단말기(200)의 영상신호를 보조 장치(100)로 입력시키고, 이동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이동 단말기(200)가 아닌 보조 장치(10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음향신호도 보조 장치(100)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입력커넥터(114)는 보조 장치(100)에서의 전기적 신호를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이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커넥터(114)는 삽입홈(112)에 이동 단말기(200)를 장착할 때,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면서 입력커넥터(114)와 이동 단말기(20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에 삽입한 다음에 입력커넥터(114)에 구비된 커넥터돌기(114a)를 이용하여 입력커넥터(114)를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이동 단말기(200)와 입력커넥터(114)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 회전하면서 삽입되더라도 입력커넥터(114)에는 삽입된 이후에 입력커넥터(114)를 슬라이딩으로 이동시켜 입력커넥터(114)와 이동 단말기(200)가 결합되기 때문에 입력커넥터(114)에 생길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홀더(116)는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홈(112)에서 이동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의지와는 다르게 보조 장치(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에 장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고정홀더(116)의 둥글게 형성된 돌기에 의해 삽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더(116)가 뒤로 밀리면서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으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 삽입이 완료되면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고정홀더(116)가 스프링(116a)에 의해 밀려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이동하여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고정홀더(116)와 장착부(110) 사이에 스프링(116a) 등의 탄성을 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항시 이동 단말기(200)를 삽입홈(112)에 잡아주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200)가 삽입홈(112)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장착부(1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100)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렇게 장착부(110)가 보조 장치(100)에서 탈착되도록 하는 것은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이동 단말기(200)는 디자인과 형상이 각 모델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장착부(110)의 삽입홈(112) 및 입력커넥터(114)의 형상 및 위치와 수량이 달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장착부(110)가 시중에 판매되는 이동 단말기(200)의 형상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각 모델에 맞는 이동 단말기(200)의 형태로 제작되었을 때, 보조 장치(100)에 이를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이동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동 단말기(20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작된 장착부(110)라 하더라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가 보조 장치(100)와 결합되는 장착커넥터의 인터페이스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장착부(110)라 하더라도 보조 장치(10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200) 보조 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 단말기(200)에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확대되어 보조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어,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에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됨으로써,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것과 같이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그대로 전달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음향 출력부(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입력커넥터(114)를 통해 전달받아 이를 보조 장치(100)의 후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마련되며,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연결을 통해 출력되도록 이어폰 단자(132)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원공급부(140)는 내장된 배터리(142)와 함께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커넥터(1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로 전원의 공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선택스위치(146)가 마련된다.
배터리(142)는 보조 장치(10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내장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장치(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142)를 통해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 및 음향 출력부(130) 등에 소모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원커넥터(144)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마련된다.
전원선택스위치(146)는 배터리(142)나 전원커넥터(144)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공급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스위치로, 전원선택스위치(146)를 On하면 배터리(142)에 충전된 전원이 이동 단말기(200)로 공급되어,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부(150)는 보조 장치(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이동 단말기(200)에서 이동 단말기(200)를 조작하듯이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스위치(154),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On/Off하는 전원스위치(152) 및 핸즈프리 등으로 보조 장치(100)를 전환하기 위한 핸즈프리스위치(156) 등이 구비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장치 연결부(160)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와 외부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외부영상출력수단(162), 외부장치커넥터(164) 및 무선통신수단(1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영상출력수단(162)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가 본 발명의 보조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가 입력될 때, 이때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외부영상출력수단(162)에 연결된 외부영상장치로 신호를 출력하는 곳이다. 이때, 외부영상장치는 PC 모니터, TV 및 프로젝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더욱 큰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업무용이나 발표 등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부장치커넥터(164)는 PC 등의 외부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나 영상 및 음향 등을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곳으로, 이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를 통해 PC 등과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MP3 플레이어 등과 연결하여 MP3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입력되어, 입력되는 음향을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선통신수단(166)은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무선 연결을 통해 외부장치와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 간에 음향데이터나 영상데이터 등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동 단말기(200)가 다른 휴대폰이나 유무선 전화기와 음성통신이 가능한 경우에 무선통신수단(166)을 통해 핸드프리 등과 무선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즉, 일례로, 무선통신수단(166)이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핸드프리 헤드셋 등의 외부 장치와 블루투스를 통해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에 사용되는 핸드프리 헤드셋의 경우에는 기존의 핸드프리 헤드셋과는 달리, 일반적인 휴대폰과 같은 디자인으로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70)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20)나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나 음향출력부(13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이동 단말기(2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끔으로써, 배터리(142)의 소모를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외부장치 연결부(160)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입력커넥터(114) 등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외부장치 연결부(160) 측으로 전송하고, 외부장치 연결부(16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커넥터(114)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조작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나 음향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나 음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렇게 조작부(15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하여 이동 단말기(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다양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사용자가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터치 하면, 터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이동 단말기(200)로 입력되어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동 단말기(200)와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면서,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터치가 이루어지면,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된 지점의 좌표 값을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된 것과 같이 변환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에서 터치가 이루어진 것과 같이 구현하는 것이다.
이처럼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를 조작하는 것은 이동 단말기(200)에 상기와 같이,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입력된 터치 좌표 값을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 좌표 값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때의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200)에 별도로 설치가 가능한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고, 이동 단말기(200)에 탑재된 터치 입력 드라이버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보조 장치(100)의 외부장치 연결부(160)의 외부영상출력수단(162)을 통해 외부영상장치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에 그 이외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외부영상장치가 아닌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전달된다. 이때, 터치 입력은 보조 장치(100)의 장착부(110)에 마련된 입력커넥터(114)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데, 입력커넥터(114)에 형성된 특정 핀(pin)을 통해 인터페이스 변환 칩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 변환 칩은 보조 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입력커넥터(114)의 특정 핀과 연결이 된다. 그러므로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가 인터페이스 변환 칩과 입력커넥터(114)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되어, 이동 단말기(200)를 직접 터치하여 터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 보조 장치(100)의 외부장치 연결부(160)의 외부영상출력수단(162)을 통해 외부영상장치로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에 그 이외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신호는 외부영상장치가 아닌 이동 단말기(2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는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터치에 의해 발생된 신호는 보조 장치(100)의 장착부(110)에 마련된 입력커넥터(114)의 확장연결 핀(pin)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되어,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입력된 터치 입력이 이동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터치 신호로 변환되어 이동 단말기(200)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이 확장 핀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12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신호가 이동 단말기(200)에서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 것과 같이,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방법에 대한 설명>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된 정보가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인식되도록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7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터치 입력<S701>
본 단계는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하는 단계로, 본 단계에서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이 이루어진다. 이는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이동 단말기(200)와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이 아닌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2. 터치좌표 신호출력<S702>
단계 S701에서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면, 본 단계에서는 터치 입력에 의해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서는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를 출력한다. 즉, 보조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는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 비해 큰 화면으로 구비되어 있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보조 장치(100)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3. 터치좌표 신호전송<S703>
본 단계는 단계 S702에서 출력된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가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단계로, 본 단계에서의 신호 전송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10)를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보조 장치(100)의 무선통신수단(166)을 통해 이동 단말기(200)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여, 블루투스 등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터치좌표에 대한 신호가 보조 장치(100)에서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4. 터치좌표 신호입력<S704>
본 단계는 단계 S703을 통해 보조 장치(100)에서 전송된 터치좌표를 포함하는 신호가 이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단계로, 이동 단말기(200)에서는 단계 S703의 전송과정을 통해 케이블이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가 입력된다.
5. 터치좌표 신호보정<S705>
본 단계는 단계 S704에서 입력된 터치좌표가 포함된 신호를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좌표로 보정하는 단계로, 이는 이동 단말기(200)에 설치된 외부터치 인식드라이버를 통해 단계 S704에서 입력된 터치좌표가 보정된다. 즉, 이동 단말기(200)에는 터치좌표를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외부터치 인식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어, 이동 단말기(200)로 입력된 터치좌표가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서 입력되는 터치좌표와 다른 경우에는 외부에서 입력된 터치좌표를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터치좌표로 변환시킨다.
그러므로 본 단계에서의 과정을 거치면 보조 장치(100)에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된 터치좌표는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서 직접 입력된 것과 동일한 터치좌표로 변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6. 터치좌표 보정신호 인식<S706>
단계 S705에서 터치좌표가 이동 단말기(200)의 것으로 변환되도록 신호의 보정이 완료되면, 본 단계에서는 보정된 신호를 인식함으로써, 이동 단말기(200)에서는 보정된 터치입력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110: 장착부
112: 삽입홈
114: 입력커넥터 114a: 커넥터돌기
116: 고정홀더 116a: 스프링
120: 디스플레이부
130: 음향출력부
132: 이어폰 단자
140: 전원공급부
142: 배터리 144: 전원커넥터
146: 전원선택스위치
150: 조작부
152: 전원스위치 154: 볼륨스위치
156: 핸즈프리스위치
160: 외부장치 연결부
162: 외부영상출력수단 164: 외부장치커넥터
166: 무선통신수단
170: 제어부
200: 이동 단말기

Claims (15)

  1. 이동 단말기의 장착이 가능한 단말기 장착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향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이동 단말기가 삽입되는 삽입홈;
    일 측에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커넥터; 및
    타 측에 구비되고, 이동 단말기가 장착부에 고정되도록 이동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홀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장착부는 상기 입력커넥터가 이동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는 슬라이딩되어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구비된 외부 전원공급 수단; 및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외부 전원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비된 선택 스위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입력된 신호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이동 단말기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외부 영상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영상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외부 음향기기와 연결이 가능한 외부음향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음향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13. 외부 장치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A단계;
    상기 A단계에서 입력된 터치 신호를 이동 단말기의 터치신호로 변환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변환된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구동시키는 C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이동 단말기로 입력되는 터치 신호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KR1020100121666A 2010-12-01 2010-12-01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KR20120060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66A KR20120060092A (ko) 2010-12-01 2010-12-01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66A KR20120060092A (ko) 2010-12-01 2010-12-01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92A true KR20120060092A (ko) 2012-06-11

Family

ID=4661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666A KR20120060092A (ko) 2010-12-01 2010-12-01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0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3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24393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0832A (ko) * 2012-06-25 2014-01-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70024393A (ko)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빔 프로젝터 일체형 도킹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4857B (zh) 用于远程控制蓝牙装置的方法和设备
US8126181B2 (en) Acoustic system
US20140228074A1 (en) Embedded Accessory for Mobile Devices
WO2012031519A1 (zh) 分体式多功能移动终端
JP2007282241A (ja) 携帯用端末機のための多機能ドングル
KR1012424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US20070026908A1 (en) Earphone device with separabl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KR20150045917A (ko) 이어폰 플러그용 연결부재, 이어폰 소켓 및 단말기
CN103593064A (zh) 一种触控笔
KR20090097619A (ko) 모노 헤드셋 도킹 스테이션 장치
CN204244456U (zh) 耳机
KR200469462Y1 (ko) 무선 음성 기능을 갖는 터치 펜
KR101270528B1 (ko) 핸즈프리기능이 구비된 전자펜
KR20200110006A (ko) 외부 변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030011146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 보조장치
KR1011396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60092A (ko)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터치입력신호 처리 방법
CN111541804A (zh) 一种电子设备、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103369419A (zh) 带线绳音频装置
KR101485149B1 (ko)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 및 그 구동 방법
CN210181576U (zh) 无线触控显示设备
KR200421707Y1 (ko) 무선통신 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다기능 컴퓨터 키보드
CN209992960U (zh) 无线触控显示设备
KR20060120303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장치
KR101024677B1 (ko) 휴대기기용 헤드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